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참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애주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허지숙(Huh, Ji-Suk)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별로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EDSS 및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160개의 대학을 선정하였고, 25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를 생애주기별로 나누어 재학생 비율에 따른 교육비, 교육의 질, 대학의 개방성 및 대학 특성 등 대학 요인에 따른 영향력 정도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2기 전기 성인학습자의 경우 소재지, 전임교원 확보율, 학생 1인당 장학금,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이 재학 비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2기 중기 성인학습자의 경우 1인당 장학금, 평균등록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기 후기 성인학습자의 경우 입학전형수, 학사운영형태,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이 영향을 미쳤으며, 3기 성인학습자의 경우 입학전형수, 학사운영형태,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이 성인학습자 재학생 비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애주기별 성인학습자를 고려한 교육비와 교육의 질 제고 등 성인친화적 고등교육제도의 개선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of universities that affect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by life cycle. To this end, 160 universities were selected using EDSS and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and to check the impact of university factors by dividing adult learners aged 25 or older by life cyc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niversity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centage of adult students in different life cycles. For adult learners in the early second-term period, the location, the rate of securing full-time teachers, scholarships per student, the ratio of lectures by full-time teachers. But, scholarships per capital and average tuition in the mid second-term period adult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In addition, for the late second-term adult learners, the number of admissions, the type of academic management, and the rate of full-time teacher lectures affected, and for the third-term adult learner, the number of admissions, the type of academic management, and the rate of full-time teacher lectu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improvement and implications of adult-friendly university education system were proposed, including education costs and quality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adult learners by life cycle.

      • KCI등재

        학문으로서 코칭의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허지숙(Huh, Ji-Suk),주충일(Joo, Choong-Il),이성엽(Yi, Sung-Yup)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7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의 교육철학을 토대로 20세기 들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코칭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모색코자 논의 하였다.연구를 통해 소크라테스의 교육철학의 목적인 인간의 탁월성(아레데), 산파술, 아포리아 등은 코칭 철학과 방법론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코칭의 목적은 개인과 조직의 성공과 수행적 탁월성이 아닌 품성적 탁월성까지 포함한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둘째, 코칭에 있어 소크라테스적 방법과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코치의 역량은 삶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넷째, 코치와 피코치는 철저한 파트너십을 지향해야 한다. 이러한 소크라테스 교육철학과 의 논의는 코칭이 HRD 전략의 한 유행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으로 정립할 수 있는 이론적 초석을 마련해 줄 것이다. The study was based on the philosophical philosophy of Socrates to try to establish a monumental debate in order to establish a monumental debate and scholarship in the 20th century. Through this research, it is shown that human excellence (Arete) And Aporia were found to be the basis of coaching philosophy and methodology.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purpose of coaching is to reconstitute the reappointment , including the succes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excellence, not the fulfillment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xcell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ss and process in coaching. Third, the coach s competence should be about continuous reflection on life. Fourthly, coaches and coachee should pursue a thorough partnership. Discussion of the philosophy of Socrates educational philosophy will not only lead to a trend in the HRD strategy, but a theoretical basis of establishing academic goals.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자기설계학기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허지숙(Huh Ji Suk)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융합교육 형태로 자기설계학기를 참여한 학생들의 동기와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A대의 자기설계학기를 참여한 이공계대학생 6명을 눈덩이 표집방식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경험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설계학기에 참여자들의 경험은 크게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범주 1은 자기설계학기를 참여하게 된 동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수강신청과는 다른 ‘권유’와 ‘가능성’, 그리고 ‘목표달성’을 위한 도구로서 자기설계학기를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주 2는 자기설계학기 참여 과정 중에 일어난 경험으로 스스로 배우고 설계하면서 주체적인 ‘학습자’로의 훈련과 팀원들 간의 갈등과 해결 속에서 진정한 ‘협업’을 배우고, 보고서라는 ‘압박’을 통해 스스로를 평가하는 경험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범주 3은 참여이후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성찰로 습득하게 된 지식과 변화 그리고 삶의 방향과 관련되어 ‘배웠다’, ‘변했다’, ‘해보자’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 때부터 다양한 경험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개념과 역할공유, 대학 내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자성적 성찰에 의한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motivation and experience in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self-design seminar as a form of convergence education emerging from University. For this purpose, six 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self-design seminar in Korea were selec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interviewed in-depth,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participants experiences in self-design seminar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ategory 1 was related to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self-design seminar, and it appears that they take part in self-design seminar as ‘invitation’, ‘possibility’, and tool for ‘achieving goals’. Category 2 was an experience that occurred during the course of participating in the self-design semester, learning and designing by ‘learners’ themselves, learning real ‘collaboration’ with the team members and in conflict and resolution, and evaluating the ‘pressure’ on reports. Finally, Category 3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d’, ‘changed’, and ‘trying’ to relate to the knowledge and direction of life learned from reflection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fter the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d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verse experience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haring the concept and role of professor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and the innovation by the self reflection.

