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가창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 방안 연구

        허란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가 정보화 시대로 빠르게 변함에 따라 교육평가 분야에서도 획일화된 전통적 평가 방식으로는 학생을 정확히 판단 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 되어 왔다. 이에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가 대표적인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결과만을 중시해 오던 기존의 평가방법을 대체할 다원화 시대에 걸맞은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가창수업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어질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 방안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방과후학교에서 체계적인 교육평가가 이루어지고 가창 수업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에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는 본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실제적인 수업 전략 및 평가도구를 개발한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절차는 첫째, 방과후학교와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음악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봄으로써 가창 수업목표와 제재곡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셋째, 이론적으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평가절차를 수립하고 절차에 맞는 포트폴리오 적용 방안을 구안해 내었다. 넷째, 포트폴리오 적용 방안에 따른 포트폴리오 평가 도구를 개발해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 방안에 따른 결론으로는 모든 수업 절차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시된다는 점과 포트폴리오 평가가 평가의 목적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 또한 자기 반성적인 평가이며 학생들의 사회성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방안에 목적을 두고 그 실제를 개발해 내었으나 연구 대상에 기초하여 만들어 졌기 때문에 그 효과의 입증이 필요하다. 또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다른 평가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단점을 보완할 만한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Due to the advent of information era,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among education assessment area that the traditional way of standardized assessment is not sufficient for students. Performance assessment and portfolio assessment are presented as alternatives. These assessment methods, in pluralistic society, will eventually replace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only put emphasis on the result. This study developed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for applying in vocal class of after school program in primary schools. It helps that the education assessment in after school is systematically fulfilled and the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vocal class has better achievement. This study also developed the practical teaching strategy and assessment tools for applying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n a sample group of students in the after school program where a researcher is working. The study covers that, first, this study deals with a theoretical context in regard to after school program and portfolio assessment. Second, it assists the decision-making procedure for the goal of singing class and classical songs in music textbooks by examining music, the curriculum, and music textbooks in primary schools.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xt it establishes assessment procedure and portfolio application suggestions accordingly. Forth, it proposes a developed portfolio assessment tools following the portfolio application suggestions.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ole of teacher has an importance on every class; the portfolio assessment helps not only the goal of assessment but als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t is a self-reflection method; it enhances the sociality of the students. This study developed a practical use of portfolio assessment method but it has to be certified on its effectiveness on account of the object of stud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advanced alternatives in follow-up research to complement the weak point of portfolio assessment which requires a lot of time and cost.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및 화장동기에 관한 연구

        허란 경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여성들의 삶이 변화되어 행동패턴이 다양화, 개성화되면서 라이프스타일의 개념과 이에 기반을 둔 뷰티와 관련된 산업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증가하면서 메이크업은 피부보호, 노화방지 및 아름다움을 동시에 표현해주는 문화산업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사회생활에서도 외모를 중요시하고 사회적 성취수단으로써 메이크업이 활용되고 있어 외모가 갖는 시각적 효과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화장행동은 일상적, 습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화장이란 언제, 어디에서, 어떤 목적으로 하는 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시간과 장소 혹은 상황에 따라 화장을 하게 되는 동기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화장의 시기, 의도, 목적과 해당 화장품 구매행동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색조화장품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과 기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20~30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을 하게 되는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현재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25일~2019년 7월 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400부 배포, 회수하였고, 그 중 374부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자료에 의한 분석 방법은 SPSS 24.0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ANOVA/사후 검정 Scheffe,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과 Sobl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유행추구, 사교활동, 미적지향, 경제·실용 중시, 보수·전통중시의 5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요인별로 군집분석을 하여 경제·실용중시, 유행추구·미적지향, 사교활동, 보수·전통중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각 집단별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실용중시집단과 사교활동중시집단, 보수·전통중시집단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서 구매지속성과 가격고려성이 높게 나타났고, 유행추구·미적지향집단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서 구매지속성과 기분전환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집단별로 화장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행추구·미적지향집단과 사교활동중시집단은 화장동기에서 변화의 즐거움과 자신감증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부족감보완과 예의성은 낮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동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행추구, 사교활동, 경제·실용중시, 미적지향 집단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동기와의 정(+)의 관계가 있었다. 