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비교과활동이 건축학 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

        최여진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7

        건축학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과목을 실무 위주로 개편해야할 뿐 만 아니라 건축학 교육 인증 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D 대학에서 구축한 역량 기반 교과-비교과 융합교육시스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자 발적인 비교과 활동 참여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대학에서 비교과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 한 건축학 전공 재학생과 지역의 건축 설계사 대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과 활동이 건축학 교육 과 학생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의 융합교육시스템은 학생들이 비교과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하 였고, 건축학 학습역량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문조사 결과 공모전 참여와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과 같이 창의성 역량 함양 비교과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architecture, not only the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practically, but also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y cultivate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for architecture accreditation. In this paper, by survey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vergence educational system established in D university, strategy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tudents and representatives of the local architectural designers, the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such as contest participation and license certification program,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help to develop the learning capability in architect as well.

      • KCI등재

        국내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도시 공간 문화콘텐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최여진,김주연,오병찬,이현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Cities are increasingly moving away from standardization toward sustainable living. Public perception of a city through spatial experience can enhance the image of a country, while a city’s identity is being built in various ways to secure appropriate value and competitiveness. A major factor is cultural value, and it is expressed in urban spaces as cultural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 and to derive influencing factors in order to be used as a city building plan. In addition, it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use of cultural contents,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ulture. Considering its expandability and impact, we intend to use it to build an effective city by applying cultural contents. (Method) The concept and type of cultural content are classified through prior studies of cultural resources, the essential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took into account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al content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each type of cultural content. The types of influencing factors derived were verified by interviewing 17 public design-related field wor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content being utilized, the necessity and value of these contents are identified in the city. An analysis of the factors reveals a correlation betwee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urban image. Areas that attempt to build urban images by applying cultural content were selected as targets. (Results) Cultural content types were classified as physical type elements and non-physical intangible elements. We extracted the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into 18 cultural content factors that have been verified by experts.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act factors of cultural content and the city's target image were correlated. Each city has a different proportion of the types of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image it pursues, and the extent of the types of association compared to other factors. (Conclusions) The study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culture in a sustainable city plan, with urban identity building becoming more active through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ntent. When the intention of showcasing the city through cultural content is established, the image of the city will be widely recognized as it enhances cultural awarenes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 effective approach and application plan for cultural content. We look forward to future studies on the in-depth correlation between urban image and cultural content based on this research.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는 획일화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축하는 움직임이 보여진다. 공간 경험을 통한 대중들의 도시 인식은 한 국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맞는 가치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도시 정체성이 구축되고 있다. 그 중 도시의 문화적 가치가 대두되며 지역의 문화자원을 이용한 문화콘텐츠로 도시 공간에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가 도시 구축 방안으로 활용되기 위한 유형별 정립과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며, 문화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해 고찰한다. 그 확장성과 파급력을 알고 문화콘텐츠를 적용한 효과적인 도시 구축에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화콘텐츠의 본질적 원형인 문화자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 개념과 유형을 분류한다. 영향요인은 문화콘텐츠 유형별 특징과 요소를 추출하여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할 수 있었다. 도출된 유형별 영향요인은 17명의 공공디자인 관련 현업 종사자,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 설문을 통해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문화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는 현황을 통해 도시에서 문화콘텐츠의 필요성과 가치를 파악한다. 사례분석은 영향요인을 대입한 분석을 통해 영향요인과 도시이미지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문화콘텐츠가 적용되어 도시 이미지 구축을 시도하는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결과) 문화콘텐츠 유형은 물리적 유형 요소, 비물리적 무형 요소로 분류했다. 유형에 대한 추출한 영향요인을 전문가들의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 18개의 문화콘텐츠 영향요인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는 문화콘텐츠의 영향요인과 도시가 목표로 하는 지향 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시마다 추구하는 이미지에 맞춰 영향요인 유형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나며, 연관 유형의 비중은 다른 요인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론) 지속가능한 도시의 방안으로 문화의 가능성을 파악 하였으며, 문화콘텐츠 영향요인을 통한 도시 정체성 구축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문화콘텐츠를 통한 도시의 전달 의도가 구축 되었을 때, 도시를 향유하며 문화의 체험을 하며 문화 의식을 높이므로 도시만의 이미지가 사람들의 뇌리에 깊게 인식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의 효율적인 접근방향과 적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도시 이미지와 문화콘텐츠의 심층적 상관관계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국내 대학의 BIM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과 교육전략 제안

        최여진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2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in architect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education in university is urgently needed.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BIM education at 60 universities shows that most universities do not offer BIM education at all, or opened only one regular course for BIM education. The survey on BIM education for students shows that non-curricular activities brought bigger educational achievements than regular cours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and the practical restrictions of the universities, and through evaluation and feedback from professors as educational providers and working architects as professional users, the desirable strategy for BIM education in architect design was able to be suggested, which is consisted of regular curriculum of two courses and 40 hours non-curricular activities. 건축설계 실무에서 디자인 통합설계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BIM(건축정보모델링) 교육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한국건축학교육인증에 참여하고 있는 60개 대학 건축학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전수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BIM교육을 전혀 제공하지 않거나 단 1개의 정규교과목만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IM 교과목 수강과 비교과 활동을 수행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정규교과목보다 비교과 활동을 통해 유효한 교육성과를 더 많이 얻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와 국내 교육기관의 BIM 교육 프로그램 분석결과, 그리고 대학의 현실적인 제약사항을 모두 고려하고 교육 공급자인 대학교수와 사용 주체인 실무 건축가의 평가 및 의견수렴을 거쳐 건축설계 과정에서 융합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해 교과과정 및 비교과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의 BIM 교육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