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二成分界 液體狀態에서의 分子間 相互作用〔Ⅰ〕 :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벤젠, 톨루엔, 메시틸렌과의 分子間 會合에 관한 情報 nmr studies on the intermolecular association in the binary mixtures of methylene chloride and benzene toluene mesitylene

        禹圭煥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9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24 No.-

        핵자기 공명신호와 화학자리 圖示法을 이성분계 액체혼합물에 적용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벤젠, 톨루엔 및 메시틸렌과의 異種分子간의 相互作用으로 간주되는 會合 complex의 평형정수를 구하였다. 이 평형정수는 방향족화합물의 벤젠고리에 전자밀도가 커짐에 따라 더욱 안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1:1 회합 complex의 화학자리는 높은 자장쪽(up field shift)으로 놓여 있음도 알게 되었다. A graphic method based on nmr chemical shift measurements has been applied to the binary mixtures of methylene chloride with benzene, toluene and mesitylene respectively. this enables one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constants and the chemical shift of the 1:1 molecular compelex in binary mixtures of liquids.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Ⅰ) :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the Teaching Enhancing Students Questioning

        우규환,김성근,여상인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해 학생 질문을 강화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4개반(통제 집단 2학급, 처치 집단 2학급) 150명을 대상으로 4주 12 차시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교수-학습 모형에는 학생 질문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정과 교수-학습 도중 생기는 의문에 대한 학생 질문 과정, 그리고 학생 질문에 대한 개인별, 전체별 송환(feedback)과정이 포함되었다. 수업 처치 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과학적 태도의 수용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념 이해도 검사와 학업 성취도 검사의 공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집단 학생들의 1학년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수용을 개념 검사지, 학업 성취도 검사지,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을 강화한 과학 수업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학습 집단 학생들에 비해 개념 이해도 (p< .01)와 학업 성취도(p< .05)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수용은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조금 높았지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learning-teaching model enhancing the students to ask questions was developed and the influence of its application to the lesson of 'Chemical Change and Elements' of the 8th grade was investigated. This learning-teaching model was constructed initially by completing the work-sheet to activate student's question-asking, then by writing down their questions or uncertainties in the class, and finally with the feedback of student's question to the individual and to the class.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2 classes each) were selected from a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and taught for 12 class hours during 4 weeks for this study. Before instruction,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lessons and the test of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were administered, and the science scores of the previous course were obtained for the covariate. After instruction, the conception test, the achievement test,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lessons, and the test of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were administered. The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used both for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lessons and for the test of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s of the conception test (p< .01) and of the achievement test (p< .05). But in attitudes toward science lessons and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ven though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on the questioning activity of student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 Ⅱ ) : 학생 질문의 유형별 분석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tudents' Questions

        우규환,김성근,여상인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2개 반 7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하여 4주간 12차시 동안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12차시의 수업 처치 중 총 1,108개의 질문을 서면으로 적어 내었으며, 모든 질문은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는 '무관련' 수준의 질문은 7%, 질문 자체의 명제가 성립되지 않는 '모순' 수준의 질문은 3%였다. 교수 내용에 대한 반복 설명을 요구하는 '회상' 수준의 질문은 전체의 23%를 차지하였으며, 사례 제시를 요구하거나, 학습 내용의 단순 적용, 용어 등에 대한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재구성' 수준의 질문이 전체의 40%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 내용에 대한 응용 및 적용, 자신의 생각과의 이견 등을 나타낸 '적용' 수준의 질문은 18%, 상위 개념이나 타 개념 등의 확장된 개념적 질문을 포함하는 '확장' 수준의 질문은 전체의 9%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science classes of the 8th grade students in Seoul during 4 weeks. The numbers of students in the classes were 37 and 38, and they were taught for 12 class hours. Questions obtained for 12 class hours from 75 students were analyzed and grouped into patterns. All together 1,108 questions from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No Connection` (7%), 'Contradiction' (3%), 'Recall' (23%), `Reframe' (40%), 'Application' (18%), and 'Extension' (9%). Irrelevant questions to learning and questions of false proposition were classified into 'No Connection' and 'Contradiction', respectively. Questions repeating what were already explained were grouped into `Recall'. Those requiring other examples and/or additional explanations were grouped into 'Reframe'. Those requiring practical applications and/or explanations for other concrete facts were grouped into 'Application`. Finally, Questions for higher and/or other concepts were grouped into 'Extension'. We also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above categorized questions in this study.

      •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Micelle에 對한 溶媒의 影響(第一報) : CTAB溶液의 光散亂實驗을 中心으로 Light Scattering Measurements of CTAB Solution

        禹圭煥,崔姬淑,李庚伊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80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26 No.-

        The light scattering experiment of the CTAB surfactant soluton is carried out with Aminco Absolute Light Scattering Photometer at 25 C. The behavior of CTAB-DMSO-H_2O solution depending upon the solvent composition (DMSO molefractions are 0.00, 0.05, 0.098 and 0.201 respectively) has been observed by measuring the Rayleigh Ration of the solution as a function on CTAB concentration. As the molefraction of the DMSO is increased,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the sur-factant is also increased while the aggregaion number of micelle is decteased. This can be explained in such a way that as the DMSO composition is increased, not only the stability of CTAB micelle is weakened but also the micelle size becomes small. Moreover, DMSO molecule is regarded to have an inhib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TAB micelle due to its dominant affinity to the water molecule.

      • KCI등재

        화학양론과 기체 상태에 대한 중 , 고등학생의 개념 이해도 비교

        우규환,노태희,임희준 한국과학교육학회 199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stoichiometry, gas laws, and diffusion was compared with essay type test and multiple choice test. Wherea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stoichiometry,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go to high schools was higher in gas laws and diffusion. When students' achievement was compared to that of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students' achievement was higher in stoichiometry and was similar in gas law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gorithmic problem solving is more emphasized than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igh schools and that quantitative aspects focused in chemistry education are not helpful in concept understanding. Nevertheless relatively smaller difference between concept understanding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seems to be from concept learning in middle schools.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준 사례 연구

        최원호,우규환,박현주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학교밖 과학교육과 과학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이공계 전공 대학생과 과학동아리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동아리 활동과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1)직업적 역할 모델로서의 열정 있는 교사의 지도를 받으며, 2)직접적 체험을 경험하며, 3)오랜 기간 동안 과학실험을 준비하여, 4)비슷한 재능과 흥미를 가진 또래의 과학 동아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경험은 학생들을 과학관련 진로로 격려하는 좋은 요인임을 알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 동아리 활동이 인생의 진로를 선택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에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자신들의 학문적 진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믿었다.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interview with science major student about the effect of science club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The special interview was planned and arranged to meet students as well as their teacher. Both of the student whose background had experience in the science club activity, field science education during their high school days are majoring in physics and biology. In Summary : 1) science teacher's guidance deeply impressed the student that they respect the teacher as a occupational role model. 2) they really enjoyed the hands-on activities joyful. 3) their experience lasted so long time to keep them to stay in science field. 4) they had an experience of speaking before peer science club students who had similar interest and talent. We found the above four factors were really influential to encourage the subject to major in science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