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심경호 ( Sim Kyungho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한문학 연구에서 묘비 묘지 등 墓道文字는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 지성사와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立碑의 사실 자체를 문화사적 관습과 관련시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하에 묻는 墓誌와 壙誌는 墓主가 다양해서 승려, 사대부, 여성, 요절한 아이의 것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 지상에 세운묘비는 대부분 승려들의 비였고, 사대부 관원의 경우는 고려 전기와 중기까지는 지상에 세우지 않았다. 그러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사대부의 神道碑와 墓表가 지상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전기부터 사대부 지식인들은 外命婦로서 국왕으로부터 직첩을 받은 집안의 여성들을 위한 墓誌墓誌銘을 주의 깊게 작성했다. 사대부 여성의 묘도문자는 처음에는 지상에 세우는 묘표나 묘갈보다는 지하에 묻는 墓誌에 새겨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가 조선 초부터 여성 묘주의 비석이 땅 위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 비석은 주로 墓碣이나 墓表의 형태를 띠었다. 다만 이 경향은 시대적 조류를 이루지는 않았다. 오히려 일부 立言者가 그러한 묘도문자에 주목하게 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를수록, 여성 묘주의 경우 부군의 묘에 ?葬하면서 生歿年과 葬地를 묘비의 비음에 새기는 경향이 짙어졌다. 다만 17세기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묘주의 묘도문자가 증대하고, 이에 병행하여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도 점차 더 많이 세워지게 되었다. 곧, ‘부인은 남편을 따른다(夫人從夫)’는 관념을 벗어나, ‘그 남편의 묘에 부수하여 일컫지 않는(不稱以夫墓)’ 것으로 나아갔다. 이것은, 여성의 烈節이나 女中君子의 덕목이 여성이라는 존재자의 독자적 가치로서 부각되고 衆人의 耳目에 傳播되기에 이르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만,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을 제작하는 관습은 아직 시대적 조류로서 간주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家格이 뛰어난 집안의 학자-문인, 先? 혹은 夫人에 대한 각별한 정념을 지닌 문사들이 그러한 묘표와 묘갈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夭?의 여성을 위한 묘표도 적은 수이지만 건립되었다. 여성 묘주를 위한 神道碑는 太宗의 명을 받아 權近이 1403년(태종 3)에 찬술한 太祖의 正妃 神懿王后 韓氏의 齊陵 神道碑銘이 가장 이른 예이다. 그 후 인조는 생부 定遠君을 낳은 仁嬪金氏를 위해 張維와 申欽에게 명해서 두 차례에 걸쳐 神道碑銘을 작성하게 했다. 그리고 영조는 생모 숙빈 최씨를 위해 朴弼成에게 명하여 신도비문을 작성하게 했다. 이세 글은 정치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사대부 여성 묘주를 위한 立碑 사실과 마찬가지로 命撰者(이 경우는 국왕)의 각별한 정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여승을 위한 묘표는 蔡濟恭이 定有大師를 위해 작성한 『女大師定有浮屠碑銘』이 유일하다. 이 글은 여성의 치열한 구도 행력, 여승에 대한 추억 등을 치밀하게 착종시킨 명문이다. 또 19세기 후반에는 『東都名妓紅桃之墓碑』처럼 敎坊 伶妓들이 ‘樂府의 師宗’을 위해 妓女墓表를 세우기도 했다. The epitaphic letters not only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documents in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have a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d culture. The epitaphic works for the wives of the scholar-officials were at first inscribed on the burial panels rather than on the tombstones on the ground and it wa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the tombstones of a woman were erected on the ground which was same to the cases of man hosts. In late Joseon it became common to put up a tombstones to inscribe epitaphic letters on the tombstone at the same grave where the wife was buried with the husband, and the virtues as a supreme woman were highlighted as a unique value of woman. It was consequently resulted in the erection of tombstones with epitaphs of reminiscing and mourning the life and the death of a woman who lived an independent life. However, it doesn’t seem to be widely prevalent to produce a tombstone for a woman host at that time. Rather, it was literati of good family or those who had a deep affection for his mother or his wife that composed epitaphic letters for the tombstones. There are also tombstones for those who died at an early age though it is a very few case. As to a tombstone for a Buddhist nun, 女大師定有浮屠碑銘 is the only case which was written by Chae Jaegong. In late 19th century Kisaeng (woman entertainer) belonged to Entertainers Office asked literati to write a epitaphic work to commemorate their master, such as 東都名妓紅桃之墓碑 written by choe Namgon. The first memorial stone monument for a woman is one for Queen of Sinui, the queen of King Taejo written by Gwon Geun by the order of King Taejo in 1403. Two epitaphic letters for Inbin from Gim clan written by Jang Yu and Sin Heum by the oder of King Injo and the one for Sukbin from Choe clan written by Bak Pilseong by the oder of King Yeongjo als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epitaph. It also includes a deep affection of the kings like the one by scholar-officials though they assume a political character.