      • KCI등재

        플라톤『국가』에 함축된 평생교육 사상 고찰

        허지숙(Huh, Jisuk),최운실(Choi, Un Shil)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3

        본 연구는 플라톤의『국가』에 나타는 철학 사상을 토대로 평생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플라톤『국가』에 나타난 교육의 지향점이 어떻게 평생교육의 지향점과 일치하는지를 탐색하고 유네스코의 들로르 보고서가 제시한 학습의 4가지 원리가 플라톤의『국가』에서 제시한 4가지 덕과 어떻게 연관성을 가졌는지 살펴봄으로 오늘날 평생교육 개념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플라톤의 파이데이아는 모든 인간에게 교육이 필요하며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을 강조함으로 오늘날 평생교육의 지향점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제시한 평생교육의 목적과 학습의 4가지 원리를 플라톤의『국가』의 4가지 덕으로 재해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플라톤의 교육은 개인의 훌륭한 영혼을 위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것으로 평생교육의 개념의 확장을 요구한다. 둘째, 플라톤의 평생교육은 인간의 본질을 사유하는 교육으로 평생교육이 직업교육보다는 인간의 삶의 문제까지 확대되는 계기를 줄 수 있다. 셋째, 플라톤은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자아실현과 직업, 제도권과 일상에서의 교육을 제안하며 통합과 융합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계에 매우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철학사상은 공동체와 개인을 동일하게 봄으로 국가와 개인의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고자 구성된 독창적인 교육으로 오늘날 평생교육의 사회정의를 논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philosophical thought in Plato s 󰡔Politeia󰡕.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plore how the orientation of education in Plato s 󰡔Politeia󰡕coincides with the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e four pillars of education presented by the UNESCO are linked to the four areté. And to present new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oday. As a result, Plato s Paideia requires education for all human beings and emphasizes life-long learning, which is the same as today s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by reinterpreting the four principles and purposes of lifelo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UNESCO by four areté of Pla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Plato s education suggests a clear direction for an individual s good soul, and require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Plato s lifelong education can give an opportunity to extend life education to the problem of human life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Third, Plato is very meaningful to the lifelong education world today as he is pursuing a education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suggesting personal and community, self-realization, occupation, institutional and daily education. Finally, Plato s philosophical thought is an original education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national and the individual at once, with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alike, giv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social justice of lifelong education today.

