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개선 방안 연구

        최승숙(Seung Sook Choi),강창욱(Chang Wook Kang),김은하(Eun Ha Kim),김호연(Ho Yeon Kim),송승민(Seung Min Song),이재욱(Jae Wook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개념과 정의 및 그에 따른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과 관련된 이론적 틀과 실천적 접근 방법을 도출하고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문헌분석과 국외의 개별화교육계획 관련 문헌 및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화 교육계획의 이론적 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낸 후 경기도 관내 특수학교(급)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는 143개의 개별화교육계획 실물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틀과 대조, 대비하여 그 간극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개별화교육계획과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는 총 28명의 교수, 교육전문직,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현장 특수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상황에 맞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을 설정하고, 개별화교육계획의 단기 및 중장기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실태분석 과정을 통해 현재 교육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개별화교육계획과 교육과정 기능의 혼동과 혼용의 결과가 개별화교육계획, 교육과정, 수업 간의 연계성을 갖지 못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일적(全一的) 개별화교육계획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운영의 분석을 통해 국내상황에 적합한 단기 및 장기적인 개별화교육계획 발전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백승민 ( Seung Min Paek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교육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특수교육 현장에 기간제교사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직무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정규교사와 기간제교사를 무선표집하여 총 200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교사효능감은 개인적교사효능감과 일반적교사효능감(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자아실현, 상사관계, 직무자체, 동료관계, 보상체제, 근무환경(총 24문항)을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규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기간제교사 보다 높으며 직무만족도에서는 정규교사와 기간제교사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 양성 및 채용 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production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type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random sampling of regular and temporary teachers of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200 teacher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25 items were included to investigate teacher efficacy and the section for job satisfaction consisted 24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regular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emporary teachers, while job satisfaction showed a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subordinate factors. As teacher efficacy is a significant variable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education, employment of temporary teachers should be avoided, yet filling vacancies of regular teachers and long-term policies for teacher employment are required.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박승희(Seung Hee Park),홍정아(Jung A Hong),김수연(Soo Youn Kim),최승숙(Seong Sook Choi),문주연(Ju Yeon Mo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이 책은 우리나라 학교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실행자들이 담당해야 할 구체적 역할을 목록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각 전문가의 통합교육 실행과 협력을 돕기 위한 지침서이다. 이 책은 통합교육이 오롯이 특수교사만의 책무가 아니라 다양한 학교 구성원들의 분업과 협업의 과정임을 강조하며, ‘초등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이란 부제를 달고 있다. 통합교육의 실행자인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학교관리자, 학부모 및 지원인력의 5가지 주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을 ‘초등 통합교육 질 지표 46개’를 근거로 목록화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함으로써 5가지 주체가 본인의 역할뿐 아니라 서로 다른 주체의 역할을 이해하여 협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들은 통합교육이 모든 학생들을 위한 것이듯, ‘통합교육의 과정’ 역시 학교 구성원 모두가 함께 참여하도록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교육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각 급 학교의 실행주체들에게 46개 통합교육 질 지표 각각에 대해 ‘역할 목록 및 지침’, ‘실행 사례’, ‘참고자료’로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통합교육의 실행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초등 통합교육 현장에 초점을 두고 5가지 실행 주체자의 역할 목록을 제시하고 있으나 유아 및 중등 통합교육에서도 대부분 적용가능하다. 이 책은 특수교육 전공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통합교육 과목의 교재로 사용가능하며, 학교관리자, 교사 및 장학 전문가들은 이 책을 기반으로 보다 질 높은 통합교육 실행을 이해하고 점검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실제로 각 학교가 실행하는 통합교육을 자체 점검해볼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자 역할수행 점검표 양식이 제공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사전 개별교육을 연계한 협력교수가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윤영신(Youn, Young-shin),최승숙(Choi, Seung So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만 4․5세 장애유아 6명과 비장애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연령별 각 20회기씩 총 40회기의 협력교수를 실시하였고 장애유아의 경우 특수교사의 사전개별교육 후 협력교수에 참여하였다. 수학적 역량은 수학적 지식, 과정기술, 태도로 구성하였고 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변화 측정은 회기별 수업관찰의 서술기록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평정척도 결과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비장애유아의 경우, 사전-사후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은 두 종속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력교수 중재에 참여한 장애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태도의 역량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비장애유아는 수학적 지식의 ‘기초적인 측정하기’ 및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를 활용한 장애 및 비장애유아의 수학적 역량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o-teaching on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20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elonging to a day care cente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participated in co-teaching after receiving 1:1 teaching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consisted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s. They were applied in the co-teaching class. In order to measur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chang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arrative record and rating scale of each class was analyzed by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content analysis. Two dependent sample t-tests were performed on pre post scores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co-teaching interventions. Seco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measure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mathematical process skill, and mathematical attitud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teaching approach to improve the mathemat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using co-teaching in the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임은주 ( Eun Joo L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합교육과 평생교육을 지향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을 기반으로 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과 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발달장애학생이 교육받고 있는 대학의 교직원, 장애학생, 부모, 고교 진학지도 특수교사, 장애인 고등교육 전문가들에게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교육과정, 학사지원 등에 관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발달장애학생들의 대학 기반 교육의 필요성으로 통합교육의 기회제공과 발달장애학생들의 역량강화, 성인으로서의 자립생활 준비를 언급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이나 학사지원에서는 학교마다 달리 적용하고 있었고 관계자마다 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과정의 운영과 수요자 중심의 학사지원, 국가차원의 행·제도적인 지원을 통한 적절한 교육 방법 모색 등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윤영신 ( Youn Young Shin ),최승숙 ( Choi Seung Soo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경기도 지역의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된 33문항을 개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함께 변인 간의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장애통합어린이집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법적 구성요소인 인적사항, 현행 학습수준,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및 평가 계획을 대부분 작성하였으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작성 수준은 저조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지원팀 운영은 대부분 구성원 간의 협력이 미흡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었고 이에 실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은 특수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중 교육목표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유는 참고할 자료 부족 및 작성에 대한 교육 미흡, 작성 내용에 대한 점검 방식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지역 및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현황 대한 교사의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longing to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0 teachers wh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3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the awareness of IE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frequency analysis along with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prepared most of the legal componen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urrent learning level, and educational goals etc, but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was written at low level. Second, mos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were operated formally, and since there was no cooperation between members, special teachers were in charge of preparing the actual IEP. Third, teachers feel the greatest difficulty in writing educational go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IEP and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lack of materials to refer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the lack of a method of checking the written content. There were also regional and variabl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by examining the overall perceptions of teachers who take car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한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김주용 ( Joo Yong K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경도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통합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옹호기술과 해당 구성요소(자기지식, 권리지식, 의사소통,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교수실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충청북도 소재 초등학교 교사170명(통합교사 82명, 특수교사 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자기옹호기술 인식 조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자기옹호기술에 대해 높은 수준의 중요도를 보였으나 그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의 교수실행도를 나타냈다.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차이에서는 경도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해 특수교사가 통합교사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고 실제 교수실행 정도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 지도에 대한 교사 대상 연수확대와 교과와 연계된 지도 프로그램의 개발 등의 자기옹호기술 지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self-advocacy skill and components(knowledge of self, knowledge of right, communication, leadership)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class. Self-develop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82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class on elementary level in Kyoungki-do and Chungcheongbuk-do. Result indicated the both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regarding self-advocacy skill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actual implementation of i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than general teachers about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self-advocacy skill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in-service program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were discussed.

