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학 융합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탐색

        허지숙(Huh, Jisuk)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engineering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self - design semesters as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for fostering convergence ability is insufficient for the viewpoint of education. The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However, the concept and paradigm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precisely because it is made in a top-down manner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of the lack of a foundation to operate the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A university s self-design semester,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the overall convergence ability by giving autonomy and subjectivity to learners a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ontextual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collaboration.

      • KCI등재

        산업체관점에 기초한 신산업분야에서의 직무역량 탐색 연구

        허지숙(Jisuk Huh),강윤진(Yunjin Ka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미래 일자리 지형변화에 대응하고 신기술분야의 주요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직무역량 도출을 국내 K대학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기술분야로 지능형드론 및 UAM 신기술분야를 선정하고 지역산업 및 K대학 역량 분석 기반으로 핵심직무역량 도출하고자 신기술분야 사례분석-신산업 분야 직무 역량 정의-산업체 전문가 의견 수렴(FGI)-대학 교원 인터뷰 및 설문조사-산업현장성 검증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기술분야의 문헌 및 자료분석을 통해 직무역량을 정의하고 산업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직무기초역량 11개, 직무기술역량 43개, 및 초직능적 기술역량 28개 후보군이 도출되었다. 둘째, 관련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총 7개의 직무기초역량, 9개의 직무기술역량, 8개의 초직능적 기술역량으로 직무역량 모델을 구성하였다. 셋째, 도출된 직무역량을 토대로 지역 산업 현장 검증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선정을 위해 각 역량에 대한 Needs Weight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직무기초역량으로 ‘직업적 윤리의식, 창의적 사고, 혁신적 사고, 융합적사고, 미래지향적 사고’, 초직능적기술역량은 ‘문제인식 및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성, 탐구정신, 협동 및 기술협력, 의사소통’ , 직무기술역량은 ‘이동체 제어기술, 설계/제작/제어능력, 무선통신기술, 센서시스템 활용기술, ICT 기술이해 및 활용’ 등으로 규명되었다. 결과를 토대로 신기술분야의 핵심직무역량 도출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erivation of core job competenc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job landscapeand to successfully perform major job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through the case of K university. To this end, intelligent drones and UAM new technology fields were selected, and case studies of new technology fields are analyzed to derive core job competencies based on regional industries and K university competency analysis.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job competencies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analysi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11 job basic competencies, 43 job technical competencies, and 28 super-functional technical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opinions from industry expert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f faculty members at related universities, a job competency model was constructed with a total of 7 basic job competencies, 9 job technical competencies, and 8 super-functional technical competencies. Third, based on the derived job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local industrial field, and the needs weight for each competency was calculated for the final selection. As a result, 'professional ethics, creative thinking, innovative thinking, convergence thinking, future-mindset thinking' as basic job competencies, and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self-initiative, inquiry spirit, cooperat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communication' and job skills were identified as 'moving vehicle control technology, design/manufacture/control abilit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ensor system application technology, and ICT technolog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eriving core job competenci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플라톤『국가』에 함축된 평생교육 사상 고찰

        허지숙(Huh, Jisuk),최운실(Choi, Un Shil)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3

