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라비올라(A. muricata) 추출물에 의한 어묵의 항산화 저장성 향상

        신태선,최안홍,문보현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8 No.04

        최근에 식생활이 다양화되고 수산가공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새로운 어묵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웰빙 시대에 부응하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저칼로리, 저지방 어묵이 개발되어 단순한 식품의 부재료가 아닌 건강 및 기능성 식품으로 개선되고 있다. 더불어, 어묵은 다른 단백질 식품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서민들이 많이 애용 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단순한 간식용 먹거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통 및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아직도 어묵에 솔빈산염 등 합성보존료를 사용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식품의 안전에 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합성보존료의 인체 유해성이 논란되고 있다. 소비자 단체, 방송 등에서 합성 보존료의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하여 어묵 소비의 감소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튀김 어묵은 저장, 유통 중 지방산패 등 품질 저하를 야기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식성 또는 분해성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하거나 합성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는 가시여지 또는 구아나바나로 알려져 있는 식물로 원산지는 아메리카의 열대지방으로 미국, 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단엽이며 상부는 광택이 있는 진녹색, 아래는 연녹식으로 열대지방에서는 잎을 전통적으로 암 및 다양한 질병을 치유하는데 사용하여왔는데 최근 많은 연구에 의해 많은 천연성분에 의해 다양한 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잎의 천연성분으로 akkaloids, terpenoids, anthraquinones, tannins, phenols, phytosterol 등이 분리되어 항산화능 또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을 ethanol과 증류수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을 어묵에 첨가하여(1.0, 3.0%, w/w) 저장기간 동안 산화적 휘발성 물질의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그라비올라 추출물은 총페놀등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그라비올라를 첨가한 어묵을 제조하여 15℃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와 GC-MS를 이용하여 산패취의 주요 물질인 hexanal, (E)-2-hexenal, (E)-2-heptenal, (E)-2-pentenal, heptenal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 KCI등재
      • 제대혈 분리방법의 차이에 따른 단핵구 및 조혈모세포의 수득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박정숙,이영호,최안홍,노신애,김태겸,한진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최근에 보고된 변형적 Ficoll-Hypaque 방법을 이용한 제대혈 분리방법이 지금까지의 고식적 Ficoll-Hypaque 분리방법에 비하여 조혈모세포의 수득효과면에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또한 비교적 수득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 3% gelatin을 이용한 분리방법에 비하여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 제대혈 분리방법의 차이에 따라 단핵구와 조혈모세포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1명의 건강한 산모로부터 정상 질식 및 제왕절개 분만 후 제대정맥에서 해파린 처리한 주사기를 사용하여 제대혈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제대혈은 동일하게 3개월 시험관에 나누어 실온에서 24시간 이내에 고식적 Ficoll-Hypaque분리법, modified Ficoll-Hypaque 분리법, 3% gelatin 분리법을 이용하여 각각 단핵구 분리를 시도하였으며 이들의 단핵구수 및 생존률, CD34 양성세포수, 집락수를 측정 비교 하였다. 또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단핵구수, CD34양성세포수와 CFU-GM집락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1) 세포 생존률은 고식적 Ficoll-Hypaque 분리법, 변형적 Ficoll-Hypaque 분리법, 3% gelatin 분리법 사이레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2) 단핵구수는 3% gelatin으로 분리했을 때가 4.56±1.86 (×10^(6)/mL)로 수득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P=0.0001), Ficoll-Hypaque으로 분리했을때는 각각 1.54±0.06(×10^(6)/mL), 1.36±0.67(×10^(6)/mL)로서 고식적 방법과 변형적 방법 차이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3) CD34 양성세포수는 3%gelatin으로 분리했을 때가 6.08±3.99(×10⁴/mL)로 수득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P=0.0001), Ficoll-Hypaque으로 분리했을 때는 각각 2.18±2.17(×10⁴/mL), 2.24±1.63(×10⁴mL)로서 고식적 방법과 변형적 방법사이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4) CFU-GM 집락수는 3% gelatin으로 분리했을 때가 15.72±8.93(×10³/mL)로 수득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P=0.0002), Ficoll-Hypaque으로 분리했을 때는 각각 3.12±1.45(×10³mL), 2.35±0.82(×10³/mL)로서 고식적 방법과 변형적 방법 사이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5) 제대혈 고식적 Ficoll-Hypaque 방법으로 분리하였던 경우는 단핵구수와 CFU-GM집락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으며CD34 양성세포수만 CFU-GM집락수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r=0.57). 또 변형적 Ficoll-Hypaque 방법에 의하여 분리하였던 경우는 단핵구수나 CD34 양성세포수 모두가 CFU-GM 집락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제대혈을 3% gelatin법으로 분리하였던 경우는 CFU-GM집락수 가 단핵구수 (r=0.88) 및 CD34양성세포수(r=0.86)양자 모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3%gelatin을 이용하여 제대혈을 분리하는 것이 단핵구 및 조세모세포의 수득효과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변형적 Ficoll-Hypaque 분리법이 고식적 Ficoll-Hypaque 분리법보다 시간과 경비면에서 비효율적이면서 수득효과도 높지 못하였다. 또 제대혈 분리법의 차이에 따라 단핵구나 CD34 양성세포와 VFU-GM사이에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으며, 실제로 제대혈이식 후에 생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제대혈 분리법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관해서 보다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Cord blood banking for stem cell transplantation requires volume reduction and red cell depletion for cost effective storage. To determine which technique could minimize the loss of progenitor cells during cord blood processing, we compared the efficacy of cord blood separating methods which were conventional Ficoll-Hypaque method, modified Ficoll-Hypaque method, and 3% gelatin method. Methods : Twenty-one cord blood samples were obtained with heparinized syringes from the umbilical vein following delivery. Three aliquots of each 20mL cord blood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processed by 3 different techniques within 24 hours after collection. We compared mononuclear cells(MNCs) counts and their viability, CD34+ cells counts, and CFU-GMs counts and also observed their correlations among three techniques. Results : 1) The yield of MNCs or CD34+ cells was highest in the cord blood processed with 3% gelatin method than conventional or modified Ficoll-Hypaque method(P=0.00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ield of MNCs and CD34+ cells between conventional and modified Ficoll-Hypaque method. 3) Both MNCs counts (r=0.800) and CD34+ cells counts (r=0.86)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FU-GM counts in the cord blood processed with 3% gelatin method. 4) CD34+ cells cou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FU-GM counts in the cord blood processed with conventional Ficoll-Hypaque method (r=0.57), but MNC counts were not. 5) Both MNC counts and CD34+ cell counts were not correlated with CFU-GM counts in the cord blood processed with modified Ficoll-Hypaque method. Conclusion : Cord blood separation with 3% gelatin method could provide better yield of progenitor cells than with FICOLL_Hypaque methods. And between two Ficoll-Hypaque methods, modified method is more laborsome but not better in terms of clonogenic potential than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건강한 일부 도시지역 주민의 혈중 연 및 zinc protoporphyrin 농도

