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 음악수업의 컨설팅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차영숙(Young Sook Cha),최정아(Jung Ah Cho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유아 음악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수업 컨설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컨설팅 매뉴얼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음악수업 및 수업 컨설팅과 관련된 선행 연구 고찰과 함께 G도시 교육청 소속 컨설턴트들과 현직 교사들 총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면담의 방법을 사용하여 요구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매뉴얼 개발의 반영점을 찾고, 이범기(2011)가 재구성한 컨설팅 체제에 따라 매뉴얼의 초안을 개발,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음악수업 컨설팅에 대한 컨설턴트들과 현직 교사들의 요구는 현장에서 유아의 음악적 지식, 기술, 태도의 향상을 위한 통합된 음악 수업 방법을 익히고, 자신들의 음악수업 사례를 점검하여 전문성을 진단, 처방받음으로써 음악교수 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유아음악수업의 매뉴얼 개발은 유아음악수업 매뉴얼의 구성원리 및 구성요소, 매뉴얼체제 및 내용으로 구분하되 수업설계, 수업실행, 수업평가라는 절차에 준하여 컨설턴트 및 교사들이 쉽게 활용 가능한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교사들과 컨설턴트들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실제적 활용성을 고려한 매뉴얼 구성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nual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usic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consultants and in-service teachers in G city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needs for music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on the consulting system developed by Lee (2011) for developing consultation manual. Finally, the validity of the manual was confirmed by exper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eds of consultants and teachers about music instructional consultation were to learn integrated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children's mus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y music teaching, to diagnose their actual music lessons and get a prescriptions for better teaching, and therefore, to improve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this instructional consultation manual in music teach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eveloped as practicable formats that can easily help consultants and teachers to use in practice by the procedure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practice, and evalu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요구

        차영숙(Cha, Young-Sook),문혜련(Moon, Hae-L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자녀들의 초등학교 1학년 생활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바탕으로 유치원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에서 2014년 2월까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는 표현의 수월성 보장, 초등 전이의 편리를 위한 유사성이었으며 각각의 하위범주는 읽고 쓰기의 수월성, ‘나’ 드러내기의 수월성, 일과운영의 유사성, 물리적 환경의 유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들의 유치원 교사에 대한 요구는 권위가 만들어 내는 질서, 더 큰 가치에 대한 교훈이었으며 각각의 하위범주는 부드러우나 엄격하게, 거리를 통한 상호존중, 공동체의 유익을 추구하는 것, 거시적 주제에 대한 책임의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유치원 교육과 학교교육의 연계성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ctations of mothers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the children’s difficulties. For this investigation,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o the mothers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convenience, mothers of first grade children expect that the education curriculum should help the children develop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with ease" and provide the children with opera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are similar to those of elementary school. Under the respective subcategories, their expectations were further grouped into "children"s ability to read and write completely" and "to express themselves with ease," "similarity in task and operation," and "similarity in physical environment." Second, the mothers expect kindergarten teachers "to maintain order under authority" and to provide the lesson with greater value." Under the respective subcategories, their demands were further grouped into ‘strict discipline with soft approach", "mutual respect with a certain distance", "pursuit of the benefits of community" and "the broa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topic."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kindergarten education and points to consider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in general.

      • KCI등재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어머니 경험에 대한 탐색

        차영숙(Cha, Young-sook),유희정(You, Hee Jung),강민정(Kang,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This study tried to know the meaning of mothers s experience who are in the course of their children coming into elementary school. Data have been gathered through group interview and writing letters individually based on mothers’ experience from Jan. to July 2013. The first feature of mothers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continuous worry,’ ‘like a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roubleshooter for everything,’ suggesting compass’. The second, the meaning of mothers’ experience are ‘fateful conflict,’ ‘flamelike passion,’ ‘eager for self-reliance,’ ‘comfort from pursuing values’. The result of the study help remove parents’ anxiety by suggesting the proper parents’ role for their children’s entering into elementary school, present basic information to help implementing practical parents’ role for children. 본 연구는 첫째 자녀를 초등학교 1학년에 보내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어머니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월에서 2013년 7월까지 어머니들의 경험을 기초로 그룹별 면담 및 개 별적 저널쓰기를 통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어머니들의 경험은 지속적인 염려, 마치 초등학생처럼, 뭐든지 해결사, 나침반 제시 등이었으며 둘째, 어머니들의 경험의 의미는 갈등은 숙명적, 열정 을 불꽃같이, 자립의 갈망, 가치추구의 위안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이라는 가족적 변화주기에 따른 올바른 부모 역할에 대한 혜안을 제시하여 추후 잠재적 초등 학부모들의 불안해소와 실제적 부모역할 수행을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아동학대

        차영숙(Cha Young-Sook),문혜련(Moon Hae-L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의 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하여 유아교사교육용 자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07년 11월 5일부터 2007년 11월 30일까지 유아교육기관(유치원 및 어린이집)으로 현장실습을 다녀온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토의와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현장실습기간 동안 관찰되었던 아동학대의 구체적 사례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적 학대는 떠밀고 당기기, 치거나 때리기, 벌주기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학대는 무시하기, 강제로 시키기, 비아냥거리기의 형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임은 제외시키기, 교사의 부재, 무관심의 형태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violation of human right of the young children by the candidat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o get the basis data for teaching resourse to prevent a child abuse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he concrete examples were collected by student in junior class who have participated in a spot practice at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from November 5, 2007 to November 30, 2007. They disscussed about child abuse observed in a spot practice and described the obtained results in open questionair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Physical abuse was observed as a form of push and pull, hit, and punish. Psychological abuse was shown as a form of disregard, force, and make sarcastic remarks. And neglect was shown as a form of exception, absense of teacher, and unconcern.

