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약자 보호를 위한 무선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검출시스템

        최정연,정성부,이현관,엄기환,Choi, Jeong-Yeon,Jung, Sung-Boo,Lee, Hyun-Kwan,Eom, Ki-Hwa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의 관찰을 위하여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인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사람이 물체를 움직일 때에 물체에 부착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움직임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움직인 데이터를 SVM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추정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에 이용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신경회로망의 학습에 사용하였고, 일상적으로 걸어갈 때, 빠르게 뛰어갈 때, 넘어질 때의 3가기 경우의 움직임을 제대로 검출해 내는가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경과 80% 이상의 검출 성공률을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n monitoring system of elder and feeble person's motion activity using an object's motion activity data. The proposed system used wireless 3-axis sensor module, product by Freescale(Wireless Sensing Triple Axis Reference Design Board (ZSTAR)). We distribute sensing data into three classes using Neural Network System SVM. We find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 that simulate some case about walk, past walk, fallen. Classify result data and graph of sensing data present succes rate 80%.

      • KCI등재

        성호 이익의 재이설의 양면성과 실천론 -『성호사설』을 중심으로-

        최정연 ( Choi Jeong-ye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성호 이익의 재이설에는 재이를 자연학적으로 보는 시선과 천견론적으로 보는 시선이 이론적 충돌 없이 공존한다. 이는 성호가 서로 다른 전통의 재이설을 성리학의 전통지식에 기초하여 정합적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재이를 인간의 행위와 무관한 자연현상으로 보는 관점이 조선 후기 지식계에 광범하게 확산되어 있던 점을 고려해보면, 성호가 천견론적 재이설을 정당화하기 위해 리기론과 기수론, 귀신론, 중천설 등과 같은 전통지식을 다양하게 동원한 것은 상당히 예외적인 경우이다. 그가 이러한 입장을 고수한 이유는 인간과 사회의 선을 고취시키기 위해 설계된 재이설의 효용성을 포기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실제로 성호의 재이설에 공존한 자연학적 관점과 천견론적 관점은 경세와 도덕에 대한 요청으로 이어졌다. 성호는 재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 사회구성원이 각자의 영역에서 제도를 정비하여 재난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하늘의 명을 받들어 인간과 사회의 타락을 저지해야 한다고 믿었다. 경세론과 심성론을 성호 학문의 핵심으로 이해한 다산의 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호가 재이설에서 요청한 경세와 도덕은 그의 실천론을 지탱하는 양대 축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In Seongho Yi Ik’s portent theory(zaeyi-seul 災異說), the view that portents are simply natural phenomena and the view that they are expressions of heavenly will or cheongyeon(天譴) coexists without a theoretical contradiction. This coexistence is possible because Yi Ik understood the two divergent traditions of portent theories as internally coherent based on traditional knowledge of ligi(理氣), gisu(氣數), and gwisin(鬼神).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eparation of natural phenomenon and human behavior gained prominence among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Seongho Yi Ik’s efforts to defend the legitimacy of the ‘heavenly will’ discourse(cheongyon-ron 天譴論) substantiated by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can be seen as an exceptional case. Yi Ik adhered to this position because he could not discard the portent theory’s usefulness in pursuits of high virtue in man and society. In fact, the naturalist and super-naturalist views that coexist in Yi Ilk’s portent theory are linked to the demands for good governance and morality. Yi Ik argues that for a society to overcome or prevent a disaster or zaeyi, all its members should improve the system in their own respective parts. Furthermore, they should uphold the will of heaven and deter man and society from falling into corruption. As we can see from Dasan’s view that the mind-nature theory(simseong-ron 心性論) and the governance theory(kyeongse-ron 經世論) are at the core of the Learning of Seongho(seongho-hak 星湖學), we can conclude that the demands for good governance and morality incorporated within Seongho Yi Ik’s portent theory serve as the two pillars upholding his practice theory.

      • KCI등재후보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Heparin-VEGF 함유 소구경 Elastin/PLGA/PCL 혈관지지체의 제조 및 In Vivo 평가

        최정연 ( Jeong Yeon Choi ),정경영 ( Kyoung Young Jung ),이지선 ( Ji Seon Lee ),조석기 ( Suk Ki Cho ),전상훈 ( Sang Hoon Jheon ),임정옥 ( Jeong Ok Lim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0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7 No.2

        Vascular scaffold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many years for the revascularization of blood vessels with inner diameters ≥6 mm. However, small diameter vascular substitutes (<5 mm) have shown poor patency rates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thrombo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mall diameter (~3 mm) vascular grafts composed of elastin, poly (lactic-co-glycolic acid : PLGA) and polycaprolactone (PCL)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techniques. In addition, hepar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added to the scaffolds to prevent thrombosis on the target incision and promote endothelial cell growth on the surface of scaffolds. The arterial grafts of electrospun elastin/PLGA/PCL vascular prostheses in Sprague-Dawley rats were found to improve the recovery of the incised blood vessel function by promoting migrati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onto the vascular scaffolds, thus exploring the potential of electrospun polymer scaffold in vascular graft engineering.