        김동일,김용규,김정만,정갑열,김준연,장형심,이영호,최안홍,Kim, Dong-Il,Kim, Yong-Kyu,Kim, Jung-Man,Jung, Kap-Yull,Kim, Joon-Youn,Chang, Hyung-Shim,Lee, Young-Ho,Choi, Ahn-Hong 대한예방의학회 1992 예방의학회지 Vol.25 No.3

        1991년 5월 1일부터 약 6개월 동안 남자 1,193명 및 여자 658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도시 거주자들의 혈중 혈색소치, ZPP치 및 연농도를 성별, 연령별로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색소의 평균치는 남자 $14.55{\pm}1.82g/dl$, 여자 $12.61{\pm}1.18g/dl$이었으며. 20세 이상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혈중 ZPP치는 $32.54{\pm}9.88(32.09{\sim}32.99{\mu}g/dl,\;95%\;C.I.){\mu}g/dl$ 이었으며 7세 미만 소아의 혈중 ZPP치는 남아 및 여아가 $37.49{\pm}13.31{\mu}g/dl$ 및 $35.77{\pm}11.85{\mu}g/dl$로 7세 이상군의 남자 및 여자의 $31.91{\pm}8.23{\mu}g/dl$ 및 $30.11{\pm}9.11{\mu}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0.05). 3. 혈중 연농도는 $23.84{\pm}4.58(23.55{\sim}24.14{\mu}g/dl,\;95%\;C.I.){\mu}g/dl$ 이었으며, 7세 미만 소아의 혈중 연농도는 남아 및 여아가 $25.10{\pm}5.21{\mu}g/dl$ 및 $24.45{\pm}4.18{\mu}g/dl$로 7세 이상군의 남자 및 여자의 $24.28{\pm}3.00{\mu}g/dl$ 및 $21.99{\pm}5.05{\mu}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우리나라 도시 거주인은 남녀 모두 전연령에 걸쳐 높은 혈중 ZPP치 및 연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학동기전 소아에서 더욱 현저하므로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Hemoglobin (Hb), zinc protoporphyrin(ZPP) and blood lead (PbB) levels were determined for 1,851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healthy urban population to establish reliable baselines for Hb, ZPP and PbB levels by age and sex. ZPP values were analyzed with a hematofluorometer and PbB determinations were concurrently carried out using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blood sampling period was about 6 months from May, 1991 and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 of Hb in male and female were $14.55{\pm}1.81g/dl$ and $12.61{\pm}1.18g/dl$ respectivel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The mean value of ZPP in pre-schoolchildren was $37.49{\pm}13.31{\mu}g/dl$ for male, $35.77{\pm}11.85{\mu}g/dl$ for female and that of ZPP in after 7 years groups was $31.91{\pm}8.23{\mu}g/dl$ for male, $30.11{\pm}9.11{\mu}g/dl$ for femal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n value of PbB in pre-schoolchildren was $25.10{\pm}5.21{\mu}g/dl$ for male, $24.45{\pm}4.18{\mu}g/dl$ for female and that of PbB in after 7 years groups was $24.28{\pm}3.00{\mu}g/dl$ for male, $21.99{\pm}5.05{\mu}g/dl$ for femal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 건강한 일부 도시지역 주민의 혈중 연 및 Zinc protoporphyrin 농도