      • KCI등재

        산업체관점에 기초한 신산업분야에서의 직무역량 탐색 연구

        허지숙(Jisuk Huh),강윤진(Yunjin Ka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미래 일자리 지형변화에 대응하고 신기술분야의 주요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직무역량 도출을 국내 K대학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기술분야로 지능형드론 및 UAM 신기술분야를 선정하고 지역산업 및 K대학 역량 분석 기반으로 핵심직무역량 도출하고자 신기술분야 사례분석-신산업 분야 직무 역량 정의-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FGI)-대학 교원 인터뷰 및 설문조사-산업현장성 검증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기술분야의 문헌 및 자료분석을 통해 직무역량을 정의하고 산업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직무기초역량 11개, 직무기술역량 43개, 및 초직능적 기술역량 28개 후보군이 도출되었다. 둘째, 관련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총 7개의 직무기초역량, 9개의 직무기술역량, 8개의 초직능적 기술역량으로 직무역량 모델을 구성하였다. 셋째, 도출된 직무역량을 토대로 지역 산업 현장 검증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선정을 위해 각 역량에 대한 Needs Weight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직무기초역량으로 ‘직업적 윤리의식, 창의적 사고, 혁신적 사고, 융합적사고, 미래지향적 사고’, 초직능적기술역량은 ‘문제인식 및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성, 탐구정신, 협동 및 기술협력, 의사소통’ , 직무기술역량은 ‘이동체 제어기술, 설계/제작/제어능력, 무선통신기술, 센서시스템 활용기술, ICT 기술이해 및 활용’ 등으로 규명되었다. 결과를 토대로 신기술분야의 핵심직무역량 도출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erivation of core job competenc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job landscapeand to successfully perform major job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through the case of K university. To this end, intelligent drones and UAM new technology fields were selected, and case studies of new technology fields are analyzed to derive core job competencies based on regional industries and K university competency analysis.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job competencies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analysi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11 job basic competencies, 43 job technical competencies, and 28 super-functional technical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opinions from industry expert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f faculty members at related universities, a job competency model was constructed with a total of 7 basic job competencies, 9 job technical competencies, and 8 super-functional technical competencies. Third, based on the derived job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local industrial field, and the needs weight for each competency was calculated for the final selection. As a result, 'professional ethics, creative thinking, innovative thinking, convergence thinking, future-mindset thinking' as basic job competencies, and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self-initiative, inquiry spirit, cooperat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communication' and job skills were identified as 'moving vehicle control technology, design/manufacture/control abilit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ensor system application technology, and ICT technolog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eriving core job competenci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이공계 대학 융합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탐색

        허지숙(Huh, Jisuk)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engineering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self - design semesters as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for fostering convergence ability is insufficient for the viewpoint of education. The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However, the concept and paradigm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precisely because it is made in a top-down manner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of the lack of a foundation to operate the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A university s self-design semester,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the overall convergence ability by giving autonomy and subjectivity to learners a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ontextual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collaboration.

      • KCI등재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허지숙,Huh, Ji-suk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field and target. To do this, we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d 227 articl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five major newspapers. Through analysis, we analyzed social network with 118 refined core competency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e degree centrality in term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nvergence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onductivity', 'software ability', 'human literacy', 'personality' order.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go centric network by field and target,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ore competence of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nurture the engineering talent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평가지표에 따른 학습도시 발전계획 분석 : 중장기발전계획 보고서를 중심으로

        김진주(Kim Jinju),허지숙(Huh J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2020년 처음으로 도입되는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는 지속 가능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발전이라는 비전하에 평생학습도시 운영의 효율성 제고 및 성과향상 노력 등을 평가하여 각 학습도시의 자체적인 질 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평생학습 도시 조성 사업의 기본 취지가 평생학습 기반형 지역의 성장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연 학습도시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실질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점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각 학습도시의 목표이자 성과지표인 중장기발전계획을 토대로 학습도시의 지역별, 그룹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규명하고, 재지정 평가를 위한 시사점 도출 및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평가지표의 적합성과 개선점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평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따른 지역 간 격차를 고려하여 평가지표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그룹별로 학습도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추진방향 및 목표 등 핵심과제 내용이 상이함에 따라 평가지표의 세부적인 지역 간 핵심요소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근본적인 취지와 정의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e Lifelong Learning City Redesignation Assessment, which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2020, focuse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ifelong learning city operation and improving performance under the vision of developing a sustainable lifelong learning city, thereby managing the quality of lifelong learning-related regions. It was presented to lay the groundwork. Considering that the basic purpos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development project is the growth of a lifelong learning-based area,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city can be properly reflected and actual outcomes measured.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uita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redesignated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which is the goal and performance indicator of each learning city.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at appear by region and group, to examine implications and derivation for the redesignation of learning cities, and further, specific selection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redesign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implications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learning urban redefinition evaluation has a plan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capital area, thereby minimi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correct judgment on the detailed regional key elements of th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core tasks such as the vision of the learning city for each group,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and goals.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purpose and defini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KCI등재

        온라인 비교과 설계 교육과정에서 기초 설계 교육과정으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온라인 IoT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자(Hwang, Yunja),허지숙(Huh, Ji-suk) 한국공학교육학회 2021 공학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IoT program in online,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course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online. For this study, IoT programs developed based on online classes were operated, and the effectiveness as a subject was verified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competency test, and interview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addition, by presenting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in a online environment required to apply to engineering design courses,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nd operating actual desig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