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핀란드의 포용적 사회통합

        이연희(Yeon Hee Lee)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0 사회통합연구 Vol.1 No.1

        사회통합은 공동체 내에서 이질적 집단이 분열과 대립에서 탈피하여 사회연대적인 협력을 통해 사회를 발전적으로 변화시키는 창조적 역할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는 통합을 저해하는 수많은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특히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이기심은 또 다른 차별과 갈등의 사회를 만들고있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적 이주의 중요성과 통합 이론을 바탕으로 핀란드가 어떻게 민족 · 언어분리와 계급분리를 극복하고 통합을 이룰 수 있었는지를 분석하고 검토하는데 있다. 핀란드는 사회개혁과 보편적 복지국가로 이념의 갈등과 계급 분리를 넘어서계급의 통합을 이루었다. 또한, 서구 자본주의 체제와 함께 민주주의와 중립주의로 대내외적 규범과 안정을 이루고, 민족 · 언어 분리 및 갈등을 극복하여 ‘민족’통합을 이루었다. 전 세계적 문제이기도 한 난민정책에 있어 핀란드는 난민이 한 국가의 거주인으로서 잘 적응하고 일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사회통합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초로 난민들에게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카드를 발급하여 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핀란드에서 정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거주 장소와 주거조건의 불평등은 사회적 갈등과 통합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사회적소외와 가난의 대물림을 야기할 수 있다는 핀란드 국민들의 생각, 즉, 만민의권리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핀란드의 사례를 통해 한국 사회가 처한 사회통합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나의긍정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Social integration means a creative role in which disparate groups within the community break away from division and confrontation and transform society progressively through social solidarity cooperation. But, there are numerous factors in our society that hinder integration. In particular, selfishness, which does not recognize differences, is creating another society of discrimination and conflict. This study shows how Finland is divided into ethnic and linguistic divisions and class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gration migration and the theory of integration. Finland is a social reform and universal welfare state that has achieved class unity beyond ideological conflict and class separation. Also along with the Western capitalist system, finland internal and external norms and stability have been achieved by democracy and neutrality and overcoming ethnic and linguistic segregation and conflict, 'ethnic' unity was achieved. Variou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re under way to help refugees adapt and work as residents of a country in finl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we have issued cards to prove our identity to refugees. It allowed refugees to settle down in Finlan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It is because the rights of the people are based on them. Finnish case will be a positive model for solv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blems facing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건강신념모델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건강신념모델 관련 연구 분야 현황과 모델 설명력을 중심으로

