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의도 영향요인: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한미라,박소연,김영미,Han, Me-Ra,Park, So-Yeon,Kim, Young-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 일개 간호학과 1-4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자기효능감(β=.345, p<.001), 행동의 계기(β=.307, p<.001), 지각된 유익성(β=.143, p=.034)과 지식(β=.116, p=.042)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0.8%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 행위 증진을 위해 특히 자기효능감과 코로나19 관련 지식 향상을 위한 전략적 중재가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students'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 total of 169 nursing students who were freshman to senior grade from one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onlin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April 5 to 16, 2021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dow 21.0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on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The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for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were self-efficacy(β=.345, p<.001), cues to action(β=.307, p<.001), perceived benefits(β =.143, p= .034), and knowledge(β=.116, p=.042). The model explained 50.8% of the variance in the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This result points to the importance of fostering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cues to 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knowledge to promote COVID-19 vaccination uptake.

      • SCOPUSKCI등재

        다발성 백악질공이형성증 조직병리검사시 임상, 방사선양상의 중요성

        한미라,김영희,강병철,Han Mi-Ra,Kim Young-Hee,Kang Byung-Cheol 대한영상치의학회 1998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28 No.1

        This case was diagnosed as multiple cementoosseous dysplasia on the basis of clinical & radiological features but was diagnosed as ossifying fibroma on the basis of histopathological feature.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the multiple cementoosseous dysplasia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have common features of cementum, fibrous network and bone. Multiple cementoosseous dysplasia is reactive lesion and shows restricted lesion size, occurred on anterior and posterior tooth of the mandible and needs no treatement except periodic follow up. But Cementoossifying fibroma is the true neoplasm and grows continuously and needs surgical removal. The final diagnosis of the multiple cementoosseous dysplasia requires good correlation of the clinical, histo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 KCI등재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신간호실습 교육의 효과

        한미라,이지혜,Han, Mi Ra,Lee, Jihye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정신간호실습 전·후 전이동기, 학습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실습 후 실습만족도를 비롯한 전이동기, 학습자기효능감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정신간호실습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10월 부터 12월 까지 진행되었으며 U시 소재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고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정신간호실습 교육을 받은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와 피어슨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정신간호실습 후 실습 전에 비하여 전이동기는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학습자기효능감은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신간호실습 후 전이동기, 학습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가상간호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정신간호실습 교육은 부분적으로 효율적인 실습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ransfer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applying virtual simulation for nursing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and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effective psychiatric pract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The subjects were 41 people who were enrolled in the third year of a located in U city, and who had received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virtual simulation for nursing.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fter practice compared to before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with virtual simulation nursing applied, transfer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learner self-efficacy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virtual simulation for nursing is partly an effective practice strateg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미라 ( Han Mira ),김광수 ( Kim Gwangs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에서 측정모형을 분석한 후에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는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 그릿,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사이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그릿은 회복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효능감이 그릿을 통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grit on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mediated by gr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after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Bootstrapping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grit, and resilience. Seco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grit. Third,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resilience. Fourth,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resilience. Fifth, indirect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grit was significant.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한미라(Han Mi-Ra),서영희(Seo Young-Hee),허우정(Hur Woo-Jeong),임재택(Lim Jae-Ta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요구를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와 울산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47곳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노인ㆍ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전체 대상의 46.2%였으며, 이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권유에 의해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활동비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지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원할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노인의 자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이야기 들려주기, 예절교육, 특기지도 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The study was to look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of and demand for ElderlyㆍChild Interaction Program for the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To this e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247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in the region of Busan and Ulsan and the investigation resulted in that 46% of the sample group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put the ElderlyㆍChild Interaction Program in practices and the better part of them did so with the recommendation and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municipal organizations and the activity expenses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mostly supported by the municipal organizations. And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positive, but more improvement on the part of elderly participants was proved to be necessary for more smooth operation of the program. Besides current story telling, manner education and special skill education, demand for other various programs was high.