넷째,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동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중 가격고려성, 구매지속성, 기분전환성은 화장동기 중에서 변화의 즐거움이 가장 높은 정(+)의 관계가 있었다.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중 브랜드추구성은 화장동기 중에서 자신감증대가 가장 높은 정(+)의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동기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유행추구를 제외한 사교활동과 경제·실용중시, 미적지향, 보수·전통중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미적지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모습을 꾸미기 위해 값비싼 제품이라도 색조화장품을 구매하고 변화된 모습을 즐거워하는 성향이 있으므로 미적지향이 높을수록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동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화장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사교활동, 경제·실용중시, 미적지향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화장동기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라이프스타일과 화장동기의 관계에서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사교활동, 미적지향, 보수·전통중시와 화장동기의 관계에서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수·전통중시집단은 단골 고객들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경제·실용중시집단에는 온라인 마케팅에 있어서 최저가격 정책이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행추구·미적지향집단의 경우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에 민감함으로 화장품 산업에서는 구매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필요로 하는 색조 화장품의 최신 트렌드를 파악해야 한다. 하여, 실용적이고 차별화된 컨셉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색의 다양화 전략으로 화장품 구매를 통해 기분을 전환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신앙생활과 역기능가정에서 자란 성인자녀의 분노 및 적대감의 상관관계 연구 : 총신대 선교대학원생을 중심으로

        허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크리스챤 성인자녀들의 분노 및 적대감과 그들의 신앙생활에 관한 연구이다. 가족의 분열이 흔해져 버린 오늘날, 현대 크리스챤 성인자녀들이 어떤 가정환경에서 자랐는지, 그 가정이 고유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면 그 심각성은 얼마나 되고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그러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크리스챤 성인자녀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치유되지 못한 부정적 감정인 분노와 적대심의 유무와 원인들은 무엇인지, 각 감정은 그들의 신앙생활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의 재학생들 67명이며, 연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설문대상의 일반사항과 신앙생활의 분석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또한 각 영역인 일반사항 및 신앙생활과 역기능 가정의 상관관계, 신앙생활과 역기능 가정의 성인자녀의 분노 및 적대감의 상관관계, 분노감과 적대감의 상관관계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신대 선교대학원 학생들의 신앙은 대부분 모태신앙이거나 4년 이상이었다. 그들의 신앙생활은 대부분 매일 성경을 읽고, 하루에 20분 이상의 기도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명을 제외한 66명이 교회에서 직분을 갖고 있었으며, 67명 모두가 예배에 성실히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앙생활과 역기능 가정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성인자녀일수록 오랜 신앙을 갖고 있었다. 셋째, 신앙생활과 역기능 가정의 성인자녀가 갖는 분노감에 대하여는 유의미성을 띠었다. 역기능 가정에서 자랐음에도, 설문대상자들의 오래된 신앙과 성실한 신앙생활로 인하여 오히려 그들의 분노감은 적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자신의 삶에 대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관심을 믿을수록 그 분노감 또한 낮았다. 넷째, 신앙생활과 역기능 가정의 성인자녀가 갖는 적대감에 대하여도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분노감과 마찬가지로, 설문대상자들의 신앙 연륜과 꾸준한 신앙생활이 적은 적대감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 창작을 통한 문학 생활화 교육 방안 연구 : 청소년의 시 창작 경험을 중심으로

        허란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riginally, literature was not limited to the writing of professional artists but an activity or behavior of ordinary people listening to others’ interesting stories and humming their feelings with ease. However, the literary form of literature soon generated a separa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and only writing by exceptional and genius individuals with keen insight and outstanding sensi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literature. Nevertheless, the recent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the movements of autonomous cultural enjoyment experiment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changing the traditional narrow sense of literature. In other words, various writing spaces are being prepared, and writing by non-professional artists is accessible in both virtual and real spaces. In line with the changing idea of literature that emphasizes productive activities rather than fixed productions, literary education also needs to be transformed toward learners’ voluntary and autonomous participation and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poem writ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desirable writing education. Literature can be actively enjoyed by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life course. Hence, by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literature as a continuing and voluntar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understood. Therefore, focusing on the poem writing activitie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so far in regard to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oem writing as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Poem writing activities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way people put literature into their lives and underpin the sustainable