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권 구매행동의 심리적 결정요인과 그 영향

        허태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3

        복권 구매와 관련된 요인과 복권 구매가 인간의 동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일상 현실에서의 복권이 가지는 특성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여 게임의 중간에 복권구매의 기회가 주어지고 실험참가자들이 복권을 구매하는가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지각되는 컴퓨터 게임의 난이도, 게임성적에 대한 만족도, 지각된 경품획득 가능성과 복권의 당첨금과 당첨확률 구조가 복권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복권의 구매기회와 구매경험이 구매자의 행동과 심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험참가자들의 최종 게임 만족도, 자기능력평가와 컴퓨터 게임에서의 수행결과를 측정하였다. 기본적으로 복권을 구매한 사람들과 복권을 구매하지 않은 사람들 간에 위에서 나열된 변인들에서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실험에서 주어진 컴퓨터 과제를 더 쉽게 지각할수록 미래에 더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할수록 실험참가자들은 더 복권을 사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게임의 수행결과 자기 수행만족도와 복권당첨금과 당첨확률은 복권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복권구매기회와 행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수행결과, 만족도, 지각되는 즐거움, 자기능력평가 등에 유의미한 결과를 미치지 않았다. 다만, 수행결과와 자기능력에는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적인 설문방법에 근거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복권의 의미를 분석하고, 전반적인 실험연구의 한계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An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ed the components of lottery games affecting lottery- purchasing behaviors and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behavior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given a chance to purchase a lottery tickets during a series of computer games and their decision of purchasing the lottery ticket was measured. Also, the size and probability of the lottery games were manipulated and the perceived difficulty, satisfaction of the mid-outcome, and perceived probability of success in the computer game were measured in order to examine their impacts on participants' lottery-purchasing decisions. In addition, the behavioral tendency, satisfaction of the final outcome, and perceived self-capability in the computer game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computer gam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lottery-purchasing experiences on the variables.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e games as easier and estimated the probability of their success highly were more likely to buy the lottery tickets. However, the winning prize and odd of lottery tickets,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ir own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itself did not influence the purchasing decisions. The common beliefs on the negative effects of lottery-purchasing experiences on human motivation and behaviors were not supported.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lotter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가경험의 지각조건과 심리적 요인

        허태균 한국여가문화학회 2004 여가학연구 Vol.1 No.3

        여가에 대한 기존의 거시적인 관점의 연구들이 여가를 시간적, 또는 공간적, 사회구조적 개념으로 이해하여 왔다. 본 연구는 여가의 궁극적 개념을 미시적 관점에서 개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확인하였다. 225명의 대학생들이 여가와 관련되었다고 사전연구에서 밝혀진 20개의 활동 특성들에 대해 여가 경험에서의 중요성, 여가 경험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여부를 답하였고, 설문참가자들의 성격변인으로 성격 5요인 이론에서 제안된 내향성 ․ 외향성 측면이 측정되었다. 20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편안함’ ‘유익성’ ‘즐거움’과 ‘자유감’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중 유익성과 즐거움 요인이 여가경험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지각되었으며, 내재적 동기에 해당하는 활동을 ‘하고 싶어서 하는’ 특성이 여가 경험의 충분조건으로 지각되었다. 더 나아가,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일수록 유익성과 즐거움 요인을 여가경험에서 중요한 조건으로 지각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여가경험의주관적 측면과 지존 연구에서 제안되어 온 여가의 중요 개념들 간의 관련성이 논의되었으며, 성격적 특성과 여가경험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여가활동에서의 주체로서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에 대한 미시적 접근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허태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Counterfactual thinking refers to a mental simulation of "What might have been," a cognitive process of once-possible-but-unrealized alternatives to facts, Counterfactuals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intensive emotional experiences, specifically regret. The present research reviewed and tried to integrate the previous inconsistent findings in the view of functional value of counterfactuals. Social psychologists proposed that counterfactuals could be categorized into upward(thoughts of better alternatives) versus downward(thoughts of worse alternatives) and additive versus subtractive. Counterfactual processes are more likely to occur following negative or unexpected rather than positive expected outcome, consistent with the minimization-mobilization hypothesis. Downward counterfactuals serve affective functions(to make one feel better) through contrast effects. Upward counterfactuals serve preparative functions(to prepare and improve performance in the future similar tasks) through causal inferences. Also, upward counterfactuals have been demonstrated in several studies to be followed by success-related attitudes and intentions and actual performance improvement. Furthermore, in terms of regulatory focus, downward counterfactuals were related with the prevention focus(to maintain the current status and upward counterfactuals were related with the promotion focus(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Those findings from numerous studies support that counterfactuals are functional to serve human ongoing motives. In conclusion, applicability and limitation of functional value of counterfactual thinking were discussed. 이미 일어난 사실과 다른 가상의 상황을 상상해 보는 “만약 ...다면, ...했을 텐데”와 같은 사고과정을 사후가정사고라 하며, 이러한 사고가 흔히 ‘후회’와 같은 부정적 감정의 경험을 수반하고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후가정사고와 후회경험의 긍정적 측면, 즉 인간의 동기에 부합하거나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능적 역할을 지지하는 연구들을 통합하여 그 응용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사후가정사고에서 가상상황이 현실의 사실보다 나을 때와 못할 때에 따라 각각 상향적과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로 분류하였으며, 또한 그 구조에 따라 첨가형과 삭제형 사후가정사고로 분류하였다.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후회, 실망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동반하며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안도, 기쁨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동반한다. 사후가정사고의 기능적 가치를 제안하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사회심리학자들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정서적 기능(부정적 감정의 완화와 긍정적 감정의 증대)을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미래준비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나아가, 조절적 동기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들에서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향상적 동기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예방적 동기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후가정사고와 후회의 경험이 반드시 통제해야만 하는 부정적인 경험이 아닌 미래의 성공을 위한 준비적 기능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사후가정사고의 다양한 현실사회에서의 응용 가치와 그 제한점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왜 복권은 바꾸려 하지 않는가?: 예상되는 사후가정사고와 후회의 역할

