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무용 즐거움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최효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Scanlan과 Simons(1992)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대한 개념적 특성과 이숙재, 최효진 및 박중길(2009)의 초등학생 무용 즐거움 자원에 근거하여 초등학생용 무용 즐거움 검사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42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여 남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N=165)와 본조사(N=409)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로 추정하는 내적일관성 분석, 검사-재검사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 26문항이 추출되었지만, 본조사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25문항 6요인(재미/즐거움, 과제활동/학습, 능력 활용, 유연성, 사회적 상호작용, 건강)이 추출되었다. 25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계수와 재검사에 의한 시간적 안정성은 .80 이상으로 매우 신뢰로운 수치를 보였다. 최종 확정된 6요인 25문항의 초등학생용 무용 즐거움 검사지의 내ㆍ외적 구조적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최대우도방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학년간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집단간 구인 동등성 검증과 하위요인에 대한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로 실시된 측정모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평가결과와 학년간 다집단 분석을 통한 구인 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6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생용 무용 즐거움 검사지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 내적일관성 계수는 최저 .78에서 최대 .82로 매우 높은 신뢰도 수준을 보이고, 2주 간격을 두고 실시된 검사-재검사에 따른 신뢰도는 .71에서 .79까지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Cronbach's α로 추정된 문항 내적일관성 계수와 재검법에 의한 시간적 안정성에 비추어 볼 때, 본 검사지는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무용 즐거움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검사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 25문항에 대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평가한 결과, RMR, TLI, CFI 및 RMSEA 지수가 모두 일반 기준치를 상회하여 수용할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외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무용 즐거움 하위요인과 내적 동기 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즐거움 요인들과 내적 동기 요인들 간에는 전체적으로 강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검사지는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무용을 즐거움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저학년(1-3학년)과 고학년(4-6학년)으로 구분된 학년간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검사지의 구인 동등성을 검증한 결과,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및 절편 동일성의 세 가정이 모두 성립되었다. 구인 동등성이 충족되어 집단간 6개 하위요인에 대하여 잠재평균을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검사지는 학년에 관계없이 무용을 배우는 초등학생들이 수업 과정에서 지각하는 즐거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용 무용 즐거움 검사지는 6요인 25문항으로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무용 즐거움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 가능한 구조를 갖춘 척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는 판단 하에 그 한계를 밝히는 동시에 후속 과제를 포함하여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집객효과를 위한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의 체험마케팅 공간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최효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쇼핑몰은 소비가 목적인 전통적인 상업시설에서 최근 사회 환경변화로 쇼핑은 물론 다양한 여가활동,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복합쇼핑몰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다양해진 요구로 인해 한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쇼핑몰의 실내광장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쇼핑몰은 최근 세계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온라인 쇼핑의 발달 등으로 인해 집객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집객력 감소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가격경쟁이 아닌 총체적 소비과정에서 발생하는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며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여주는 ‘체험마케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 중인 복합쇼핑몰에서 상업가로, 휴식, 문화, 이벤트 기능을 포함하는 실내광장에서 체험마케팅을 계획할 때 이용자의 집객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고려할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관련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한 일반적 현황파악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체험마케팅은 집객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용자의 긍정적 태도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행동을 유발하는 ‘행동마케팅’과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감각마케팅’이 필요하며 이용자를 복합쇼핑몰에 더 오래 머물게 하려면 디자인, 분위기, 환경을 조성하는 ‘감각마케팅’이 필요하다. 둘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감각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공간을 계획할 때 가장 기본으로 계획 되어야 할 청결상태, 실내온도가 효과적이며, ‘인지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공간의 위치를 식별하기 좋고 이용자에게 정보제공 함으로써 호기심을 유발하는 미디어광고, 거대 그래픽광고, 조형물 등이 효과적이고 ‘행동마케팅’에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는 이용자 이동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주변시설과 연결,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교통과 연계, 보행통로 등이 효과적 이므로 각 체험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복합쇼핑몰 실내광장에서 ‘체류시간 연장’ 집객효과는 공간의 디자인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있으며, ‘소비연계’ 집객효과는 쾌적한 환경조성과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 ‘재방문의사 상승’ 집객효과는 공간의 분위기조성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이용자의 공간인지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계획요소, 참여행동을 유발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가 있고 ‘긍정적 태도변화’ 집객효과는 공간의 개방감과 분위기조성에 관련된 공간계획요소와 정보전달 기능을 하는 공간계획요소, 이용자의 보행과 이동을 지원하는 공간계획요소와 관계가 있으므로 각 집객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지원과 개선을 해야 할 것이다. Because of recently social changes, domestic shopping malls have been developed from a conventional commercial facility to a shopping complex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not only shopping but also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life, and since users demand various things, a role of indoor plaza of the complex shopping malls is getting important. However, the complex shopping malls have a problem that attraction power is being reduced due to shrinking consumer sentiment, caused by recent global economy crisis, and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of shrinking attraction power, as consumers could get positive images through total shopping experiences not to be involved into a price competition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could be raised, the ‘experience marketing’ is needed. This study has a meaningful purpose to provide data of spatial planning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duce the attraction power when existed complex shopping malls is going to design the experience marketing in their indoor plaza including commercial street, rest, culture, and event function. This study selected a general status identifying method as a research method by using literature research,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marketing in an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could