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궁중 제례악 복식의 변천과 그 의미: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이숙희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3 No.-

        이 논문은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연주복식과 일무복식을 중심으로 궁중제례악 복식의 색상과 재료 그리고 형태 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된 궁중제례악 복식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찾는데 목적이 있으며, 현재 전승되는 궁중제례악 복식의 역사성을 조망하는 데 의의가 있다. 문묘제례악 연주복식의 문제는 백주대와 오피리가 어느 시기에 어떤 계기로 남사대와 목화로 바뀌었는지에 관한 것인데. 문묘제례악 연주복식의 백주대는 늦어도 1921년 이후에 남사대로, 오피리는 1930년 이전에 목화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문묘제례악 일무복식의 문제는 검은색의 조주의가 언제 어떤 계기로 붉은색의 홍주의로 변화되었는가 하는 것과, 금동혁대는 언제 어떤 계기로 남사대로 바뀌었는지, 또 오피리가 언제 목화로 바뀌었는지에 관한 것인데, 1897년에 조주의는 홍주의로, 백주대는 남사대로 바뀌었고, 오피리는 1930년 이전에 목화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었다. 종묘제례악 연주복식 문제는 개화기 무렵 흑사대였던 대가 어느 시기에 남사대로 바뀌었는지, 오피리는 어느 시기에 목화로 바뀌었는지에 관한 것인데, 흑사대는 1892년에 남사대로 바뀌었고, 오피리는 1930년 이전에 목화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종묘제례악 연주복식의 경우 흑단령과 흑립을 착용한 경우도 있어 연주복식이 정립되지 않은 시기도 있었다고 보았다. 종묘제례악 일무복식 문제는 관(冠)․의(衣)․대(帶)․리(履)의 변화가 언제 어떤 계기로 생기게 되었는지에 대한 것인데, 종묘제례악 문무(보태평) 복식은 1897년 이전에 진현관은 복두로, 남주의는 홍주의로, 적말대는 남사대로 바뀌었고, 오피리는 1930년 이전에 목화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무무(정대업) 복식도 피변이 복두로 바뀌었고 나머지는 문무(보태평과) 동일하게 바뀌었고, 그 시기도 동일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변화 시기에 있어서 종묘제례악 연주복식의 변화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고, 문묘제례악 연주복식이 가장 나중에 변화되었다. 변화 내용 면에서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의 일무복식의 변화가 가장 컸다. 연주복식의 변화 시기는 1892년, 1897년, 1921년, 1930년이 기준이 되었다. 1892년은 임진왜란 300주년되는 해로, 이 때 악제의 개정이 있었고, 1897년은 대한제국의 건립으로 인해 악제가 개정된 해이다. 1921년과 1930년은 일제강점기에 속하는 해이며, 이 떄의 변화는 일제강점이 변화의 요인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복식의 변화 결과 문묘제례악 연주복식과 종묘제례악 연주복식의 구분이 없어졌고, 또 연주복식과 일무복식의 구분도 없어졌다. 문묘제례악의 문무와 무무의 관은 서로 구분되지만, 종묘제례악의 일무의 관은 문무(보태평)와 무무(정대업)가 복두로 통일되었다. 대(帶)는 모두 남사대로 통일되었고, 오피리는 모두 목화로 통일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주복식은 정해진 규정이 있었으나 시대에 따라 변화되었고, 특히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의 변화는 다른 시대의 변화와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즉 각 제례의 종류와 용도별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던 제례악 복식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통일됨에 따라 각 제례악 복식이 갖는 의미가 퇴색되었고, 다양성이 사라졌다.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궁중제례악 복식의 변화의 계기는 1892년의 임진왜란 300주년, 1897년의 대한제국의 건국 등 이... The study aimed to examine transition based on Yukjeonjorye compiled right before 1876 with regard to the time of change of shapes and colors by costume component and the background centering on performers of Deungga and Heonga used in royal ancestral rites music and ritual music in the Confucian shrine as well as Munmu lmuweon and Mumu lmuweon. With regard to performance costume for Deungga and Heonga used in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Baekjudae and Opiri were changed after the period of modernization. Baekjudae turned into Namsadae after 1921 and Opiri was transformed into Mokhwa before 1930. As for costume for Munmu and Mumu of Ilmu used in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Jojuui, Baekjudae and Opiri were changed. Jojuui was transformed into Hongjuui in 1897, and Baekjudae was changed into Namsadae. Opiri was transformed into Mokhwa before 1930. With regard to performance costume for Deungga and Heonga used in royal ancestral rites, only the Heuksadae and Opiri were changed. Heuksadae was altered to Namsadae in 1892, and Opiri was transformed into Mokhwa before 1930. As for Munmu (Botaepyeong) costume worn dur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Jinhyeonwan was changed into Bokdu in 1897, and Namjuui was transformed into Hongjuui, and Jeokmaldae was modified to Jeokmaldae. Opiri was changed into Mokhwa before 1930. As for Mumu (Jeongdaeeop) costume, Pibyeon was changed into Bokdu, and the remainder was transformed in the same way and at the same time as Munmu (Botaepyeong). In summary, performance costume for Deungga and Heonga used in the royal ancestral rites music was changed the first, and that worn during the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was transformed the latest. Ilmu costume worn dur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and the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was changed the most. As for the performance costume for Deungga and Heonga used in the royal ancestral rites and the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only the Dae was changed. However, in case of performance costume worn dur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Heukdanryeong and Heukrip were worn, which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costume was not properly established once. The time of change in costume was based on 1892, 1897, 1921 and 1930. Akje was revised in 1892, the 300th anniversary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s the Daehan Empire was established in 1897, the Akje was amended. The year 1921 and the year 1930 belong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Japanese occupation is considered as a reason for the change. As a result of changes in costume, distinctions between costume worn in the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disappeared, and division between performance costume and Ilmu costume ceased to exist. Munmu and Mumu wore different hair bands during the ritual formalities in the Confucian shrine, but in the royal ancestral rites, Munmu (Botaepyeong) and Mumu (Jeongdaeeop) wore Bokdu. Dae was unified as Namsadae, and Opiri was integrated as Mokhwa. There were regulations on court performance costume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they were revised as time went by, and chang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modernization period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transition of costume from other eras. As the performance costume that was distinguished by ritual was unified in a similar way, their distinction became meaningless, and their diversity disappeared. The performance costume worn dur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that had been transformed from the modernization perio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carrie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have been handed down until today.