      • KCI등재

        김치진의 『척사론(斥邪論)』 역주본 해제

        최정연 ( Choi Jeong-ye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김치진(金致振, 1822~1869)의 『척사론(斥邪論)』은 현존하는 조선의 서학비판서 중 유일하게 서교(西敎)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단일 저작으로, 전체 분량은 240쪽에 달한다. 그것은 총 30여 항목에 걸쳐 서학의 주요 쟁점을 조목별로 분석하고 비판하는데, 분량과 구성, 주제의 다양성 측면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저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척사론』은 필사본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으며 저자와 저술 목적, 편집 구성의 특징을 소개한 연구로는 차기진의 짧은 해제 이후 노대환의 논문이 거의 유일하다. 서학서의 열람이 금지되고 교인이 산간벽지로 숨어들어 외부인이 서교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김치진은 서학서를 연구하여 그 허점을 드러내야만 교인을 설득하여 정도(正道)로 계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 위에서 그는 천주교 공동체에 잠입한 뒤 정보를 수집하여 『척사론』을 저술하였고, 주변에서 자신에게 쏟아내는 이단의 혐의와 비방에 맞서 그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실제로 그는 서학서의 열람과 교인과의 대화를 통해 그 내용과 실정을 파악하였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효과적인 근본책과 보완책을 다각도에서 마련하였다. 본고는 금년 상반기에 출간될 역주본 『척사론』을 열람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것으로, 본문은 총 네 장으로 구성되었다. 2장에서는 국내에서 확인된 판본의 서지를 소개하고 그들 사이의 구성과 내용상의 동이(同異)를 점검한 다음, 그 완성도를 기준으로 저본과 대조본으로 구별했음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척사론』의 저술 시기와 목적을 분석하고, 4장에서는 기존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척사론』의 구성과 항목의 주요 내용을 설명·보완하였다. 이어서 5장에서는 『척사론』이 조선 후기의 지식계에 미친 영향과 그 의의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남은 후속 과제를 제시하였다. Kim Chijin(1822-1869)'s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is the only book that has been written in the book of Catholicism that has systematically studied Catholicism, and its total volume is almost 240 pages. It analyzes and criticizes major Catholic issues in a total of nearly 30 chapters, but it is the most complete work in terms of volum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ubjects. Despite its completeness in terms of volum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ubjects, the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exists only in the form of a transcript. No Daehwan's thesis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introduces the author, the purpose of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editing. This paper was designed to deepe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version of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which will b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This paper consists of four main chapters. Chapter 2 introduces the bibliography of manuscripts identified in Korea, examines the same points and differences in composition and content between them, and discusses the distinction between bottom manuscript comparative manuscripts based on their completeness. Chapter 3 analyzed the period of writing and the purpose of writing. Chapter 4 explained and supplemented the composi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topic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Subsequently, and Chapter 5 briefly summarized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on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last Chapter 6 introduced the remaining follow-up tasks instead of conclusions.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영명지체(靈明之體)’ 개념에 대한 논의 -정약용의 『심경밀험』과 롱고바르디의 『영혼도체설』을 중심으로-

        최정연 ( Choi Jeong-yeon )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5 No.-

