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적평가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학생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최송욱(Choi Songuk),최성원(Choi S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성적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공정성 지각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2018년 봄학기에 시행되었으며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는 총 7개월이 소요되었다. 총 239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학업소진은 분배, 절차, 상호작용 공정성 중 분배 및 절차 공정성에 주로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서탈진에는 분배, 절차, 상호작용 공정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으며, 비인간화는 분배 공정성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었다. 성취감 저하는 절차 공정성에 이어 분배 공정성의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 다. 이에 관련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다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perception and college students academic burnout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A total of 23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uring 2018 spring semester. Among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perception, student burnout is mostly related to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Specifically, distributive justice had largest influence on student emotional exhaustion, followed by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Moreover, the results revealed that distributive justi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depersonalization.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could increase student’s personal accomplishment.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are provided.

      • KCI등재

        성적평가에 대한 대학생 감정노동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송욱(Choi Songuk),최성원(Choi S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대학 내 성적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공정성 인식이 학생들의 교수자에 대한 감정노동과 학업소진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방법 총 229명의 대학생이 학기말 3주간 1회에 걸쳐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다층적 회귀분석 및 SPSS 부트스트래핑 매크로를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대학 내 성적평가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은 더 큰 학업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대학생들은 성적평가의 불공정성에 대한 불만과 좌절감의 표현을 되도록 억제하고 인상관리 차원에서 교수자에게 공손하고 정중한 태도를 보이는 감정노동을 하고 있었다. 성적 불공정성 인식과 학업소진 관계에 대한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 기법으로 검증한 결과, 내면연기 보다는 표면연기를 통해 보다 더 유의한 매개효과가 드러났다. 결론 이는 대학 내 교수자들의 성적 및 성과평가에 대한 공정성 증진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표면연기를 통한 감정노동의 감소가 주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학 내 성적평가의 공정성 및 감정노동과 학업소진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다루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tudents’ justice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academic burnout and emotional labor toward college instructors. Methods There are 229 volunteers from a college who completed the survey in three weeks. Reliability tes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using SPSS macro were conducte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labor between justice perception and burnout. Results The results sho that students’ perception of un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crease students’ academic burnout. Students’ level of emotional labor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nfairness perception and burnout, such that the major mediating effect unfolds through surface acting rather than deep acting. Conclusions College students perceiving unfairness on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tend to perform surface acting, therefore experience more burnout in their academic lif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자기주도적 윤리실천으로서의 대학생 무감독 시험제도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최송욱(Choi, Songuk),최성원(Choi, S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적 측면에서 본 대학 내 무감독 시험제도의 실천적 적용 방안에 관해 고찰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는 총 8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포커스 그룹으로 참여한 총 15명의 학생이 전공 수업 중 10주에 걸쳐 반복측정을 동반한 quasi 디자인 형식의 실험에 참여하였고 학기 종료 후 5개월 뒤 다시 follow-up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무감독 시험을 경험해보는 것만으로도 이 제도에 대해 보다 높은 신뢰감과 만족도를 느끼게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교수자가 이 제도의 도덕적 의의에 관해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만약의 부정행위 시도에 대한 예방적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했을 때 이 제도를 보다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에 대한 자기주도적 윤리실천으로서의 무감독 시험제도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를 담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build an ethically successful and student self-directed implementation plan to conduct unproctored exams in college classroom settings. We employed ten-week long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for fifteen business-majoring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of the study and a follow-up survey conducted five months l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unproctored exams enhances students’ trust and satisfaction on unproctored style exams. Moreover, students’ perceived level of fairness also increases when the moral meaning of unproctored exam is actively communicated to students and when a practical way of cheating prevention is implemented in class. Eth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영대학 무감독 시험제도의 공정성 지각에 관한 연구:학생들의 신뢰감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최성원,최송욱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justice perception on student trust and satisfaction for unproctored exams. A total of 135 busines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k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estions. Quantitative results show that procedural justice had largest influence on student trust and satisfaction for unproctored exams, followed by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 Qualitative results show that cheating prevention, fairness assurance, procedural improvement, and more communication are needed for unproctored tests.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are provided. 본 연구는 국내 한 경영대학 내에서 시행 중인 무감독 시험제도에 대한 학생 공정성 지각이 이 제도에 대한 신뢰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135명의 상경계열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여 양적/질적 설문 정보를 제공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무감독 시험제도에 대한 학생 신뢰감과 만족도 모두 절차 공정성, 분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질적 연구 결과, 무감독 시험제도에 대해 학생들은 부정행위 방지, 형평성 제고, 체계적인 제도 운영, 적극적인 학교 측의 의사소통 노력 등을 주문했다. 이에 관련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다뤘다.

      • KCI등재

        멘토링 기능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이덕현,최송욱,장원섭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련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멘토링 관련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 102편을 검토하였으며, 이 중 42개의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Hunter와 Schmidt의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 집단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멘토링 기능의 하위범주인 경력지원 기능, 심리사회 기능, 역할모델 기능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군, 측정도구 등이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수들에 따라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분석을 통해, 멘토링 기능은 구성원들이 조직에 몰입하고 직무에서 만족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외 메타분석 결과와의 비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ta-analytically examined with Hunter & Schmidt's random effect model, in relation to mentoring functions,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doctoral theses. In total, 12,581 employees from 42 samples were inclu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of mentoring function(career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role model fun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global, overall facets), measuremen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types were found as potential moderators. This study summarized the status of the current research trend in the area and directed the future research orienta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