      • KCI등재

        한국형 숲유치원의 교육방법 고찰

        이숙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주도의 교육방법이 핵심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한국형 숲유치원의 교육방법을 고찰함으로써 미래 유아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 교육방법의 형태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숲유치원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P어린이집 숲반의 유아 15명과 숲반 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5년 3월부터 7월 말까지 주 2회를 기본으로 총 30회 참여관찰, 면담, 보육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각 시간, 공간, 신체, 관계의 네 가지 실존체를 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숲유치원의 교육방법은 진짜놀이의 향연(신체성), 연속적·체험적 시간의 주체(시간성), 생명의 기운과 넘나듦의 자유로움(공간성), 열린 관계를 통한 생명공동체(관계성)로 이해되었다. 이는 유아가 시간, 공간, 신체, 그리고 관계에서 주체가 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놀이와 삶을 만들어가고 있었고, 이러한 모습을 통하여 예측할 수 없는 미래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 of educational methods and direction to be pursu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ing the educational methods of Korean forest kindergartens that mainly implemented the child-initiative educational method. In “P” daycare center, which is active in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15 children and three teachers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current and former forest class.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llected 30 times twice weekly for 18 week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and childcare diaries from March to the end of July, 2015 were, analyzed focusing on time, space, body, and relationships. From this study, the educational method of Korean forest kindergartens demonstrates real play (physicality), continuous and experiential time (the time), freedom of life’s energy and space (spatiality), and life-community through open relationships (relationship). This will help young children find ways to move forward in an unpredictable education with the power to make their play and life by becoming subjects in play, time, space, and relationships.

      • KCI등재

        On Locative and Directional Phrases in Korean

        이숙희,황선혜 한국생성문법학회 2009 생성문법연구 Vol.19 No.1

        In this paper, we argue that locative markers -ey and -eyse in Korean are postposition but not case markers, presenting three morphosyntactic arguments in terms of semantic value, case drop, and cooccurrence with a topic marker. Then, examining locative and directional postpostional phrases with -ey or -eyse, we propose that some of those PPs have an AxPart (Axial Part) in the sense of Svenonius (2006). We provide their structures of with(out) AxPart and the evidences showing that the AxParts are distinguished from ordinary nouns. Our final discussion is transferred to argumental status of -ey and -eyse phrases. The 'do-so' replacement test proves that, while PPs headed by -ey are argumental in both locative and directional constructions, PPs headed by -eyse behav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rb. In locative constructions the -eyse phrases are arguments of state verbs and adjuncts of event verbs; and in directed motion constructions they are source-meaning adjuncts.