        다산 심학에서 흥미로운 지점 중 하나는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심의 어원을 추적하여 그것이 가차어임을 입증하고, 그동안 심으로 정의된 인간 정신을 靈明之體로 지칭한 사실이다. 필자는 여기에 주목하여 그가 유교 전통에서 정신을 가리키던 심을 굳이 가차어로 재규정하고, 정신을 표현하는 용어로 영명지체나 靈體를 끌어들인 이유를 추적해 보았다. 본문은 총 세 장으로 기획되었다. 2장에서는 정약용이 제시한 심이나 영명지체가 당대 조선의 유교 지식인 사이에서 이해되던 방식과 달랐음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정약용이 이들 개념을 기존과 달리 정의할 수 있던 이론적 토대를 조선에 전래된 롱고바르디(Nicholas Longobardi,龍華民, 1559~1654)의 『靈魂道體說』에서 찾아보았다. 4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정약용이 롱고바르디의 영명지체를 접촉했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One of the intriguing points in Dasan Jeong Yagyong’s scholarship of mind is that he etymologically demonstrated “sim” 心 (mind-heart) as a loanword and designated human mind by an alternative term, yeongmyeong ji che 靈明之體, instead of the conventional term, sim.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is change, my research traces the reason why Dasan found it necessary to reidentify sim and referred to the same subject of human mind by alternative words, such as yeongmyeong ji che or yeong che 靈體. In the first of the three main chapters (Chapters 2 to 4), I argued that the concept of sim or yeongmyeong ji che presented in Dasan’s work was aberrant from the way the majority of Joseon intellectuals understood sim. In Chapter 3, I attempted to trace a theoretical basis of Dasan’s unconventional conceptualization of human mind to Longobardi’s Linghun daoti shuo 靈魂道體說 (On Human Soul and the Ultimate Dao). In Chapter 4―though not conclusive―I examined possibilities that Dasan may have come across Longobardi’s concept of yeongmyeong ji che.

      • KCI등재

        성리학과 서학의 공존: 다산 정약용의 사칠설

        최정연 ( Choi Jeong-ye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4 No.-

        본고의 목적은 다산의 사칠설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의 이질적 관점이 『천주실의』에서 유래했다는 기존 관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다산이 사칠설을 읽는 독법은 90년대부터 여러 연구자의 이목을 끌었다. 서학의 영향을 강조하는 연구자도 있고 성리학의 연장선에서 해석한 연구자도 있었다. 이들의 연구는 다산의 독법에 나타나는 이질성의 연원을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실체와 속성 개념으로 보는 데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그런데 『천주실의』에서 원용되었다고 추정된 개념은 다산 사칠설의 그것과 잘 부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반되는 모습까지 보인다. 이는 그 이질성의 근원이 『천주실의』만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고는 이전의 연구 성과에 유의하여 다산의 독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이질적 관점이 『천주실의』 외의 다른 서학서일 가능성을 시론적으로 제안해 보았다. 아울러 다산이 원용한 외래 지식이 다산 사유의 독자적 행보를 만드는데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정조가 경연에서 출제한 질문의 여러 답안들을 비교하여 다산의 해석이 기존의 논쟁 구도를 이탈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3장에서는 다산이 이벽의 견해를 수용하여 퇴계설을 율곡설과 상호 경쟁이나 비교가 불가능한 지식체계로 이해했음을 밝혔다. 4장에서는 다산의 사칠설이 성리학과 서학의 해석 틀을 병치하여 구성된 주장임을 논의하고, 『천주실의』만이 그 이질성의 연원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다산의 독법이 결국 미분화적 사유에 기초한 성리학적 시각에 균열을 내며 또 다른 지적 전통을 만들어 갔음을 언급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Dasan's “Four-Seven” theory in detail, and to examine the existing viewpoint that his heterogeneous viewpoint originated from Tianzhushiyi. Dasan's method of reading the “Four-Seven” theory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several researchers since the 1990s. Some researchers emphasized the influence of Seohak, while others interpreted it as an extension of Seongnihak. Their research had little disagreement in seeing the origin of the heterogeneity in Dasan's reading method as the concept of substance and accident of Tianzhushiyi. However, the concept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Tianzhushiyi does not correspond well with that of Dasan’s “Four-Seven” theory, and even shows contradictory featur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ource of the heterogeneity is not the only Tianzhushiyi. This paper specifically analyzed Dasan's reading method, taking note of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suggested the preliminary possibility that his heterogeneous point of view could be a book other than Tianzhushiyi. In addition, it looked at how the foreign knowledge that Dasan used contributed to making Dasan's own thoughts. Thus Chapter 2 showed that Dasan's interpretation deviated from the existing controversy structure by comparing various answers with the questions that Jeongjo raised in the contest. Subsequently,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Dasan accepted Lee Byeok's view and understood Toegye’s theory as a knowledge system that cannot compete or compare with Yulgok’s theory. Chapter 4 discusses that Dasan's “Four-Seven” theory is a claim composed by juxtaposing the interpretation frame of Seongnihak and Seohak, and raises the possibility that Tianzhushiyi is not the origin of the heterogeneity. In conclusion, it was mentioned that Dasan's reading method eventually cracked Seongnihak’s perspective based on undifferentiated thinking and created another intellectual tradition.