        ZHOU NAN,김현미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2

        개인의 건강 행위를 설명하는 데 있어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국내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연구들의 양상, 추세, 그리고 이론 자체의 설명력과 예측력을 살펴보았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동안 발간된 111편의 KCI 학술지 논문에 대해 코딩 및 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연구 수량은 증가 중인 것으로확인되었다. 둘째, 건강신념모델은 대중의 질병예방행위를 예측하기 위해만들어진 이론 틀로, 질병예방행위, 건강검진행위, 위생습관행위, 건강증진행위, 운동참여행위 등 건강 계열에 진행된 연구가 대다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HBM의 발전과정에서 추가된 개념으로 관련 연구 중 가장 적게 언급되었으나,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예측력을 갖고 있다. 넷째, 건강신념모델을 사용한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델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양상인 것을 시사하였으며, 건강신념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탐색이 부족한 것으로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 연구 분야의 현황과 추세를 파악했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과 모델의 발전 방향에 대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음에 의미가 있다. Health Belief Model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individuals’ health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the research field,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itself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n Korean researches to which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We coded and analyzed 111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KCI) between 2011 and 2020. Analysis results are as be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is increasing. Second, the health belief model is a theoretical framework created to predict the public'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due to which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health field such a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health checkup behavior, personal hygie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exercise behavior ect. Third, although self-efficacy was added to HBM during its developing process and has been mentioned least among related studies, it has a stronger predictive power than other factors. Fourth, the study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suggested that the presented research model was generally simple. A lack of exploration of predictors affecting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as mentioned as one of our conclusions.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the field of Health Belief Model, and we look forward to our study serving as a reference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model development.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과 사회의 연결: 바흐친의 크로노토프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박우승(Woo-seung Park)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1 사회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바흐친의 크로노토프 이론에 입각하여 2009년 방영된 <슈퍼스타K>, 2016년 방영된 <프로듀스 101>, 2021년 방영된 <쇼미더머니 10>의시공간적 지표를 토도로프의 시퀀스 분석법을 활용해 파악하고, 지엽적 크로노토프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지배적 크로노토프를 추출하여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 장르의 크로노토프와 사회 양자 간의 연결점을 찾고자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에는 '무대'라는 공간과 '연습실'이라는 공간에 평가의 시간성, 성장의 시간성, 경쟁의 시간성이더해져 평가, 성장, 경쟁의 지배적 크로노토프들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세 크로노토프 중 한 개의 크로노토프가 중심축이 되고 나머지 두 개의 크로노토프들이 핵심 크로노토프의 주위를 맴돌며상호작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장르적크로노토프는 '성장과 평가를 통한 경쟁의 크로노토프'라고 볼 수 있었다.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 장르의 크로노토프는 신자유주의 사회의 노력을 통한 성장, 성장의 결과물에 대한 상품화, 지극히 개인주의적인 경쟁 시스템, 승자 독식의 구조 등과 같은 현실의 크로노토프와 함께 공명하는 것으로해석되었다. 금융 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도래한 신자유주의는 TV 프로그램의 크로노토프까지 침투해 있었다. Based on Bakhtin’s chronotope theory, this study preferentially tried to find local chronotope of “Superstar K(2009)”, “Produce 101(2016)”, and “Show Me the Money 10(2021)” by searching spacetime of the programs through todorov’s sequence analysis. By extracting dominant chronotope, which local chronotopes commonly reveals,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a connection between Korean society and Korean audition survival program gen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ime of evaluation, growth, and competition were added into the space which was stage and practice room in Korean audition survival program. And the dominant chronotope of evaluation, growth, and competition were commonly existed in Korean audition survival program.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hracteristics of the program, one of the three chronotopes became the central axis, and the other two chronotopes tended to hover around the core chronotope and interact. Therefore, the genre chronotope of the Korean audition survial program could be seen as a ‘chronotope of competition through growth and evaluation’. Choronotope of the audition survival program genre was interpreted as resonating with real-life chronotope such as gorwth through neoliberal society’s efforts, commercialization of growth outcomes, extremely individualistc competition system, and winner-takes-all structure. Neoliberalism, which arrived in Korean society after the financial crisis, penetrated the chronotope of TV programs.

      • 치매 대상자 및 가족 케어를 위한 캡스톤 디자인 기반 보건 ․ 복지 융복합 교과목 개발

        강성례(Sung-Rye Kang),김혜래(Hye-Rae Kim)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1 사회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치매 대상자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복지, 간호가 융복합적으로 협력하여 개입 및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다학제적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혼종모형(Schwartz-Barcott & Kim, 2000)을 일부 적용하여관련 문헌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주요 속성을 식별하였으며, 치매환자를돌보는 현장 전문가 1명을 면담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교과과정의 주요 목적과 치매대상자 케어를 위한 보건복지 융복합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5개 범주 30가지로 도출하였으며, 이를바탕으로 치매 대상자 및 가족 케어를 위한 보건복지 융복합 캡스톤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치매 대상자 및 가족 케어를 위한 현장 중심형 수업의 활성화,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내 치매 가족에 대한 봉사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 수업의 결과 생산된 산출물은 학생들의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학생들의 취업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aptone design based-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for the cooperative intervention and management of nursing and social welfare would be effective for helping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in the community and solving their problems.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hybrid model was partially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were discover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and the datum about the problem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a professional worker in a nursing home. As a result, the main purposes of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ies which the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s in dementia areas should have were derived, and based on this, the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was developed. This curriculum would be helpful to vitalize the field-based lesson, to link actively classes with the community agencies, and to serve families with dementia patient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outputs which students will produce by this curriculum would help with students’ portfolio for their employment. Finnish case will be a positive model for solv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blems facing Korean society.

