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난영의 눈물

        최유준(Choi Yu-jun)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한국인물사연구 Vol.20 No.-

        Lee Nan-young is one of Korea"s most famous female singer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who sung a well-known popular song, "the Tears of Mokpo". Since liberation, Lee has been consistently interpellated as a code of nationalistic lo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presented by the lyrics of her song "the Tears of Mokpo". Her musical ego had been always prescribed and defined by external forces even after liberation, and she had to accept it as herself. Though it may be the part of entertainers" common destiny, Lee had no choice but to embracing her fate in a self-destructive way, involved in cultural politic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going through time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War, and the era of harsh ideology of the Cold War.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points on which Lee Nan-young"s private desires were distorted or frustrated by the contradictory systems of reality. Her persona, interpellated in disparate and over-layered ways by demands of rapidly changing modern lives, had been repeatedly twisted and finally reached self-destruction. It may belong to her tragic personal affairs, but her innermost private experiences(her persuit of desires and loss of self, and hardship of life originated in her husband"s being abducted to North Korea, etc.) are likely linked to those of Koreans in general who commonly went through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 Korean history stained by the tragic war. Lee Nan-young"s songs and her successes and failures as an entertainer represent those linking points in a fragmented and metaphoric way.

      • KCI등재

        재현과 연행 사이, 오월을 기념하는 소리들

        최유준 ( Choi Yu J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음악과 노래는 ‘누구의 목소리가 들려지는가’라는 직접적(은유가 아닌) 물음의 형태로, 음악 그 자체만이 아니라 오늘날의 일상적 삶의 조건을 (많은 경우 들려지지 않는다는 ‘침묵’의 사태를 통해) 재현하고 있다. 소설과 영화, 현대미술 등 다른 예술 분야에 비해 5ㆍ18에 대한 음악적 재현의 시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는 것, 5ㆍ18 기념과 재현과 관련하여 특기할 만한 음악작품 창작이 사실상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까지의 기간에 멈추어 있다는 점은 5ㆍ18을 기억하는 음악적 연행이 ‘오월 운동’의 어느 시점으로 정향된 관습화된 의례에 묶여 있다는 점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5ㆍ18과 관련하여 음악은 ‘당사자의 기억’을 넘어서 “공공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억”이라고 하는 ‘기념’의 의미에 좀 더 충실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Music and songs are in the form of a direct (not metaphoric) question of "who's voice can be heard," reproducing not only the music itself but also the conditions of today's daily life (through, in many case, the "silent" situation that they are not heard). Compared to other art forms such as novels, movies, and modern art, there seems to be fewer musical attempts to represent May 18. And the creation of noteworthy music works related to the commemoration and representation of May 18 has actually stopped in the 1980s and early 1990s.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usical act of remembering May 18 is tied to a customary ritual that is oriented to a certain time period of the May Movement. Regarding May 18, music is required to go beyond "the memory of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and be more faithful to the meaning of "commemoration," that is, "memory made at the public level."

      • KCI등재후보

        블루스와 "슬픈 음악"의 정치학

        최유준 ( Yu Jun Choi ) 한국음악학학회 2012 음악학 Vol.20 No.1

        ``슬픈 음악``은 음악 그 자체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음악이 매개하는 복잡한 사회적 관계망을 함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따라서 그 자체로 정치적인 맥락을 전제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정체성과 그들의 정서를 표상하는 블루스가 음악적 소통의 보편성을 획득하는 과정은 대중음악 영역에서 ``슬픈 음악``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에 풍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 나는 ``블루스``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일면을 고찰하는 가운데, 이 용어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만이 아니라 비서양인으로서 한국인들 자신의 정서적공동체와 연결시킬 것이며, 나아가 문화론적 견지에서 이 용어의 탈식민주의 적 의미 확장을 시도할 것이다. 나는 블루스를 (서구화된) 청취 관습상의 안정적 음질서로부터 이탈하는 낯선 소리들을, 그러한 낯선 소리가 함축하고 있는 상실의 기억들을, 그러한 상실의 기억들과 연관된 슬픔의 정서를 정체성 정치의 맥락에서 표상하는 대중 매체 시대의 문화론적 기제로 다룰 것이다. ``Sad music`` implies no less complex social relations music mediates than music itself. It becomes, therefore, political matter. Blues, representing African American ethnic and emotional identity, has acquired some universal meanings in musical communications during the 20th century. This cultural process suggests points of view from which we can explore the meanings of ``sad music`` in the field of popular music. I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I will relate the term ``blues`` not only to African Americans but also to the emotional community of Koreans as non-Westerners, and make an attempt at expanding its implication to the postcolonial levels. In this sense, I define blues as a culturological mechanism in the era of mass media, representing the ``alienated tone`` deviated from the stable(Westernized) tonal order in the pre-existing convention of listening, and the memories of loss it implies, and its related emotion of sadness, in the context of identity politics.

