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張伯傳」의 形成動因과 主題意識

        주수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2

        In about the middle and late stage of the 18th century, there are heroic novel 「Jangbaekjeon」 that Ju Won-jang was set as Joseon person and tale whose content is Ju Won-jang was born in Joseon Dynasty together. Therefore, this thesis compared 「Jangbaekjeon」 and ‘Ju Won-jang tale’ of Woongchen, Gyeongsang-do in 『Sangseogimun』 written by Sojeong- iorang so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angbaekjeon」 and ‘Ju Won-jang tale'. So, it confirms tha 「Jangbaekjeon」 accepted ‘Ju Won-jang tale’ distributed in the period and organized narration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subjective awareness of the work was considered in the changed recognition of treating the Quing in the 18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changing sign of traditional Chinese central view in the work, through the 「Jangbaekjeon」's tale accepting aspect. 「Jangbaekjeon」 showed that ‘heaven's will’ cannot be existing without 'Chinese central view' by setting Ju Won-jang who is founder of Ming Dynasty as a Joseon person. The awareness of the world is similar to the recognition of treating the Qing, possessed by some intelligent group intending to recognize the Qing as a owner of Jungwon. Therefore, 「Jangbaekjeon」 is reflected by changed recognition of treating the Qing in the 18th century. 18세기 중후반 경에는 朱元璋을 조선인으로 설정하고 있는 영웅소설 「張伯傳」과 朱元璋이 조선에서 태어났다는 내용의 설화가 공존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張伯傳」과 ‘朱元璋 說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張伯傳」의 서사와 『象胥紀聞』에 실린 慶尙道 熊川 지역의 ‘朱元璋 說話’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張伯傳」이 당대에 유포된 ‘朱元璋 說話’를 수용하여 작품의 서사를 구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張伯傳」에 전통적인 ‘華夷觀’에 대한 변화의 징후가 엿보임에 주목하여, 작품의 주제의식을 18세기에 변화하는 對淸認識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張伯傳」은 明 太祖를 조선인으로 설정함으로써 ‘天命’이 ‘華夷’를 떠나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세계인식은 당대 청나라를 中原의 주인으로서 인정하고자 했던 一群의 지식인들이 가졌던 對淸認識과 유사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북송의 명재상 구준의 소설화 제 양상과 그 의미-<소현성록>·<구래공정충직절기>·<화정선행록>을 대상으로

        주수민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4 No.-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ovelization of Chinese historical figures in Korean old novels, focusing on Gu Jun, a famous scholar of the Northern Song. Gu Jun appeared in a relatively diverse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In "Sohyeonseongrok", Gu Jun, a famous scholar of Nothern song, who existed in history, was described as an auxiliary character, but his deeds in the work were far from history, showing a close appearance to a fictional character. In addition, he appeared as the main character in “Kuraegongjeongchungjikjeolgi”, and his story wa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author imagination, raising the reader's interest in Gu Jun, a historical figure. In addition, in Hwajeong Seonhaengrok, it suddenly appeared in the narrative in the second half, giving a strong impact like a cameo. This aspect shows that the three works have novelized the historical figure Gu Ju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ach narrative orientation. Meanwhile,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Gu Jun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Gu Jun of the time was recognized as an ideal bureaucrat who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well-being of the state and the people, and this positive image made Gu Jun novelized in various works. In addition, this paper compared Lee Soon-shin's character in TV dramas to Gu Jun's novel, confirming that modern historical dramas and feature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mbined history and fiction in various ways to pursue narrative fun.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that modern historical dramas inherited the epic tradition of long novels based on Chinese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raised. 이 글은 북송의 명재상 구준을 중심으로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중국 역사 인물의 소설화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핀 것이다. 중국의 역사 인물 구준은 비교적 여러 고소설 작품에 등장했는데, <소현성록>에서는 서사적 비중이 있는 보조적 인물로서 역사상 실존했던 북송의 명재상 구준을 표방하고 있었으나 작중 그의 행적은 역사와는 거리가 있어 가공의 인물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구래공정충직절기>에서는 주인공으로서 출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는 일대기가 서사화되고 있었으며 그의 서사는 역사 기록과 작자 상상력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역사 인물인 구준에 대한 독자의 관심과 몰입도를 높였다. 더불어 <화정선행록>에서는 양 귀비와 능운자의 궁중 작변을 해결하는 인물로 후반부 서사에 갑작스럽게 등장하여 카메오와 같이 작품에 강한 임팩트를 주고 있었는데, 이러한 양상은 세 작품이 각각의 서사적 지향에 따라 역사 인물 구준을 다양한 방식으로 소설화했음을 보여준다. 한편, 이 글은 구준이 소설화될 수 있었던 기반을 확인하고자 조선 후기 중국 역사 지식의 대중화를 전제로 하여 각종 문헌을 통해 구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당대 구준은 출장입상의 표본으로서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책임질 수 있는 이상적인 관료로 인식되었고 이러한 긍정적 이미지는 구준을 다양한 작품으로 소환한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더불어 이 글은 TV 드라마에 등장한 이순신의 인물 형상을 구준의 소설화와 비교함으로써 현대 사극과 조선 후기 장편소설이 역사와 허구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각각의 서사적 재미를 추구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 중국 역사를 제재로 한 장편소설의 서사적 전통이 21세기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사극으로 계승되었을 가능성을 개진하였다.