        정갑열,김준연,김동일,장형심,김용규,최안홍,이영호,김정만 동아대학교 부설 산업의학연구소 1995 산업의학연구소 논총 Vol.- No.2

        1991년 5월 1일부터 약 6개월 동안 남자 1,193명 및 여자 658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도시 거주자들의 혈중 혈색소치, ZPP치 및 연농도를 성별, 연령별로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색소의 평균치는 남자 14.55±1.82g/dl, 여자 12.61±1.18g/dl이었으며, 20세 이상 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혈중 ZPP치는 32.54±9.88(32.09~32.99㎍/dl, 95% C.I.)㎍/dl이었으며 7세 미만 소아의 혈중 ZPP치는 남아 및 여아가 37.49±13.31㎍/dl 및 35.77±11.85㎍/dl로 7세 이상군의 남자 및 여자의 31.91±8.23㎍/dl 및 30.11±9.11㎍/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혈중 연농도는 23.84±4.58(23.55~24.14, 95% C.I.)㎍/dl이었으며, 7세 미만 소아의 혈중 연농도는 남아 및 여아가 25.10±5.21㎍/dl 및 24.45±4.18㎍/dl로 7세 이상군의 남자 및 여자의 24.28±3.00㎍/dl 및 21.99±5.05㎍/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우리나라 도시 거주인은 남녀 모두 전연령에 걸쳐 높은 혈중 ZPP치 및 연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학동기전 소아에서 더욱 현저하므로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Hemoglobin(Hb), zinc protoporphyrin(ZPP) and blood lead(PbB) levels were determined for 1,851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healthy urban population to establish reliable baselines for Hb, ZPP and PbB levels by age and sex. ZPP values were analyzed with a hematofluorometer and PbB determinations were concurrently carried out using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blood sampling period was about 6 months from May, 1991 and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Hb in male and female were 14.55±1.81g/dl and 12.6±1.18g/dl respectivel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fference(p<0.05). 2. The mean value of ZPP in pre-schoolchildren was 37.49±13.31㎍/dl for male, 35.77±11.85㎍/dl for female and that of ZPP in after 7 years groups was 31.91±98.23㎍/dl for male, 30.11±9.11㎍/dl for femal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n value of PbB in pre-schoolchildren was 25.10±5.21㎍/dl for male, 24.45±4.18㎍/dl for female and that of PbB in after 7 years groups was 24.28±3.00㎍/dl for male, 21.99±5.05㎍/dl for femal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1 례

        최봉근(Bong Kuen Choi),강태훈(Tae Hun Kang),배광열(Kwang Lyul Bae),황규근(Kyu Guen Hwang),최안홍(Ahn Hong Choi)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995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5 No.2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BOOP) is a type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that primarily affects the small conducting airways and presence of granulation tissue plug within the lumen of small airways that sometimes completely obstruct the airways and extend into alveolar ducts and alveoli with a variable degree of interstitial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BOOP may be seen with infections, drugs, connective tissue diseases, toxic-fume exposure, allergy and idiopathic, it is differentiated from bronchiolitis obliterans that is not associated with organizing pneumonia, We experienced a case of idiopathic BOOP. The patient was a 11 year old girl presented with 45 days history of exertional dyspnea and 21 days coughing. The physical examination showed chronic ill-appearance and rales on both lung. Chest X-ray and high resonance chest CT showed bilaterally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Thoracoscopic lung biopsy carried out and showed characteristic findings of BOOP. After prednisolone therapy, dyspnea and coughing disappeared and chest X-ray finding was improved. We report a case of BOOP with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