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사회불안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의 반응특성의 관계

        최윤녕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the DAS test as an instrument to measure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by looking in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actions on Draw-a-Story tes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55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city. The instruments included Silver's story and drawing test and an adolescent social anxie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ross-tabulation on SPSS 18.0. First, in regards to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anxiety than male students. Second, in regards to gender differences in reactions on DAS, male students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self-images than female students. Thir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anxiety and emotional scale and self-image scale on DAS. That is, the adolescents in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described more negative situations, relationships, or unhappy images of self than those in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DAS. DAS was more related to the social anxiety of female students than to male students. Fourth, among 14 stimulus drawings,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chose stimulus drawings such as a parachute, a knife, and a castle more than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sibility of DAS to be used as an instrument to measure adolescents'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불안과 DAS의 반응특성을 파악하여 DAS가 중학생의 사회불안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355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Silver의 이야기 그림검사와 청소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내적일치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상관분석과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불안의 수준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대인불안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DAS의 반응특성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정적인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많이 표현하였다. 셋째, 사회불안과 DAS의 정서내용 척도와 자기상 척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의 청소년일수록 부정적인 상황이나 부정적인 관계와 불행한 자기상을 표현하였다. DAS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사회불안 특성과 관련성이 높았다. 넷째, DAS의 14가지 자극그림들 중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낙하산’, ‘칼’, ‘성’ 자극그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DAS 검사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관계적 이해를 위한 수업 도구로서의 소프트웨어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최윤녕,권오남,황혜정 대한수학교육학회 1999 학교수학 Vol.1 No.2

        Although ‘to understand mathematic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urpose, most student do not have a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mathematics but have a instrumental understanding.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computers for enhancing relational understanding. In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ree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grade at E-High school took part in 7 activities during four weeks, and were later interviewed and engaged in informal discussion and were observed. This i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three students were passive participants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situation at school. Therefore, student B just applied formulas which she had memorized, and student C would forgot the formulas occasionally. These common students need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doing mathematics. 2. The activities utilized two software healing with connection between graphs and function, giv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lan, practice, and test by themselves. As a result, they understood the mathematical formulas and rules more deeply through their own trial and error, and then they gained thinking abilities necessary for doing mathematics. In addition, the activities boosted their confidence. 3. The understanding type of students was slightly different. Student A who received a high score, understood the most relationally, but student B who received a very high score, understood instrumentally and so couldn't app1y her knowledge to solving problems related to function concept. Student C who received a middle score lacked knowledge of mathematics but thought more creatively. The result is that students need an opportunity to think rotationally regardless of scor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using computer software will provide a positive effect for relational understanding in loaming function concept.

      • KCI등재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윤녕,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 포커싱 미술치료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서 가족복지상담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의 참여자들은 학업과 직장의 업무 혹은 학업과 가정의 일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공통점을 작고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체험을 하였는지 탐색하고 포커싱 미술치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는 4회기, 총 12시간 실시되었으며, 실시 후 참여 경험에 대한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Van Kaam의 현상학적인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어 총 67개의 의미 있는 진술, 15개의 부주제, 6개의 주제,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1은 포커싱의 경험으로 ‘감각느낌 접촉’과 ‘감각느낌의 인식’으로 분류되었고 범주2는 내적인 탐색의 경험으로 ‘자기탐색의 시간’과 ‘미해결과제의 탐색’으로 범주3은 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것으로 ‘미술이 주는 독특함’ 과 ‘미술활동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탐색과 의의에 대해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and examine the mean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by conducting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for six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amily welfare counseling. The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consisted of 4 sessions and took 12 hours in total.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Data was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Kaam, and sorted into 67 meaningful statements, 15 sub themes, 6 themes, and finally 3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focusing experiential including the 'felt-sense' and ‘recognition of felt-sense'. The second category was experience of internal exploration including ’self-seeking time' and 'explore unresolved challenges'. The last categories was art therapy experiential such as, 'the unique experience of art' and 'burden of using art media' Focusing on these results,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 of focusing- oriented group art therapy was presented.