      • KCI등재

        『호서기정(湖西紀征)』에 실린 화양구곡시(華陽九曲詩)에 대한 고찰(考察)

        이상주 ( Lee Sangju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8 No.-

        孔聖學(1879~1957)과 그 동료 4명은 일제강점시대인 1937년 화양구곡 속리산 부여 등 호서지방을 기행하고 <湖西紀征>이라는 책을 간행했다. 공성학은 고려유민의 후손이며 개성출신이라는 자부심이 컸다. 林河永과 공성학 등은 고려말 두문동 72인에 제사를 지내고 尊周大義와 충절을 선양하기 위해 개성에 두문동서원을 창건했다. 또 <두문동서원지>를 간행했다. 부여 출신인 林河永은 7년 동간 위의 두 가지 두문동사업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들은 고향 扶餘로 돌아가는 임하영을 전송하기 위해 華陽洞과 俗離山 그리고 白馬江을 함께 여행했다. 이들이 杜門洞書院을 완공한 후, 그 노고와 환희에 대한 自慰 自祝, 그리고 고향 부여로 돌아가는 임하영을 편안히 귀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함께 여행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존주대의의식의 건축조형적 실천으로는 개성에 두문동서원을 창건했다. 시문학적으로는 화양구곡에 대해 지은 시와 「華陽九曲吟」를 통해 표출했다. 그리하여 두문동서원에서는 충절을 지킨 선현들을 참배하면서 그 의지를 견강히 했다. 화양구곡은 우암 송시열이 존주대의를 성지화한 명소였기에 탐방순례하여 그 의지를 견강히 하고자 했던 것이다. 지금껏 1인이 독자적으로 화양구곡시를 지은 사례는 있으나 2인 이상 동행한 사람들이 모두 화양구곡시를 지은 사례는 학계에 보고된 바가 없다. 이도 주목할 사항이다. 조선 땅에서 도학의 연원을 계승하고 춘추대의정신이 극명하게 표상화된 곳이 화양동이었다. 이렇듯 이들은 개성의 두문동과 충북의 화양동 두 곳을 존주대의 충절을 선양 보존한 대등한 성지로 인식했다. 그래서 그들은 화양동을 탐방하고 그 의지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이런 그들의 의식을 화양구곡을 읊은 시에 담았다. 첫째 杜門洞書院完工 自祝과 화양구곡기행에 대한 기대감, 둘째 화양구곡 道學 淵源과 그 계승의 현장으로 인식, 셋째 효종의 승하와 再造藩邦에 대한 想念 등이다. 이렇게 이들은 일제강점기 그들의 존주대의의식을 표출했다. 이들은 그런 의식을 문학을 통해 확산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5명이 지은 화양구곡시는 그 정경을 아름다운 시어와 비유법, 반어법을 사용하여 문예적 수준도 양호한 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시기 개별적으로 화양구곡에 대한 지은 시에 견줄 수 있다. 이민응의 「展拜尤菴宋先生」 3~4구를 보자. 대개의 경우 명나라 神宗의 글씨 ‘非禮不動’, 毅宗의 글씨 ‘玉藻氷壺’를 원용해서 재조번방의 공에 대해 존모의 뜻을 표했다. 이민응은 선조의 글씨 “萬折必東”를 원용해서, 우암이 존주대의를 聖地化한 사실을 표현했다. 이점도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湖西紀征>에 실린 華陽九曲에 대하여 지은 詩는, 일제강점기에 존주대의의식을 시에 표출한 시로, 그 시대적 구곡문학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Gong, Seonghak(孔聖學) and his companions 4 members had tripped to Hoseo district such as Songnisan, Buyeo and so on wh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37 and then had written book of Hoseogijeong(<湖西紀征>). Seonghak(孔聖學) had big pride of descendant of Goryeo refugee and he came from Gaeseong. Im, Hayeong(林河永) and Gong, Seonghak(孔聖學) and so on, they had served sacrifice for late Goryeo Dumundong 72 people. They had found Dumundong private school in Gaeseong in order to enhance Jonjudaeui(尊周大義) and loyalty. And they had published < Dumundongseowonji >. Im, Hayeong(林河永) from Buyeo, he had finished Dumundong Project of two types for 7 years and came back his hometown. They tripped Huayangdong(華陽洞) and Songnisan(俗離山) and Baekma river(白馬江) in order to see off Im, Hayeong who came back his hometown Buyeo(扶餘). We can know that they tripped together in order to Im' Hayeong's homecoming safety his hometown Buyeo after these people had finished Dumundongseowon(杜門洞書院) and then they had self-consolation(自慰) and celebration by themselves(自祝,) about their efforts and jubilation. There are so many meaningful it was fact that these people inquiried and composed Huayanggugok poems. At first, these people founded Dumundong private school in Gaeseong as a