influence the attraction power, and ‘action marketing’ that could cause actions and ‘sensory marketing’ that could construct space environment are needed in order to bring positive attitude changes, and the ‘sensory marketing’ that could construct space environment is needed in order to make customers stay in complex shopping malls. Second,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sensory marketing’, cleanliness and indoor temperature, designed as basic foundations to plan space, are effective in the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and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cognition marketing’, media advertisements, huge graphic advertisements, and sculptures, which could bring curiosity of users by helping them distinguish a location and giving them information, are effective. As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the ‘action marketing’, connection with surrounding facilities, stairs, elevator, escalator, transport connection, and walking path, which could support convenient movements of users, are effective.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each of the experience marketing, researches should find utilization methods for the effective spatial planning factors. Third, in the indoor plaza of complex shopping malls, an attraction effect of ‘extending residence time’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patial designs,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connecting consumption’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pleasant environment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increasing revisit intention’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making atmosphere of space,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providing spatial cognition to users,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causing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n attraction effect of ‘positive attitude changes’ i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patial openness and making atmosphere,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the spatial planning factor of supporting user’s walking and moving. Therefore, the spatial planning factors should be supported and improved in order to make each attraction effect.

      •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최효진 강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자 실시된 연구로써, 연장된 노년기 삶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고찰하였다. 노인은 다른 집단과 달리 불가피적인 노화를 겪으며 생활영역 내 환경 변화와 사회 적응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이를 고려하여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및 제도적(비물리적) 요인을 중심적으로 탐색하였다. 먼저, 국내·외 자료를 통해 현재까지의 논의된 삶의 질의 의미 및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삶의 질을 Salamon & Conte(1984)의 노인생활만족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을 선정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어 가설 검증을 위한 변수의 측정 문항을 구성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 전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수도권 내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1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그 중 일부 결측값이 있는 16부를 제외하고 385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치.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각 변수 별 독립 t 분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결과로는 성별, 종교여부, 최종학력, 경제활동 참여여부,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만 일부 채택되었으며 연령, 결혼상태, 가족유형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기초생활만 유의미했으며, 문화교육, 건강의료, 자연환경, 교통시설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어 제도적 요인 또한 교육 및 문화 활성화, 건강보장은 유의미했으며, 소득보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검증하고자 이를 전체적으로 고려한 통합모형에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주관적 경제 상태는 가장 높은 차이를 보였고, 성별, 최종학력,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환경과 제도 또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에 환경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이 각각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향후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모색과 사회복지서비스 지원책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후속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in Korea entering the aged society. It examined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life of elderly people which is prolonged because of lengthened life span. Unlike other groups, elderly people experience inevitable aging, and can not overlook environmental and adaptation problems in the living area. Considering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non-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life. First of all, the meaning of life quality discussed up to date and various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investigated and review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data.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measured using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cales (LSES) by Salamon & Conte(1984). Hypotheses were made taking socio-demograph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Questions to measure variables were constituted to verify hypotheses, and then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y summarizing i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01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Excluding 16 answers which had some missing answers, 385 copies of answer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Statistics Program. Analysis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pond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ll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was verified. First, the resul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that only sex, religion, final education,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meaningful significance. Age, marital status, and family type were not significant. In environmental factors, only basic life was meaningful. Cultural education, health care, natural environment, and traffic facilities were not significant. In Institutional factors, education and cultural revitalization, and health guarantee were meaningful, but income guarante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model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Sex, final educ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oth the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lso showed meaningful results. This empirical analysis prov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ased on this, it is anticipated that policies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 support pla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ll be suggested with expectations for further studies.

