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차태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치매 위험인자 보유상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임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3명을 대상으로 치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간이 설문지, 노인우울척도, 치 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학과 초졸 이하 의 학력, 연령, 우울상태, 흡연, 여가활동,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서는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인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다각적인 관리방 안을 모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mentia risk factors. We conducted a simple questionnaire, GDS-K and MMSE-DS tests to investigate the risk of dementia among 143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education, age, depression status, smoking, leisure activities, and gender.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change lifestyle and provide various management method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cognitive function and to help cognitive health.

      • KCI등재

        치매환자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개발을 위한 융합적 효과검증

        함민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는 치매환자에게 적합한 인지 프로그램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기술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근거중심의 임상진료지침 신규개발 방법에 기초하여 국내 치매환자용 인지프로그램 실무지침 예비 권고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효과검증을 위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실무자 현장 적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무 지침은 최종 4개 유형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항목의 내용타당도는 0.87∼1점을 나타냈다. 현장 적용성의 하위항목에서 는 적절성이 3.95∼4.34점, 적용가능성이 3.57∼4.27점, 효과성예측이 3.84∼4.22점이었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현 장 적용성 예측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무지침이 임상에 종사하는 치매 인지프로그램 관리자의 중재 계획 수립과 임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최적의 치료적 활동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중심의 실무지침 개발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explains the procedure for verifying effectiveness in developing practical guidelines for cognitive programs suitable for dementia patien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e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preliminary recommendation for the domestic dementia patient care guidelines was developed. The practical guidelines consisted of the final four types, and the content validity score of the configuration items was 0.87 to 1 point. In the sub-categories of field applicability, appropriateness score was 3.95 to 4.34 points, applicability score was 3.57 to 4.27 points, and predicted effect score was 3.84 to 4.22 poi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of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plan for dementia cognitive program managers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In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treatment guidelines to select appropriate treatment activities for dementia patients.

      • KCI등재

        국내 치매 비약물중재 분야 메타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함민주,황호성,임영명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비약물중재 메타분석 연구에 대한 질 평가를 수행하여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질적 수준을 검증 하고 향후 국내 비약물중재 분야 근거중심 실무의 질적 향상에 대한 연구적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검색은 ‘치매’와 ‘메타분석’을 선정하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orean Medical database, KM base),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Korea Med),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국가 과학기술 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LS)를 이용하였다. 메타분석 논문은 AMSTAR 평가도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중재유형 별 문헌의 질 평가점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 평가 평균점수는 6.16점(SD=1.90)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개별적으로 연구 를 살펴보면, 보통 수준(5-8점)에 해당하는 연구가 17편, 낮은 수준(0-4점)은 2편으로 조사되었으며, 높은 수준(9-11 점)은 한 편도 없었다. 19편의 연구 중 17편은 KCI에 게재된 연구였고, 인지기반 중재 5편, 신체활동 중재 4편, 음악 치료 4편, 아로마 치료 2편, 가상현실 기반 중재와 미술치료, 회상치료, 작업치료가 각각 1편씩 조사되었다. 질 평가 도구의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과반수가 ROB를 사용(59%)하고 있었고, 나머지는 SIGN(12%), PEDro score(12%), RoBANS(12%), EQI(5%)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 : 국내 치매분야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에 포함되는 문헌 선정과 질적 검증과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 며, 연구설계 및 진행과정 전반이 이전 방식들보다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이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quality level of treatment effect by performing a quality evaluation on the meta-analysis stud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dementia, and to present convergence research insights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domestic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ield in the future. Methods : For literature search, 'dementia' and 'meta-analysis' were selected, and KMbase, KoreaMed, RISS, KISS, and NDLS were used.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is paper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MSTAR evaluation tool. Results : The average score of methodological quality evaluation of meta-analysis papers was 6.16 (SD=1.90), which was average. Looking at the studies individually, there were 17 studies with a moderate level (points 5-8), two studies with a low level (points 0-4), and none of them had a high level (points 9-11). Of the 19 studies, 17 were published in KCI, and 5 Cognitive-based intervention, 4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 4 music therapy , 2 aroma therapy, and 1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art therapy, recal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Looking 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quality evaluation tool, the majority of tools was used ROB (59%), and the rest of tools was used SIGN (12%), PEDro score (12%), RoBANS (12%), and EQI (5%). Conclusion : Meta-analysis research in the field of dementia must be accompanied by the selection of literature to b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qualitativ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included research, and the overall research design and process needs to be systematically and rigorously conducted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 KCI등재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주요인 분석

