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성의 관점에서 본 노인 돌봄 경험과 역할전환에 관한 연구

        최인희(In-Hee Choi),송효진(Hyo-Jean Song),지은숙(Eun-Sook Jee),정다은(Da-Eun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최근 한국사회의 노인돌봄과 관련한 대표적인 변화는 ‘남성(남편, 아들 등)’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제한이 있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임. - 그러나, 기존 국내 노인돌봄 연구는 ‘여성’ 돌봄자의 돌봄 경험, 부양부담 및 부담경감 방안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돌봄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transition) 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됨. - 국외에서는 증가하는 남성돌봄자의 이슈를 탐색하기 위해 돌봄 수행방식 및 주돌봄자가 인지하는 노인돌봄 부담에 있어서의 성별차이(Akpinar et al., 2011; Montgomery, 1992; Pinquart & Sorensen, 2006; Stoller, 1992), 남성의 노인돌봄 경험(히라야마 료, 2015; Pretorius et al., 2009; Ribeiro et al., 2007; Sanders & Power, 2009) 및 남성성이 남성돌봄자들의 노인돌봄 경험에 미치는 영향(Baker et al., 2010; Russell, 2007)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노인을 돌보는 남성돌봄자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된 바 있으나(이순미·김혜경, 2009; 최희경, 2012a) 남성들의 돌봄 경험을 면밀히 탐색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음. - 이에 본 연구는 남성들의 노인돌봄 경험을 남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돌봄을 둘러싼 젠더정체성 및 가족관계 변화양상을 포착하여 선제적인 가족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남편, 아들 등)에 의한 노인돌봄 현황 및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정책지원 욕구를 파악하여 제도보완 및 남성 가족돌봄자를 위한 정책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임. 2. 연구의 주요 내용 □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현황(예: 돌봄기간, 시간, 돌봄 이유, 돌봄자 및 요보호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망 등) 및 돌봄부담(burden)은 어떠한가? - 둘째, 남성이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게 되면서 경험하게 된 변화(예: 관계적 측면, 돌봄의 의미 등)는 무엇인가? - 셋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 넷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지원 정책(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에 관한 인지도 및 이용 경험, 정책지원 욕구는 어떠한가? 3. 연구방법 □ 문헌 연구 -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노인 돌봄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우리나라와 일본의 가족돌봄자 지원제도에 관한 자료를 검토하였음. □ 2차 통계자료 분석 -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경희 외, 2014)를 활용하여 요보호노인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 가족원 중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 및 주당 돌봄시간 등을 분석하였음. □ 설문조사 및 분석 - 조사대상은 일상생활을 스스로 영위할 수 없는 55세 이상 노인을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주당 15시간 이상 돌보고 있는 가족원 중 남성(남편, 아들 등) (N=247)으로 설정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수행하였음. 조사표는 1) 가족 및 돌봄대상자 특성, 2) 돌봄현황, 3) 사회적 지지, 4) 응답자의 건강 및 경제활동, 5) 가치관 및 삶에 대한 태도, 6) 정책지원 욕구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남성의 돌봄 현황 및 돌봄 부담, 역할전환 과정,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을 파악하였음. □ 심층면접 조사 및 분석 - 남성돌봄자의 돌봄 경험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할 수 없는 배우자 또는 부모를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1주 평균 15시간 이상 돌보는 남성(17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을 수행하였음. 심층면접에서는 돌봄 상황 및 관계적 특성이 돌봄에 미치는 영향, 돌봄 경험의 의미,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에 대해 살펴보았음. □ 전문가 자문회의 -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연구설계 및 방법, 정책대안에 대한 관련 부처 및 전문가 자문의견을 수렴하였음.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점 □ 본 연구는 그동안 제한적으로 수행된 연구인 ‘남성’ 가족돌봄자의 노인돌봄 경험을 탐색하고,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음. - 그러나, 노인을 돌보는 남성 가족돌봄자 모집단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임의할당추출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음. - 남성돌봄자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여성돌봄자와의 돌봄 경험 및 부양부담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 The number of male family caregivers in Korea, especially those providing spousal caregiving in old ag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since women have long predominated in the family caregiving role,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by males in terms of the breadth and depth of care work and its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husbands and sons providing care to a spouse or parent(s) aged 55 and older who showed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for a period of at least six month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purposive sample of 247 male caregivers who served as the primary care providers for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models were obtained using SPSS Statistics.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male caregivers were conduct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 comprehensive content review of all data, including line-by-line analysis, was conducte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pproximately one-fourth of respondents identified personal bonds as being their motivation for taking care of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The average caregiving period was around 47.7 months, and respondents spent approximately 34.1 hours per week on average on caregiving. Second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aregiving to be burdensome to some degree, especially in the areas of assistance with bathing (52.9%), voiding (49.5%), household management (44.6%), and meal preparation (50.6%).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on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caregiving was balancing a personal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and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 initial phase of caregiving was the most difficult as they made the transition to the new role as caregiver and restructured their life. In addition, spousal caregivers generally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caregiving burden compared to son caregivers sin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older, unhealthier, and have fewer resources. However, a majority of male caregivers also found caregiving to be a very rewarding experience in that they felt useful (72.9%) by providing care to a dependent family member or they had grown closer to their dependent spouse or parent(s) as a result of the caring (54.7%). Thirdly, about 65%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econdary caregivers available to support them regularly in their caregiving. This finding supports previous research in which male caregiver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have access to additional informal caregivers than were female caregivers. Fourth, although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were aware of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benefit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ere receiving LTCI benefits was relatively smaller. Likewise, while approximately 80% of respondents reported being satisfied with the overall services available,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ervice adequacy, especially in-home care service, was insufficient for assisting family caregivers with balancing work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They also suggested that overall service quality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both older adults and family caregivers.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use of LTCI benefits was not a predictor of male caregivers’ burdens.