      •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 방송·영상 컬렉션 수집 및 활용 방향

        최효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o-called 'Hallyu content(Korean Wave)' such as Korean movies, popular music and dramas, more peopl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prototype of Korean popular culture worldwide. In Korea,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have produced archival contents using broadcast programs produced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more viewers have requested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for study, educ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beyond simple re-watching contents. Despite of the demand for reuse of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there is still no system to collect, manage and reuse all kinds of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at the public level. On the other hand,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concentrate on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generate their own profits exclusively using the in-house archives they built around the mid-2000s in the globalized and commercialized media market.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oblems of no policy In this study,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which had been recognized only as an object of copyright transaction in an economic sense, are newly identified as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study tries to find a way to protect it. Most of all, it proposes a new concept of Public Audiovisual Heritage(PAV Heritage) covering audiovisual public records, works of art in the fields of film,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and audio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ose works, photographic, audio and video materials managed by museums, libraries and art galleries and humanities, qualitative research data produced in the course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 this study, PAV Heritage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various categories of audiovisual contents. Among the various fields, this study focuses on the field of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where the policy vacuum has been maintained the longest after the closure of the Broadcasting/Video Digital Archive Center (2000-2006). Recently, there is a flow of preparing a system and policy to protect and manage audiovisual contents as a cultural heritage from the crisis of destruction, damage and transformation at the national level. UNESCO members has specified the system and policy from the 1980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global trend for the provision of a audiovisual heritage protection system is identified, and the concept of audiovisual heritage is analyzed through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conducted mainly by UNESCO and several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fter the late 1990s. It is reviewed what the process, definitions and categories are, and how to establish related laws, systems and policies to manage them. PAV Heritage, the concept that should be newly introduced in Korea, is all kinds of tangible and intangible device, media, docu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in order to play audio-visual contents influencing watching or the public viewers with certain thought or emotion through image and sound. An audiovisual content is the evidence of the actions by various institutions and groups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Therefore, the definition of PAV Heritage defined in this study is a term considered with the technical, cultural, historical, and industrial aspects of various audiovisual types of records exposed to the public.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collect, manage, and utilize broadcasting and video collections if an archive of PAV Heritage is established in Korea. Before the study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and major issues in Korea, five overseas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cases are preferentially investigated : 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in France, British Film Institute, American Archive of Public Broadcasting initiated by Library of Congress and GBH, National Film and Sound Archives of Australia, Meemoo in Belgium. As a result, some common features are discovered :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he collection are operated based on the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archive institution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and public services are provided with this partnership. In addition, the fact that each institution operates for the two major functions of Preservation and Providing Access to contents is also an implication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Korea. Therefore, all collected contents are ultimately subject to public service, and the time of providing service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use agreement of the contents with the copyright holder.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public video archives that differ from the administrative document archive system that can restrict public access to some records for security or confidential reasons. Accordingly, the overseas institut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preparing a system to reliably protect the rights of the copyright holders of the collected contents and those who appeared in the contents. In order for the study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Korea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such overseas cases, the progress of building in-house archives of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the status of content utilization are researched.