        함민주,이재신,유두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f care givers interms of their cognitive function and the reduction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dementia patients who cannotbe avoided after a dementia diagnosis. Methods: For a total of 126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 givers living in the community, an evaluation wasconducted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the Korean version of the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and the Short Zarit Burden Inventory(S-ZBI). The Data were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 one‐way ANOVA, a Pearson’s correlationanalysis,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care burden of care givers were found to be languagefunctionality in the cognitive function area, and food preparation, transportation, and telephone use in the area ofIADL performance. In addit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habitation type,education level, and age are variables affecting care giver burde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re process of the communitydementia patients as a major factor that negatively affects the care burden of caregivers. Further studies should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care environment.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진단 이후에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저하가 그들을 돌보는 보호자의 부양부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 및 보호자 126쌍을 대상으로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Korean versio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단축형 자릿 부양부담척도(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를 사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대한 분석은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보호자의 부양부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인지기능 영역에서는 언어기능,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 영역에서는 음식준비, 교통수단, 전화사용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는 동거형태, 학력, 나이가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돌봄 과정에서 보호자의 부양부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특성 및 돌봄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형 집단인지재활치료의 적용 효과

        함민주,홍덕기,문경업,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기반의 지역사회형 집단인지재활치료를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신체기능, 작업수행능력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3월 1일부터 동년 11월 31일까지 약 9개월간 강원도에 소재한 10개 보건소를 중심으로 집단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총 95명의 연구대상자에게는 주 1회, 회기당 120분, 평균 20.8회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전후로 인지기능, 신체 유연성과 균형능력 수준, 작업수행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 검사에서는 MMSE-DS 주의집중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신체기능에서는 유연성을 검사하는 The Wall Test의 측정거리가 유의미하게 단축되었다. 균형능력을 검사하는 One-LeggedStanding Test의 측정시간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10-Foot Timed Walk Test의 측정시간은 유의미하게 단축되었다. 작업수행능력 검사에서는 COPM 작업수행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 기반의 집단인지재활치료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의 주의집중력, 신체 유연성과 균형능력, 작업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이며 지역사회형 임상 모델로 활용 가능한 치료방법임을제시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therapy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occupationalperformance i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Methods: We conducted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in 10 public health centers in Gangwon-do, over aperiod of approximately 9 months, from March 1 to November 31, 2016.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95subjects in total, one session per week, 120 min per session, for an average of 20.8 sessions. We compared thecognitive function, physical flexibility, balance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the subjects. Results: In the testing of cognitive function, the MMSE-DS attention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physical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shortening of the measured distance in the wall test, which measures theflexibility. In the balance testing, the measured time during a one-legged standing test improved significantly, andthe measured time during a 10-foot timed walk test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testing, COPM occupational performanc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Occupational therapy-based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as shown to be effective at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attention, physical flexibility, balance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suggesting that this treatment method can be utilizedas a community-based clinical model.

      • KCI등재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김수경,유두한,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에게 인지활동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정서활동을 병행한 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약물치료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을 실험군 39명, 대조군 20명으로 무작위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대조군은 비 중재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실험군에 8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110분씩 총 16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하여 치매선별용 간이정 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for Elderly; COSAS), 한국형 도구 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약물을 복용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 중 복합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 중 재를 실시한 집단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 다(p<.01). 결론 : 복합중재 프로그램은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MIP) that combined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cognitive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Methods: A total of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udy group of 3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applied for the non-intervention. MIP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r 11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MMSE-DS, COSAS were used, and K-IADL was used to measure IADL. Results: Among the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ho were taking medication, the group with M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non-intervention(p<.01). Conclusion: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n patient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형 집단인지재활치료의 적용 효과

        함민주,홍덕기,문경업,전병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기반의 지역사회형 집단인지재활치료를 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신체기능, 작업수행능력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3월 1일부터 동년 11월 31일까지 약 9개월간 강원도에 소재한 10개 보건소를 중심 으로 집단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총 95명의 연구대상자에게는 주 1회, 회기당 120분, 평균 20.8회 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전후로 인지기능, 신체 유연성과 균형능력 수준, 작업수행능력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 검사에서는 MMSE-DS 주의집중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신체기능에서는 유연 성을 검사하는 The Wall Test의 측정거리가 유의미하게 단축되었다. 균형능력을 검사하는 One-Legged Standing Test의 측정시간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10-Foot Timed Walk Test의 측정시간은 유 의미하게 단축되었다. 작업수행능력 검사에서는 COPM 작업수행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 기반의 집단인지재활치료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노인의 주의집중력, 신체 유연성과 균 형능력, 작업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이며 지역사회형 임상 모델로 활용 가능한 치료방법임을 제시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Methods: We conducted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in 10 public health centers in Gangwon-do,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9 months, from March 1 to November 31, 2016.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95 subjects in total, one session per week, 120 min per session, for an average of 20.8 sessions. We compared the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lexibility, balance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the subjects. Results: In the testing of cognitive function, the MMSE-DS attention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shortening of the measured distance in the wall test, which measures the flexibility. In the balance testing, the measured time during a one-legged standing test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measured time during a 10-foot timed walk test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testing, COPM occupational performanc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Occupational therapy-based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as shown to be effective at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attention, physical flexibility, balance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suggesting that this treatment method can be utilized as a community-based clinical model.