      • 지역사회기반 교정시설의 교정프로그램 체크리스트(Correctional Program Checklist)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정혜원(Hye-Won Jung)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0 사회통합연구 Vol.1 No.1

        이 연구에서는 CPC(correctional program checklist, CPC)가 국내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에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 연구이다. 이를위해 국내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의 현황과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미국의 대표적인 평가척도인 미국의 CPC를 소개하고, CPC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지역사회기반 소년교정시설은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하여 매년 3년마다 시설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동복지시설 중 아동보호치료시설이기 때문에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지역사회기반소년 교정시설의 목적이나 특수성을 반영한 지표를 충분히 설정하고 있지못하며, 이에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에 목적이나 특수성을 반영한 평가지표의 도입이 시급하다. 미국의 경우,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을 평가할수 있는 평가 지표로 CPC를 활용하고 있다. CPC는 미국 신시내티 대학교의CCJR(The Center for Criminal Justice Research)에 의해 개발된 도구이다. CPC가 국내 지역사회기반 소년 교정시설에 적용이 가능한지 살펴본결과, CPC는 국내 소년 교정의 신념과 부합할 수 있는 척도이며, 현재 시설의 현장성을 반영할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만약 국내 지역사회 기반 소년교정시설에 실증적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시설 내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종의 “과정” 및 “수단”으로 고려될 필요성이있으며, 이와 같은 평가를 통해서 효과성 높은 지역사회 기반 소년 교정시설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fundamental study was executed to know if correctional program checklists(CPCs) can be used for domestic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For the purpose, efforts were made to look into the present situations of those facilities and their legal grounds and to examine how those facilities are evaluated. In addition, CPCs of the U.S., leading assessment scales of America, were introduced to figure out the applicability of these CPCs in Korea. According to important results, the nation's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are evaluated every three years und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se facilities are assessed as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 residential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m because they are children welfare centers for protecting and treating children. The small number of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is not enough to establish sufficient indicators reflecting purposes or special nature of those establishments. In consequence, it is urgent to introduce such indicators for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In America, CPCs are used as indicators for evaluating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CPCs developed by the Center for Criminal Justice Research (CCJR) at University of Cincinnati. After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out if those CPCs are applicable to the nation's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CPCs conformed with belief of the nation's juvenile corrections and could reflect practicability of the existing facilities. If the nation's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can be evaluated empirically, CPCs should be considered as a kind of “processes” and “means” to improve efficiency of programs provided by those facilities. Based on evaluation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operate highly effective community-based juvenile correction facilities.

      • 문화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재생사업의 방향 모색: 농촌 공동체 지역 활성화 사례 중심으로

        유지윤(Ji-Yoon Ryu)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2 사회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소멸도시 문제가 저출산 현실과 맞물려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지방소도시 또는 농촌지역의 현실적인 대안 찾기 노력이시급해졌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문화콘텐츠개발을 통한 지역재생사업이 2000년대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사업이되었고 지방농촌축제나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방문객 유치사업을 벌이고있다. 하지만 농촌 공동체의 공동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초고령化 사회로의진입이 도시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촌공동체에서는 인력이 많이필요한 사업보다는 농촌마을의 자원을 세밀하게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한 스토리가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특색 있는 마을로 만드는 마을재생사업의필요성을 알려 전문적인 인력의 컨설팅과 MZ세대의 가치소비에 대한 수요를 농촌공동체로 돌리려는 노력이 필요함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ant decrease of birth rate in developed countries, most notably in Korea recording the smallest in the world, we are now worrying about the cavitation and/or extinction of local communities in the near future. Actually many developed countries in recent decades actively put into practice a variety of local regeneration projects. While the local regeneration in the early stages focused on the income increase in the communities such as local tour or local food promotion, currently it aims at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ies, which embraces wider range of elements to sustain a community including population, habitat, job, environment and cultural assets. In this regard, this study reviewed several local regeneration cases which produced successful results in Korea, and analyzed success factors and suggested the key points to advance the local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local regeneration should be based on the local community-specific amenity which consists of natural asset(e.g. scenic view, life resources, geography). material asset(e.g. specialty, local industry) and cultural asset(e.g. historic heritage, lifestyle, customs, etc). Based on this, we can set up an effective strategy to start a local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suggested four different model cases of local regeneration including local festival model, storytelling model, rural and urban networking model, and home-coming model. In spite of many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identified the driving factors in successful local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the differentiation of cultural contents, the engagement of local residents and the capacity building process assisted by relevant experts, the mobiliz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carry out the projects. In recent days in Korea, whil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expanding their subsidy and investment into local regeneration projects, still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in this projects need to be enhanced, at the same time, we need to explore this as a new occasion where MZ generations facing limited job opportunity to take part in.