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as KBS, MBC, SBS, EBS introduced HD production systems in the mid-2000s and established digital archives. These archives have been used by internal employees or for the purpose of content production. Several broadcasters operate a service platform with an archive which can control copyrights as MBC or departments or subsidiaries directly sell contents which viewers request from specific as KBS and SBS. In addition, the broadcasters surveyed in this study usually open YouTube channels specialized in classic content and upload specially edited contents which were produced in the past online. In Korea, several policies dealt with in this study have been implemented for the public service of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This study have investigated some national projects like Digital Archive Center(2000-2006)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KOCCA), the K-Content Bank (2016-presen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Open Sharing Portal Service (2020-Present) of KTV. And some issues of the policies promoted so far have been confirm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ably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and continuously implement an appropriate plan of archive operation.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responden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and video and cultural policy a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questionnaire surveys of 200 users with various occupations and ages, such as the general public,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education workers, and professionals are performed about the current usage behavior of 'old broadcast cont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an archive platform at the public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explores the opinions from producers and viewers of broadcast and audiovisual content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broadcast and video content as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process. As a result of the two surveys, it is found that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s must be 'cultural heritage' of contents containing various contents and values that must b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in terms of themes, intention and environment of production as well as the media and technologies that express them. Most of all, PAV Heritage should collect contents produced by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KBS, MBC, SBS, EBS), with public funds (production support business content)' and under the korean Broadcasting law. The study tries to find the efficient methods of acquisition and service plans to secure such collection objects, the issues that can be expected and the prerequisites for resolving them when the service is provided for research and production purposes. As a result of the two surveys, these points can be found out : producers and creators in the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field are searching for contents in 'YouTube' and depending on only the platform in practice. In addition to this, it is still impossible to find a comprehensive list of contents that have been produced, organized, and aired in Korea. In these reasons, it is concluded that an accurate and reliable public broadcasting and video content information platform is necessary.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s, this study strongl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PAV Heritage archive platform. In order to conduct both the functions of Preservation and Providing Access, the proposed platform is dually composed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tform and Public Re-use Platform, and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content providers and users are considered. Providers of public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s like copyright holders or broadcasting companies examined in this study are one of customers provided with two services in PAV Heritage archive platform. They are also the subjects of communication with users by opening the available contents owned by each institution to content users who want to use for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purposes. This study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field. However, in order to comprehensively collect and use contents in the level of the public,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AV Heritage, it is necessary to find more targets and methods of collection and user service in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fields as well as others : academic research, elementary/middle/high school and lifelong education, general citizens' cultural enjoyment. Based on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near future so that broadcasting and audiovisual content can be recognized as PAV Heritage in the society, not as exclusively used contents by specific broadcasters or producers. 한국 영화와 대중가요, 드라마 등 이른바 ‘한류콘텐츠’의 관심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한국 대중문화의 원형(元型)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지상파 주요 방송사를 중심으로 과거에 제작된 방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카이브 콘텐츠’ 제작이 잇달아 늘어나면서, 시청자들이 방송·영상콘텐츠를 단순 재시청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연구·교육·창작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방송·영상콘텐츠 2차 활용에 대한 대·내외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작·편성된, 그리고 현재도 만들어지고 있는 방송·영상콘텐츠를 공공 차원에서 수집하고 관리·활용하는 제도는 부재한 상황이다. 반면, 글로벌화·상업화되고 있는 미디어 시장에서. 