      • KCI등재

        〈화정선행록〉의 창작 방식 연구-역사 인물의 소설화 양상과 방식을 중심으로-

        주수민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This study examined the novelization patterns and methods of historical figures in "Hwajeongseonhaengrok". Many real-life figures from the Song Dynasty appeared in this work. However, the accounts of Impo and Chungbang recorded in history differed greatly from those embodied in the work. This result is because the author completely recreated them as characters by accepting only the main images they had. In addition, the bureaucrats of the North Song that appeared in the work, including Pojeung, seemed irrelevant to its historical substance. This is because the author re-accepted historical figures reproduced in "Sohyeonseongrok" and "Kuraegongjeongchungjikjeolgi." As seen above, the novelization method of historical characters in "Hwajeongseonhaengrok" is clearly different from other novel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 new aspect of the creation method of feature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본고는 역사 인물의 소설화 양상과 방식을 중심으로 <화정선행록>의 창작 방식을 연구한 것이다. 본 작품에는 북송 연간의 실존 인물들이 상당수 등장하나 작중 이들의 모습은 역사적 실체와는 거리가 있다. 먼저, 남녀주인공의 부친으로 설정된 ‘임포’와 ‘충방’은 역사에 그 행적들이 상세히 기록될 만큼 유명했던 인물들이나 본 작품은 서호나 종남산에서 은거했던 은사 혹은 도사라는 주요 이미지만을 수용하여 이들을 장편소설의 서사 문법에 따라 작중인물로 완벽하게 재창조했다. 더불어 <화정선행록>의 후반부 서사에 등장하는 포증과 구준을 비롯한 북송 연간의 실존 인물들 또한 역사와 부합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본 작품에는 해당 인물들이 등장하는 <소현성록>과 <구래공정충직절기>의 서사가 수용되어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본 작품의 작자가 포증을 비롯한 북송 연간의 실존 인물들을 역사가 아닌 여타의 고소설 작품들 속에서 취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한 까닭에 본 작품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들은 실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가공의 인물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구래공정충직절기>나 <범문정충절언행록>, <옥환기봉>의 주인공들이 역사적 행보를 수용하되 역사 기록의 공란을 작자의 상상력으로 채워 형상화된 것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화정선행록>에 나타난 역사 인물의 소설화 방식은 조선 후기 장편소설의 창작 방식의 새로운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과 아울러 본 작품이 <소현성록>이나 <구래공정충직절기>와 같은 동시대를 배경으로 한 고소설 작품들과 작중 세계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고소설 향유자의 중국인식과 배경 왕조의 상관 -송․원 배경 작품을 중심으로-

