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혜진 ( Cho Hyea-jin ),김수연 ( Kim Su-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의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개발절차에 따라 학습자 분석과 요구분석, 과제분석을 기초로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과정 및 방법, 평가에 대한 1차 시안을 설계하였다. 전문가자문을 거쳐 수정된 프로그램 모형에 기초하여 교육활동과 활동지도안을 개발하고 활동자료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9명을 대상으로 8주, 15회기동안 실행되었으며 교육 참여자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저널분석, 정서지능 및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사전사후검사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은 정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고, 유아교사로서 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사전사후검사결과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ADDIE model that was gone according to analysis-design-development -implement-evaluation steps. An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lean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sub-components of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The designed program model was consulted by five experts for verifying content validity and then program activities and material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vised program model.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 total of 3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wo four-year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1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n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30 hou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test, journal writings. The developed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appeared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new awareness of emotion and positive chang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daily life, and improve emotional competence as a teacher in near futu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bo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harmony scores. This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was positively effective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의 인식 및 요구분석

        조혜진 ( Hyea Jin Ch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역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육과 교수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육과 교수 모두 정서역량에 대한 관심과 교사역할수행에의 영향, 정서역량 향상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양성교육과정에 정서역량 내용의 포함 정도를 보통정도로 인식하였으며 교수들은 공식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와 교육 참여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교수들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정서역량의 구성요인 중 사회적 기술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예비유아교사와 교수 모두 기존 개설된 교과목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법과 장기지속교육, 실제 경험적인 활동, 다양하고 흥미로운 교수방법을 요구하였으며, 특히 교수들은 각 대학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교육기간과 회기 등을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perception and needs on emotional competenc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oing so,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competenc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 total of 41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in-depth survey were performed on 5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competence were positive with respect to their interest i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competence, the influence to the role performance, and the possibility to enhance their emotional competence. Second, concerning their needs on the education program for emotional compet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needs on the education program were high, and especially regarding the constructional factors of the emotional competence, the educational needs were high as to social skill. With respect to the methods of the program training, they required various and intriguing teaching methodologies, realistic experiential activities, and long term strategies for integrating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into existing curriculums. In addition professor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term and time should be flexible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university.

      • KCI등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조혜진(Cho, Hyea-Jin),김옥주(Kim, Ok-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초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직무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영아반 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영아반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343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영아반 초임교사 직무교육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10개 직무영역의 41개 직무내용 모두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41개의 직무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보육활동준비ㆍ실제ㆍ평가, 영아보호 관련, 학부모 관련 등 5개 직무영역의 19개 직무내용이 영아반 초임교사 직무교육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반 초임교사 직무교육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직무교육 내용을 명료화하여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job training for beginning infant teachers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in develop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43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who were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To achieve the purpose, a 3-step analysis method- paired- sample t-test,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appli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regarding the education needs of the job training of beginning infant teachers, all 41 job contents in the 10 job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desirable level. Through the calculation of Borich need, this researcher determined the priority of the 41 job contents. And then, through the Locus for Focus model, this researcher found out that 19 job contents in the 5 job categories-preparation for child care, implementation, evaluation, infant protection related matters, and parents related matters should be preferentially taken into account in the job training of beginning infant teacher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clarified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job training of beginning infant teachers, and that it provided a fundamental material of teachers education in developing job competency of beginning infant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개인 및 조직차원 정서역량의 규명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