      • KCI등재

        컴퓨터 게임 중독 이행과 유아의 공격성 및 사회적 관계 변화 연구

        이숙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mputer game addiction and aggressiveness in early childhood and its relation to society. 99 children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his study focused in detail on how the process of becoming a game addict affected childhood aggressiveness and social rel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rough pre-post test. They are: stable-duration group, stable-transition group, addiction- transition group, and addiction-duration group. All the subjects took a game addiction test, an aggressiveness test and a social relations test from pre-post examination.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ggressiveness of children addicted to games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ho were not addicted. Secon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aggressiveness between the stable-duration group and the addiction-duration group from the pre-post test. However, the aggressiveness of the stable-duration group drastically dropped after the post test. On the other hand, the aggressiveness of the addiction-duration group sharply increased after the post test. Third, social relations of game addicted children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all the groups concerning positive social relation points and negative social relation points. 본 연구는 유아의 컴퓨터 게임 중독 이행 과정과 유아의 공격성 및 사회적 관계를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99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컴퓨터 게임 중독 이행 과정이 유아의 공격성 및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구분은 전-후 검사를 통하여 4개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은 안정지속집단, 안정이행집단, 중독이행집단, 중독지속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모두 게임 중독검사와 공격성 검사 그리고 사회적 관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게임 중독 유아의 공격성이 게임에 중독되지 않은 유아들의 공격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안정지속집단과 중독지속집단의 공격성에는 사전-사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안정이행집단의 공격성은 사후검사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중독이행집단의 공격성은 사후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퓨터 게임중독 유아의 사회적 관계는 긍정적 사회적 관계점수와 부정적 사회적 관계 점수 모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악학궤범』 거문고 산형 분석-평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이숙희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7 No.-