        주수민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1 No.-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classical novel readers' Chinese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ontext of the works produced during the Yuan Dynasty and Song Dynasty. First, the different authorships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Janghanjeolhyogi> with <Jangwalyongeon> which is known for reformation of <Janghanjeolhyogi> . These novels present similar descriptions but differ not only in their background, but also in the setting of concrete figures and events. In addition, the writer’s thought about the Yuan and Ming dynasties in ‘Gundam’ were different in the two works. In other words, if the Yuan Dynasty of <Janghanjeolhyogi> was recognized negatively, the Ming Dynasty of <Jangwalyongeon> was regarded positively for its loyalty. This aspect was seen to arise from the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 Yuan and Ming dynasties as a context for readers of late Joseon novels. However,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versions of the <Hyeonsumunjeon> depict different worlds based on a specific background. To this end, it examines the figures of the emperor and the world of composition in the antecedent edition of <Hyeonsumunjeon> and <Hyunxiyangwoongxangrinki> known as the epic source of this work. Each of novels has a same background of the Song Dynasty. However, <Hyeonsumunjeon> is based on the Sin-jong era and <Hyunxiyangwoongxangrinki> is based on In-jong era. Therefore, each novels show different picture of the world regarding the Song Dynasty. And as a result investigating various editions of <Hyeonsumunjeon>, Some editions are based on Sin-jong era and others are not specified by era. So, this paper compared The“Gyeongpan edition” which is one of novel based on Sin-jong era and the “Park Soon-ho edition” which is not specified by era. The Park Soon-Ho edition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about the Song Dynasty than the Gyeongpan edition. This was attributed to Park Soon-ho edition having a limited background of the Song Dynasty and therefore no negative perspective on the Song Dynasty from the Sin-jong era. In addition, despit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Song Dynasty, both editions had a similar ending that Song Dynasty was not collapsed. It is different with the previous version, which reflected the Huaiguan(華夷觀) of the late Joseon Dynasty. 본고는 송․원 배경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소설의 배경 왕조와 중국인식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송말원초’ 배경의 <장한절효기>와 그 개작으로 ‘명나라 성화 연간’을 배경으로 한 <장월용전>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서사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배경 왕조를 달리 하는 가운데 주요 인물 및 사건의 세부 설정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더불어 두 작품의 ‘군담’에 나타난 ‘원나라’ 및 ‘명나라’에 대한 작자인식은 명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장한절효기>의 원나라가 ‘충’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부정적 공간으로 설정된데 비해 <장월용전>의 명나라는 ‘충’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고소설 향유자에게 배경 공간으로써의 ‘원나라’ 및 ‘명나라’가 변별적으로 인식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본고에서는 <현수문전> 이본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배경 설정에 따른 작중 세계의 변모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현수문전> 선본과 본 작품의 서사적 원천이라 할 수 있는 <현씨양웅쌍린기>의 작중 세계를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둘은 각각 ‘인종’과 ‘신종’ 연간을 배경으로 상이한 송나라 천하를 그려내고 있었다. 더불어 본 작품의 이본들은 ‘신종 연간’과 ‘송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있었는데, 각각을 대표하여 ‘경판본’과 ‘박순호본’의 작중 세계를 비교해본 결과 박순호본은 경판본에 비해 송조를 보다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박순호본이 ‘송나라’만을 배경으로 취함으로써 ‘신종 연간’에서 오는 송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제거한 결과로 보았다. 더불어 본고는 경판본과 박순호본이 송조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선본과는 달리 송조가 유지되는 결말을 맺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조선 후기 화이관의 소설적 반영으로 보았다.

