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서의 화학 실험 분석을 통해 본 실험과 도구의 의미 재고

        최취임,이선경,Choi, Chui Im,Lee, Sun-Kung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4

        일반적으로 실험은 과학의 꽃으로 인식되고 있고 학교 과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과학자들은 확증이든, 입증이든, 사고실험이든, 어떤 형태든 실험이라는 형태를 거친다. 과학교육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탐구능력을 향상키는 것이다. 이에 학생들에게도 실험을 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학교 실험이 과학을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있어서 과연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의견과 논의는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또한, 학교 과학 실험의 이론적 당위성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과학자들이 수행하는 실험과는 간극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과학 실험과 도구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또한 하나의 사례로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화학관련 탐구 실험의 유형 및 도구 사용 수준을 분석하여, 학교 과학 탐구에서 실험과 도구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Experimen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cientists do experiments for verifying or refuting theory and they take many forms to do experiments. One of the central goals of science education is to improve inquiry ability. So we have taken for granted that students engage in authentic inquiry and experiment which scientists carry out to research. But it is not always positive about discussions and opinions what school experiment and its role is in learning science and understanding about science. There is certainly a gap between experiments which scientists and students do even though there is a theoretical basi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 In this study, we discussed how scientific inquiry and school inquiry are different, and what it means to use instrument in school science experiment. And as a case, we analyzed chemistry experiments in science textbook and manipulation level of instruments which were handled in chemistry experiments, we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experiments and instruments in school science inquiry based on the result of experiments and instruments analysis.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의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과 리더십 이동 패턴에 대한 사례 연구

        최취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현대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과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처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협동학습인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동료 학생들과 생산적으로 학습하도록 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기술(skills)과 지식을 발달시키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어떻게 협동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리더십의 출현은 성공적인 협동학습에서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어 창발적 리더십(emergent leadership)에 대한 이해와 협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과학탐구 수업 맥락에서 협동학습인 소집단 과학탐구활동에 참여하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에서 나타난 창발적 리더십의 유형과 리더십 이동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탐구 주제를 결정하는 수업에서는 아이디어 관리 및 발달 유형의 리더십, 실험을 수행하는 수업에서는 계획하기와 조직하기 유형의 리더십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과학탐구활동을 하면서 리더십 이동이 나타났으나 특정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학생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상황에 따라 리더로 출현을 하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이러한 탈중심화된 협력과 리더십의 이동은 과학탐구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선발문항 분석: 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중학교 심화과정의 화학영역 중심

        최취임,정민수,홍훈기,채희권,정대홍,Choi, Chui-Im,Jung, Min-Soo,Hong, Hun-Gi,Chae, Hee K,Jeong, Dae-Hong 대한화학회 2008 대한화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성 구성요인과 고전 검사이론을 이용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센터 화학반 선발에 사용된 선발문항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문항이 과학영재성의 구성요인 중 두 가지 이상을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이었으며, 중학교 수준의 과학지식을 적용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과학 영재성의 구성요소의 하위요소를 분석 한 결과에서 창의성 영역에서는 유창성과 독창성이 과학탐구 능력에서는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실험설계, 자료해석에 평가항목이 집중되어 있었으며 결론도출 및 일반화에 해당하는 요소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각 유형과 총점과의 상관분석에서 과학지식과 결부되어 과학 탐구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유형이 총점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항 난이도는 다소 높고, 문항 변별도는 적절하였다. 이로부터 창의성과 과학탐구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균형 있게 안배해야 하며, 난이도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test that were used in entrance examination for chemistry class in a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by using criteria for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scientific giftedness and a classical test theory. The result of analysis exhibited that most of problems measured more than two elements of scientific giftedness and required applic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of middle school level to solve problems. In the analysis of sub-elements of scientific giftedness, originality, fluency in creativity and finding problems/formulating hypothesis, planning inquiry, interpreting data in science process skills were dominant while draw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processes were lacking.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tal score and each type of problems, total score was most influenced by the problems measuring science inquiry linked with scientific knowledge. Item difficulty is moderately high and item discrimination is moderate.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최취임,박지영,이선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을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탐색하 였다. 틀 내 창의성은 패러다임 내에서 작동하는 이론적 창의성과실험적 창의성으로 구분되고, 틀 간 창의성을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는 이론적 창의성을 의미한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으로 이루 어졌으며, 분석은 틀 내 및 틀 간 범주를 토대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주로 틀 내 창의성의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 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과학 창의성’을 틀 내 창의성 관점 에서 실험적 창의성과 이론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생각하고있었다. 반면 예비초등교사들은 ‘과학 창의성 교육’은 틀 내 실험적창의성의 관점에서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 으로 과학 교육에서 고려할 수 있는 과학 창의성의 특성과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성취목적과 학습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교 -