      • KCI등재후보

        한국 사극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 연구: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을 중심으로

        진은경,박세준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극(K-사극)을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발전가능성의 구체성과 실효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킹덤” 방송 이후 전 세계에서“K-사극”이 해외 팬들이 관심을 가지면서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최근 높은 시청률로 종영한 MBC에서 방영한 K-사극 <옷소매 붉은 끝동>은 아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옷소매 붉은 끝동>은 여러 플랫폼으로확장이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본은 넘어선 상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옷소매 붉은 끝동>이 다매체, 단일하고 통합된 스토리, 미디어 간 반복 회피라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이 있음을 확인한것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은 원작 소설, 드라마, 웹소설, 웹툰은 물론 음악, 유튜브, 스핀오프까지 확장하면서 다매체로 확장했다. “조선왕조 정조시대” 라는 세계관에서 주인공인 정조와 덕임을 중심으로 주변 인물인 궁녀와 신하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사랑과 삶에 조명했다. 이는 모든 매체에서 단일하고통합 이야기라 볼 수 있다. 이 드라마에서는 미디어 간 반복 회피를 위해캐릭터들의 “확장”을, 웹소설에서는 외전이라는 이야기의 “연장”을, 그리고유튜브에서는 사용자들의 수정이라는 “전환”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견고하게 만들어진 세계관에 충분한 배경 이야기와 갈등을 가진 캐릭터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야기한다. 어떤 의미에서 역사 사실을 원천서사로 삼은 영화나 드라마 또는소설은 그 자체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역사 기록이라는 매개에서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이라는 매체로 그 내용이 전환했기때문이다. 영미권에서는 <옷소매 붉은 끝동>과 같이 역사를 원천서사로 삼은콘텐츠를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으로 제작한 경우가 많다. 정조 시대를다룬 콘텐츠가 다양한 매체에서 여럿 다룬 점을 봤을 때, 더 많은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의 사례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SNS 이용,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김현미,조재희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1

        최근 10년 동안 국내 고등교육기관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2년말의 86,878명으로부터 2022년 166,892명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교육부, 2022).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과의 문화적인 차이가 가져오는 어려움으로 인해 문화진입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셜 미디어의 긍정적인 기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SNS 이용을 자세히 살펴보고, SNS 이용 행태가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완화 역할을 탐구하며, 그 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이용은중국인들이 제공해주는 사회적 지지와 한국인들이 제공해주는 사회적 지지에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한국인이 제공하는 사회적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은 주관적 안녕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주관적 안녕감 역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SNS의 긍정적인 역할을 탐구해 볼 수 있는 결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결과를 통해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유학생활을 마치고 친한 인재로 양성되는 것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한국사회의 갈등과 통합

        김문조(Mun Cho Kim)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2 사회통합연구 Vol.3 No.1