        본 연구는 플라톤의『국가』에 나타는 철학 사상을 토대로 평생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플라톤『국가』에 나타난 교육의 지향점이 어떻게 평생교육의 지향점과 일치하는지를 탐색하고 유네스코의 들로르 보고서가 제시한 학습의 4가지 원리가 플라톤의『국가』에서 제시한 4가지 덕과 어떻게 연관성을 가졌는지 살펴봄으로 오늘날 평생교육 개념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플라톤의 파이데이아는 모든 인간에게 교육이 필요하며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을 강조함으로 오늘날 평생교육의 지향점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제시한 평생교육의 목적과 학습의 4가지 원리를 플라톤의『국가』의 4가지 덕으로 재해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플라톤의 교육은 개인의 훌륭한 영혼을 위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것으로 평생교육의 개념의 확장을 요구한다. 둘째, 플라톤의 평생교육은 인간의 본질을 사유하는 교육으로 평생교육이 직업교육보다는 인간의 삶의 문제까지 확대되는 계기를 줄 수 있다. 셋째, 플라톤은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자아실현과 직업, 제도권과 일상에서의 교육을 제안하며 통합과 융합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계에 매우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철학사상은 공동체와 개인을 동일하게 봄으로 국가와 개인의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고자 구성된 독창적인 교육으로 오늘날 평생교육의 사회정의를 논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philosophical thought in Plato s 󰡔Politeia󰡕.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plore how the orientation of education in Plato s 󰡔Politeia󰡕coincides with the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e four pillars of education presented by the UNESCO are linked to the four areté. And to present new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oday. As a result, Plato s Paideia requires education for all human beings and emphasizes life-long learning, which is the same as today s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by reinterpreting the four principles and purposes of lifelo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UNESCO by four areté of Pla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Plato s education suggests a clear direction for an individual s good soul, and require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Plato s lifelong education can give an opportunity to extend life education to the problem of human life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Third, Plato is very meaningful to the lifelong education world today as he is pursuing a education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suggesting personal and community, self-realization, occupation, institutional and daily education. Finally, Plato s philosophical thought is an original education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national and the individual at once, with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alike, giv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social justice of lifelong education today.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평가지표에 따른 학습도시 발전계획 분석 : 중장기발전계획 보고서를 중심으로

        김진주(Kim Jinju),허지숙(Huh J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2020년 처음으로 도입되는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는 지속 가능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발전이라는 비전하에 평생학습도시 운영의 효율성 제고 및 성과향상 노력 등을 평가하여 각 학습도시의 자체적인 질 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평생학습 도시 조성 사업의 기본 취지가 평생학습 기반형 지역의 성장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연 학습도시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실질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점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각 학습도시의 목표이자 성과지표인 중장기발전계획을 토대로 학습도시의 지역별, 그룹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규명하고, 재지정 평가를 위한 시사점 도출 및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평가지표의 적합성과 개선점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평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따른 지역 간 격차를 고려하여 평가지표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그룹별로 학습도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추진방향 및 목표 등 핵심과제 내용이 상이함에 따라 평가지표의 세부적인 지역 간 핵심요소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근본적인 취지와 정의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e Lifelong Learning City Redesignation Assessment, which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2020, focuse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ifelong learning city operation and improving performance under the vision of developing a sustainable lifelong learning city, thereby managing the quality of lifelong learning-related regions. It was presented to lay the groundwork. Considering that the basic purpos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development project is the growth of a lifelong learning-based area,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city can be properly reflected and actual outcomes measured.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uita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redesignated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which is the goal and performance indicator of each learning city.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at appear by region and group, to examine implications and derivation for the redesignation of learning cities, and further, specific selection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redesign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implications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learning urban redefinition evaluation has a plan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capital area, thereby minimiz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correct judgment on the detailed regional key elements of th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core tasks such as the vision of the learning city for each group,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and goals.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purpose and defini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KCI등재

        튜터링프로그램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분석

        오경수(Oh Kyungsu),최정(Choi Jung),허지숙(Huh J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개인, 경험, 활동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튜터와 튜티의 효과를 구분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2019학년도 2학기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2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성별, 튜터링 과제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의 경우 튜터링 참여 횟수에 따라 학업성취 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튜터의 사회정서적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튜티의 경우 학습과제 유형에 따라 사회정서적 효과, 학업성취 효과, 학습동기 효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튜티의 학업성취 효과와 학습동기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시 효과성과 만족도를 위하여 보다 적절한 관리와 개입이 필요하며 튜터와 튜티에 따른 전략적 접근과 극대화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tutoring program of the universi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udent tutor and tutee on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 to 23, 2020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a ‘A’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tutoring program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tutoring task type.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 tutors,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effect was high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toring participating,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effects of tutors had a high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ut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motional effects, academic achievement effects,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tas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utee s academic achievement effect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 had a high impact on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more appropriat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re needed for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hen operating a university tutoring program, and that a strategic approach and maximization plan according to tutors and tute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