practice of literary life. Therefore, since putting literature into our lives is clearly manifested through the method of independent and voluntary literary activities, education plan that considers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as its starting point should be sought. First, chapter II organiz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shedding light on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It summarized relevant theories for re-conceptualizing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critically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lso, it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based on its education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purposes and environments. Thus, the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in the institutional sphere and non-institutional sphere were both examine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oem writing experiences were also examined. Chapter III designed the research using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o analyze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basic material to identify the aspects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ho voluntarily engaged in this study, included five adolescent participants in <The First Half of 2019 Humanities Writing Poem Competition for Bus Stops> held by the Suwon City Hall. One interview session was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uration was approximately 1 hour.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items related to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poem writing, opinions on the relevan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ttitudes toward literatur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poem writing experience as a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and the aspects of participants changed through poetry writing experiences, presenting the analysis of the meanings of the adolescents’ poem writ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III, chapter IV presented the education pla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it discussed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adolescents’ poem writing experience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poem writing experiences and explored the method. The method of using a mobile platform of poem writing enabling them to easily enjoy poem writing was suggested so that students who used to be not interested in poem writing can appreciate literature in a novel manner. Also,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of various poem writing classes outside the school, a method to realize the students’ desired poem writing classes was suggested. Finally, an evaluation plan in which the practice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such poem writing experiences can be performed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was proposed. Focusing on one of the literary activities, literary writing, this study viewed that the literary activities for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is a phenomenon not staying at one point but lasting throughout life course,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rough the poem writ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rete education plan of putting literature in our lives that can be applied as a form of writing activities in daily life. 문학은 애초에 전문 작가의 창작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많은 이들이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흥미롭게 귀 기울이고, 자신의 느낌을 어렵지 않게 입으로 흥얼거리는 행위이자 활동이었다. 그러나 문자 형태의 문학은 곧 창작자와 수용자의 분리를 낳았고, 예외적이고 천재적인 개인이 예리한 통찰력과 뛰어난 감수성을 바탕으로 지은 글만이 문학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런데 최근 매체 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회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는 주체적인 문화 향유의 움직임은 전통적 좁은 문학 개념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다양한 창작의 공간이 마련되고 있고, 전문 작가가 아닌 사람들의 창작물을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 모두에서 접하게 된 것이다. 고정된 창작물로서가 아니라 생산적 활동으로 문학 개념이 점차 바뀌어가고 있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문학교육 역시 학습자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참여, 그리고 학교 안과 밖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문학 생활화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바람직한 창작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은 생애 전반에 걸친 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해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학 생활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학 생활화의 실천 방법에 있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 창작 활동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의 실천으로서의 시 창작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시 창작 활동은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지속 가능한 문학 생활화 실천의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문학 생활화는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문학 활동의 방법을 통해 선명하게 나타나며, 시 창작 경험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시 창작 경험을 중심으로 한 문학 생활화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이에 문학 생활화의 재개념화를 위해 생활화에 관한 이론 정립과 기존의 문학 생활화와 관련된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문학 생활화 교육의 의의를 목적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문학 생활화 교육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제도권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과 비제도권에서의 문학 생활화 교육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 창작 경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시 창작 경험의 현상학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연구를 설계했으며,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 실천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원시청에서 주관하는 <2019 상반기 버스정류장 인문학글판 창작 시 공모>에 응모한 청소년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5명으로 선정하였다. 