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사극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 연구: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을 중심으로

        진은경,박세준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극(K-사극)을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발전가능성의 구체성과 실효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킹덤” 방송 이후 전 세계에서“K-사극”이 해외 팬들이 관심을 가지면서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최근 높은 시청률로 종영한 MBC에서 방영한 K-사극 <옷소매 붉은 끝동>은 아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옷소매 붉은 끝동>은 여러 플랫폼으로확장이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넘어선 상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옷소매 붉은 끝동>이 다매체, 단일하고 통합된 스토리, 미디어 간 반복 회피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한것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은 원작 소설, 드라마, 웹소설, 웹툰은 물론 음악, 유튜브, 스핀오프까지 확장하면서 다매체로 확장했다. “조선왕조 정조시대” 라는 세계관에서 주인공인 정조와 덕임을 중심으로 주변 인물인 궁녀와 신하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사랑과 삶에 조명했다. 이는 모든 매체에서 단일하고통합 이야기라 볼 수 있다. 이 드라마에서는 미디어 간 반복 회피를 위해캐릭터들의 “확장”을, 웹소설에서는 외전이라는 이야기의 “연장”을, 그리고유튜브에서는 사용자들의 수정이라는 “전환”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견고하게 만들어진 세계관에 충분한 배경 이야기와 갈등을 가진 캐릭터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야기한다. 어떤 의미에서 역사 사실을 원천서사로 삼은 영화나 드라마 또는소설은 그 자체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역사 기록이라는 매개에서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이라는 매체로 그 내용이 전환했기때문이다. 영미권에서는 <옷소매 붉은 끝동>과 같이 역사를 원천서사로 삼은콘텐츠를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으로 제작한 경우가 많다. 정조 시대를다룬 콘텐츠가 다양한 매체에서 여럿 다룬 점을 봤을 때, 더 많은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의 사례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미야자키 하야오의 영화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진은경 한국비교문학회 2006 比較文學 Vol.0 No.39

        Eco-feminism in Miyazaki Hayao's Film Eunkyung Jin (Korea Univ.) Miyazaki Hayao, one of the leading directors of Japanese animation society, presents in his works themes such as modernity, pollution, destruction of nature, and sense of life, which directly face critic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In his films, Future Boy Conan(1978), Nausica of the Valley of the Wind(1984), LAPUTA: Castle in the Sky(1986), My Neighbor Totoro(1988), Princess Mononoke(1997), Spirited Away(2001), Howl's Moving Castle(2004), he deals with an ecological theme of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Especially, his works shows nature in the woods, blue sky, and trees full of life. And nature is devastated by technological civilization. Nature, nevertheless, is rehabilitated and assimilated by feministic characters who take steps forward. Nature and feminism, which are injured beings, should be rehabilitated and healed together for the harmonies of the world. Women are active producers of life who play the role to conceive a life and bring it up. Men passively take part in producing lives. Therefore feministic principles, feminism are considered to be the principles of life. Miyazaki Hayao's films are closely related to eco-feminism because they focus on inquiries of feminism and motherhood. This study investigates Miyazaki Hayao's animation from the eco-feministic views. On the first step, his idea of nature is fully explained. And then relationships between feministic characters and nature are analyzed. Analysis focuses mainly on Nausica of the Valley of the Wind(1984), LAPUTA: Castle in the Sky(1986), My Neighbor Totoro(1988), My Neighbor Totoro(1988), which cherish 'tree' and 'wood'.

      • KCI등재

        ‘세종’ 팩션영화의 스토리텔링 유형과 전략

        진은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movies related to “Sejong” have less production frequency, public interest, and related research than TV dramas. According to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and strategic aspects of ‘Fact’ storytelling, focusing on ‘Sejong’ related movies. To this end, eight Sejong-related films, A Wanderer (1962), King Sejong (1964), Prince Yang-nyeong (1968), King Sejong the Great (1978), and The Divine Weapon (2008), I Am the King (2012), The King’s Letters (2019), and Forbidden Dream (2019) a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how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these films appear with historical facts and fictional imagination. As a result, the strategy of storytell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limitations are clear. This can confirm the implications that fact films can be criticized or enjoyed by the public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storytelling.