practice of building moulding in sense of Jonjudaeui(尊周大義). In the poetic literary, they expressed through the poems of Huayanggugok and 「Huayanggugokeum華陽九曲吟」. Thus, in the Dumundong private school, they tributed their ancient sages who kept loyalty and they would strengthen their will. They intended to strengthen their will by inquirying pilgrimage of Huayanggugok which was attraction of sacred place of Jonjudaeui(尊周大義) by Uam Song, Siyeol. Second, all this time there is not the case of over 2 people accompanied compose Huayanggugok poems at all but there is a case of 1 person composes uniquely the Huayanggugok poems. This is a notable point. Third, they imitated Juja(朱子)'s 「Muidoga」, poetic form such as Gugok poetry but they did not follow the rhyme(韻). Fourt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people had written Chunchudaeui(春秋大義) in Huayanggugok poems after tripped in Huayanggugok. Foundation purpose of Dumundong private school is to deny the Joseon Yeokseonghyeokmyeong(易姓革命)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o enhance the 72 people who hidden dwell in Dumundong and whose Dohakyeonwon(道學淵源),Chunchudaeui(春秋大義), and further Chunghyojeolui(忠孝節義). In the land of Joseon Dynasty , it was Huayangdong which was scrupulous representational place of Chunchudaeui(春秋大義) spirit and succeeded to Dohakyeonwon(道學淵源). Like this, they recognized two equal sacred places which were raised and preserved of Jonjudaeui(尊周大義) loyalty such as Dumundong in Gaeseong and Huayangdong in Chungbuk. So they inquiried Huayangdong and intended to make secure their will. They expressed their these senses into Huayanggugok poems. First, Dumundongseowon completion celebration by themselves and anticipation feeling of Huayanggugok travelog, Second, Huayanggugok, Dohakyeonwon and the recognition of succession site. Third, Hyojong King's Demise(孝宗의 昇遐) and an idea of Jaejobeonbang(再造藩邦)and so on. Like these, these people had expressed their Jonjudaeui sen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people can be about to spread through the literature by their sense. These 5 members had composed Huayanggugok poems. They can be evaluated literary level of good by use the beautiful poetic language of the sense, the metaphor. Therefore the period of individually I can compare the poems of composing Huayanggugok. Let's see Lee, Mineung's 「Jeonbaeuamsongsensaeng展拜尤菴宋先生」 3~4 stanzas. In the case of most, Myeong country Sinjong(神宗)'s letter, ‘Biryebudong(非禮不動)’, Uijong(毅宗)'s letter ‘Okjobingho(玉藻氷壺’) quoted and expressed the meaning of Jonmo(尊慕) about exertion of Jaejobeonbang(再造蕃邦). Lee, Mineung quoted King Seonjo's letter “Manjeolpildong(萬折必東)”, and he expressed the fact of making sacred places in Uam's Jonjudaeui(尊周大義). This point can be given difference. As the above examining, it can be given contemporary Gugok-literary meaning in Huayanggugok poems(華陽九曲詩) which expressed sense of Jonjudaeu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Hoseogijeong (<湖西紀征>).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秋浦 黃愼의 ‘科製四六’ 고찰

