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유신념과 긍정정서의 관계에 미치는 반추의 매개효과

        주해원,홍지웅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향유신념과 반추, 긍정정서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긍정정서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및 대학원생 235명을 대상으로 향유신념, 반추, 긍정정서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 과, 대학 및 대학원생의 향유신념은 긍정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반추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반추는 긍정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향유신념과 긍정정서의 정적 관계는 반추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정서를 높이기 위한 향유하기 방략의 효과를 확인하는 동시에 그 기제를 밝혔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단순히 향유신념에 초점을 두는 것보다 긍정정서에 대한 반추의 영향력을 함께 고려할 때 더 효과 적으로 긍정정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nhancing positive emot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 rumination, and positive emotion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measuring savoring beliefs, ruminations, and positive emotion was conducted for 235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students' savoring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ffect on rumination, and rumin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Rumin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positive emo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meaning that the savoring beliefs is a process of exploring the positive emotion because it does not deal with the mechanism of reinforcing positive emotions in detail. That 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effect of an effective savoring strategy to increase the positive emotion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mechanism.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the savoring beliefs, it can be expected that positive emotion will be improved by intervening with rumination.

      • KCI등재

        인터넷 중독 상담 기록을 위한 면접및 심리평가 배터리의 개발

        주해원,배성만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5

        국내에서 2000년 이후 인터넷 중독에 대한 상담이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으나, 인터넷 중독 상담의 기록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어 상담서비스의 질적 개선이나 정책 수립을 위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화된 절차에 따라 인터넷 중독 상담 기록을 위한 면접 및 심리평가 배터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울, 주의력-충동성, 상담만족도 변인은 임상 및 상담 장면에서 널리 쓰이고 광범위한 타당화가 이루어진 BDI, CDI, Corner’s ADHD scale, 작업동맹척도, CSQ-8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타당도가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된 부모자녀-의사소통, 대인관계 유능성, 학교생활 적응, 또래관계 만족도 척도는 문헌조사와 기존의 척도에 기초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 보완된 척도들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확인한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 중독 상담센터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게임 중독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DSM-5의 게임 중독 진단에 기반한 면접 질문지를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면접 및 심리평가 배터리가 인터넷 중독의 상담 기록에 활용된다면, 인터넷 중독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율적으로 치료하고 관련된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Although the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is broadly practiced and related data are greatly cumulated, such efforts are not utilize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r policy making of the counseling service. The reason is that the records of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has not been standardized yet. Therefore, this study is done to propose a interview and psychometric battery assessing internet addiction. The counseling record form is composed of items measuring demographic information, tendency for internet addiction, features associated with internet game addiction, depression, attention-impulsivity, working alliance, client satisfaction, interpersonal competenc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our study, Questionnaires which validation and reliability were not repeatedly confirmed in previous research, were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ose are about extra-personal qualities including interpersonal competency,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urrent test battery for internet addiction was composed by integrat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inical practice results in this research; accordingly it could be used validly in other research or real counseling settings.

      • KCI등재

        범이론 모형에 기반한 치료가 청소년 게임 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주해원,현명호,박지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6

        The current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Prochaska & DiClemente, 1983)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Twen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ed to internet games wer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Of them, twelve subjects were assigned to a treated condition; the remains, to an untreated control condition. At baseline and post-treatment all subjects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to asses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and practice of activities for recovering from game addiction. Treatment for attenuating game addiction was delivered only in the treated condition for eight sessions spanning 4 weeks. After treatment, the treated group significantly showed attenuation in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augmentation in practice of activities for recovering from game addic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This program appeared effective especially in reducing internet game expectancy, withdrawal, and tolerance and in promoting use of the following processes to modify game addiction problems: consciousness raising, social liberation, self-reevaluation, environment reevaluation, self-liberation,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timulus control. The current findings support the applicability of the TTM to adolescents addicted to internet games. 범이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은 문제행동의 회복과정을 설명하는 모델로 다양한 중독성 장애에 적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TTM에 근거한 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 게임 중독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중학교 상담교사와 학부모로부터 본 프로그램을 권유받은 학생 중 게임 중독 위험군으로 평가된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수락한 12명은 치료집단에, 나머지 학생은 통제집단으로 배정되었다. 치료프로그램은 한국게임산업개발원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매뉴얼을 연구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으며 매회 90분씩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게임 중독 척도와 변화전략 척도를 치료 전후에 작성하였다. 그 결과 치료집단의 중독 수준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게임에 대한 긍정적 기대, 금단 현상, 내성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변화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였다. 그들은 주로 강화관리, 자극통제, 자기해방, 인식증진, 자기재평가, 사회적 해방을 바탕으로 게임사용 습관을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게임 중독의 회복에 TTM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성인진입기 인식에 관한 연구

        주해원(Haewon Ju),장희순(Heesoon J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Arnett(2000)가 제안한 새로운 발달단계인 성인진입기(emerging adulthood)의 시작 시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유형(일반고, 특성화고)과 성별에 따른 성인진입기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일반고 학생 114명(남: 54명, 여: 60명)과 특성화고 학생 109명(남: 39명, 여: 70명)에게 주관적 성인 도달 인식, Arnett의 성인기준 목록, 성인진입기 특성에 대해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과 성별에 상관없이 응답 학생의 대부분이 스스로 아직 성인이 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rnett의 성인기준들 가운데, ‘자신이 한 행동의 결과에 책임을 지는 것’을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성인기준으로 생각하였으나, 다른 기준에서는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라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진입기 특성 6개 가운데, ‘정체성 탐색’에서 학교유형과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고, ‘실험/가능성’, ‘불안정성’, ‘타인에게 집중’, ‘자신에게 집중’ 차원은 학교 유형이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간에 끼인 느낌’은 학교유형, 성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교육 및 상담에서의 시사점,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for high school seniors by type of school (professional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 The survey data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aving reached adulthood, Arnett s transition to adulthood questionnaire and Inventory of the dimensions of emerging adulthood(IDEA) collected from 11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4 males, 60 females) and 109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39 males, 70 femal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versio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school type and gender,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think they were adults yet. Second, the highest ranks in the whole groups were observed for the criteria,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your actions.’ but in other criteria,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or gender. Third, among the six subscales of the IDEA,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type and gender was found in identity exploration , and the subscale of experimentation/possibility , instability , other-focused , and self-focused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type and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of feeling in between in terms of school type, gender, and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implication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용과 하향비교가 주관적 에이징웰에 미치는 효과