      • KCI등재

        한국 재난영화 속 불평등과 생태학적 치유

        진은경,박세준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난영화를 젠더와 생태학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부산행>, <터널>, <판도라>와 <엑시트>, <반도>, <싱크홀>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난영화 위험(파국)의 관점에서 재난약자의 불평등을 사회·문화적으로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재난영화의 젠더 변모 양상을 분석하며 재난영화에 나타나는 치유의 관점을 젠더와 생태주의를 중심으로 의미를 탐구했다. 이 연구의 내용은 근대의 '위험사회' 속에서 불특정 다수가 재난에 평등하게 노출하지만, 실상은 불평등하게 피해를 보는 재난 약자들은 영화나 현실이나 같다는 점이다. 성인, 남성, 대기업, 원청회사, 대단지 아파트 주민이 청소년, 여성, 편의점, 하청회사, 철도 옆 빌라 주민에 비해 재난에 대응하는 데 유리했다. 이처럼 2016년을 기점으로 젠더의 관점에서 불평등이 줄어들었다. 이전 영화에서는 재난 약자들을 구하는 것은 대부분 “가부장”들이지만 이후 영화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위치에서 재난에 맞선다. 재난 이후 치유도 달라졌다. 돌봄과 연대의 윤리를 통해 자신과 가족 나아가 미래의 다른 이들까지 책임진다. 이 연구의 결론은 재난을 경험하는 것은 평등하지만 예방, 복구에 있어서는 불평등하다. 그럼에도 극복과 치유에 있어서는 돌봄과 연대의 윤리를 통해 평등함을 지향해야 한다. 부정적 세계화 속 불평등과 '위험사회'에 대한 성찰을 통한 치유는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평등하게 맞닿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 과 영화 <헨리와 준>의 비교연구

        진은경 문학과영상학회 2005 문학과영상 Vol.6 No.2

        Fictions and films, when written from male or from female perspective show us different description and configuration. As Lacan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sexuality and of subjectivity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comes about together with that of sexual desire and sexual identity. Sexuality, therefore, become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which shapes patriarchal power structure. And issues on feminity and masculinity are brought back to those of sexuality. Thus sexuality has recently been one of the critical issues of feminism. In particular, the relation of films and sexuality has taken an important area of film theorie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concerning Henry Miller’s Tropic of Cancer and its filmic adaptation Henry & June viewed from a feministic standpoint. Specifically both texts make it clear that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male or female viewpoint could be made in the formation of sexuality and subjectivity. Miller describes woman as an sexual object of obscenity and as a product within power relationship of master and servant. At the same time, he shows chauvinistic ideas of master and servant through configu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sadism and masochism. In the filmic adaptation Henry & June, however, homosexuality is set up for a woman’s searching process. And the image of sexual emancipation is embodied in a woman, Anais Nin, searching for sex and love through her vision. Writer’s sex functions as a critical point of discrimination on the issue of “How can we read pornography?” By re-reading these two works, the concrete analysis reveals the point where we can find writers’ specific viewpoints between eroticism and pornography.