        허태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8 No.3

        The previous research found that people tend to be reluctant to exchange their lottery tickets even with greater compensation, and this tendency has been explained with illusion of control, self-serving bias, and decision-making errors. The present research proposed and examined that the anticipated counterfactual thoughts and anticipated regret would be a major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error-like tendency. Participants motivated by many grand prizes played a series of computer games and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select a lottery ticket in the middle of the computer game. The possibility of anticipated counterfactual thoughts and regret were manipulated by whether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he lottery number of the selected ticket or that of the unselected ticket when they expected that the wining number would be known in the future. Also,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expected that the winning number would not be known and then didn't expect counterfactuals and regret. As hypothesized, Participants who were exposed to the unselected lottery number exchanged their lottery tickets more and were slower in the decision making than those who were exposed to the selected one and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giving up their lottery tickets were not different acros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oposition of the roles of anticipated counterfactuals and regret in reluctance to exchange lottery tickets and discussed with the functional perspective of anticipated affects in decision-making processes. 사람들은 흔히 같은 당첨확률인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복권을 바꾸려하지 않고, 자신의 복권에 대한 실제의 가치보다 더 큰 보상을 요구한다. 이러한 현상을 사회심리학자들은 자기고양적 동기와 착각적 자기통제감으로 설명하거나 행동보다는 비행동을 선호하는 성향과 관련지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서 예상되는 부정적 감정(특히 후회)과 이 감정을 최소화시키려는 동기역할을 조사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기본적으로 컴퓨터게임 과제를 수행하는 중간에 복권을 선택하였고 나중에 선택하지 않았던 다른 복권으로 교환할 기회가 주어졌다. 독립변수는 처음 복권을 선택할 때 선택복권 또는 비선택복권 중에 어떤 번호에 노출되는가를 처치하였고, 종속변수로 후에 복권을 교환하는가 여부와 행동결정 반응시간, 그리고 복권포기의 기대 보상크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가설과 일관되게, 실험참가자들은 자신의 복권번호에 노출되었을 때보다 선택하지 않았던 번호에 노출되었을 때 더 복권을 교환하려고 하였고 그 행동결정 반응도 느렸지만, 복권포기를 위한 기대보상의 크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예상되는 후회와 이를 최소화하려는 동기가 역기능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행동회피편향과 현상유지편향, 의사결정오류와 같은 인간의 의사결정회피성향을 설명하는 다양한 심리기제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가동기의 재구성: 여가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선호