      • KCI등재

        치매환자를 위한 근거중심의 비약물중재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함민주,김수경,차태현,유두한,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치매관리시설 및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에게 일관성 있는 최적의 비약 물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중심의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개발단계에서는 문헌의 질 평가에 의한 자료 선정과 중재유형에 따른 문헌 분류를 수행하였다. 검증단계에서는 예비항목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및 실무자 집단의 현장 적 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완성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전문가와 실무자 검증과정을 통해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 예비 권고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결과 : 개발단계에서는 신뢰도가 검증된 질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스코틀랜드의 진료지침 개발기구(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grade A 수준에 해당하는 질적 수준이 우수한 문헌을 수 집하였다. 검증단계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에서 Content Validity Index for Items(I-CVI), Content Validity Index for Scales(S-CVI) 값이 모두 .9점 이상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실무자 집 단의 현장 적용성 검증결과에서는 권고안 내용의 적절성이 5점 만점을 기준으로 4.04점, 효과성 예측 3.92점, 적용 가능성이 3.85점으로 나타났다. 완성단계에서는 대분류 4개 영역, 소분류 12개 중재유형 을 포함하는 비약물중재 실무 가이드라인 권고안을 개발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완성도 높은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하여 상위수준의 연구설계 결과에서 검증된 임상 적 근거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검증과정을 수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새로운 임상 환경을 반영하기 위 한 근거기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to provide consistent and optimum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people with dementia using the community management facilities and a nursing home. Methods: At the development stage, the data selection based on an article qua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followed by the articl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ype. At the verification stag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an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working group were verified to determine the preliminary items of the guidelines. At the completion stage, the recommended guideline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ert and staff validation process. Results: At the development stage,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grade A level were collected by applying th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with a verified reliability. At the verification stage, both Content Validity Index for Items (I-CVI) and Content Validity Index for Scales (S-CVI) values showed a high validity of .9 points or higher i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e field applicability test showed that for the recommended guidelines, the scores of the appropriateness, predicted effects, and applicability were 4.04, 3.92, and 3.85, respectively, out of 5 points in total. At the completion stage, a recommendation for the practice guidelines for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 including 4 main categories of domains and 12 subcategories, was developed. Conclusion: In this study, a structured validation process was applied to present the clinical evidence validated through the high-level study design results. Further research should continue to conduct evidence-based research to develop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at reflect the new clinical settings.

      • KCI등재후보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전 연구

        함민주,황윤희,엄숙,오은정,전병진,박헌경,김도훈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0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을 노인성 치매 환자에게 적용 시 집중력, 기억력 변화정도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중 전화걸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MMSE-K 점수 18점 이상 24점 이하인 8명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주 2회, 각 회기당 20분씩 총 8회를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를 통하여 K-DRS, CNT, 비디오 분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신뢰도 분석방법을 통하여 비디오 분석에 대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통해 K-DR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17). 또한 CNT 중 visual span의 경우 정방향 맞은 개수(p=.38)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디오 분석을 위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 본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전화걸기의 치료 전-후의 변화에서 전화 걸기 수행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 훈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단적 일상생활 중 전화걸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치료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의 진행 완화나 치료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the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s (Rehacom) was applied to patients with senile dementia, concentration, memor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t the variation of the dialing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Methods :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MMSE-K scored more 18 points and less than 24 points carry out 2 times a week. A total of eight times for 20 minutes each. A single group before &after the test design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undergoes through the K-DRS, the CNT, and the video analysis. Evaluate the difference through the video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search on how to evalu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Results :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through the K-D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17). In addition, visual span forward of the right CNT count (p=.38)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lay video analysis of phonetic reading finds out the results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y study showed higher reliability.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before dialing - even after the changes done in the di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computerized cognitive program (Rehacom) training showe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had improved. Therefore, the treatment can decline the progression of dementia and relieve the patients.

      • KCI등재

        워크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임영명,유두한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인지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거주 환경에서 워크북 프로 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가정 내에서 워크 북을 적용한 실험군 7명과 요양병원에서 과제활동 위주의 전통적인 인지훈련(작업치료)을 적 용한 대조군 7명으로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중재는 6주 동안 주 3회, 50분씩 각각 시행하였 고,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 MoCA-K)와 노인용 전산화 인 지평가도구(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COSAS)를 사용하여 중재 전과 중재 후의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MoCA-K의 총점과 하위항목인 집중력, 추론능력의 점수에 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집단 간 변화량에서 MoCA-K 총점 및 하위항목인 집중력에서도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COSAS 평가에서는 하위항목인 지남력에서 각 집단 간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워크북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의 지남력, 집중력, 추론능력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워크북 프로그램 은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