        조혜진(Cho, Hyea-Jin),최내리(Choi, Nae-R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과 맥락적 특성에 기초하여 개인 및 조직차원에서 요구되는 정서역량을 규명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유아교육 및 교사교육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초점집단면담(FGI) 및 계층구조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 개인 및 조직차원의 정서역량은 4개 역량군, 15개 구성요인이 도출되었다. 개인차원에서 ‘개인정서인식’ 역량군에는 ‘자기정서 인식’, ‘자기평가’, ‘공감 및 타인존중’ 3개 요인으로, ‘개인정서관리’ 역량군에는 ‘자기정서 조절’, ‘스트레스 관리’, ‘융통성’, ‘신뢰성’ 4개 요인으로, 조직차원에서 ‘집단정서인식’ 역량군에는 ‘팀 감성이해’, ‘조직이해’ 2개 요인으로, ‘집단정서관리’ 역량군에는 ‘갈등관리’, ‘의사소통’, ‘협동’, ‘긍정적 분위기 형성’, ‘변화주도’, ‘대외관계 관리’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역량군에서 ‘개인정서인식’, ‘개인정서관리’, ‘집단정서관리’, ‘집단정서인식’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motional competence required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Thus, this study carried reference research,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professio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the emotional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consisted of 4 categories and 15 factors as follows: ‘emotional self-awareness’, ‘self assessment’, ‘empathy and respect for others’ in the ‘individual emotional awareness’ clusters: ‘emotional self-control’, ‘stress management’, ‘flexibility’, ‘trustworthiness’ in the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clusters: ‘team emotional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n the ‘group emotional awareness’ clusters: ‘conflict managemen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eating an affirmative environment’, ‘leading a change’, ‘external relationships management’ in the ‘group emotional management’ clusters. I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ranking analysis, ‘individual emotional awareness’,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group emotional management’, and ‘group emotional awareness’ indicated the priority sequence of the competency domains.

      • KCI등재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조혜진(Cho, Hyea-Jin),김수연(Kim, S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가 지각하는 정서지능은 어떠한지, 정서지능에 따른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통해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아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정서지능 점수에 따른 상하집단에서 각 2명씩의 교사, 총 4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수준 이상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정서조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의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결혼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의 교사가 정서지능이 낮은 집단의 교사보다 애정적 상호작용이 많고 비참여적 상호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영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전반적인 보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정서적 지원과 함께 정서적 능력을 계발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ervasive trend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wo teachers were selected from each of two groups that respectively scored high and low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n the interactions of four selected teachers with infants were observed in optional clas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 pervasive trend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infant teachers, they had an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They scored highest in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cored relatively lower i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here were no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 of teacher in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ir academic credenti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the teachers. Second, the group of teachers who had a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more affectionate interaction with infants than the other group of teachers who had a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former had a less non-participatory interaction with infants than the lat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 asp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uggest that emo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facilitate positive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boost the quality of child-care.

      • KCI등재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분석

        조혜진 ( Hyea Jin Cho ),김옥주 ( Ok Ju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들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직무연수과정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직무연수과정의 교육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원장 대상 직무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유치원 원장 167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를 설문조사하였고, 2010년에서 2012년 동안 전국의 7개 연수원에서 실시되었던 유치원 원장 대상 직무연수과정 총 33개 과정, 96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및 교육요구도가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직무연수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직무연수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 원장들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에는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교육과정 운영``,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비전 및 목표관리``, ``행·재정 및 시설관리`` 등 5개 직무역량의 10개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둘째, 유치원 원장 대상 직무연수과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유치원 교원대상 연수는 3년 동안 총 262개 과정이었으며, 이 중 원장 대상 연수는 33개(12.6%) 과정에 불과하였다. 연수과정의 평균 교과목 수는 3.7개이고, 평균시수는 9.9시간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요구가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유치원 원장 대상 직무연수과정의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요구도가 높은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에 해당하는 4개의 역량지표에 대한 교과목은 편성되어 있으나, 전체 교육시수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직무역량에 해당하는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장학 및 지원``에 대한 교과목은 상대적으로 많이 편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하여 직무연수과정의 교과목 및 시수 등을 보안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kindergarten director`s educational needs for job competency and the status of job training courses. It also intends to suggest ways for job training courses by analyzing contents of job training courses based on the high level needs of job competency. To examine this, questionnaires of job competency were distributed into 167 kindergarten directors nationwide. 33 courses and 96 subjects of job training courses for kindergarten directors carried out in 7 training institutes of the country from 2010 to 2012 were analyzed.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analyze kindergarten director`s educational needs and the level of job competenc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status of job 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five kinds of job competency and 10 indicators of subordinate job competency were revealed as a priority list of job competency that kindergarten directors wanted to improve the most through job training. Second, the analysis of job training course indicated that of 262 kindergarten in-service courses for three years, only 33 kindergarten director courses with 12.6% were conducted. Mean numbers of job training courses were 3.7 with mean time of 9.9 hours. Finally, the job training courses reflecting the highest demands such as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administered. However, educational requirement time was relatively low. Several courses about ``supervision and support of consulting for teaching and teaching profession`` were relatively emphasiz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ervice director courses and requirement tim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kindergarten director`s educational demand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개인 및 조직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혜진(Cho, Hyea-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competency in childhood education center on the basis of teachers’ education needs by rank for emotional competency a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o that end, this study employed CBC(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that was gone according to needs analysis-curriculum development step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69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rank of teachers, but the emotional competencies of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all had as a priority list of emotional competency were found to be four factors: ‘stress management’, ‘flexibility’ of the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communication’ of the group emotional management. Second, an emo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model a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riority list of teachers’ educational needs by rank. The designed program model was consulted by experts for verifying content validity and then 7 courses and 15 period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vised program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개인 및 조직차원에서 필요로 하는 정서역량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요구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BC(Competency-Based Curriculum) 개발과정에 따라 요구분석, 교육체계도 개발, 교육과정 프로파일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 교육요구의 최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스트레스 관리, 융통성, 갈등관리, 의사소통’에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통요인 외에 원감·주임교사는 ‘공감 및 타인존중’이, 원장은 ‘자기정서인식, 공감 및 타인존중, 조직이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추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도출된 최우선순위 정서역량을 기초로 교육내용을 도출하고 직급별 선택과정과 공통 필수과정으로 교육 체계도를 개발하고 교육과정 프로파일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쳐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최종 개발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7회기의 교육주제에 따른 15차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분석