      • KCI등재

        광무제 시대 배경의 한국 고소설 <옥환기봉>의 서사적 의의 -중국 TV사극 <수려강산지장가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주수민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고는 후한 광무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 18세기 한국 고소설 <옥환기봉>과 21세기 중국에 서 제작된 TV사극 <수려강산지장가행>의 서사와 인물형상을 비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옥 환기봉>을 비롯한 조선 후기 중국 역사를 수용한 장편소설 작품들의 사회·문화적 의의를 살 피고자 한 것이다. 서사 비교 결과, 두 작품은 세계관과 서사구성 그리고 주제적 측면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후한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광무제의 한나라 부흥 여정 을 서사화하는 가운데 황후 폐립의 과정에서 발생한 광무제와 두 황후의 갈등을 주요하게 다 루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서사적 유사성을 보였다. 한편, 광무제의 두 황후인 음려화와 곽성 통은 <옥환기봉>에서는 각각 ‘색·덕을 겸비한 요조숙녀’와 ‘자긍심 강한 조강지처’로 형상화 된 데 비해, <장가행>에서는 ‘한나라 재건의 주역’과 ‘정략결혼의 피해자’로 그려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인 음려화에게는 창작 당대의 조선과 현대 중국사회 에서 선호되는 여성상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었으며, 적대자인 곽성통에게는 대중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입체적인 성격이 부여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작품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본고는 <옥환기봉>을 비롯한 조선 후기에 창작된 중국 역사를 수용한 장 편소설 작품들의 사회·문화적 의의를 현대사회의 사극 열풍의 원인으로 논의된 ‘대중화 코 드’와 ‘거대 담론 코드’를 중심으로 살피는 가운데 본 작품이 이룩한 문학적 성취를 강조하는 것으로 논의를 갈무리했다. This paper compares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of the 18th century Korean old novel “Okhwankibong” set in the era of Emperor Guangwu and the 21st century Chinese TV historical drama “秀麗江山之長歌行(Singing All Along)”. And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Okhwankibon ”.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comparison, the two works differed in terms of worldview, narrative composition, and subject. However, based on the records of “Houhansuh,” the two works showed high narrative similarity in that the conflict between Emperor Guangwu and the Empress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Empress was composed of the artist's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the main character, Um Yeo-hwa, had a strong projection of her preferred female image during her time of creation, and in Kwak Seong-tong 's case, she was recreated as a three-dimensional figure to win public sympathy from the public.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works, this paper concluded the discussion by considering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Okhwan kibong” and emphasizing the literary achievement of the original work, focusing on the current historical drama.

      • KCI등재

        영웅소설의 시·공간 배경에 대한 실증적 검토

        주수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4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of a total of 133 hero novels, dividing the origins of the main characters into two: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and other places’ based on ‘territory’, and then dividing them again by ‘Kingdom.’ As a result, novels set on the ‘Korean Peninsula’ accounted for 18.8 percent or 25 works of the total while those set in ‘China’ amounted to 105 works, accounting for 78.9 percent. In addition, many of the works set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expanding their narrative background to China. And the early hero novels creat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re all set in China while most of the works set on the Korean Peninsula are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only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paper saw this aspect as proof that ‘Chinese background’ was one of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hero's novels. By kingdom, ‘Joseon’ accounted for 40 percent of the works set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Goryeo’ and ‘Silla’ accounted for 32 percent and 20 percent, respectively. Meanwhile among the works set in China, ‘Ming Dynasty’ had the highest rate of 48.6%, with, in particular, Ming’s ‘Chenghwa period (Emperor Xianzong)’ set in most of the works.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looked into the relevance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arrative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each work. The result shows that hero novels borrowed only historical periods and spatial backgrounds and their storylines were not in accord with the historical facts of the given time, as shown in today’s many ‘fusion historical dramas,’ Moreover, hero novels contained the author’s thoughts on the era on which each story was based, with a narrative beyo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al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this free style of narrative was possi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o novels that their time and spatial backgrounds transce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ality. 본고는 영웅소설의 시·공간 배경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시도한 것으로 총 133편의 작품들을 검토 대상으로 하여 주인공의 원적을 ‘영토’를 기준으로 ‘한반도 배경’과 ‘중국 및 기타 배경’으로 나눈 뒤 각각을 다시 ‘왕조’ 단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한 반도’ 배경 작품은 총 25편으로 18.8%를 차지한 데 비해, ‘중국’ 배경 작품은 총 105 편으로 전체의 78.9%를 차지하고 있었다. 더불어 상당수의 한반도 배경 작품들에서 는 서사적 배경이 중국으로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17~18세기에 산출된 초기 영웅소설 작품들이 모두 중국을 배경으로 한 데 비해, 대부분의 한반도 배경 작품들 은 대체로 19세기 후반 이후에나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양 상을 ‘중국 배경’이 영웅소설의 본래적 특성 가운데 하나임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았 다. 더불어 한반도 배경 작품들 가운데 가장 높은 배경 분포율을 보이는 것은 ‘조선’ 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고려’와 ‘신라’ 배경도 각각 ‘32%’와 ‘2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중국 배경 작품들 가운데에는 ‘명나라’가 48.6%로 가장 높은 배경 분포율을 보였으며, 명나라 ‘헌종 성화 연간’은 가장 많은 작품들의 시간적 배경 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한편, 본고에서는 검토 대상 작품들의 서두에 제시된 역사적 배경과 서사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영웅소설은 현대의 ‘퓨전 사극’과 같 이 역사적 시·공간을 차용만 하였을 뿐 대체로 배경 당대의 역사적 사실과는 무관 한 서사 구성을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영웅소설은 역사 및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허무맹랑한 서사 속에서도 창작 당대에 대한 작자의 사유를 자유롭게 담아내고 있었 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자유분방함이 역사와 현실을 뛰어넘는 영웅소설의 배경적 특성 하에서 가능했던 것으로 보았다