        본고에서는 『악학궤범』의 악조 이론을 보다 구체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속악 칠조(칠지)는 칠율 칠지형이라는 전제 하에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과 그 구성음 그리고 그에 따른 거문고 조현법을 밝혔다.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지 협종, 이지 중려, 삼지 임종, 사지(횡지) 이칙, 오지(우조) 무역, 육지(팔팔조) 청황종, 칠지(막막조) 청태주로 나타났다. 이에따른 구성음은 평조는 일지 夾ㆍ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 이지 仲ㆍ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 삼지 林ㆍ南ㆍ(應)ㆍ潢ㆍ汰ㆍ姑ㆍ(蕤), 사지(횡지) 夷ㆍ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 오지(우조) 無ㆍ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 육지(팔팔조) 潢ㆍ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 칠지(막막조) 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ㆍ(潢)이다. 계면조는 일지 夾ㆍ(仲)ㆍ蕤ㆍ夷ㆍ無ㆍ(潢)ㆍ汏, 이지 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ㆍ浹, 삼지 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ㆍ仲, 사지(횡지) 夷ㆍ(無)ㆍ應ㆍ汏ㆍ浹ㆍ(仲)ㆍ蕤, 오지(우조) 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ㆍ夷, 육지(팔팔조) 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ㆍ無, 칠지(막막조) 汰ㆍ(姑)ㆍ蕤ㆍ林ㆍ南ㆍ(應)ㆍ汏이다. 평조와 계면조 칠조(칠지)의 구성음은 『악학궤범』 권1의 60조도를 기준으로 확인했는데, 『악학궤범』 거문고의 평조 혹은 계면조 산형의 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해도, 산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기본음(궁)을 가진 계면조나 평조의 구성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일지의 계면조, 사지(횡지)의 계면조, 칠지(막막조)의 평조가 그 예인데, 이러한 불일치가 생기는 이유는 거문고 산형의 율보가 공척보를 기준으로 두 음씩 결합, 제시된 경우가 있고, 이것이 오조궁과 대응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평조와 계면조는 5음계이지만,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는 변궁․변치를 포함한 7음계를 기준으로 도례되어 있다.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이 같지 않고, 5음계와 7음계의 음정이 서로 다른데, 거문고 괘는 대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거문고 실제와 속악 칠지(칠조)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보았다. 또 공척보는 合․四․一․上․勾․尺․工․凡의 여덟 자로 12율을 지시하나, 거문고 산형의 율보는 공척보를 기준으로 하되, 황/대ㆍ태/협ㆍ고/중ㆍ유/임/이ㆍ남/무ㆍ응의 일곱 단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리고 거문고 괘의 실제 음고와 관계없이 공척보 기준으로 12율 사청성을 반복 도례해 놓았기 때문에 이 또한 거문고 실제와 일치하지 않는 점임을 알 수 있었다.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곱 종류이지만, 거문고 조현법은 여덟 종류이다. 사지(횡지)는 낙시조에도 포함되고 우조(웃조)에도 포함되는데, 음계는 동일하지만, 낙시조와 우조(웃조)의 조현법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 기본음(궁)을 포함한 구성음을 바탕으로 『악학궤범』 거문고 조현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낙시조 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夾, 대현 夷, 문현 無이다. 이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仲, 대현 無, 문현 黃이다. 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林, 대현 黃, 문현 太이다. 사지(횡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夷, 대현 大, 문현 夾이다. 우조(웃조) 사지(횡지)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夷, 괘상청ㆍ유현 夾이다. 오지(우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無, 괘상청ㆍ유현 仲이다. 육지(팔팔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黃, 괘상청ㆍ유현은 林이다. 칠지(막막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太, 괘상청ㆍ유현은 南이다. 다만 칠지(막막조)의 기본음(궁)은 汰인데, 『악학궤범』 칠지(막막조) 거문고 산형에는 太로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육지(팔팔조)도 기본음(궁)은 潢이지만, 조현은 黃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Under the goal of specifying the tone theories of Akhakgwebeom(樂學軌範)further by figuring out the basic notes(Gungs, 宮) of Sokak Chiljo(七調, Chilji七指) in the Geomungo Pyeongjo(平調) and Gyemyeonjo(界面調) Sanhyeongs(散形) in the book,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俗樂)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their component sounds, and resulting Johyeon techniques for the Geomungo based on a premise that Sokak Chiljo(Chilji) were Chilyul(七律) Chiljihyeong(七指形).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Sanhyeong were Ilji(一指) Hyeopjong(夾鍾), Iji(二指) Jungryeo(仲呂), Samji(三指) Imjong(林鍾), Saji(四指, Hoingji橫指) Ichik(夷則), Oji(五指) Muyeok(無射), Yukji(六指) Cheonghwangjong(淸黃鍾), and Chilji(七指) Cheongtaeju(靑太簇). The basic note(Gung) of Chilji(Makmakjo) is 汰, but it is marked as 太 in the Chilji(Makmakjo) Geomungo Sanhyeong of Akhakgwebeom, which suggests that the basic note(Gung) of Yukji(Palpaljo) is 潢 and that it is marked as 黃 in Johyeon. When there was an agreement between the notes of Pyeongjo or Gyemyeonjo Sanhyeong and the component notes of 60 Jodo(調圖) in Akhakgwebeom, no match could be found between the component notes of Gyemyeonjo or Pyeongjo with the same basic notes(Gungs) not found in Sanhyeong and those of 60 Jodos in some cases. Good examples of this are Gyemyeonjo of Ilji, Gyemyeonjo of Saji(Hoingji), and Pyeongjo of Chilji(Makmakjo). This disagreement happens because the Yulbo of Geomungo Sanhyeong is presented in combinations of two notes according to Gongcheokbo and because they correspond to Ojogung. Even though Pyeongjo and Gyemyeonjo are in a pentatonic scale, the Sokak Chiljo(Chilji) of Geomungo Sanhyeong has Dorye(圖例) according to a heptatonic scale including Byeongung and Byeonchi. Tunes are different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and between a pentatonic and heptatonic scale, but the Geomungo Goaes(棵) are arranged at a regular interv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agreement between the practice of the Geomungo and the theory of Sokak Chilji(Chiljo) in some parts. Gongcheokbo gives instructions for 12 Yuls(律) with eight letters including 合․四․一․上․勾․尺․工 and 凡. The Yulbo(律譜) of Geomungo Sanhyeong is based on Gongcheokbo(工尺譜) and is divided in seven units including Hwang(黃)/Dae(大)․Tae(太)/Hyeop(夾)․Go(姑)/Jung(仲)․Yu(蕤)/Im(林)/Yi(夷)․Nam(南)/Mu(無)․Eung(應). There is the repeating Dorye of 12 Yul Sacheongseong(四淸聲) according to Gongcheokbo regardless of the actual pitch of Geomungo Goaes, which is another part of disagreement with the actual practice of the Geomungo. There are seven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but there are eight Johyeon(調絃) techniques for the Geomungo. Saji(Hoingji) is included both in Naksijo(樂時調) and Woojo(羽調, Wootjo). Despite the same scale, there are differences in Johyeon techniques between Naksijo and Woojo(Wootjo). The present study arranged the Geomungo Johyeon techniques in Akhakgwebeom based on the component sounds including the basic notes(Gungs) of Geomungo Sokak Chiljo(Chilji) as follows: Naksijo Ilji is 夾 for Muhyeon(武絃), Gigoaecheong(岐棵淸), Goaesangcheong(棵上淸) and Yuhyeon(遊絃), 夷 for Daehyeon(大絃), and 無 for Munhyeon(文絃). Iji is 仲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無 for Daehyeon, and 黃 for Munhyeon. Samji is 林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黃 for Daehyeon, and 太 for Munhyeon. Saji(Hoingji) is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大 for Daehyeon, and 夾 for Munhyeon. Woojo(Wootjo) Saji(Hoingji) is 夷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夾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Oji(Woojo) is 無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仲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Yukji(Palpaljo) is 黃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Chilji(Makmakjo) is 太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 KCI등재
      • KCI등재