      • KCI등재

        성호학은 주자학의 미분화적 사고를 탈피했는가 : 리 개념의 분화 현상을 중심으로

        최정연 ( Choi Jeong-yeo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이 글은 성호학에서 리 개념이 분화된 구체적 실태를 검토하여 성호의 사유를 평가하는 기존 연구의 엇갈린 시선을 점검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성호의 문집에 나타난 용례들을 취합하여 임의로 범주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명칭들을 정리했다. 그리고 성호의 관점에서 다시 이들을 분류하여 그가 자연과 심을 기준으로 리를 구분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성호는 리 개념을 대략 ‘자연에서 실현되는 리’와 ‘심에서 실현되는 리’로 구분했지만, 그의 리 개념에는 의미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성호의 리 개념에 포함된 의미들이 전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성호가 태극과 일리의 실체를 부정하고 개별 리만 인정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여 재확인했다. 검토를 통해 확인한 사실은 그가 주자와 마찬가지로 태극과 일리의 존재와 역할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그의 사유에서 태극과 일리는 자기 복제를 통해 만물에 내재되었고 만물은 통합된 질서에 제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단일한 유기체를 이루었다. 이는 성호학이 주자학을 탈피하려고 시도하거나 거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성호의 사유에 심의 유무를 기준으로 리의 의미와 기능을 구분하려는 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도 사실이다. 시도의 이유는 근대과학의 선취나 주자학적 사유의 이탈이 아닌, 그를 둘러싼 인문 환경이 조성한 학술 논쟁에서 찾을 수 있다. 원인은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그 후보 중 하나로 사칠 논쟁을 제안했다. 성호는 퇴계설을 보완하고 율곡설을 논박하는 것을 그의 학술적 과제로 삼았다. 자연과 심의 패턴의 차이에 기초해 육신과 심의 기능적 차이를 강조한 그의 주장은, 자신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기초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The scholars who studied Seongho Yi Ik (1681~1764)'s concepts focused on the remarkable differentiation of Seongho's Li (理). They understood differentiation as a severance between Wu-li (物理) and Dao-li (道理), nature and humanities, and facts and values. Also,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Li concept, they evaluated that Seonghohak (星湖學) was moving away from the Zuja's unified worldview and moving toward modern thinking. On the other hand, other researchers argued that there was no inevitable reason for Seongho to preempt European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subdivision phenomenon of Li did not appear for the purpose of dismantling Zujahak.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ixed 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to infer the point of the idea and plan of Seonghohak. To this end, in Chapter 2, we checked the manner in which Seongho classified Li, and reviewed from the fundamental stages whether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 suits it. In Chapter 3, Seongho's concept of Tai-ji (太極) and Yi-li (一理) was analyzed in detail to examine whether he deviated from the undifferentiated thinking of Zujahak. Subsequently, in Chapter 4, the reason for Seongho's differentiation of Li was inferred by linking it with his wonderings and contemplation of Toegye's Li-issuance (理發) theory.