        갈등은 시간이나 장소를 불문한 모든 사회에 상존해 온 보편적 현상에 속한다. 하지만 임계점을 넘어선 과도한 갈등은 사회체계의 존립이나 안정을해치는 심각한 위험 요소로 간주되어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 방안들이지속적으로 모색되어 왔다. 냉전구도 하에서의 첨예한 이념 대립, 압축적산업화의 부작용, 파당적 통치체제, 폐쇄적 문화 전통 등으로 숫한 갈등을체험해 온 한국사회는 최근 고조되는 불확실성과 계급적 균열로 ‘갈등공화국’으로 지칭되는 우려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사태의배경 요인에 해당하는 사회불안, 갈등의 주요 원천인 사회격차 및 그 부정적결과로서의 사회갈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한 후,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한다. 응보적 정의에 의한 징벌적 접근, 분배적 정의에의한 복지적 접근 및 인정적 정의에 의한 포용적 접근이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사회 갈등 해법이다. 그러나 전투 상황에 비견될 만큼 악성화 되어가는요즘 한국사회의 갈등은 회복적 정의에 의한 화해적 접근이 보강되어야 화합적 통합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 결론이다. Conflict is a universal phenomenon that exists in all societies regardless of the times or places. However, excessive conflict beyond the critical point has been recognized as a serious threat to a society, and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devised in order to resolve the social conflict. Korean society, which has experienced numerous conflicts due to sharp ideological confrontation under the Cold War, side effects of compressed industrialization, partisan governance, and closed cultural traditions, has recently shifted to a worrisome state referred to as a 'conflict republic' due to rising social uncertainties and class disparity.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is current condition in terms of social anxiety as a background factor, social inequality as a causal factor and social conflict as a consequential factor, and discusses social integration measures to resolve the conflict from various viewpoints. Until now, a punitive approach based on retribution justice, a welfare approach based on distributional justice, and an inclusive approach based on recognition justice have been widely known as effective solutions to social conflict. From this study, however, it is turned out that the recent social conflict in Korea, worsening to an extreme form like a state of a war, is able to enter a path of harmonious integration only when a reconciliation approach resting on restorative justice is combined.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사회적 불안이 범죄 두려움 인식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박성훈(Seong-Hoon Park)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1 사회통합연구 Vol.2 No.2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에 따른 전 지구적 규모의 잠재적이고 통제불가능한 위험은 국가 시스템 무력화, 경제 불평등 심화, 공동체 신뢰 약화를가져왔고, 각 개인은 삶에 대한 통제감 상실, 사회적 배제와 낙오에 대한불안 속에 살아가고 있다.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은사회적 불안을 극대화하며, 일상은 물론 의식도 바꾸어가고 있다. 후기 근대사회의 범죄 두려움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광범위한 사회체계의 변화에 대한 해석과 관련이 있다. 이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후기 근대사회가 불러온 대표적 위기로 규정하고, 사회적 불안의 표상으로서범죄 두려움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유형화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코로나19 전후 모두 두려움이 높은 '불안집단(anxious group)', 코로나19 이후 범죄 두려움이 높아지는 '경계집단(alert group)', 두 집단 사이에서 중간 성향을 보이는 '신중집단(cautious group)'으로 구분되었다. '불안집단'의 경우, 코로나19 이후모든 형태의 범죄 두려움이 응집된 형태를 보여준다면, '경계집단'은 자신의 피해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두려움을 매개로 가족에 대한 대리두려움이 상호연계된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집단 분화의 결정요인은 성별, 연령, 가구소득, 가구규모, 주택유형, 피해경험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이후 범죄두려움에 대한 인식은 여성을 중심으로 직간접 피해를 경험한 상시적 '불안집단', 피해경험은 없지만 취약한 주거환경으로 인해 자신과 가족의 피해가능성을 염려하기 시작한 젊은 남성 중심의 '경계집단', 역시 피해경험은 없지만 비교적 안정된 환경에서 피해가능성에 주의하는 '신중집단'으로 분화가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후 범죄 두려움을 인식하기시작한 '경계집단'의 출현은 후기 근대사회의 사회적 불안이 범죄 두려움을통해 드러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