      • 광무제 시대 배경의 한국 고소설 <옥환기봉>의 서사적 의의 - 중국 TV사극 <수려강산지장가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주수민,Jin Yingji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21 No.08

        본고는 후한 광무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 18세기 한국 고소설 <옥환기봉>과 21세기 중국 에서 제작된 TV사극 <수려강산지장가행>의 서사 및 인물형상을 비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옥환기봉>을 비롯한 조선 후기 중국 역사 배경 장편소설 작품들의 사회․문화적 의의를 살 피고자 한 것이다. 두 작품은 대체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광무제의 한나라 부흥 여정을 다루는 한편, 황후 폐립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무제와 두 황후의 갈등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주인공인 음려화의 인물형상에는 창작 당대에 선호되는 여성상이 강하게 투 영된 데 비해, 곽성통은 대중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입체적인 인물로 재창조되었다는 공통점 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옥환기봉>의 창작과 서사적 의미 등을 현대 사극에 견주어 고찰하였다. By comparing the narratives and characters of the 18th-century Korean old novel "Okhwan Gi-bong" and the 21st-century Chinese TV historical drama "秀 麗江山之長歌行(Singing All Along)" set in the era of Emperor Guangwu, the main aims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works in late Joseon. The two works deal with the journey of Gwangmuje's revival of the Han Dynasty based on historical facts, while the conflict between Gwangmuje and the two empresses during the empress' closure was created by the artist's imagination. In addition, the figure of the main character, Yum Ryeo, was reflected in the female image preferred in the creative era, while Kwak Sung-tong was recreated as a three-dimensional figure that could win public sympath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sidered the creation and narrative meaning of "Okhwan Gi-bong" compared to modern historical dramas.

      • KCI등재

        <현수문전>의 창작방식 연구 ― 大長篇小說 <현씨양웅쌍린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주수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4 고전과 해석 Vol.17 No.-

        본고는 영웅소설 <현수문전>의 창작방식을 대장편소설인 <현씨양웅쌍린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현수문전>은 <현씨양웅쌍린기>의 주요 인물들과 몇몇 사건들을 차용하여 작품의 서사를 구성하는 한편, 중심인물의 단일화와 당대 영웅소설의 서사 수용, 그리고 군담의 확대 등을 통해 영웅소설로의 유형 변환을 꾀하고 있었다. 더불어, <현수문전>은 현수문이 출장입상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전개되는 군담을 통해 결국은 이민족의 왕조교체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표출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시각은 여타의 고소설 작품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수문전>의 작가가 이민족에 의한 왕조교체라는 급진적 서사가 주는 반감이나 이질감 완화를 위한 방편으로써 <현씨양웅쌍린기>를 비롯한 당대의 인기 소설들을 수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writing method of heroic novel <Hyeonsumunjeon> mainly through comparison with full-length novel <Hyeonssiyangungssangringi>. Through the work, this study confirmed that <Hyeonsumunjeon> was written with main characters and some episodes borrowed from <Hyeonssiyangungssangringi>. On the other hand, however, <Hyeonsumunjeon> bore quite a different aesthetic sense while accommodating <Hyeonssiyangungssangringi>, and the difference was attained mainly through type conversion to a heroic novel. In other words, <Hyeonsumunjeon> was born again as a heroic novel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central character and the adoption of narratives of early heroic novels such as <Sodaeseongjeon> and <Jangpungunjeon>. Moreover, the military stories developing continuously even after Hyeon Su-mun became a commander and a minister emphasize that the change of dynasty by a foreign people was ordained by Heaven. Such a positive view to the change of dynasty is a unique feature of <Hyeonsumunjeon> hardly found in other classical novel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writer of <Hyeonsumunjeon> might have constructed the novel based on popular novels in those days in order to mitigate the readers’ antipathy against the radical narratives on the change of dynasty by a foreign people or against the foreignness of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