      • KCI등재

        성호 이익의 뇌낭설 수용 방식에 관한 검토 -성호의 사칠설과 『주제군징』의 뇌낭설을 중심으로

        최정연 ( Jeong Yeon Choi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조선에서 서양의학 담론의 출현은 여느 서양 학문 분야보다 늦었으며 그 관심의 정도도 훨씬 약했다. 하지만 조선의 지식인 가운데 성호 이익은 비교적 이른시기에 서양의학이론에 주목했고 그것을 전통 지식에 기초하여 파악했다. 그가 심성론과 관련하여 주목한 의학지식은 뇌낭설인데, 여기에는 `뇌가 기억능력을 주관한다`는 주장과 `뇌가 감각기관과 운동기관을 지배한다`는 주장이 공존했다. 성호는 이 설의 양면성을 알고 있었고 자신의 심학에 후자만 수용했다. 즉 성호는 뇌낭설의 발상에 자극을 받아 심신설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뇌낭설의 논리를 자신의 심학적 맥락 속에 수용했지만, 뇌가 기억능력을 지배한다는 주장 자체는 거부했다. 대신 그는 뇌가 감각·운동기관을 지배한다는 뇌낭설의 또 다른 주장에 주목했고 사칠설을 매개로 뇌와 심이 연동하는 방식을 파악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은 그가 『주제군징(主制群徵)』을 읽고 뇌와 심의 연동방식을 파악한 내용과 그의 사칠설 사이에 드러나는 두 가지 유사 지점을 통해 뒷받침될 수 있다. 하나는 「서국의(西國醫)」에 소개된 뇌의 동각지기와 심의 기능이 각각 사칠설의 형기와 심기의 기능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성호가 이해한 뇌와심의 연동 방식이 칠정의 발현방식과 구조적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성호가 신체 및 심의 구조와 기능을 정교하게 세분하여 설계한 자신의 이론체계를 토대로 뇌낭설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수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뇌낭설의 수용 방식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성호는 성리학의 근본전제에 위배되지 않는 이상 서학을 수용하는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심의 위상을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뇌낭설의 논리와 지식 일부를 수용했고, 이것을 자신의 심학을 이론적으로 확장하는 지적 자원으로 활용했던 것이다. 성호의 심학적 이론체계가 규모면에서 방대하면서도 이전과 다른 논리를 보여주는 것도, 그가 유교에 유효하다고 판단한 이론이라면 서양의 과학지식이든 종교지식이든 상관없이 용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iscourses on the Western medicine was the last and least popular Western knowledge that entered Joseon. Yet, as a Joseon intellectual, Seongho Yi Ik took relatively early notice of the Western medical knowledge and comprehended its theories in the scope of the existing traditional knowledge. In association with the theory of the mind-heart and nature (心性論), Yi focused particularly on the theories on brain-pocket(腦囊說) and two conjectures on its functions. The first conjuncture suggested that the brain functions as the focal point of processing memories and the second conjecture argued that brain control sensory and locomotive organs. Although Yi was aware of the both, he incorporated only one theoretical aspect of the brain in his own scholarship of mind-heart (心). Yi Ik applied the idea of the brain as the seat of memories as a logical means to interpret Yi Sik`s theory of the mind-heart and kidney (心腎說) but did not incorporate it into his own mind-heart theory. Instead, Yi Ik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brain described in the Western theory in order to comprehend how the brain and the mind-heart co-function, using the scope of Four-Beginnings and Seven-Emotions theory (四七說). This is supported by two similar points found in both his Four-Seven theory and how he interpreted the co-functioning of the brain and the mind-heart described in Zhuzhi qunzheng (主制群徵, De Providentia Numinis). First, Yi Ik`s reference to Western theories in his Medicine of the West (西國醫) about the functions of the brain and heart―that they involve sensory-locomotive qi (動覺之氣) and mental qi, respectively―corresponds with the functions of physical qi (形氣) and mind-heart qi (心氣). Second, Yi Ik`s interpretation of the co-function of the brain and heart as shows structural similarities to how the seven emotions surface. An analysis of the two texts support the speculation that Seongho Yi Ki`s embrace of the Western brain theory was based on his own mind-heart theory, which was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his elaborate classification of human organs and their functions. As observed through how Yi Ik incorporated the brain-pocket theory, he was flexible in embracing ideas from the Western Learning unless they breached the fundamental preconditions of neo-Confucianism. He used the brain theory as his intellectual resource in expanding his own mind-heart theory to the extent that would not jeopardize the status of the mind-heart. The extensive scale of Yi Ik`s mind-heart theory and the later change of his reasoning are the results of his eclectic acceptance of the Western knowledge, whether it may be from Western science or religion as long as it could be considered valid to Confucian ideas.

      • KCI등재

        혼령(魂靈)에서 영체(靈體)로 ―anima humana의 역어를 둘러싼 조선 지식계의 반응

        최정연 ( Choi Jeong-ye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고의 목적은 16세기말 중국에 진출한 예수회원이 아퀴나스의 anima humana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여러 역어가 파생되었음을 밝히고, 그것들이 17세기 이후 조선에 전래되어 일으킨 반응 양상과 수용 방식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anima humana의 역어가 魂靈과 靈魂, 靈神, 神魂, 亞尼瑪, 靈性, 神體, 靈明之體 등으로 번역되면서 이들 사이에 벌어진 경합을 보여주었다. 2장에서는 그것들이 조선에 산발적으로 유입된 이후, 유교 지식인의 지식체계에 각인된 흔적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variety of Chinese translations of Aquinas’ term, “anima humana,” created through a series of Jesuit translation in China since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way they were transmitted and incorporated into Joseon academia in two parts. First, the contention among the variety of translations for a single term―hollyeong 魂靈, yeonghon 靈魂, yeongsin 靈神, sinhon 神魂, anima 亞尼瑪, yeongseong 靈性, sinche 神體, yeongmyeongjiche 靈明之體 and others―are examined. The second part is to trace how these translated terms were engraved into the neo-Confucian scholars’ body of knowledge following their sporadic introduction to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