        허태균,박정열,장훈,김소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4

        Previous research in leisure motivation has been limited in terms of its overwhelming interest in beneficial outcomes of leisure activities, its short of coverage on wide range of modern leisure activities, and its lack of cultural perspectives. In order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a survey in which motives to participate in 48 leisure activities and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he activities were assessed. We categorized 7 categories of leisure activities (skill-involved, social, personal hobby, goal-oriented, relaxing, digital, and voluntary) and 7 categories of leisure motives (achievement, intimacy, psychological comfort, sensation-seeking, secondary, self-promoting, and no-fun). On the basis of the categorizations, momentary leisure motiv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leisure motives were conceptualized and tested as a preceding factor of selection of leisure activities. This conceptualization was discussed in its practical implication of leisure education, consulting, and policy. 본 연구는 여가동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이 여가활동의 결과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재의 다양한 여가동기와 활동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 바탕하여 한국인들의 여가동기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48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를 개방형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로부터 7개의 여가활동범주(기술요구, 사회적, 개인취미, 목표지향적, 휴식, 자발참여, 디지털)와 7개의 여가동기범주(성취, 대인관계, 심리적 안정추구, 흥미․감각추구, 수단, 내적 자기표현, 비여가적)를 추출하였다. 이 범주를 통해 특정 여가동기를 만족시키기 위해 선호되는 여가활동을 분석하였고, 여가활동에서 특정 동기를 강하게 가진 사람이 어떤 여가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흥미·감각추구와 대인관계 동기가 가장 흔한 여가동기였으며 디지털 여가활동이 이러한 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내적 자기표현 동기가 높은 사람이 개인취미와 디지털 여가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가지는 여가교육과 여가카운셀링 등에서의 실용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박유형에 따른 도박행동과 도박문제의 차이

        허태균,윤상연,장훈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3

        기존의 연구가 도박 참여자의 특성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도박을 그 주요 속성에 근거하여 유형화하고 각기 다른 도박유형이 참여행동과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서 도박 참여자들의 각 도박종류의 속성(승률과 배당금)을 토대로 도박유형을 분류하고, 이 유형 분류에 따라서 도박행태와 도박으로 인한 부작용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우선 지각된 승률과 배당금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도박유형이 추출되었다: 오락형, 복권형, 온라인게임형, 성인오락실형, 경주형, 카지노형. 분류된 각 도박유형을 주도박으로 이용하는 참여자들에 대해서 도박 참여행태를 분석한 결과, 주도박 유형에 따라서 도박인지, 도박 이용실태, 도박 중․후의 감정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도박 유형에 따라서 도박으로 인한 부작용도 차이가 있었다. 도박유형별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오락형과 복권형 도박과 같이 다수가 참여하는 도박에 비해서 성인오락실형, 경주형, 카지노형 등 소수가 이용하는 도박유형의 도박 참여행태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라인게임형의 경우에는 현실적인 부작용은 크지 않더라도 잠재적으로 도박으로 인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도박의 유형화에 대한 학문적 타당성과 그 유형에 근거한 실용적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Previous psychological studies in gambling have mai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ambl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ategorize gambles in Korea into subtypes based on winning probability and money and to examine variations of gambling behaviors and problems across the gamble subtypes. A survey on 1,304 gambl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of their gambling behaviors,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and CPGI. First, factor analyses on perceived winning probability and money revealed 6 subtypes of gambles: amusement type, lottery type, internet type, slot-machine type, racing type and casino type. Secondly, comparisons among gamble subtype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gambling behaviors, gambling-related cognitions,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gambling, and personal/social problems related to gambling. The gambling behaviors in slot-machine type, racing type, and casino type were more negative than those in amusement type, and lottery type. Gamblers in internet type were found to have potential for latent problems of gambling. In discussi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values and implications of typology of gamble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 준법의식의 약화에서 인지부조화의 역할