      • KCI등재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미라(Mi Ra Han),구정아(Jeung Ah Gu),유일영(Il Young Yoo)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workplace bullying and LMX (Leader- Member Exchang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64 nurse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were attending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dow progra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f variables on turnover intention. Results: Higher workplace bully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turnover intention. Workplace bully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ader-member exchang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urnover intention were LMX (β=-7.22, p<.001), work load (β=2.96, p=.003), and workplace bullying (β=2.64, p=.009).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8% of the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prevent workplace bullying and cultivate a good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managers and nurses to lower nurses’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수학적 성향이 수학성취에 미치는 영향 : 수학불안의 매개효과

        한미라(Han Mi-ra),김광수(Kim Gwang-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수학적 성향이 수학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학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학적 성향의 하위요인으로 ‘수학적 자신감, 수학적 의지력, 수학적 가치, 수학적 융통성, 수학적 반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수학불안의 하위요인으로 ‘수업불안, 시험불안, 학습동기, 선입견’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2학년 191명이며, 1학기 수학과목 1차 고사를 마친 후 2차 고사 전에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측정모형 분석 후 구조 모형 분석을 하였다.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는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적용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성취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수학적 성향은 수학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중학생의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수학불안은 수학 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중학생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불안 사이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수학적 성향은 수학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수학적 성향이 수학불안의 매개효과를 통한 수학성취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ematics anxiety on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thematics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chievement. To this end, we selected a mathematical confidence, mathematical willpower, mathematical values, mathematical flexibility, mathematical reflection as a sub-factors of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class anxiety, test anxiety, learning motivation, prejudice were selected as sub-factors of math anxiety. 191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ere included in the study,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ams of the mathematics subjects in the first semester.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after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The bootstrapping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h anxiety and achievement, and math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achievement.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 anxie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math anxiety.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on math achievement through math anxiety was significant.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1930년대 『科學館報』에 나타난 ‘과학 기술’의 표상과 특징

        한미라(Han, Mi-Ra),이대화(Lee, Dae-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현재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논쟁적인 이슈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소위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한 입장은 희망적인 관측과 비판적인 관점으로 나뉜다. 희망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쪽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미래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비판론자들은 윤리적인 문제를 내세워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어둡게 보고 있다. 현재의 논쟁은 매우 치열해 보이지만, 인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할 때마다 비슷한 논쟁이 반복되어 왔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 과학기술의 인식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당시는 첨단 과학기술의 긍정적인 전망이 훨씬 우세하였다. 그런데 당시의 맹신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당시의 상황을 되짚어 본다면 현재의 과학기술 논쟁을 분석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다. 그 결과,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과학기술 이해의 수준은 제국일본에 종속된 상태였다. 당시 일본은 과학(natural science)과 기술(engineering)을 구분하지 못한 상태로 근대 과학을 수입하였고, 군사와 국가정책이 과학을 지배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식민통치의 구조적인 차별과 민족차별이 함께 작용하면서, 식민지조선의 과학 인식은 당시 조선총독부의 정책 방향에 일방적으로 지배당했다. 1930년대 식민지조선의 과학기술정책의 목표는 ‘과학 동원’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었다. 물적 자원의 착취와 재활용을 비롯해, 군수산업에 동원할 수 있는 수준의 교육을 받은 인적자원을 단기간에 양성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항공기를 비롯한 당시의 첨단무기를 과학기술로 포장하여 전쟁에 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였고, 자원이 부족한 일본의 약점을 메꾸기 위해 대체자원의 개발을 높이 평가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즉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이나 미래 전망은 외형상 가치중립적이며 장기적인 안목을 제시해 주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키지만, 실제로는 당시에 직면한 정책상의 문제를 미봉책으로 덮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osition on this matter is divided into hopeful and critical perspectives. Those who support the hopeful position expe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make the future of human beings more enriching, while critics negatively see the futur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ddressing ethical issues. Although the current argument seems very intense but similar debates has been repeated every time humanity developed innovative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case about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1930s was analyzed. At that time, the positive prospects on advanced technology were outnumbered. However, their strong belief caused a tragic result, the World War II. Hence, reconsidering the previous situation will help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and technology debate.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was subordinated to Imperial Japan. At that time, Japan imported modern scienc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well as military and national policies dominated science. With the systematic discrimination of colonial rule and ethnic discrimination, the scientific recognition of the colonial Joseon was unilaterally dominated by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s policy. The purpos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was to form the basis of ‘mobilization of science’. It was necessary to train human resources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level of education that can be mobilized in the military industry, as well as to exploit and recycle 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advanced weapons including aircrafts were considered as science and technology and created positive views. Additionally, the phenomenon, where the development of substitution resources were highly evaluating to cover Japan’s weakness, appeared.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or the future prospect seems value neutral and causes an optical illusion that seems to suggest a long-term view.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can actually be negatively used as method to cover the matter of policy faced at that time.