      • SCOPUSKCI등재

        효율적인 지역사회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 보건소의 가족단위 방문간호사업을 중심으로-

        최인희,Choi, In-Hee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1 No.1

        In recent years,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s of the health centers in Korea have been shifted from individual sick persons to families as a unit. As a result, the home visiting care records which are all filled out manually, will be increased. Since there is virtually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munity health nurses, the CHNs are required to work more efficiently. One of the ways to make the CHNs' work more efficient is to reduce recording time by using a computer. However, a computer system that can manage the families as a unit has not yet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need, we developed a database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home visiting care service. The family assessment data is collected. diagnos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amily diagnosis classification. The system for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seven areas. Those areas are family structure. maintenance of the family system, interaction and interchange. support. coping and adaptation, health management. and housing environment. The areas of the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99 items in all. We expect the following from this system. First. the CHNs will be able to identify family problems more easily. Second. the community's health level can be confirmed by the statistics the system produces. Thirdly, the CHNs' nursing services will be cost effective via reduced recording time. Finally, the family problems of the sick individuals which have been neglected under the health system oriented on individual persons can be effectively managed.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노인돌봄의 변화에 대한 연구

        양난주 ( Nan Joo Yang ),최인희 ( In Hee Cho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한국에서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요양욕구가 인정된 모든 노인에게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이라는 사회적 지원을 제도화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 노인돌봄의 사회적, 제도적 환경은 새롭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서 가족돌봄의 위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이를 위해 공식적인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에 대한 가족돌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공식과 비공식, 제도적 서비스와 가족돌봄의 통합으로서 노인돌봄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안에서 공식적 돌봄의 역할과 가족돌봄에서 일어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이용하는 가족돌봄자(노인의 배우자 및 자녀) 중 재가서비스 이용자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내용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된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등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개별 사례별로 상이한 비중과 의미로 이용되고 있었다. 공식돌봄과 비공식 가족돌봄의 결합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서로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인돌봄을 구성하는 양상, 가족돌봄자가 다양한 돌봄자원을 동원하며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돌봄혼합의 양상, 중증노인이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형성되는 노인돌봄의 양상, 그리고 무엇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실화과정에서 공식돌봄과 비공식돌봄을 일치시키는 변종(hybrid)방식으로 가족요양보호사 방식의 노인돌봄 양상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화되고 공식화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서비스 이용이 실제 다양한 노인의 욕구와 가족돌봄자원이라는 현실을 만나면서 다양한 노인돌봄의 양상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을 드러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이는 노인돌봄이 공식, 비공식 돌봄의 결합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며 공식적 돌봄서비스의 공급이 실제 가족돌봄의 조건과 현실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에서 노인이용자의 삶의 조건이자 공간으로서 가족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that family caregivers have experienced since using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LTCI) syst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services offered within the LTCI program had affected family caregiving and what changes they had incurred.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how that the LTCI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caregiving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although burdens that family caregiver perceived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s of service that the family selected, and assigned family caregivers different identities and diverse roles(i.e., service user, family caregiver, certified care provider) depending on the service they use. The phenomenon of ‘certified family care provider’, which was not an intention of LTCI, demonstrates the practical need of elderly persons who require both care and the comfort of family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Despite the positive impact of the LTCI policy on the family caregivers’burden and family relationship, the current LTCI system should be modified in order to better meet the needs of beneficiari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TALIS 2018에 나타난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 특징과 유형 분석