지상파 주요 방송사들은 각 사가 200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구축한 사내 아카이브를 배타적으로 활용하여 자사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책적 공백(空白)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경제적 의미의 저작권 거래 대상으로만 인식되었던 방송·영상콘텐츠를 문화유산으로서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방송·영상콘텐츠 외에도 시청각 유형의 공공기록물, 영화·공연예술·시각예술 분야의 예술작품과 해당 작품 관련 시청각자료, 박물관·도서관·미술관 등에서 관리하는 사진·음성·동영상 자료,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연구 과정에서 생산되는 질적 연구자료 등 다양한 범주의 콘텐츠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공공영상문화유산(Public Audiovisual Heritag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영역 중에서도‘방송·영상 디지털아카이브센터(2000-2006)’폐관 이후 정책적 공백 상황이 가장 오래 유지되고 있는 방송·영상 분야에 초점을 두었다. 영상을 문화유산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멸실·훼손·변형 위기에서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제와 제도, 정책 등은 1980년대 이후 유네스코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구체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상문화유산’보호 체계 마련을 위한 세계적 흐름을 파악하고, 1990년대 후반 이후 유네스코와 유럽·영미 지역 영상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된 관련 연구를 통해 ‘영상문화유산’의 개념과 정의, 범주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관리하는 법률·제도·정책 등을 마련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검토했다. 국내에 새로 도입해야 할 개념인 ‘공공영상문화유산’이란 ‘국내 제도와 산업 영역의 콘텐츠 중에서 이미지와 소리를 이용해 공중(公衆)에 특정한 사상이나 감정, 정신 등을 전달할 목적으로 생산, 배포되었고 해당 영상물을 시청 또는 청취한 불특정다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사진/영상/음성콘텐츠와 이를 재생하기 위한 유·무형 장비, 매체, 문서, 지식정보 일체’라고 정의하였다. 하나의 영상은 제작-유통-소비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기관과 집단의 행위에 대한 증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의한 ‘공공영상문화유산’의 정의는 공중에 노출된 다양한 시청각 유형 기록이 갖는 기술적, 문화적, 역사적, 산업적 측면을 고려한 용어이다. 이러한 개념 정의를 토대로 국내에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를 구축한다면 방송·영상컬렉션을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국내 현황과 주요 이슈를 살펴보기에 앞서, 방송·영상 분야 ‘영상문화유산’관리를 위해 제도화된 5개 해외 국·공립 기관(프랑스 INA, 영국 BFI, 미국 의회도서관 AAPB, 호주 NFSA, 벨기에 Meemoo) 사례를 탐색했다. 해외사례 조사 결과 국내에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은 각 기관의 설립형태나 법적근거는 서로 다르지만, 각국이 운영하는 국·공립 영상아카이브 기관과 방송사 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기초로 컬렉션 수집·관리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각 기관은 수집된 방송·영상 컬렉션의 영구보존(Preservation)과 콘텐츠 접근권 보장(Providing Access)이라는 2대 대기능을 위해 운영된다는 점도 국내에서 참고해야 할 시사점이다. 따라서 수집된 모든 콘텐츠는 궁극적으로 대국민 서비스 대상이 되며, 저작권자와의 콘텐츠 이용 협의 사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은 차별화한다. 이는 보안이나 비밀유지 등을 위해 일부 기록물에는 공공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행정문서 아카이브 제도와 다른 공공 영상아카이브만의 특수성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조사한 해외 기관들은 수집된 콘텐츠의 저작권자와 콘텐츠에 출연한 출연자 등의 권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외 사례가 적용되기 힘든 국내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지상파 주요 방송사의 사내 아카이브 구축 경과와 콘텐츠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주요 지상파 방송사(KBS, MBC, SBS, EBS)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HD제작시스템을 도입하며 디지털아카이브를 구축했으며, 사내에서는 내부 직원이나 각 사 콘텐츠 제작을 목적으로 한 구축된 아카이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부 방송사들은 저작권 판매가 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해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거나(MBC), 특정 부서나 자회사를 통해 시청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판매(KBS, SBS)하기도 한다. 그리고 조사한 방송사들은 대체로 ‘클래식콘텐츠’에 특화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과거에 제작된 콘텐츠를 재가공하여 업로드한다. 국내에서도 본 연구에서 고민한 방송·영상콘텐츠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몇 가지 정책이 수립·추진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디지털아카이브 센터(2000-20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K-콘텐트사업(2016-현재)’, 한국정책방송원(KTV)의 ‘개방공유포털서비스(2020-현재)’의 구축경과를 조사하고, 지금까지 추진된 정책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주요 방송사업자와의 협력체계를 안정적으로 마련하고 지속적인 아카이브 운영계획을 수립·실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방송·영상 현업 분야에서, 그리고 문화정책 분야에서 일해온 응답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일반인·대학(원)생·교육직·전문직 등 다양한 직업과 연령을 가진 200명의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옛날 방송콘텐츠’ 이용행태와 공공 차원의 아카이브 플랫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방송·영상 콘텐츠가 문화유산으로서 갖는 특징과 가치에 대해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자와 시청자들의 의견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두 조사 결과, 방송·영상콘텐츠는 주제와 기획의도, 제작 환경 면에서, 그리고 그것을 표현한 매체와 기술 면에서 다음 세대에 전승해야 할 다양한 내용과 가치를 담은 콘텐츠를 반드시 ‘문화유산화’해야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 결과 ‘공공 방송·영상컬렉션’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수집 대상은‘지상파 주요 방송사(KBS, MBC, SBS, EBS)의 콘텐츠’와 ‘공적 재원이 투입된 콘텐츠(제작지원사업 콘텐츠)’, 그리고 ‘『방송법』에 의한 허가·승인 대상 사업자의 콘텐츠’임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수집대상을 확보하는 수집방법과 서비스 방안, 연구·창작 목적으로 서비스 되었을 때 예상 가능한 이슈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결 조건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두 조사 결과 ‘공공 방송·영상콘텐츠’ 활용 차원에서는 관련 현업 종사자들이 ‘유튜브’에 의존하다시피 콘텐츠를 검색하고 있으며, 그런데도 지금까지 국내에서 제작·편성·방영된 콘텐츠에 대한 망라적인 목록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점, 이에 따라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공공 방송·영상콘텐츠 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영구보존’과 ‘공공활용’양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플랫폼을‘보존/관리 플랫폼’과 ‘공공활용 플랫폼’등으로 이원적으로 구성하고 콘텐츠 공급자와 이용자가 교류하는 데 필요한 요건들을 고민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공공 방송·영상콘텐츠’공급자(방송사업자 등 저작권자)는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 플랫폼에서 2개 서비스 고객 중 하나로, 플랫폼 이용을 통해 각 기관이 소장한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들에게 공개하고 이를 연구·교육·창작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과 소통하는 주체이다. 본 연구는 방송·영상 분야 방송사와 해당 분야 현업종사자들과 관련된 이슈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공공영상문화유산’이라는 개념에 맞게 좀더 포괄적인 수집과 공공활용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방송·영상 분야 외에도 학술연구, 초/중/고 및 평생교육, 일반 시민들의 문화향유, 해외에서의 한류정책 운영 등의 분야에서 콘텐츠 수집 대상과 방법을 모색하고, 분야별 이용자 서비스 대상 및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우리 사회에서 방송·영상콘텐츠가 특정 방송사나 제작자의 배타적 활용 대상이 아니라 시민들의 문화향유 대상이자‘공공영상문화유산’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 수술 환자를 위한 환자안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효과

