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특성 및 적합성 분석

        권순덕 ( Soon Duk Kwon ),주우영 ( Woo Yeong Joo ),김원경 ( Won Kyung Kim ),김종호 ( Jong Ho Kim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입지선정 가이드라인과 산지훼손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위해 국내외 사례 및 현장조사,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세부항목 및 가중치를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수립함으로써 입지 적합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강원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풍력자원·밀도 데이터, 법적 산지보전지역, 입지 기준 요인·항목별 자료를 토대로 공간 DB를 구축하여 산지 내 풍력발전 입지가능지역을 도출하였다. 일정 개수 이상의 풍력발전기가 입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 잠재 입지가능면적의 추정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린분석방법인 Block Statistics와 Focal Statistics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Block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261ha이며, Focal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411ha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절성토에 의한 산림재해 발생 우려 및 산지경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저감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suitability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policies and systems to minimize the damage of forest lands. First, we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o examine and select factors for the suitability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Spatial database for selected location factors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was constructed to develop the suitability model for locating wind farm facilities focusing on Gangwon-do.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wind power resource, legal mountainous preserved area, forest roads, developed areas, forest class, and other spatial data. In order to find specific-sized potential areas for a certain number of wind farm turbines, we used block statistics and focal statistics methods. As a result, the areas for potential wind farm locations were 1,261ha from a block statistics method and 1,411ha from a focal statistics method. Based on the outputs of this research, it is required to make an urgent solution for the prevention of forest disaster and to prepare reduction measures for the destruction of ridge landscape.

      • 고정조사구 자료를 이용한 임분생장 해석 및 탄소흡수·저장량 평가

        권순덕(Soon Duk Kwon),손영모(Yeong Mo Son),이경학(Kyeong Hak Lee),정세경(Se Kung Chong),김중명(Jung Mye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4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3 No.2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운두령 일대에 설치된 잣나무 등 6개소 생장고정조사구를 대상으로 생장변화를 구명하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운두령 산림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분생장변화는 유령림인 잣나무와 낙엽송 임분에서 연년수고생장과 흉고직경생장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 임분은 이들보다는 생장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 및 직경변화 예측에 있어서 신갈나무와 혼효림에서의 직경급분포는 현재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잣나무와 낙엽송 등은 유령림인 관계로 비대생장 속도가 빨라 대다수의 현재 직경급이 상위경급으로 이동할 것이 예측되었다. 2003년도말 현재 운두령 모델림내의 총탄소량은 전년에 비해 2.7%인 149,000탄소톤 증가하였으며, 임상별로 보면 활엽수가 50%, 혼효림 34%, 침엽수림 16% 순이었다. 2003년도 한 해 동안 산림의 생장에 의해 흡수.저장한 총탄소량은 156,813탄소톤이며, 순탄소흡수량은 148,664탄소톤으로 전년 대비 2.613탄소톤(1.8%)이 증가하였다. 임상별로는 침엽수림(3.3%), 혼효림(3.1%), 활엽수림(2.8%)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운두령모델림은 온실가스 측면에서 볼 때 순흡수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순흡수량도 최근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nge of tree growth of seven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which were set up at the Undulyeong Hongchungun Kangwondo, and was accomplish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forest administration calculating carbon storage and removal in the Undulyeong area. Annual height and DBH growth were slowly progressed in the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tand which was young stand, but the growth rate of the other stands was lower than those young stand. The diameter class of the mixed forest and Qurcus mongilica stand was predicted to be similar to the now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tand was predicted to move now diameter class to the high diameter class because thickening growth speed of the those stands were rapid. Now the end of 2003, total carbon storage of the Undulyeong model forest increased 149,000TC(2.7%)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Seeing by forest types, occupied broad-leaved forest(50%), mixed forest(34%) and coniferous forest. During in 2003, total carbon which was removed and stored according to growth of the forest was 156,813TC and net carbon removal(148,664TC) increased into 2,613TC(1.8%)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Seeing by forest types, occupied coniferous forest(3.3%), mixed forest(3.1%), broad-leaved forest(2.8%). Resultingly, the Undulyeong model forest is acting to net removal resource when see as green-gas side and net carbon removal are showing the tendency to increase recently little by little.