        최인희(In-Hee Choi),김혜진(Hyeji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교사협력이 다양한 양상과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하에,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의 특징이 어떠하며 이러한 협력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상적 협력’, ‘공동교수활동’, ‘학습공동체 참여’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이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협력활동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활동 양상에 따라 잠재집단으로 구분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최상위 집단’, ‘공동교수활동 참여 저조 집단’,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 ‘전반적 최하위 집단’의 4개 집단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연구 대상 중 ‘전반적 최하위 집단’과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에 속한 초등교사의 비율이 약 85%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교직선택동기, 인지활성화 교수활동, 교사의 자기효능감, 동료교사의 혁신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협력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성과 점검 및 방향 재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consist of three sub-factors: daily exchange and coordination, co-teaching, learning communities. Second,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uggest that four latent profile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y are named as ‘top-level’, ‘low co-teaching’,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ottom-level’. Among samples, about 85%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and ‘bottom-level’ profiles. Third,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motive, cognitive activation teaching, self-efficacy, innovative climate have influence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nitoring policy outcomes and re-establishing the purpose of policy supports.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교수활동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2018년과 2022년 두 시점을 중심으로

        최인희(In-Hee Choi),김혜진(Hyeji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교수활동이 새로운 교육환경에 대응하여 변화하였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활동의 질을 개선하고 학생 배움 중심의 교수활동을 변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넘어서 실제 교수활동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TALIS 2018 자료와 2022년에 동일한 문항으로 수집한 자료를 통합하고 합동최소자승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교사의 교수활동은 4개 영역(수업구조화, 학생 인지활성화, 강화활동, 수업분위기 관리)으로 구성하였으며, 2018년 대비 2022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구조화 활동을 실천하는 빈도가 증가한 반면 학생 인지활성화 활동과 강화 활동의 빈도는 줄어들었다. 교사의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직 선택 동기,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자율성, 학교 규모를 도출하였고, 교사협력, 평가활동과 같은 직무수행 행위와 교수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료교사와의 협력활동과 평가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혁신적 교수활동인 학생 인지활성화와 강화 활동을 실천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교사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eaching practi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comparing the year of 2018 and 2022. By combining TALIS 2018 with the data collected in 2022, the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empirically, and factors influencing them were examined through pooled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eaching practices composed of four areas, which were clarity of instruction, cognitive activation, enhanced activities, and classroom management.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clarity of instruction increased, while cognitive activation and enhanced activities decreased. In addition, teaching motiva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utonomy, and school size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teaching practices. Teacher collaboration and assessment activities were 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ve teaching practices, such as cognitive activation and enhanced activities.

      • KCI등재

        출생순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1961-2015)