      • KCI등재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감각장애 대학생의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임은주(Lim, Eun-Joo),최승숙(Choi, Seung-Sook),주은미(Ju, Eun-Mee)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장애인의 고등교육 확대에 따라 장애대학생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장애학생은 자신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하며 이는 장애특성과 학생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지원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감각장애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하여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참여 학생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4년제 K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시·청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10회기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사전, 사후에 탄력성,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 검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교수 기반의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들의 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 및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장애인 고등교육 분야에서 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능력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support healthy college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nd the situation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on the resilienc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Four freshmen with sensory disabilities belonged to K university located in Gyonggi-do participated on the resilience intervention including 10 sessions and were conducted resilienc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and in-dept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using so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positively influenced on improving of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교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에 관한 인식조사

        김수진(Soo-Jin Kim),최승숙(Seung Sook Choi),김정연(Jung Yeo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1

        한국의 통합환경 상황에 적절한 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학교언어치료사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지원 모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한 학교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언어치료 서비스를 오랜 기간 제공해 온 외국의 다양한 모형을 조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학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욕구에 대해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언어치료 서비스 요구는 무엇이며, 언어치료사와 교사들이 갖추어야할 요건과 학교 상황에서 언어치료 모형의 적용 시 예상 가능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운영 가능한 모형으로 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치료 서비스와 언어치료사가 교사에게 언어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간접지원의 병행을 제시하였다. 교사와 언어치료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협력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행정가의 치료실 마련과 같은 행정적 지원과 치료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성공적인 학교 내 언어치료 서비스의 주요한 요건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큰 흐름이라 할 수 있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학교언어치료사 제도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현 시점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 that was appropriate to the Korean situation through a two-stage research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irst to examine a variety of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s suggested in other countries and thus survey the knowledge and needs of special educators about speech therapy. The survey investigated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n speech therapy needs, required qualifications for both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and problems of the school-based speech therapy. The special educators suggested a combination model integrating the direct speech therapy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treats students on an individual basis) and the indirect speech therapy service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collaboratively consults teachers about speech therapy). Other results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based up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ongoing communication rated importantly. Further,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arranging a therapy room and rais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service were also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school contexts with speech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