      • KCI등재

        일반논문 : 대중음악과 호남 사투리의 감성 정치

        최유준 ( Yu Jun Choi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한국 대중음악에서는 사투리 부재 현상이 두드러진다. 선율법적 의미의 지역적 토리는 말할 것도 없고, 가사 텍스트의 사투리 또한 한국 대중음악에서는 사실상 거의 종적을 감추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대중음악이 풀뿌리 민중의 음악으로서의 가능성을 여전히 갖고 있다고 한다면, 오늘날의 총체적인 사투리 부재 현상은 극복되어야 할 한국 대중음악 일반의 미적 과제가 될 것이다. 비정상적인 수도권 집중의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을 겪어 왔지만 한국 대중들의 적어도 절반 이상은 사투리를 자신의 일상 언어로서 쓰고 있다. 한국의 전통 민요는 이러한 민중들의 일상 언어를 타자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고유한 음악 언어로 승화시켜 왔다. 대중음악의 근대성은 전통 민요와의 일정한 단절을 내포하지만, 그 진정성은 대중들의 일상 언어와 맞닿아 있을 수밖에 없다. 전라도 사투리는 매우 음악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의 주류 계층으로부터 크게 소외되어 있다는 점에서 미국 흑인들의 사투리와 닮아 있다. 전라도 사투리의 감성적 복권이 한국의 대중음악을 다른 수준으로 이끌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The absence of dialect is remarkable in Korean popular music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dialect is totally removed both in lyrics and tori(modes) in Korean popular songs. This should be an aesthetic problem for the Korean popular music scene to solve, if popular music in general retained its potential for the grass roots music. While Koreans have been experiencing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ccompanied by the extreme concentration into the capital region, at least half of them are still speaking in dialects in their daily lives. Korean traditional folk musicians originally used regional dialects for their unique musical languages. Although the modernity of popular music illustrat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raditional folksongs, its authenticity should meet the colloquial language of the common people. There are some parallels between the dialect of Jeolla province and the African American black English,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in the 20th century American popular music, in that both are musically affluent and socially alienated. That is the reason why I expect that the emotional rehabilitation of the Jeolla province dialect could lead Korean popular music to a different level.

      • KCI등재

        국민과 대중 사이, 신민요와 혼종의 민족주의

        최유준 ( Yu-jun Choi ) 민족음악학회 2017 음악과 민족 Vol.0 No.54

        18세기 후반 독일의 계몽주의자 헤르더는 “배우지 못한 감각적인 민중의 노래”라는 의미에서 ‘민요’라는 개념을 제기했다. 민요에 주목한 헤르더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서구 근대의 이성중심적 사유가 놓치고 있었던 인간의 감성적 차원으로서의 “어두운 힘”을 포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클래식음악’으로 지칭되는 서양 근대의 시민음악이 합리적 담론을 위한 ‘공론장’의 음악이었다면, 민요는 감성적 힘들의 “마주침과 변용”이 일어나는 ‘공감장’의 음악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반도에서 민요 개념은 근대성과 식민성이 중첩되면서 서양의 경우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의미와 재현의 층위를 갖게 되었다. 한반도의 노래와 가창 양식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반 사이에 근대적 분화 양상을 보인다. 1920년대에 새롭게 ‘민요’에 주목한 식민지 조선의 엘리트들은 헤르더의 민요론을 민족주의적 방식으로 수입한 일본의 민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식민지 조선의 음반산업계에서 부상했던 ‘신민요’는 조선 민요의 근대적 재현 공간 내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식민지조선의 음반산업에서 신민요의 담당 주체는 한편으로 당시의 지적 유행 담론으로서의 민요론을 의식하면서도 자본주의적 흥행 논리를 의식하고 청중의 욕망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여타의 민요 양식과 달리 ‘대중가요’의 한 갈래로서 성립된 신민요는 초민족적이고 초국가적인 양식 혼종을 수용했다. 민요가 지역성을 담은 집단의 목소리를 상징하고 재현한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민요와 ‘신민요’가 담당했던 재현의 공간은 21세기 문화적 전 지구화의 현상황에 비추어 정치적으로 재해석해볼 가치가 있다.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J.G. Herder, who focused on “Volkslied” (folk song) as an “sensuous song of the uneducated people”, was part of the effort to capture the “dunkle Kraft” (dark force) in terms of human emotions that had been overlooked by reason-centered thinking in the modern West. While bourgeois music in the modern Western world, commonly referred to as “classical music,” was music in the “public sphere” for rational discourse, folk songs could be defined as music in the “sympathetic field,” where “recontre and affection” of emotional forces occurred. As modernity and colonialism overlapped in the notion of folk song in the Korean Peninsula, it developed a much more complex layer of meaning and representation than in the West. A modern division of songs and singing styles in the Korean Peninsula began to appear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elite in colonial Joseon who first referred to “folk songs” in the 1920s were affected by Japan’s folk song discourse, which imported Herder’s notion of folk song in a nationalistic way. “New folk songs”, which emerged in the music record industry of colonial Joseon, occupied a unique place in the modern representation of Joseon folk songs. Agents of new folk songs in the music record industry of colonial Joseon had to be conscious of the folk song discourse as an intellectual discourse of the time, while recognizing the capitalist logic of commercial succes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dience’s desire was headed. In this regard, new folk songs, which were established as a branch of “popular songs” different from other folk songs, accepted a transnational hybrid style. Given that folk songs symbolize and represent voices of regional groups, the representational field of folk songs and “new folk songs” in colonial Joseon is worth reinterpreting politically in light of the cultural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마주침으로서의 근대와 포스트식민 시대의 한국음악