        조혜진(Cho, Hyea-Jin),이진희(Lee,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어린이집 개인 및 조직차원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원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원 39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역량에 대한 교원의 직급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모델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원의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은 보통정도였으며, 원장이 교사보다 ‘개인정서관리’와 ‘집단정서관리’역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원장, 원감·주임교사, 교사 모든 직급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난 정서역량은 개인정서관리역량의 ‘스트레스관리’, ‘융통성’와 집단정서관리역량의 ‘갈등관리’, ‘의사소통’ 4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직급이 높을수록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폭넓게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교육요구를 반영하여 정서역량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and education needs of each rank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o improve the teachers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s. To that end, 390 childcare center teachers were surveyed.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competency by rank, we conducted a one-way ANOVA and followed up with the Scheffé. In order to derive their educational needs of emotional competency and priority emotional competency with high educational needs,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was mediocre. The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recognized higher the ability to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and ‘group emotional management’ rather than teacher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rank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emotional competency of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all had as a priority list of emotional competency were found to be four factors: stress management , flexibility of the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 communication of the group emotional management, the higher the rank, the wider the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y were. This suggests that 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by rank.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조혜진 ( Hyea Jin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장이 갖추어야 할 직무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원장의 직무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직무연수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포커스집단 면담을 통해 원장의 직무역량 초안을 구성하고, 유아교육·보육분야의 전문가 24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교육기관 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하위지표들을 도출하고, 그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직무역량 초안에 대한 적절성과 패널의 의견을 개방형 설문의 형태로 수렴하였으며 2차 델파이조사에서는 직무역량의 적절성과 문항의 양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고찰과 포커스집단 면담을 통해 10개 직무역량, 50개 하위지표로 구성된 직무역량 초안이 구성되었다. 도출된 직무역량 초안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비전 및 목표관리, 교(보)육과정 운영, 영유아관리,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인사 및 조직관리, 행·재정 및 시설관리, 건강·위생 및 안전관리, 부모 및 대외협력관계, 윤리의식과 공정성,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의 10개 직무역량과 49개 하위지표가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으로 규명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패널의 반응분포와 문항의 양호도를 산출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든 문항이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job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 needed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competency indicators were drawn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two times delphi of 24 panels. In the first delphi research, appropriateness of each competency indicator was analyzed. Opinions of panels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open-ended questions for director`s competency. In the second delphi research, appropriateness and reliability of each competency indicator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drawn a draft for director`s job competency with 10 job competencies and 44 sub-indicators. Finally, job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 was addressed using 10 job competencies including vision and goal management, curriculum management, child manag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teaching faculty, personnel and institution managem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anagement, health,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the rel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y, ethics and fairnes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49 sub-indicators through two times delphi researches for analyzing appropriateness of a draft for director`s job compet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adequacy of job competency showed that most of the competency indicators were valid and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