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및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경임,김혜정,박지윤,정명철,한경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2 Brain, Digital, & Learning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digital textbook and to develop sample storyboards of the digital textbook.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30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s resul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ittle used the present e-textbook and they want to be developed new special education digital textbook.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teachers required ‘the easy acces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facilities of use’, ‘the support for various disability type of students’, ‘the provider of various materials’, ‘the reconstruction function’, ‘the attracting interests of students’, and ‘the leading use of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ested some mandatory requirements including user edit function and hyperlink of video materials,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Webhard, AR and VR func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function on the digital books, providing various materials based on experience and AAC symbol compatibility function. In this study, the digital textbook sample storyboard about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subject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에 관한 특수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경임,최진혁,박재국,한경,신수정,김일수,김대용,송은숙,성경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6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s a resul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d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both the type and number of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but the participants who assi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recognized that they were under production. All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for digital special education text-books. In relation to the cost of compilation and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ho had developed special education text-books recognized the increased cost of development regarding the illustrations within the text-books. These results will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al policy regarding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에 참여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교사 600명,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100명이었다. 주요 설문 영역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 및 책 수의 개선 방향과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질 관리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결과 특수교육교사의 교과용도서 활용은 보통 정도로 활용하며, 교과서보다 지도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와 책 수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의견은 달랐다. 특수교육 교사는 현행 교과용도서의 종 수와 책 수를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교과용도서 개발 참여자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특수교육교사와 개발 참여자 모두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 참여자의 편찬과 개발비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삽화료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와 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한경임,박미승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more than 10 year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and more than 3 years of special education class experienc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focus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to students. The education was classified the particular vocation skill education including barista, cooking and baking, and transition education including living skill, vocational readiness education, and interview to find a job. Seco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had worth about their role when their student got a job and achievement of occupational skills but had lots of difficulties including field train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connecting with relation institutes. Third, for improvement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it will be need to expand the strongpoint school, to arrange the exclusive teacher, and to develop the manual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development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 of general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진로와 직업교육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진로와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진로와 직업을 교육하는 특수교사 8명으로 교육경력 10년 이상, 특수학급 운영 경력 3년 이상인 교사들로 목적표집 하였으며, 연구 진행은 반구조화 면담에 의한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와 직업교육의 실태를 볼 때, 특수교사들은 가능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바리스타, 제과제빵과 같은 특정 직업 관련 수업과 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직업 준비교육, 면접이나 취업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와 직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들은 학생의 기술 성취와 취업 등 보람이 있기도 하나 학생과 학부모와의 소통과 현실 여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현장실습제도 등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와 직업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특수교사들은 진로와 직업교육 거점학교 확대, 권역별 진로전담 교사 배치, 학교 공동교육과정 운영, 특수학급용 진로와 직업교육 운영 매뉴얼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와 직업교육 매뉴얼 개발과 현실적 제도 마련을 위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체부자유 중·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분석

        한경임,김동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 중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여가 활동 실태에 관한 설문지는 여가활동 인식, 여가활동 실태, 여가활동 시설, 여가활동 선호도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대전, 전라남북도에 소재한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중고등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배부한 설문지 중 102부(회수율 72.9%)를 회수하여 X2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체부자유 중고등학생은 여가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공감하고 있으며, 휴일이나 평일 모두 가족, 학교 친구가 여가 대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여가 장소도 집에서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지체부자유 중고등학생은 학교와 지역사회 내 여가활동 시설에 대해 부족함을 인식하고, 각종 스포츠 시설과 청소년 문화회관 등의 여가시설이 늘어나기를 희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current statu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understand them more deeply and to get the basic data needed for the extra activities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formation for those activities. The questionary was composed the types, the current status, the facilities, and the priorities of extra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140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ido, Daejeon, Jeollado. 120(72.9%) students were responded on questionary of this study. The questionary was analysed with the Chi-square() test. The conclusion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reed that they needed the extra activities, expecially for the hobby and the rest of the body and spirit. Second. mos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nt almost all the spared time with their family and school mates in the days, holidays and weekdays, and the place was in their houses mostly. Third, the middle and hig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cognized the shortage of the facilities for the those activities and wanted to have more and well facilities for the activities. They wanted to use the facilities for extra activities in the school as well as the local area. Forth, almost of the middle and hig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nt the spared time in the static ones like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and appreciating the music, etc. because of their physical conditions. The best entertainments activities were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and appreciating the music.

      • KCI등재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에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경임,맹현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에 의한 요구하기 기능 지도가 장애인 생활 시설에 거주하는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정신지체와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등을 함께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 학생 3명이며,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로서 그림 의사소통 판을 이용하였다. 그림 의사소통 판을 이용한 요구하기 기능 훈련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에 의한 요구하기 기능 훈련은 중복장애 학생의 요구하기 행동을 증가시키고, 상동 행동, 공격 행동, 자해 행동의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 Poster 발표 : 논문 10;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유형

        한경임,조연오,한연실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2012 No.-

        이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유형을 주관성 연구방법(Q방법론)에 의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국공립 및 사단법인 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중 통합보육을 실시하는 통합어린이집 교사 34명이었으며,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하여 어린이집 교사들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유형을 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세 유형 중 1유형이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하여 어린이집 교사들의 태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각 유형별 교사들의 답변에 대하여 긍정적 동의와 부정적 동의를 보인 진술문과 개인별 의견을 토대로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명명화 하였으며, 유형별 차이와 특수교육에의 함의점 등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한경임,최다영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CA CCSSM(California Common Core State Standards-Mathematics) of USA, and to search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Method: First, literatur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e the 2015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CA CCSSM in the “number and operation” area. Second, FGI with 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of CA CCSSM were more than the Basic Curriculum. The type of skill of CA CCSSM were more various than the Basic Curriculum.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ggested the chang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Basic Curriculum considering various types and disabilities of students and the mathematical hierarchy rather than grad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