        최유준 ( Yu-jun Cho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1

        이 논문에서 나는 동시대 한국음악의 단면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고찰하면서 음악에서 대안적 근대성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주체와 타자의 마주침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근대성의 유동적 감각을 찾는 것이 이러한 대안적 근대성 탐구의 과제이며, 최근의 지구화 상황은 이러한 과제를 탐구하기 위한 물질적 토대를 제공한다. 2000년대 이후로 한국 전통음악계에서 `퓨전`의 경향이 빠르게 형성되었고 2010년대 이후로 특기할 만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첫째로 제도적이거나 민족적인 경계를 넘어선 음악적 협력작업들이 빈번하게 시도된다. 둘째, 민족주의적 방식이 아니라 개인주의적 방식으로 `소리` 요소를 이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셋째, 국악계가 음악제도적 경계를 허물고 사실상의 모든 음악 장르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식민적 근대성에서 지구적 근대성으로 이행하는 한국문화의 징후로 파악될 만하다. 하지만, 탈식민의 대안적 주체는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들을 넘는 만남과 마주침을 통해서만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또한 자기 과거와의 새로운 방식의 마주침을 필요로 한다. In this essay,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musical modernity,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Korean music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It is the task of exploring alternative modernity to find a flexible sense of modernity in the encounter with the other of subjectivity.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ization provides the material basis for this task. Since the 2000s, a rapid trend of `fusion` arose in the Korean national music field, and the following distinct changes were noted in years after the 2010s. Firstly, musical collaborations across institutional or national borders are frequently conducted. Secondly, a growing number of cases are taking advantage of sori elements in individualistic ways rather than nationalistic ways. Lastly, the national music (kugak) field dismantles the boundaries of musical institutions and embraces virtually all genres of music. This trends can be defined as a cultural signal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Korea, moving on from the stage of colonial modernity to that of global modernity. The alternative subjectivity of de-coloniality, however, cannot be constructed only with meetings and encounters that surpass the boundaries of ethnicity and nation. It also needs to encounter the past of oneself in a new way.

      • KCI등재후보

        위험사회와 불안한 음악

        최유준 ( Yu Jun Choi ) 한국음악학학회 2015 음악학 Vol.23 No.1

        한국은 오래 전에 울리히 벡이 말한 ``위험사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핵심적 면모는 크고 작은 사고들 자체보다는 오히려 그 이면에서 사회 전역에 퍼져가는 개인화 현상에 있다. 세월호 참사가 한국인들에게 주었던 감성적 충격도 그러한 개인화 현상을 배경으로 한 위험사회의 발견과 관련되어 있다. 위험사회의 지배적 감정은 불안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위험사회가 음악과 맺는 정서적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다. 특히 최근의 대중음악에서 위험사회의 불안이 드러나는 모습을 몇 가지 예를 들어 밝힐 것이다. 울리히 벡이 말하는 새로운 근대(``2차 근대``)는 ``정치적인 것``을 재발견하도록 촉구한다. 여기서 정치적인 것은 거시적 차원의 정치가 아니라 미시의 정치이며 일상의 정치, 생활 정치다. 자본주의 시장의 무한경쟁과 효율성에 대한 요구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한 가지 통로가 예술과 음악의 정치적 실천에 있다. 이 위험사회에서 돌이킬수 없는 개인화의 흐름을 성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미적 소통과 공감의 확장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예술적 실천은 생존에 대한 불안이 아닌 심미적 혼란이 될 것이며, 그 혼란은 오히려 이 사회의 물화된 체제를 정지시키고 잊혀진 감성의 공동체를 일깨울 것이다. It is possible to say that Korea has become what Ulrich Beck called the ``Risk society`` since long before. The essential symptom of risk society lies not just in accidents and disasters frequently happened and caused by human error, but in the accelerated individualization that is now rampant in this society. The emotional shock the Koreans had gotten from ``Sewol-ferry disaster`` was also associated to the recognition of a risk society with an individualization setting. Anxiety is a dominant feeling in this risk society. This paper analyses the emotional relations between music and risk society. I will also suggest how anxiety of this risk society reveals in recent popular music scene through several examples. The new modernity(``second modernity``), as Beck suggested, urges to find ``the political``, which is not about a macro-politics but about a micro- and life politics. A path to escape from demands for unlimited competition and efficiency by capitalist markets lies in political practices of arts and music. We should change the irreversible individualizing process to a self-reflective one. The individual artistic practice made through aesthetic communicat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causes not anxiety about survival but an aesthetic chaos, which would rather stop the reified system of this society and arouse a forgotten emotion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