        김우정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of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answers in the parallel prose style ‘Gwaje-saryuk’科製四六 written by Chupo秋浦 Hwang Shin黃愼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wang Shin did not usually enjoy writing, and most of the posthumous works disappeared in the both wars, but he was excellent at the parallel prose so that it wa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Annals of Gwanghaegun光海君日記. ‘Gwaje-saryuk’ literally means ‘answer to the state examination written in the Parallel Prose’, collectively referring to the collection of a ‘gwapyo’科表, a kind of state examination answers in the parallel prose style. It consists of 10 articles, one of which is not a gwapyo, but seems to have been mistaken and mixed. Hwang Shin accurately understood and strictly operated the unique tonal rules formed within Joseon. His writing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studying state examination writings and parallel pros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s there are no forced or difficult phrases, and the sentences are natural even though they must comply with the Joseon-style tonal rules. 이 글은 조선 중기의 문신 秋浦 黃愼의 저술 ‘科製四六’을 조명해본 것이다. 황신은 평소 저술하기를 즐기지 않았던 데다가 遺稿도 兩亂에 대부분 소실되었지만, 光海君日記 에도 언급될 만큼 변문에 뛰어났다. ‘科製四六’은 말 그대로 ‘사륙문으로 지은 과거시험 답안’이란 뜻으로, 변문으로 작성된 科表 모음을 통칭한 것이다. 모두 10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1편은 정식 표문이 과표로 오인되어 혼입된 것으로 보인다. 황신은 조선 내부에서 형성된 독특한 평측 규칙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엄정하게 운용하였다. 그의 과표는 억지스럽거나 난해한 구절이 없고 가위법을 준수해야 함에도 자구의 운용이 자연스러워, 조선 중기 科文과 騈文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라고 평할 수 있다.

      • KCI등재

        牛疫에 대한 지식인의 인식과 고뇌양상 - 한시와 제문을 중심으로 -

        황만기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이 논문은 우역 발생시에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무엇을 고민했고 어떤 식으로 대처하였으며 어떻게 극복해갔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이전인 1636년 5월부터 우역이 시작되어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이듬해인 1637년에는 우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종자 개체수까지 사라질 정도로 그 피해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농업경영에 있어서 소의 부재는 일의 능률 저하, 수확 감소 등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생활의 삶의 기반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는 인간생활의 질적 저하는 물론 국가적인 큰 재앙이었다. 이때 안동의 선비 愚川 鄭侙은 우역의 심각성을 한시를 통해 고발하였고, 眉叟 許穆 역시 제문을 통해 우역의 심각성을 드러내었다. 비록 시기는 다르지만 18세기 봉화의 선비 立齋 姜再恒과 20세기 全南 谷城 長善里 출신인 韓圭桓도 제문을 통해 우역의 피해와 지식인으로서의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牛疫을 한문학과 접목한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나름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의학 분야와의 교신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what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were worried about when rinderpest occurred and how they coped with it. Rinderpest outbroke in May, 1636, before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and widespread in 1637 while going through the Manchu Invasion, and its damage was beyond imagination to the point that the population of the breed had disappeared. The absence of cows for agricultural management had direct impacts, such as lowered efficiency of work and decreased harvest, which led to the result that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was completely taken away. It was not only qualitative decline of human life, but also a national catastrophe. At that time, Woocheon Jeongchik, a classical scholar of Andong, reported the seriousness of rinderpest through traditional poems, and Misoo Heomok also revealed the magnitude of rinderpest a funeral oration. Even though the time was different, Ipjae Gangjaehang, a classical scholar of Bonghwa in the 18th century, and Hangyuhwan from Jangseonli, Gokseong, Jeollanamdo in the 20th century showed the damages by rinderpest and positiveness as an intellectual through a funeral oration. This research can be evaluat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rial to combine rinderpest with traditional poetry, and a broader communicativ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later.