        최취임,최승언,정대홍,전미란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이 과제를 수행하는 이유와 의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성취목적 이론에 비추어 과학영재 학생들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지 그것을 위해서 어떤 학습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성취목적에서는 과제지향과 수행지향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습전략 면에서는 심층적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들의 성취목적 중 과제 지향, 수행회피 목적과 학습전략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학생들의 성취목적 중 과제지향, 수행지향이 학습전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제지향, 수행지향 목적 모두 높은 집단, 과제지향 목적만 높은 집단, 과제지향, 수행지향, 수행회피 목적이 보통인 집단으로 복합적인 성취목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과제 지향, 수행지향 목적 모두 높은 집단, 과제지향 목적만 높은 집단에 포함된 과학영재 학생들은 다른 한 집단보다 심층적 학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A Study on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 Comparison betww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 Choi, Chui-Im Chun, Mi-ran Choe, Seng-Urn Jeong, Dae-H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goals science gifted students have when they face on learning and what learning strategies they use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achievement goals. For the achievement goals, the science-gifted students were compared to non-gif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of task and performance goal. For the learning strategies, they were found to use in-depth leaning strategies. Task and performance avoided goal among science-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task and performance goal among non-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cience-gifted students had different kinds of compound achievement goals: high task-high performance goal(cluster 1), high task goal(cluster 2), average task, performance, performance avoided goal(cluster 3). Science-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cluster 1 and cluster 2 were found to use in-depth learning strategies more than science-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cluster 3. Key Words: science-gifte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최취임 ( Chui Im Choi ),조민정 ( Min Jung Cho ),여상인 ( Sang Ihn Ye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1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eferred type of question and analyzed type of questions ask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identify how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is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deep-interview and audiotaped four classes from grade 3 and six classes from grade 6. The data form deep-interview were analyzed interpretively and Blosser` framework of question was used to analyze questions which teachers used in classes. By interpretation of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teachers agreed that questioning affects scienc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questioning among three teachers. They preferred various types of question rather than a specific type.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questio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used frequently cognitive-memory question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which belonged to closed questions in their science classes. This didn`t accord with their preferred types of question. The causes came from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questioning, preference and confidence for science class. From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take training courses in questioning in order to use effective questioning in science class.

      • KCI등재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루어진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 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

        최취임(Choi Chuiim),이선경(Lee S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은 개인적 인지발달이라기 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인지발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집합적 사고는 과학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에서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적 및질적연구방법(담화분석)을 통해 과학적 문제해결과정에서 형성된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영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탐구중심과학수업에 참여한 9학년 학생 들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집합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해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반면 담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집합적 상호작용영역을 형성한 모둠은 집합적 사고를 통해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과학개념 이해와 새로운 과학지식을 형성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발달시키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집합적 사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집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rather than individual cognitive development. The collective thinking can be crucial in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we researched cases of collective thinking and zone of interaction dur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science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in a grade 9 science class designed to undertake inqui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We found that students who thought collectively couldn t solve scientific problems but students who engaged actively in science discourse and thought collectively succeed to solve the problem. The students tended to develop their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concepts and shaping new scientific knowledge. We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provide opportunities that involve in collective thinking activity and proper feedback to facilitate it.

      • KCI등재후보

        과학교육에서의 온라인 지식검색 서비스 활용 현황과 역할: 중,고등학교 화학교과를 중심으로

        최취임 ( Chui Im Choi ),이은아 ( Eun Ah Lee ),김미연 ( Mi Yun Kim ),김민욱 ( Min Wook Kim ),문성현 ( Sung Hyun Moon ),최보경 ( Bo Kyung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과학교과 내용과 관련한 온라인 지식검색 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과학 탐구에서는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평가하고, 교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지식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이들 정보와 지식을 습득, 평가, 교류해야 하는가는 과학교육의 중요한 이슈가되고 있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국내의 유명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의 지식검색 서비스 지식iN을 대상으로 중고등학교 화학교과 관련 내용을 13일간 수집하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단순 개념의 검색보다는 과학 원리에 대한 설명이나 문제풀이 등의 목적으로 지식검색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제공된내용의 출처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부족하고, 약 30%정도의 내용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과학 탐구활동에 있어서 정보의 습득과 평가, 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상황에서 온라인지식검색 서비스의 적절한 활용법도 과학교육에서 담당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online knowledge-based search service is being used by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Reviewing information and summarizing data are important parts in scientific inquiry. As more and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online, how to review and summarize online information for scientific inquiry also becomes an issue. In this study, we examined one of the popular online knowledge-based search services to see what kinds of information in secondary school chemistry are mostly sought and how reliable those information could be. The result indicated that users mostly seek scientific explanations and problem solving but about 30% of provided information appeared to be incorrect. It impl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for teaching students how to obtain, evaluate, and communicate online information in science education to enhance students` ability for scientific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