        주해원(Haewon Ju),현명호(Myoung 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에이징웰(subjective agingwell)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대처와 하향이질화(downward contrast) 사회비교 대처가 주관적 에이징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자 250명이 수용, 하향이질화, 주관적 에이징웰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신뢰밴드(confidence bands) 분석 결과, 문제에 대한 수용이 어려운 노년층에게는 하향이질화 비교가 주관적 에이징웰을 향상시켜줄 수 있었지만, 직면한 문제를 자기 삶의 일부로 수용하는 노인에게 하향이질화 비교는 주관적 에이징웰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에이징웰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특히, 노화문제상황에서 일반 노인도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ddress how to boost subjective agingwell. The concept of subjective agingwell describes elders’ evaluative reactions—cognitive, affective, and spiritual—to their aging. Two hundred and fifty community-dwelling elders completed the instruments assessing acceptance, downward contrast, and subjective agingwell.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cceptance, downward contrast comparis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cceptance and downward contrast could positively affect subjective agingwell. Specifically, confidence bands indicated that downward contrast could enhance subjective agingwell only when the level of acceptance was low. These findings represent a step forward in finding an efficient avenue to enhance subjective agingwell.

      • KCI등재

        아동기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이기범,주해원,현명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orgiveness(self-, other-, and situation-forgiveness) on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 abuse history. Two hundred forty-seve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s of childhood abuse (K-CTQ), suicidal ideation (SIQ), and forgiveness (HF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2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physical and emotional childhood abuse have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elf-forgiveness and situation-forgiveness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but other-forgive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hancing self-forgiveness and situation- forgiveness can alleviate suicidal ideation on victims of childhood abuse.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신체 및 정서 학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용서의 개념을 자기용서, 타인용서, 상황용서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용서가 지니는 긍정적인 기능을 세부 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생 247명(남자 143명, 여자 104명) 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경험(K-CTQ), 자살사고(SIQ), 용서(HFS)를 측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용서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신체 및 정서 학대 경험은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자살 위험성이 높을 수 있음 을 의미한다. 둘째, 용서의 세 가지 하위개념 중 자기용서와 상황용서는 아동기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타인용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아동기 학대 피해자의 자기용서와 상황용서를 증 진시킴으로써 그들의 자살사고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용 서의 긍정적인 기능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권위주의 성격과 친애동기가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암묵적 연합검사를 활용하여

        홍지웅,주해원,현명호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9

        본 연구는 청소년의 권위주의 성격이 폭력성을 의미하는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친애동기가 중재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폭력태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암묵적 연합검사(IAT, Implicit Association Test) 방식을 이용하여 「학교폭력 암묵적 연합검사」를 개발하였다. 중학생 143명과 담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권위주의 성격은 학교폭력태도를 예측하였다. 둘째, 권위주의 성격과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친애동기가 중재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폭력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학교폭력 암묵적 연합검사 도구는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권위주의 성격이 청소년의 폭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고, 이 관계에서 친애동기 수준에 따라 드러나는 폭력양상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학교 폭력성에 해당하는 학교폭력태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at adolescents' authoritarian personality predicted their school-bullying attitude and determine the moderation effects of affiliation motivation on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school-bullying attitude. To measure school-bullying attitud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was used to develop Implicit Association Test for School-Bullying (IATSB).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authoritarian personality, school-bullying attitude, and affiliation motivation and their effectiveness, the scales and tests were applied to 143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Behavior Dimensions Rating Scale was applied to 3 teachers to validate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uthoritarian personality served as a predictor of school-bullying attitude. Second, Affiliation motivation served as a moderation variable in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school-bullying attitude. Third, The IATSB was validated as a measuring tool. Therefore,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affiliation motivation on school-bullying attitude were confirmed along with their influence. The IATSB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further research as well.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직장인의 일-가정양립이 분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김찬원,주해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ger and work-family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wo-hundred workers attending the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completed the instruments assessing anger,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anger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bal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work-family bal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way to focus on both anger and work-family balance than only anger is more productive in order to boost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분노와 일-가정양립, 조직몰입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조직몰입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200명을 대상으로 분노, 일-가정양립,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인의 분노는 일-가정양립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가정양립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분노와 조직몰입의 부적 관계는 일-가정양립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가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몰입 증진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무현장에서는 분노에만 초점을 두는 것보다 일-가정양립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조직몰입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

        김찬원,주해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hundred and eighty-seven workers completed the instruments assessi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ork-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ot significantly linked to anger regulation, and anger 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might be possible to address clearly the relationship among work-family conflict, anger regul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e mediation effect of anger regulation, using a large sample.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과 분노조절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180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 분노조절,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직장-가정갈등은 분노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분노조절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직장-가정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것 외에, 조직성과에 분노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한 단계 발전시켜, 조직몰입에 미치는 분노조절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한 가지 실질적인 개입방법으로서 분노조절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