      • KCI등재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서사윤송(書社輪誦)』 연구(硏究)

        장유승 ( Jang Yoo-seung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書社輪誦』은 李縡가 宋代 性理書에서 선발한 33편의 글을 엮은 책이다. 1752년 洪啓禧가 간행하였다. 『서사윤송』에 수록된 글은 성리학의 심화적인 이해를 위해 이재가 엄선한 것이다. 당시 출판 여건상 구하기 어려운 거질의 성리서에 산재한 글을 한 권으로 엮었다. 이 책은 이재의 강학 현장에서 활용되었고, 노론 문인들을 중심으로 전파되었다. 홍계희는 『서사윤송』의 말미에 月能六程을 부록으로 덧붙였다. 四書三經과 『서사윤송』을 9개월 만에 마치도록 짜여진 학습 과정이다. 홍계희의 월능육정 은 이재의 강학 사상과는 거리가 있지만, 체계적인 학습 과정을 제시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다. 주요 경전의 일일 학습량과 학습 기간을 엄밀하게 정해 두었으며, 학습 내용의 평가와 복습을 위한 과정까지 마련해 두었으니, 월능육정 은 근대적 교과과정에 가까운 학습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도 사서삼경의 학습을 필요로 하는 한국학 연구자에게 월능육정 은 효과적인 학습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eosayunsong(The summary for reading by turns in village school) is a book of 33 pieces of writing which Lee Jae selected from Neo-Confucianism text. It was published by Hong Gyehee in 1752. The pieces of writing in Seosayunseong were carefully selected by Lee Jae for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This book was used by Lee Jae in his classes and spread through the literary scholars of Old doctrine faction. Hong Gyehee added Wolneungryukjeong(The monthly steps for six subjects) to the end of Seosayunsong as an appendix. It introduces a way to finish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and main text of Neo-Confucianism in 9 months. It is valuable as a systemized method of learning. It is scheduled to learn the major scripture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strictly assigned daily programs. Consider that it offers programs for evaluation and review, Wolneungryukjeong is close to the modern curriculums. It can still be an effective learning guide for an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아속(雅俗)의 교차, 석북신광수가한시(石北申光洙家漢詩)에 나타난 "속(俗)"의 활용 방향

        김동준 ( Dong Jun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石北申光洙家[申光洙, 申光淵, 申光河, 申禹相등]에서 남긴 漢詩가운데 ‘俗’의 활용 양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작품을 택하여 그것의 문학적 가공 방식과 예술사적 맥락을 탐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문학의 통속화>라는 학회의 기획 논제가 한문학 영역에서는 적용되기 곤란함을 근거로 삼아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雅-俗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상층과 대비되는 민간의 삶과 언어적 유산, 그리고 범속한 사람이 욕망하는 통속적 정서’를 ‘俗’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2장에서 신광수가의 한시에서 주목되는 俗의 성분과 현전하는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3~4장에서는 ‘속’의 성분을 활용하여 형상화된 신광수가의 한시를 두 갈래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첫째는 俗의 雅文學化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활현장에서 취재한 속의 소재들을 활용하여 실감과 공감을 보유한 시 작품으로 전환해내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두 번째로는 艶情코드가 강화된 風流공간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통속적 욕망과 향유층 확장의 시적 전략을 고찰하였다. 우아한 풍류로 포장된 채 출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통속적 욕구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雅의 俗文學化현상이라 간주될 수 있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신광수가의 한시가 俗의 雅化와 雅의 俗化를 모두 보여준 사례였음을 확인한 뒤에, 이들의 시도가 金弘道·申潤福의 풍속화와 미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민간의 문학적 자산을 예술적 자산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 나아가 민간의 삶과 욕망에 주의했던 이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성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hose works that can be verified about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mong Chinese poems left by poets from the Seokbuk Shin Gwang-su’s family to explore its literary processing method, way of realization, and art historic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changing the society’s subject_‘popularization of literature’, discussion of grace-secularity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s. By doing so, ‘people’s life contrasted with the upper class and vulgar sentiment desired by the common crowd’ were set as the concept of ‘secularity’. In the second chapter, components of secularity notable in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were review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aspects embodied by using components of ‘secularity’ were divided into two prongs to be illuminated. First,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tendency of secularity’s turning into the graceful literature, whose gist is that they made use of materials in life to change them into the literary works that holds realistic and sympathetic feelings. Second, being targeted at the works in the space of having taste for arts where romantic feelings were strengthened, this researcher contemplated vulgar desire in it and poetic strategy of expanding the class enjoying it. Its substance is that they started by claiming to stand for grace, but resulted in embodying common desire. And in the last chapter, after diagnosing that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that utilized secularity were sharing aesthetic sense with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and Shin Yun-bok, it is suggested that they used folks’ literary asset as the artistic one and that they reflected the art historical flow of the former times when artists had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life and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