      • KCI등재

        "유아교사로 살아가기"에 대한 교사들의 소리

        차영숙(Cha Young Sook),장미정(Chang Mi Jung),곽정인(Kwak Jung In),강민정(Kang Min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생활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의 삶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12명의 인터뷰와 자서전을 통하여 그들의 삶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서로 다른 동기로 출발하여 다양한 과정들을 통하여 유아교사가 되어가고 있었으며, 자신의 성향과 유치원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살아가고 있었으며 교사로서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현대 사회의 유치원교사들에게 개인의 성향과 유치원 특성을 고려한 협력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들이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실천적 의지를 지닐 수 있도록 대학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교사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 유치원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변화의 중심이 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 교사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eacher's life by observing teaching life of several preschool teachers in depth. Therefore, this paper concerns mai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interviews and autobiographies of 12teachers. As a result, the preschool teachers start from different motivation with their various experience and they live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inclination and the environment of their working place with their various kind of effort. This results shows that preschool teachers need cooperative supports adjusted for the personal dispositions and the traits of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enhancement of the educational methods in college for encouraging practicing their initiatives in modern society. Because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ing the teachers' lives is much need for successful change in preschool curricula, research that apply the teachers' opinions.

      • KCI등재
      • KCI등재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배제현 ( Bae Je-hyun ),차영숙 ( Cha Young-sook ),최정아 ( Choi Jung-a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55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나누어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은 만5세 누리과정에 근거한 이야기 나누기 프로그램을 14주간 총 24회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창의성과 몰입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창의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언어유창성을 제외한 언어융통성, 언어독창성, 도형유창성, 도형독창성과 창의성 총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몰입행동의 하위영역 중 ‘발표유아에 대한 반응’, ‘주제에 대한 자발적 참여’, ‘정서적 반응’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 이야기 나누기에서 유머활용이 유아들의 몰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수업참여 향상과 몰입 경험을 돕고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켜주기 위한 방안으로 이야기 나누기의 유머활용이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use of humor during discuss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flow.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ifty five 5-year old childr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to the discussion activity program with the use of humor,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applied to ordinary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for 24 times in 14 weeks. The collected data of the creativity and flow of the children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perform the analysis by covariance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humor during discussion activities had been enhanced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language flexibility, language creativity, shapes fluency, shape originality of the creativity sub-factors and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xcept language proficiency.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humor during discussion activitie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f children in ``reaction to the presenting child``, ``voluntary participation on the topic``, ``emotional respons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flow acting scale. Therefore, using humor in discussion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on children``s flow.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humor in discussion activities can help children to improve their class participation, to raise their flow experience, and to extend the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R-러닝 로봇을 활용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소양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상윤 ( Sang Yun Kim ),이민정 ( Min Jung Lee ),안경숙 ( Kyoung Sook Ahn ),김정희 ( Jung Hee Kim ),차영숙 ( Young Sook C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R-러닝 로봇을 활용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소양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 10월 14일부터 2012년 5월 31일까지 시행되었으며, R-러닝 로봇을 활용한 통합 활동의 적용 및 사전·사후 검사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로봇을 활용한 통합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증진에는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과학개념 획득에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R-러닝 로봇을 활용한 통합 활동의 유아의 창의적 성향 중 정의적 요인에서 영향력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R-learning based education on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1 through May, 2012. Steps for this study are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R-learning based integrative approach and pre/post test analysis.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learning based integrative activity did no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hild`s scientific attitude and ability. On the other hand, it improved child`s scientific conceptual ability. Second. R-learning based integrative activit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ffective factor of child`s creativ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

        강민정 ( Kang Min Jung ),곽정인 ( Kwak Jung In ),유희정 ( You Hee Jung ),차영숙 ( Cha Young Soo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수몰입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의 차이와 심리적 소진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B시, J도, K도에 위치한 유아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수몰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 통계량, 공변량 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수몰입은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수준은 연령과 경력에 따라 교수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소진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볼때, 무능감만 교수몰입에 부적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심리적 소진 해소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dditionally, it lies in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burnout on teaching flow of the teachers. For data, survey was conducted subjecting 21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 city, B city, J province, and K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adop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urnout and teaching flow of the teachers appeared higher than average. Secondly, burnout and teaching flow of the teacher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hich appear in both whole and sub-factors of burnout and teaching flow. Lastly, burnout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eaching flow of the teachers is an inability.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y prepared a way to improve teaching flow of the teachers and provided a basis of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