      • KCI등재

        19세기 후반 경상도 함양 栢吐里鄕約의 구성과 재정운영

        한미라(Han, Mi Ra)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2 No.-

        본 논문은 『栢吐里鄕約案』과 『栢吐鄕約稧本錢記』자료를 기반으로 경상도 함양 백토리향약의 성립 배경, 구성과 운영, 재정운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백토리향약은 경상도 관찰사 이헌영의 향약 정책과 백토리 사족들의 협조로 인하여 1892년에 성립되었다. 백토리향약은 백토리의 上栢, 太古亭, 內栢, 楮田, 南孝, 麥亭마을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栢吐里鄕約案』의 「節目」을 살펴보았을 때, 혼상시 부조와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강회, 善籍, 過籍관련 내용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토리향약이 향촌의 교화에 주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18세기 주현향약은 사회경제적 변동을 막는 방파제로, 향촌통제 목적이 강했다면 19세기 후반 시행된 주현향약은 강력한 향촌통제보다는 향촌의 풍속교화에 중심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백토리향약은 1892년부터 1894년까지의 임원 명단을 확인할 수 있는데, 約正은 매번 바뀌지만 訓導, 直月, 下任등은 2~3번 연임하였다. 또한 백토리향약은 강회 재정 자료가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인데, 1892년 8월 13일과 1893년 4월 16일 강회의 재정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매 강회 때마다 약원들에게 회비를 거두었으며, 회비는 대부분 강회 관련 물품 비용으로 지출되었다. 1893년 4월 강회 지출항목에서 눈에 띄는 점은 白紙를 구입한 후 일부를 奴의 집에 賻儀하였다는 점이다. 19세기 후반이 신분제가 해체되고 있었던 상황 등임을 고려하면 奴는 약원마다 1명씩 명목상 기재된 것이며, 실제는 약원의 집에 부의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백토리향약은 19세기 후반 향약이 동・리에서 시행된 향약 운영의 확인할 수 있는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1892~1893년을 중심으로 자료가 남아있어, 그 이후의 운영에 대해서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운동 등의 다양한 변화로 인하여 함양 백토리향약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 사료된다. 제한된 사료의 결과이지만 추후 다양한 지역의 향촌관련 사료들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주현향약 연구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bout background of establishment, composition, operation and financial operation of Baektori in Hamyang, Gyeongsangdo, based on the data from “Baektorihyangyakan” and “Baektohyangyakgyeobonjengi”. Baektori Hyangyak was established in 1982 due to Hyangyak policy of Lee HunYoung, governor of Gyeongsangdo and cooperation of nobles of Baektori. Baektori Hyangyak was operated mainly in Sangbaek, Taegojeong, Naebaek, Jeonjeon, Namhyo and Maekjeong villages of Baektori. When looking at “Jeolmok” of “Baektori Hyangyakan” contents related to contributions for marriage and funeral were not check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lectures, names of righteous people and names of bad people were emphasize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Baektori Hyangyak paid attention to reformation of villages. In other words, while the 18th century Juhyun Hyangyak was a seawall to prevent socio-economical fluctuation which served a strong purpose to control villages, Juhyun hyangyak, implemented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considered to focused on reformation of villages rather than strict control of villages. The lists of executives of Baektori Hyangyak from 1892 to 1894 were confirmed and contract were changed each time but Hundo, Jikwol, Haim and etc. served 2-3 terms consecutively. Also, the key feature of Baektori Hyangyak was that the financial data of lecture remains. This research was focusing on the financial records of the lectures on August 13th, 1892 and April 16th, 1893. From each lecture dues were collected from the members and most of the dues were spent on supplies for the lecture. A distinguished item from the expense list on the lecture of April,1893 was that after purchasing white paper some of it was distributed to a house of a slave as an aid to a funeral. Considering that the social hierarchy got weakened in the late 19th century, one slave per a member of Hyangyak was nominally recorded but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 aid for funerals were actually paid to the member. Baektori Hyangyak is historically valuable as an example to confirm the operation of Hyangyak that was exercised in Dong/Ri in the late 19th century. Since the records remain focusing from 1892 to 1893, there are limits to the research about the operation after that period. However, due to various changes such as Donghak Peasants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unable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Hamyang Baektori Hyangyak. Although this research is the result of limited feed, I intend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research of Juhyun Hyangyak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Hyangchon related data from various reg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