        최효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patient safety application using smartpnone for surgical patients and then test its effect right to know, knowledge on patient safety and attitude on patient safety in surgical patients. Methods: The patient safety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was developed by based on the ADDIE model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with input from experts, patients and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patient safety application development period was about three month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73 surgical patients in P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36) who used patient safety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for surgical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n = 37) who used in the education material on general patient safety. Data were collected from 7 September 2015 through 20 October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PC+ 18.0 with the Chi-square test,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ifferent in right to know, knowledge on patient safety, attitude on patient safet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atient safety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surgical patients.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by various subjects and divers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 중년 남성들의 성역할 갈등과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과의 관계 : 자기은폐,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의 매개효과 검증

        최효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성의 성 역할 갈등과 도움추구 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은폐, 사회적-낙인, 자기낙인, 도움추구 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어떤 요인들이 심리치료나 상담과 같은 전문적인 도움을 회피하도록 만드는지에 대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직장에 다니는 30대부터 50대의 중년 남성 총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한국어 성역할 갈등 척도(K-GRCS), 자기은폐 척도(SCS), 지각된 사회적 낙인 척도(SSRPH), 자기낙인 척도(SSOSH),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ATSPPH-S),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척도(ISCI)를 사용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AMOS 18.0을 통해 성역할 갈등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은폐,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역할 갈등은 도움추구 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자기은폐,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도움추구 태도를 매개로 하여 도움추구 의도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역할 갈등은 자기은폐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은폐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성역할 갈등은 자기은폐를 매개로 하여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낙인은 도움추구 태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낙인은 도움추구 태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움추구 태도는 도움추구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lf-concealment, the social-stigma and self-stigma associated with seeking counseling,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on the link between 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willingness to seeking counseling. The study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of middle-aged m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study questions and a total of 248 middle aged men from 30's to 50's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Korea Gender Role Conflict Scale(K-GRCS), Self-Concealment Scale(SCS),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SSRPH), Self-Stigma of Seeking help Scale(SSOSH),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Shorten Version (ATSPPH-S), the Intention of Seeking Counseling Inventory(ISCI). The study examined whether self concealment, social and self stigma associated with seeking counseling,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mediate between the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willing to seek counseling by using AMOS 18.0. Results indicated that self concealment mediated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social stigma, and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self stigma. Gender role conflict had a direct effect on willing to seeking counseling.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self concealment, social and self stigma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mediated between gender role and willing to seeking counseling.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필라테스 클램 동작 시 중간볼기근,넙다리근막긴장근의 근 활성도 비교

        최효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ree clam exercises (clam, modified clam 1, modified clam 2) used in pilates to examine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edius and tensor fascia latae. In addition, the purpose was to find out which of the three exercises can maximize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edius while minimizing the activity of the tensor fascia latae. Twenty healthy participants agreed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was used to measure the electrical activities for the gluteus medius (GMed) and tensor fascia latae (TFL).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and the criterion for statistical significant was set at a=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uscle activities of GMed, TFL according to each of three clam exercises(p<0.05). Gluteus medius within three exercis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modified clam 2 and the lowest in clam(p<0.05). Tensor fascia latae showed the lowest activity in clam and the highest in modified clam 2(p<0.05). The gluteus medius to tensor fascia latae ratio was the highest in modified clam 1 and the lowest in modified clam 2(p<0.05) as well.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to the clinicians and pilates instructors that the appropriate exercise to maximize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edius while minimizing the activity of the tensor facia latae is modified clam 1.