      • KCI등재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에 나타난 모성의 양가성 연구

        진은경(Jin, Eun Kyung),음영철(Eum, Yeong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본 논문은 한국적인 어머니와 모성을 드러낸 소설과 영화를 중심으로 모성의 양가성을 탐구한 것이다. 21세기에도 여전히 모성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전유물이 되어 자본주의 체제의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예술은 모성의 양가성을 부각시키며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제로 남아 있다. 그로 인해 인간의 소외와 소멸을 논하는 이 시대에도 모성성의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엄마를 부탁해』에 나타난 어머니는 산업화에 따른 가족의 해체를 온몸으로 지키는 신화화된 모성을 상징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익숙한 가족 구성원(어머니를 제외한)은 어머니에 대한 ‘희생’의 환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어머니는 가족의 수호신으로 전능한 모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 무기력한 어머니는 아들에게 큰딸의 양육을 맡기며 ‘미안하다’는 죄의식을 느껴야만 한다. 이 소설에서 전능함과 무력감의 양가성을 보여준 그녀는 주체적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 소설은 모성의 본질을 사회로 나아가지 못하고 가족 안에서만 구하려 했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피에타>는 여주인공 미선이 자신의 아들을 죽인 이강도가 자본주의의 희생양임을 깨닫고 모성의 양가적 태도를 보여준 영화라 할 수 있다.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는 누구나가 이강도와 같은 악한이 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러한 악무한을 끝내기 위해서는 ‘피에타’의 호출이 필요한 것이다. 이 영화는 복수와 용서가 결국 자본주의가 낳은 쌍생아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친아들을 죽인 양아들 이강도 또한 용서를 하고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미선이 자신의 희생을 통해 이강도를 용서한 것처럼 이강도 또한 자신의 속죄를 위해 죽음을 선택한다.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는 영화와 소설이라는 다른 장르에도 불구하고 모성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전자가 전능과 무능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면, 후자는 복수와 용서의 양가성을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 또한 양가성을 지닌 모성은 여전히 자본주의 체제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효한 기제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for searching for the ambivalence in the novel which present traditional Korean mothers and their motherhood. Still in the 21<SUP>st </SUP>century, the motherhood becomes subordinate to the ruling ideology and constructs the basis of the capitalist system. However, art bring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o the people’s attention and remains as a mechanism that can criticize the capitalist system and present its alternative. Thus, in the times of human isolation the deeper study of motherhood is needed. The mother in the novel, Please Look After Mom represents mythological motherhood which tries to keep the bond of the family from breaking up caused by industrialization. Family members used to the patriarchal system have a ‘sacrifice’ fantasy about their mother. Because of that, mother is supposed to show off her omnipotence as a guarding angel for her family. But the helpless mother handing over the duty of her son’s bring up to her daughter, feels guilty, “I’m sorry.” The mother in the novel showing the ambivalence between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is pictured as a woman who cannot choose her own life. This novel has a limit that it presents the essence of motherhood only in the family not going out to the society. In the movie Pieta, the main character Misun realizes that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is also just a victim of capitalism, and show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As anyone could be a villain under the situation of capitalism, we need to call ‘Pieta’ to bring to an end to the circulation of evil. The movie shows that vengeance and forgiveness are the twins capitalism has produced. It also gives a message that she should give a mercy to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As Misun takes her sacrifice, Lee Kangdo decides to commit a suicide for the atonement. Please Look After Mom, and Pieta, although they differ in genr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show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he difference remains that the former presents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the latter vengeance and forgiveness. Motherhood with ambivalence still holds good as a mechanism for the capitalist society to retrospect its ineffectiveness.

      • KCI등재

        한국영화에 나타난 ‘하녀’ 양상변화 연구 -<하녀>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진은경 ( Chin Eun-kyu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본 연구는 ‘하녀’의 모티브를 토대로 영화<하녀>(1960, 2010)와 <기생충>(2019)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첫째, <하녀>(1960)와 <하녀>(2010)의 ‘하녀’ 주체 양상을 계급의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크리스테바는 ‘여성’을 호명하는 과정에서 내포한 권력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1960년 <하녀>는 식모로, 2010년 <하녀>는 가정부로 호명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피지배층인 여성인 ‘하녀’는 시대가 바뀌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 영화에서는 봉건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얽매여 있는 여성 주체 모습을 보인다. 둘째, <기생충>을 가족, 가정, 집을 위주로 그린 가족 담론으로 살펴봤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집 안에서 여성의 삶, 하녀의 모습은 ‘가사도우미’로 호명은 전환되었지만, 여전히 가족과 모성 이데올로기가 그대로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가부장적 모성담론을 엿볼 수 있다. 셋째, <기생충>과 <하녀>를 비교하여 영화에서 나타나는 젠더 담론의 보편성·특수성을 찾는 방향으로 적응시켜 분석하였다. 전작 <하녀>(1960, 2010)와 다르게 <기생충>에서는 가족주의의 주체 변이가 나타난다. 기존의 <하녀>에서는 하녀의 이미지가 수동적이고 무기력하면서 연약하고 여성적인 존재였다면 <기생충>에서는 능동적인 강한 여성으로 등장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가족주의 주체로서의 여성의 삶의 모습을 반영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films The Maid (1960, 2010) and Parasite (2019) based on the motif of the “maid” from a gender perspective. First, the subject of the “maid” in The Maid (1960) and The Maid (2010) was examined. Kristeva emphasized the meaning of power implied in the process of referring to somebody as a “woman.” In 1960, < Maid > was a maidservant and in 2010, this character was changed to a housekeeper. However, despite the changing times, the female subject, the “maid,” depicts a female subject who is bound by the feudal patriarchal ideology found in these films. Second, Parasite is a family discourse focusing on family, home, and house. In the house shown in the movie, a woman’s life have changed from being a maidservant to being a housekeeper, but it can be seen that the family and maternal ideology are still being reproduced. This is shown in the patriarchal maternal discourse. Third, the peculiarity of women’s discourse in the movies is examined by comparing Parasite and The Maid. This is analyzed by adapting to the direction of finding universality. Unlike the previous work, The Maid (1960, 2010), the subject variation of familialism appears in Parasite. The difference is that in The Maid, the image of a maid is passive, helpless, weak, and feminine, whereas in Parasite, she appears as an active strong woman.