      • KCI등재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윤녕(Yun-nyeong Choi),김갑숙(Gab-sook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심리치료 관련 박사학위 과정 재학 이상이며 경력 6년 이상의 심리치료사 5명으로 자료의 수집은 사전면담과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사후면담으로 이루어졌다.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총 22개의 하위 주제와 6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은 심리치료사로서 자신들이 처한 물리적, 정서적인 요인으로 인해 힘들고 지친 상태로 꾸준한 자기 돌봄이 필요하다. 둘째, 참여자들은 감각느낌과 감각전환을 통해 자신에게 집중하여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나아갈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미술 매체와 미술작업이 감각느낌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포커싱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 참여를 통해 지지와 공감이 촉진되고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 돌봄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다섯째, 포커싱 집단미술치료는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수용할 수 있게 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치료사로서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 내면에 집중하고 매 순간 자신에게 머물게 하는 포커싱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psychotherapists' experiences with self-car-focused group ar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psychotherapists with at least 6 years of experience in a doctoral degree program related to psychotherap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2019 to October 2019 through pre-interviews, 10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and post-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and 22 sub-themes and six essential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in a difficult and exhausted state due to the physical and emotional factors related to being psychotherapists. This state can directly affect the client, so continuous self-care is necessary. Second, participants could focus on themselves through a felt sense and feel a shift, look inside,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Fourth, through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support and empathy were promoted, and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care. Fifth, focusing group art therapy became a driving force to help clients and participants’ themselves by allowing them to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grow as a therapi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

      •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최윤녕 ( Choi Yun-noung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나 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연구대상은 교사 100명과 유아 30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평가할수 있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0.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라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은 모두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각 하위요인들 간에 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각 하위요인들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하위요인들 중에서는 `인격`이 가장 큰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배려적 사고와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어떻게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연관되는지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을 좀 더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에 바람직한 유아기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배려적 사고가 포함된 인성함양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인 교사의 인성함양 노력이 교육현장에서 실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0 teachers and 300 young children. Preschool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their own consideration think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sub-scales of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and the sub-scales of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sub-scales of preschool teachers` consideration thinking on the sub-scales of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굴삭 자동화를 위한 레이저 스캐너 기반의 3차원 객체 탐지 알고리즘의 개발

        유현석,박지운,최윤녕,김영석,Yoo, Hyun-Seok,Park, Ji-Woon,Choi, Youn-Nyung,Kim, Young-S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6

        2006년부터 한국에서 개발중인 지능형 굴삭 시스템(IES)은 이동, 굴삭, 상차를 포함하는 굴삭 작업 일련의 과정을 전자동으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로서, 굴삭 로봇 주변 지형의 3차원 모델링과 상차트럭의 위치, 사람의 접근, 이동경로상의 장애물 등의 객체를 정확하게 탐지하는 기술은 굴삭 자동화 장비의 작업 품질과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요소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능형 굴삭 로봇 주변의 지형과 객체를 3차원으로 탐지함으로써 자동화 굴삭 작업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삭기 주변의 3차원 지형으로부터 객체의 위치, 높이, 너비, 형상 정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토공현장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The intelligent excavating system(IES), the development in South Korea of which has been underway since 2006, aims for the full-scale automation of the excavation process that includes a series of tasks such as movement, excavation and loading. The core elements to ensure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automated excavation equipment include 3D modeling of terrain that surrounds the excavating robot and the technology for detecting objects accurately(i.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nearby loading trucks and humans as well as of obstacles positioned on the movement path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sure the quality and safety of automated excavation detecting the objects surrounding the excavating robot via a 3D laser scanning system. In this paper, an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location, height, width, and shape of objects in the 3D-realized terrain that surrounds the location of the excavator was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was verified via tests in an actual earthwork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