      •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구성원의 커뮤니티 동일시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효진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은 커뮤니케이션 수단뿐만 아니라 최근 기업과 소비자간 새로운 유통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단순히 웹에 있는 제품이나 정보를 소비하는 소비자에서 발전하여 직접 참여를 통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티를 넘어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소비자 스스로 답변을 달아 다른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주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인터넷 기업들은 온라인 상거래의 단점을 극복하고 고객 충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관계마케팅을 주요 전략으로 삼고 고객와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고객의 지속적인 방문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인터넷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상호 작용성을 활용하여 고객과의 성공적인 관계형성에 노력하고 있다. 상호작용성은 기업과 소비자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계형성을 원활히 하여 판매를 증진시키고, 데이터베이스구축을 가능하게 하여 마케팅의 효율을 높여 주고 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능동적인 사용자로 전환시키는 주요한 요소로 활용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기업주도형에서 소비자주도형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마케팅 전략에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호작용성을 유형화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 존에 연구되어온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을 기업과 소비자간 상호작용성,소비자와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성,컨텐츠와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성 위 세가지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성 요소별로 인터넷 쇼핑몰과 소비자간의 커뮤니티 동일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도출하여 이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과 소비자간 지각된 상호작용성은소비자로 하여금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커뮤니티 동일시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수익과 직결되는 쇼핑몰에서의 구매의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 요구에 대한 기업의 적절하고 신속한 반응 그리고 소비자의 기업 마케팅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커뮤니티 동일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직접적으로 소비자의 구매의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소비자와 소비자간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아직까지 쇼핑몰과의 커뮤니티 동일시 형성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소비자와 소비자간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기반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쇼핑몰에 대한 커뮤니티 동일시 형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소비자와 소비자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은 쇼핑몰과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관계에 우호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를 통해 쇼핑몰과의 지속적인 관계증진 및 쇼핑몰에서의 구매의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컨텐츠와 소비자간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쇼핑몰과의 커뮤니티 동일시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은 소비자가 기대하는 적절한 컨텐츠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쇼핑몰에서의 정보 탐색 수준을 향상시켜 나감으로써 소비자와 쇼핑몰과의 커뮤니티 동일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쇼핑몰과 소비자와의 커뮤니티 동일시는 쇼핑몰에서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쇼핑몰과 고객의 커뮤니티 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의 해당 쇼핑몰의 방문빈도 및 구매의도 그리고 다른 고객들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 마케팅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호작용성을 인터넷 상에서 개념적으로 재정의 하였으며 특히 이를 대표적 상거래 사이트 가운데 하나인 인터넷 쇼핑몰에 적용하여 세 차원으로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특히 상호작용성의 각 차원별로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단방향으로 측정되었던 상호작용성을 양방향성으로 확대함으로써 쇼핑몰과 고객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을 보다 정교히 포괄하여 측정하였다. 둘째, 상호작용성 차원별로 고객과 쇼핑몰간의 커뮤니티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이 관계마케팅의 대표적 관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는 오프라인 쇼핑몰에 비해 전환 장벽이 매우 낮은 온라인 쇼핑몰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상호작용성의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 운영자들에게 인터넷 쇼핑몰 운영에 대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방문빈도와 체류시간 등으로 측정된 상호작용성의 결과변수를 구매의도로 확대하여 인터넷상의 상호작용성 활용이 기업의 수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았다. 기업이 쇼핑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성 수준을 증진시킴으로써 소비자와 쇼핑몰간의 커뮤니티 동일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곧 해당 인터넷 쇼핑몰의 수익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쇼핑몰 운영에 있어서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net has been growing as the mean of communication to supplement the established mass media, as well as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However, the Internet makes business competing environment more severe. Customers can get lots of information easily through the Internet and switching cost is getting lower and lower. Thus, on-line businesses have been taking the relationship marketing as the significant strategy and trying to sustain relationship with customers. Especially, the Internet Shopping Malls(ISM) have been trying to mak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rough "Interactivity", which i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for the