      •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잠재적 공급량 분석

        권순덕(Soon-Duk Kwon),손영모(Yeong-Mo Son),박영규(Young-Kyu Park)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6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전용에 따라 발생되는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 가능량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5년간(2001-2005) 연평균 약 7,806㏊의 산림이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평균 266,551㎥의 입목이 벌채되었다.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가능량(바이오매스)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침엽수림의 경우 연평균 약 57,945ton, 활엽수림은 44,379ton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에서 전체적으로 연간 102,325to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전용시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이용 가능한 임산바이오에너지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발생량은 약 13.0ton/㏊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biomass energy resources available from waste wood due to forest land conversion. Forest land area of 7,806㏊ on annul average during 2001-2005 was converted to other land use and the growing stock of 266,551㎥ was felled annually due to the conversion. Biomass energy potential of waste wood due to forest land conversion was estimated to 102,325 tons of biomass on annual average during 2001-2005 of which 57,945 tons were from coniferous forest and 44,379 tons were from broadleaved forest. Biomass energy potential per unit area per year increased for the same period and was estimated to 13.0 tons of biomass on annual aver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치계산에 의한 2차원 초음속 노즐에서 압력비와 길이비에 따른 흐름 특성

        권순덕(Soon Duk Kwon),김성초(Sungcho Kim),김정수(Jeong Soo Kim),최종욱(Jongwook Choi)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5 No.4

        노즐 목과 출구의 면적비가 1.8인 소형 2차원 초음속 노즐에 대해서 Navier-Stokes 방정식을 수치계산으로 풀었다. 압력비와 노즐 확대부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에 대해서 해석하여 노즐 안과 출구 근처에서 충격파 구조를 살펴보았고 특히 노즐 목 근처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압력 분포의 특성을 노즐 목 근처의 기하학적 모양에 근거해서 규명하였다. 각각 독립적으로 표준형 노즐에서 압력비를 변화시킨 경우와 압력비를 고정하고 확대부의 노즐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 사이에 서로 유사한 충격파 구조 변화가 관찰되었고 여기에서 한 개의 경사 충격파로 오인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경사 충격파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직 충격파도 포착하였다. The Navier-Stokes equations are numerically solved for a two-dimensional small nozzle with the area ratio of 1.8 between the throat and the exit. The shock structures are verified inside the nozzle and near the exit varying with the pressure ratio and the length of the diverging part, respectively. Especially the irregular patterns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near the throat are analyzed based on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milar phenomena in the shock wave structure between the pressure ratio and the length changes. Also there exists a normal shock just between two different oblique shocks crossing each other in special cases.

      •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

        권순덕 ( Soon Duk Kwon ),김원경 ( Won Kyung Kim ),김종호 ( Jong Ho Kim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기존 전력생산방식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의 수요와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지 내 풍려발전시설에 관한 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툴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풍력발전단지 입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의 입지 적합성 분석 기법 개발 및 평가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 및 현장조사를 통해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선정을 위한 입지 요인과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입지 적합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여 관련 법적 산지보전지역과 그 주변지역에 대한 배제지역을 설정하고 풍력발전단지 입지분석을 위한 적합성 분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자료 DB를 구축하고 GIS 중첩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입지평가도를 작성하였다. 입지평가도는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시나리오1)와 핵심구역만 배제지역으로 선택한 경우(시나리오2)로 나누어 작성되었다. 본 연구는 풍력발전단지 입지 가능 지역 및 분포 현황을 살펴보고, 도출된 입지요인들을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풍력발전 입지 적합 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풍력발전단지 설치의 정책 의사 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power-generating methods, the demand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renewable energy has been ri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ools to support spatial planning in relation to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suitability for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to suggest a guideline for a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o achieve these goals, this research selected factors for the location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developed the suitability analysis methods of wind farm facilities for providing the preliminary data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and conducting field surveys. In addition we drew exclusion criteria of forest conservation and surrounding areas to develop the suitability methods for wind farm facilities. For the suitability analysis of wind farm facilities, we first constructed spatial database, implemented GIS overlay analyses, and finally made locational assessment maps. There were two scenarios as follows: 1) both Baekdudaegan core zone and buffer zone were selected for exclusion areas, and 2) only Baekdudaegan core zone was selected for exclusion areas. This research can play a key role for decision-making of building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권순덕 ( Soon Duk Kwon ),박영규 ( Young Kyu Park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GIS 기반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임ㆍ소반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작성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기능구분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rid 단위 기능별 잠재력을 평가한 후 소반단위 기능잠재력의 최대값을 찾아 기능평가도를 작성하고 기능우선순위에 따라 산림기능구분도를 작성하였다. 산림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최종 산림기능구분도는 우선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의 법정림을 구분하고 다음으로 지방 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산림은 산림경영계획 담당자가 우선순위 산림기능구분도를 참고하여 구분한 결과들을 중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Grid 단위의 기능별 잠재력평가를 통해 임ㆍ소반단위로 산림기능을 평가함으로서 국유림 산림경영계획 수립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과 지방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기능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작성에 필요한 산림기능구분도를 보다 손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management planning of national fore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out the map at the stand level by utilizing the Forest Functions Evaluation Program(FFEP), develop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this program, the potential of each function was evaluated in each grid cell, and then a forest functions estimation map was generated based on the optimum grid cell values in each sub-compartment unit. Finally, the program produced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with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functions. The final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required for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made out overlapping those results which the rest of the forest classified referring priority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to national forest manage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l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using the FFEP program could be an efficient tool for providing the data required for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Also this study made a meaningful progress in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by considering the local forest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