면담 횟수는 1회, 면담 시간은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 질문은 시 창작의 동기와 배경,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의견, 그리고 문학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학 생활화 실천으로서의 시 창작 경험과 시 창작 경험을 통해 변화한 연구 참여자들의 모습으로 나누어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이 문학 생활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Ⅲ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청소년들의 시 창작 경험의 분석 결과를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 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 시 창작 관련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시 창작을 쉽게 즐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평소 시 창작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학습자들에게 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시 창작 수업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들이 바라는 시 창작 수업에 대한 바람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 창작 경험을 통한 문학 생활화의 실천이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 활동 중 하나인 문학 창작 활동에 주목하여 문학 생활화를 위한 문학 활동은 어느 한 지점에 머물러 있는 현상이 아닌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청소년들에게 있어 시 창작 경험을 활용한 문학 생활화가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문학을 생활 속에서 창작 활동의 형태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학 생활화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 어린이 중국어 교재 연구-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허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어는 세계에서 사용인구가 가장 많은 언어로, 중국의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무역⋅외교⋅국제회의 등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커지면서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중국어 교육의 열풍이 일고 있다. 미국의 정부는 초⋅중등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을 2020년까지 100만 명으로 늘리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고, 영국에서는 한 사립학교가 중국어를 필수과목으로 채택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경제⋅정치⋅문화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중국어는 한국인의 삶에서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어 전문 인력을 요구하는 곳이 늘자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어를 배우는 성인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어렸을 때부터 중국어를 배워두면 큰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일찍부터 자녀에게 중국어를 가르치는 학부모들도 늘고 있다. 이에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를 위한 중국어 학습 관련 교재들이 점점 더 많이 편찬되고 있다. 교재는 교사의 안내서이자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제공한다. 교재를 편찬하기 이전에 중국어 자체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습하는 대상의 나이와 인지적 발달 정도에 따라 습득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어린이 중국어 교재를 집필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고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 중국어 교재가 어린이 수준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동기,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여 어린이 중국어 교재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하고자 하는 교재에 대해 언급했다. 제 2장에서는 어린이 중국어 교재의 대상 연령을 정확히 파악하고 어린이와 어른이 신경학적 측면, 정신 운동적 측면,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언어적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어린이 외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어린이 중국어 교재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분석기준을 토대로 어린이 중국어 교재를 분석했다. 분석 후 각 교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제 5장에서 결론으로 마무리 하였다. 앞으로 어린이를 위한 교재들이 많이 출판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고가 어린이 중국어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토대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어린이 수준에 적합하고 체계적인 교재가 출판되는데 일조하길 바란다.

      • 소셜미디어 밴드(BAND)를 활용한 유년부 QT(Quiet Time)프로그램 설계 연구

        허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소셜미디어가 새로운 의사소통방식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기독교교육의 수단과 방법을 모색하는 가운데 일상생활 속에서 어린이들의 신앙생활을 위한 매개체로 큐티와 영어를 접목하고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하여 유년부 QT 프로그램을 설계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한 유년부 큐티 방법을 창의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큐티 프로그램을 설계 연구하여 제시함으로써 시대적 상황에 맞으면서도 흥미와 의미가 있는 어린이 큐티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가정, 학교 등 교회 밖의 장소에서도 영성을 키우고 믿음을 유지하고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 유년부 QT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는 소셜미디어의 급격한 사용 증가와 활용에 따른 시대적 상황과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크리스천 어린이들의 신앙발달을 위해 믿음과 생활을 분리시키지 않고 일상생활 속에서 믿음을 항상 적용하면서 실천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영어를 활용한 어린이 큐티 프로그램의 설계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논문의 주제인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한 유년부 QT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신학적 배경과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적교육학적 배경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미디어교육학적 이론 전반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한 유년부 QT 프로그램의 이해를 위해 일반적인 QT와 관련된 기초적인 사항을 살펴보고, QT를 활성화시킨 교회 사례를 통해 QT의 중요성과 유익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한 QT에 대한 특성과 내용에 대한 언급과 이에 따른 기독교교육적 기대효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소셜미디어 밴드를 활용한 유년부 QT 프로그램의 설계 목적과 기본 구조의 설명을 통해 본 논문의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으로 밴드를 활용한 유년부 QT 프로그램과 이와 연계된 활동지를 5주차에 걸쳐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였고, 몇 가지 제언을 통하여 본 논문과 관련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올바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본 논문의 끝맺음을 하였다.