        허태균,황재원,김재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1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proposition that once people violate traffic regulations, they would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and subsequently engage in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 the law negatively in order to reduce the dissonance. In an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three scenarios in which a person violated trivial traffic laws, and they were asked to imagine themselves as the person of the scenarios and write statements supporting the unlawful behaviors.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the general traffic law and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violations were measured 8 weeks before and right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as expected, showed that their attitudes toward the general traffic law and the specific regulations in the scenarios changed negatively after writing the statements. In each scenarios, the participants who chose to wrote statements supporting the unlawful behaviors showed great attitude changes that those who did not write the statements. Furthermore, attitudes toward the regulation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cenario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participants who were expected to experience stronger dissonance arousal (e.g.., supported more unlawful behaviors or had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law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greater attitude changes.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s of trivial unlawful behaviors on attitudes toward the law and strongly suggest the role of cognitive dissonance underlying the effects. 본 연구는 사람들이 사소한 교통법규를 어기는 행동을 한 후에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태도와 위반행동 사이에서 인지부조화를 경험하며, 그 부조화를 경감시키기 위해 법규 준수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법규 위반 행동(무단횡단, 불법주차, 신호위반)을 묘사하는 시나리오를 읽고, 그 위반행동에 대해 지지하는 글을 쓰게 하여 인지부조화를 경험하게 한 실험참가자들에게서 태도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관련 교통법규준수 태도를 반복 측정하는 피험자 내 설계를 통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부조화 처치 전과 후의 일반적인 교통법규준수 태도를 비교한 결과, 전보다 후에 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시나리오로 제시된 각 교통법규 위반상황과 관련된 태도문항들에서도 부조화를 경험하기 전보다 후의 각각의 교통법규 준수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더 나아가 태도변화에서 인지부조화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분석에서, 시나리오로 제시되지 않은 교통법규와 관련된 태도문항들(인지부조화와 관련 없는 문항들)에서는 반복측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3개의 시나리오 중에 더 많은 시나리오의 위반행동에 대해 지지하는 글을 쓸수록 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시나리오의 위반행동에 대해 지지하는 글을 작성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초기의 교통법규준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실험참가자가 더 많은 태도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론적으로 사소한 법규위반행동이 법규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인지부조화 기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지지한다. 규범-행동 간의 부조화에 의한 태도변화 가능성을 인지/대리 부조화적 설명과 함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학습효과의 검증

        허태균,배준성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2

        Media reports of suicides has been found to increase suicide cases that were temporally and spacially proximal to the reports, b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ocial learning, underlying the negative effects was not directly tes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processes of social learning that media reports of suicides, especially positive contents toward suicides, might change people's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suicides positively and subsequently increase subsequent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rnet survey, 300 adults reported their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news reports of suicides, and rated whether the suicides were described positively or negatively in the reports. Finally they reported their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tended to remember more the contents of suicide reports suggested to increase copycat suicides. Also, people were found to have an ironic view to suicide reports of media that they acknowledged the dangers of suicides reports and approached the reports with curiosity. More importantly, the perception of the positive reward that suicides might achieved through suicides was rel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uici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uicides. The present findings was discussed in the social learning understanding of copycat suicid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prevention strategies.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우리나라 성인들의 지각, 기억,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사회학습과정에서의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00명의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 기억,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보도내용 중에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자살보도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살보도로 인해서 자살자가 얻는 보상에 대한 지각이 모방자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모방자살에서의 사회학습적 기제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미디어의 자살보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방향과 자살보도의 제한에 대한 함의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행위시 위험감수 의사결정에서 남녀차이: 콘돔사용과 계획된 행동이론

        허태균,김연석,한민 한국여성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9 No.3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s of risk-taking decisions in sexual behaviors, specifically condom use during sexual intercourse.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jzen, 1988), attitudes toward subjective norms of,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in condom use were measured from 201 college students and their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actual behaviors were examined. Condom-related attitudes,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were found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behavioral intention of condom use, supporting generally TPB in condom use. More importantl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erceived controllability in condom use than female students, but positive attitude of condom use were vice versa. Furthermore, the regression analyses of the factors on behavioral intention revealed that perceived controllability influenced significantly behavioral intention only in male data even though attitudes were a reliable predictor of the intention in both male and female data. In addition, it was interestingly found that students who previously had condom-use experiences, rather than those who did not used condom in previous sexual intercourses, reported higher subjective norms related to condom-use. Tho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raditional sexual roles and stereotypes of Korean culture, and they suggest for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efforts specified for each gender and more elaborative and open-minded discussion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