        EPP in Sluicing Constructions

        이숙희 한국생성문법학회 2006 생성문법연구 Vol.16 No.1

        It is asserted in this paper that the EPP should be overtly satisfied in narrow syntax, in advance to sluicing. In a variety of West Germanic dialects--especially in Dutch, complementizer agreement (CA) and/or subject clitic (SC) (optionally) appear on the complementizer of embedded clauses. Arguing against Craenenbroeck (2004)'s idea that a subject, violating the EPP, is in its base position in Dutch sluicing construction, I claim that the absence of CA and SC endings in Dutch wh-sluices results from the blockage of the 'phonological' movement in Zwart (2001)'s sense. The reason why ∅-features of T are never manifested on C in sluicing construction is that sluicing itself bleeds the phonological counterpart of syntactic T-to-C movement. Then, what is redeemed in this construction is not EPP violation but non-application of phonological movement.

      • KCI등재후보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UML 기반의 계층형 메타 모델 설계 및 적용기법

        이숙희,김철진,조은숙,Lee, Sook-Hee,Kim, Chul-Jin,Cho, Eun-Soo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5 No.2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으로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이 소개되었다. 이 접근방식은 재사용 가능하면서 독립적인 단위의 컴포넌트들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은 크게 두 단계인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와 컴포넌트 조립 프로세스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세스로 구분된다.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는 컴포넌트가 품질 좋은 소프트웨어를 위한 열쇠이기 때문에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이와 관련하여 학계 및 산업체에서 많은 방법론이나 도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이나 도구들은 실제 컴포넌트 개발 프로젝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체계적이면서 유연한 모델링 기법들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존 기법들은 컴포넌트 모델링에 있어서 독단적인 기법을 갖고 있거나 혹은 경험적 지침 정도만을 제공하고 있는 수준이다. 그 결과 많은 컴포넌트 개발자들이 컴포넌트 모델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 언제 어떠한 다이어그램을 개발해야 할지 등에 대한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 모델 기반의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계층과 개발 단계에 따른 메타 모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써 개발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모델들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 is introduced as a new development paradigm in software development method.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oftware development approach because it is based on reusable and autonomous unit, component. Therefore, component-based development(CBD)is divided into two stages; component development process and component assembly process;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Component development process is the core of CBD because component has a key for good software. Currently many methodologies or tools have been introduced by various academies or industries. However, those don't suggest systematic and flexible modeling techniques adaptable easily into component development project. Existing approaches have a unique orarbitrary modeling technique or provide heuristic guidelines for component modeling. As a result, many component developers are faced with a difficult problems; how to developcomponent models, when develop which diagrams, and so on.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we suggest a meta-model driven approach for component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provide meta-models according to both layer and development phase. We expect that suggested meta-models allow component developers to develop appropriate models of the time.

      • KCI등재

        Goal PPs and Their Eventuality

        이숙희 한국생성문법학회 2011 생성문법연구 Vol.21 No.1

        I argue in this paper that Korean directional SVC_s license telic accomplishment interpretation, which is derived by the interaction of V1,directional V2, and a goal PP. The goal PP functions as a secondary resultative predicate and contributes to bounded reading of the whole sentence, whether its head is -ey or -(u)lo. Discussing telic behavior of directional SVCs with an -(u)lo PP, I claim that their (a)telicity is not straightforwardly judged by the presence of the -(u)lo PP. The -(u)lo PP can denote either an unbounded directional path or a bounded goal path,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ory work of [PP-V1-V2]usually with a semantic or pragmatic contribution of other lexical items. I also discuss aspectual properties and structural differences of directional SVC_s, based on Ramchand's (2009) first-phase event structure synta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