      • KCI등재

        최남선과 이와야 사자나미의 ‘소년상’ 비교연구

        진은경 ( Chin Eun-k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사자나미의 『소년세계』(1895. 1. 1)와 최남선의 『소년』(1908. 11. 1)의 창간호를 통해 근대아동잡지에 나타난 ‘소년’의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두 잡지의 창간호를 통해 발행의도와 목적을 살펴 본 결과, 시대의 상황에 적합한 소년을 일깨우기 위한 의도였다. 사자나미는 청일 전쟁으로 일본의 우월감을 강조하여 소년들에게 국가주의사상을 주입시켰다. 최남선은 소년들에게 세계로 진출하여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계몽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당대의 문화에 맞는 새로운 소년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보편성과 특이성이 돋보인다. 두 잡지에서 나타나는 소년상의 성격은 명확하게 드러난다. 『소년세계』는 국가주의에 맞추어진 전쟁잡지이었다. 『소년세계』창간호에 실려 있는 소설 「히노마루」에서는 ‘모모타로주의’에 입각한 소년상을 제시하였다. 이 소설은 소년은 성장해서 천황을 위해 전장에 나가도록 고취함과 동시에 널리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기를 강조하였다. 사자나미는 청일전쟁이라는 시대상황과 맞물려 관심이 증폭되면서 아동들에게 국가의 위상과 이익에 동원되는 역할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달리 최남선의 <소년>는 교육을 통해 새로운 근대인을 길러내는 것이었고, 그런 근대인은 ‘소년’으로 표상되었다. 최남선이 의도했던 것은 잡지를 통해 세계적 지식을 보급하는 것이었고, 그는 그러한 지식을 소유한 소년만이 새로운 문명과 국가를 선도할 수 있는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침내 소년이 도달하게 될 종착지로서의 문명국가, 새로운 문명이 열리게 될 도래지로서의 바다로 보았다. 그는 <소년> 창간호의 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통해서 바다를 모험하는 ‘해상 소년상’을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자나미와 최남선은 일본과 한국에서 ‘소년’이라는 용어를 정착시켰을 뿐 아니라, 사회적 주체로서 소년의 위상과 역할 및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사자니미의 『소년세계』와 최남선의 『소년』이 갖는 한·일 양국의 근대아동문학사적 의미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ages of ‘boy’ in modern children's magazines through the first issue of Sazanami's “The World of Boys ”(1895.1.1) and Choi Nam-sun's “Boys” (November 1, 1908).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ssue and purpose of the issue through the first issue of both magazines, it was intended to awaken a boy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the times. Sazanami emphasized the superiority of Japan in the Sino-Japanese War and injected nationalistic ideas into the boys. Choi Nam-sun emphasized the enlightenment of boys to advance into the world and learn new knowledge. They are prominent in their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n that they have presented a new boy prize that matches the culture of the time. The character of the boy appearing in both magazines is clear. The “The World of Boys” was a war magazine tailored to militarism. In the novel “Hinomaru”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The World of Boys”, we presented a boy prize based on “Momotaro”. This novel emphasized that the boys should grow up and encourage them to enter the battlefield for the emperor, and at the same time, act widely in the world. As Sasanami witnessed the rise of interest in the era of the Sino-Japanese War, he was forced to criticize children for their role in mobilizing the nation's statu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Choi Nam-sun's < Boy > was educating new modern people, and such modern people were represented as ‘Boy’. Choi Nam-Sun's intention was to disseminate global knowledge through magazines, and he saw that only the boy who possessed such knowledge could be the protagonist who could lead a new civilization and nation. I finally saw it as a civilized country as a destination to which the boy would arrive, and a sea as a backdrop to open a new civilization. He presented the “A marine boy” for adventuring the sea through the poem “From the Sun to the Boy”. As we have seen, Sazanami and Choi Nam-sun not only established the term ‘boy’ in Japan and Korea, but also played a role in informing the boy's status, role and importance as a social subject.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ry history in both Korea and Japan of Sazanami's “The World of Boys” and Choi Nam-sun's “Boys”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