purpose of making customers to visit their web-site continuously. Because shifting cost is very low in cyber space, it is essentiafor the company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through higher interactivity between customer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focusing on the "Interactivity", categorizes various elements of the interactivity in ISM and verifies its effect. First of all, by reviewing literature critically, this study classifies the interactivity into the customer-company interactivity, customer-customer interactivity,contents-customer interactivity and investigates how each of interactivities influence on the community identification with ISM and purchase intention in 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nteractivity between customer and company not on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ty identification with ISM but also it has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ISM. In other words, the more properly, quickly and actively ISM responses on demands of customers, the more customers participate in the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surveys, events, the more positive relationship is made up between customers and ISM. Second, the hypothesis that customer-customer perceived interactivity affects community identification positively was not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that it affects customer-company interactivity positively was supported. That is probably because community which customers can exchange lots of information about products has not yet been promoted in Korean ISM. And the customer who perceives high einteractivity with other customers felt higher interactivity with ISM. Third, the hypothesis that contents-customer perceived interactivity affects community identification positively was supported. If ISM provides proper contents that the customer expects and the customer gets much information, the community identification with ISM increases. Lastly, the hypothesis that community identification affects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 on ISM was supporte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vity, one of the core concepts of relationship marketing, was redefined on the Internet. And an attempt to classify three dimensions by abstracting the attributes of the interactivity in ISM was done. Especially, this study measured the interactivity as two-way approach beyond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had measured as one-way approach. Second, by having analyzed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f interactivities on community identification, this study verified the possibility to use the interactivity as the chief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y. Third, by using purchase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verified that how the interactivity in ISM affects the profit of the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using the variable of interactivities in ISM enables to increase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ISM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SM management.

      •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의 교직 갈등 비교 분석

        최효진 한국교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경력 5년차 미만의 저경력 교사와 교직경력 25년차 이상의 고경력 교사들이 학교생활에서 일어나는 갈등 상황과 그 대응 방식을 알아봄으로써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세대 차이와 인식차이를 극복하여 조화롭고 협력적인 학교문화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저경력 교사, 고경력 교사가 교직생활 중 겪는 갈등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이와 같은 갈등에 대한 대응방식은 어떠한가?’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저경력 교사 3인, 고경력 교사 3인과의 심층적인 면담을 통하여 다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저경력 교사의 학교생활 어려움은 교과지도, 업무, 인간관계, 학급 경영 및 생활지도 등 4개의 영역으로, 고경력 교사의 학교생활 어려움을 교과지도, 업무, 인간관계, 교직이탈에 대한 관심 등 4개의 영역으로 각각 나누었다. 이들은 같은 영역 속에서도 전혀 다른 갈등 상황을 보이며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렇다면 저경력 교사들과 고경력 교사들은 각각 교직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할까? 저경력 교사들은 학교생활 중 겪는 갈등과 어려움에 대해 무조건 주변에‘물어보기’전략을 취한 반면, 고경력 교사들은 잘 극복할 것이라는 주변의 기대 아래‘혼자서 해결하기’전략을 취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집단은 다양한 연령대의 교사가 동등한 관계로 수평적 조직을 이루며 학교생활을 하고 있지만 교사들 간 경력, 경험, 나이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는 그들이 학교생활 중 겪는 갈등에도 큰 차이를 가져온다. 이러한 차이는 세대 간 단절을 가져오기 때문에 교직 사회 안에서 세대 간, 경력 간 교류가 꼭 이루어져야 한다. 전문성을 갖춘 선배교사와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도록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대응 방식을 살펴보면 개인에 의존해서 극복하는 것이 전부이다. 따라서 단위학교 차원과 교육청 차원에서의 지원책이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그들의 감정적, 정서적 갈등을 지원해주고 상담해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은퇴 후 삶의 고민도 마찬가지이다. 교사들이 은퇴 후 삶을 올바르게 살아낼 수 있도록 조언을 해주거나 지원해주는 제도는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전문성보다는 삶의 연속성으로 보았을 때 그에 대한 교사 지원과 대응 정책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의 갈등 상황을 극복하고자 한다면 학교 문화는 좀 더 조화롭고 협력적인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