        최인희 ( In-hee Choi ),김현주 ( Hyun-joo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5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국내 출생순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과 한계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1년부터 2015년까지의 출생 순위에 대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113편을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게재 현황은 1990년대부터 늘어나 2000년대에 들어 약 2배 이상의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초등 학생 아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취학 전 아동, 청소년, 양육자, 성인 그리고 노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인기 이전이 연구대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은 형제 또는 또래 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격, 발달, 부모변인, 자아개념, 적응, 학업 및 진로, 동향 및 실태, 성역할, 상담개입, 척도에 관한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실험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그리고 개발연구의 순서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미 및 제한점, 그리고 출생순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birth order in Korea and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in birth order studies. A total of 113 articles (1961-2015) were categorized by content and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started to increase in the 1990s and was almost doubled in the 2000s. Second, the most popular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ed by preschool students, adolescents, care givers, adults, and the elderly. Most of the subjects were preadult. Third, the biggest number of studies were about relations between siblings and peers followed by personality, development, parent factors, concept of self,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career, state and trends, gender role, counseling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scales. Fourth, the most popular research method was survey research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developmental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birth ord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최인희(In-Hee Choi)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이 중학교 이후의 진로성숙도(자기이해, 진로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탐색하였다.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고,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각 조사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변수와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미달 여부에 따른 집단을 나타내는 변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부모(가정), 학생, 학교 영역의 배경 및 과정 변수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원점수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기초미달로 분류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더 낮았으나, 영향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는 자기이해, 진로계획성에서 기초미달 집단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태도에서는 독립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기초미달에 속한 학생들의 평균이 모든 조사시점에서 더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으로 포함된 변수들 간의 복잡한 관련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진로성숙도 관련 연구와 진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below-bas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on vocational maturity using 1st through 7th year data of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current study employed the latent growth model to investigate changes in vocational maturity and used time variables indicating measurement occasion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 variable indicating whether the student was classified into the below-basic achievement level whil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family-, student-,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w scores for vocational maturity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and attitude toward work) in the below-basic achievement students (the foc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were never classified into the below-basic achievement level (the reference group) across five occasions.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the scores in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lanning of the foc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group. Still, in attitude toward work, the scores of the foc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group. These results imply complicated relations among vocational maturity, academic achievement, and othe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vocational maturity and care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 KCI등재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패널무응답 유형 분석 : 잠재계층모형을 중심으로

        최인희(In-Hee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에 나타난 패널무응답의 유형을 살펴보고, 패널무응답 유형에 따라서 잠재계층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최종 표본유지율은 약 53%였고, 약 80%의 응답자가 총 12회의 조사 중 1회 이상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패널무응답 유형에 따라서 세 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초기에 이탈한 “중학교 이후 이탈 집단”과 성인기로 진입한 이후 점진적으로 이탈한 “고등학교 이후 이탈 집단”, 조사에 꾸준히 참여한 “지속 참여 집단”이었다. 패널무응답 유형에 따른 잠재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개인의 특징으로는 여학생인 경우, 중학교 재학 당시의 진학목표가 낮을수록, 학업성취수준이 낮고, 학업 관련 비동조 행위의 빈도가 높을수록, 중학교 재학 중에 전학을 한 경우 초기에 이탈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가정과 학교의 특징으로는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하였던 학생일수록 조사에서 초기에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nel nonresponse types in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and existence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panel nonresponse types. The final response rate of KELS 2005 was roughly 53% and about 80% participants did not respond to the survey more than once out of the twelve times of survey implementations. The results from latent class analysi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classe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panel nonrepons types: (1) panel attrition class after graduating middle school who left the panel in early stage, (2) panel attrition class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who left the panel gradually after entering adulthood, (3) consistently participating class.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panel nonresponse types suggests that participants who are female, whose education goal was low while attending middle school,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poor, who conducted unexemplary learning behaviors frequently, and who transferred to another school while attending middle school a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early attrition class. Additionally, participants whose mother education level was high, whose household income was high, and who attended middle school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are more likely to leave the panel in early stage.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워크북 활용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최인희(Choi, In-Hee),김윤경(Kim, Youn-k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위하여 전래동화와 전통놀이를 기반으로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효과를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조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2014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총 168명(실험군 81명, 대조군 87명)의 경도인지장애 대상자에게 10회기의 12주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F=17.50, p=<.001)과 삶의 질(F=6.54, p= .011)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도구적 일상활동(F=0.05, p=.825)과 우울(F=0.08, p=.774)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tales and games using the workbook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he participants were 168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xp.=81, Cont.=87) and served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a workbook from September 2014 to December 2014.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for 12 weeks and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he program with the workbook on each week. After accomplishment of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experimental group identifi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cognitive function (MoCA-K F=17.50, p=<.001) and quality of life (F=6.54, p= .011)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not f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0.05, p=.825) and depression (F=0.08, p=.774).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a work is effectiv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