      •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만족도 요인 연구

        허란 한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enterprises' satisfaction with employing the disabled, using the '2014 Survey on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the Disabled in the Business Sector'.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corporate characteristics factors, recruitment method factors, job characteristics factors,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nd education and training factors we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erprises' satisfaction with the employment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As for enterprises' overall satisfaction with employing the disab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ocation of enterpris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and type of enterprises. With regard to recruitment method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ruitment approach and recruit channel.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nsideration factors, recruitment easiness and recruitment reason.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satisfaction by job characteristics factor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physical strength, mental strength, need for skillfulness, need for creativity, need for cooperation and physical need. With regard to legal and institution facto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use of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employers hiring the disabled, use of the supporting system to hire the disabled, and the awareness of the obligation to offer an training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However,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enterprises that were aware of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not. As for the existence of training and supporting, the satisfaction of enterprises that answered ‘y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answered 'no.'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In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here the satisfaction of job attitud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region, recruitment easiness, reason for recruitment, need for cooperation and the awareness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were significant. In a model wh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ductivity and job competenc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dependent variables, region, recruitment method, recruitment easiness, reason for recruitment and need for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thods to improve enterprises' satisfaction with employing the disabled and increas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an effort needs to be made to identify and improve the unsatisfactory factors regard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enterprises in the capital region. Second, the reason for the low rate of using the supporting service for employing the disabled needs to be identified a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rate should be sought. Finally, considering that the satisfaction with employing the disabled was significantly high when the need for job cooperation is high, a working environment where disabled workers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other workers needs to be created.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실시한 ‘2014년 기업체 장애인 고용실태조사’의 원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업체 특성 요인, 채용 방법 요인, 업무 특성 요인, 법·제도 요인, 교육훈련 요인을 독립 변수로,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먼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들의 빈도, 비율, 평균값, 표준 편차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독립 변수와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독립 변수들이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별 전반적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체가 위치한 지역에 관해서는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기업체의 규모와 유형에서는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채용 방법 요인을 살펴보면, 채용 방식, 모집 경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고려 사항, 채용 용이성, 채용 이유에서는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업무 특성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육체적 강도, 정신적 강도, 숙련 요구도, 창의성 요구도, 협동 필요성, 물리적 필요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업무의 요구도가 ‘높다’로 응답한 경우에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법·제도 요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장애인 고용사업주 지원제도 이용, 장애인 채용지원 서비스 이용,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실시의무 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해 알고 있는 기업체가 모르고 있는 기업체에 비해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교육훈련 실시 및 지원 여부에서는 ‘있다’라고 응답한 기업체의 만족도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 태도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모델에서는 지역, 채용 용이성, 채용 이유, 업무의 협동 필요성,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인지 변수가 유의했다. 대인 관계, 생산성 및 업무 능력, 전반적인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한 모델에서는 모두 지역, 채용 방식, 채용 용이성, 채용 이유, 업무의 협동 필요성이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장애인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록 그 차이가 크지는 않았지만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 만족도가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체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과 관련한 현황에 대해 좀 더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과 관련하여 불만족스런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분석 결과, 채용 방법에 관한 변수 중, 채용 방식, 채용 용이성, 채용 이유가 장애인 고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다. 이처럼 채용 방법이 장애인 고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해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 채용지원 서비스의 이용률은 22.5%에 불과했다. 따라서 장애인 채용지원 서비스에 대한 이용률이 이처럼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채용이 용이했던 경우에 장애인 고용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고려해 본다면, 기업체의 장애인 근로자 채용 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장애인 근로자 구인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업체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업무의 협동 필요성이 높은 경우에 장애인 고용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다는 결과를 고려하여, 장애인 근로자들이 다른 근로자들과 원활히 의사소통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DEC1 negatively regulates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허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Bone homeostasis is maintained by careful balance between bone formation by osteoblasts and bone resorption by osteoclasts. Imbalance between these two cells cause various bone diseas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chondrocytes 1 (DEC1), a member of basic helix-loop-helix (bHLH) transcription repressor family, is known that expressed in many tissues and negatively regulat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 effect of DEC1 in osteoclast is unknown.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oles of DEC1 in osteoclastogenesis. Overexpression of DEC1 in BMMs inhibits the format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positive multinuclear osteoclasts. In contrast, knockdown of DEC1 with siRNA promo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Furthermore, DEC1 suppresses the MITF-E, a key osteoclastic transcription facto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1 may serve as an important negative regulator of RANKL-mediated osteoclastogenesis. 뼈의 항상성은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와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정교한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 두 세포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 뼈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이 일어날 수 있다. DEC1은 다양한 조직에서 발현되며,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파골세포에서의 기능은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실험을 통해 DEC1이 파골세포의 분화 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DEC1을 과발현시키면 파골세포의 분화가 감소하였고, 반대로 짧은 간섭 RNA를 이용해 DEC1의 활성을 억제하면 파골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EC1이 파골세포 분화 과정의 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DEC1이 파골세포 분화 과정의 후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임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골다공증과 같은 뼈 관련 질환들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