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혈청 전립선특이항원치와 전립선용적과의 상관관계: 다기관 연구

        조진선,김천일,성도환,김홍섭,김영식,김세중,조인래,전상현,이동현,양원재,최영득,홍성준,주영수,송윤섭,김선일,정병하 대한비뇨의학회 2005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46 No.8

        Purpose: Prostate volume(PV) is a key predictor of both the progression and response to med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BPH). Prostate-specific antigen(PSA) has been studied as a proxy marker for the estimation of the total PV in a predominantly Caucasian patient population. If the PV of Korean men is smaller than that of Caucasian men, the PSA-PV of Korean men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A and PV was evaluated in Korean me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BPH, aged between 50 and 79 years, between 1999 and 2004, were enrolled in this multicentered study. IPSS, PSA, uroflowmetry and TRU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Men with a PSA greater than 10ng/ml were exclude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including occult prostate cancer cases. Those with suspicious findings on digital rectal examination and serum PSA were biopsied to rule out prostate cancer. Results: The analysis included 5,716 patients, with a mean age 64.3 years, and mean baseline PV and PSA of 36.9ml and 2.4ng/ml, respectively. The PV and serum PSA have an age-dependent log-linear relationship. Older men tend to have a steeper rate of increase in their PV with increasing serum PS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s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serum PSA to predict the threshold of the PV in men with BPH. The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SA had good predictive value for various PV cutoff points(30, 40 and 50ml). Conclusions: The PSA-PV relationship in Korean men was similar to that in Caucasians. However, Korean men have a lower PSA and smaller PV than Caucasians. Approximate age-specific criteria for detecting Korean men with PV exceeding 40ml are: PSA >1.3ng/ml, >1.7ng/ml and >2.0 ng/ml for men with BPH in their 50s, 60s and 70s, respectively.

      • KCI등재

        인도네시아 지석묘의 기원 –중국 절강성 지석묘와 비교–

        조진선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0 No.-

        인도네시아의 지석묘는 우리나라 지석묘의 기원 문제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도네시아 지석묘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인도네시아에는 아주 다양한 형식의 지석묘들이 분포하고 있다. 필자는 이 가운데 Bagyo Prasetyo 분류 개석식, 혼합a식, 탁자a식을 초기형으로 보았다. 이러한 형식의 지석묘들은 중국 절강성의 지석묘와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지석묘문화는 중국 동남부 일대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양 지역 지석묘의 유사성은 파급경로와 관련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주목되는 것은 기원전 4000~3000년경부터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인의 동남아시아 팽창 경로이다.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팽창 경로는 중국 동남부에서 타이완섬–필리핀 제도–인도네시아 제도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경로는 明나라 때에도 해상 항로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어 그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다. 필자는 양 지역 지석묘의 구조와 연대로 보아, 인도네시아 지석묘는 기원전후 또는 기원전 일천년기에 그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던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팽창 경로를 따라 중국 동남부에서 인도네시아로 파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인도네시아 지석묘는 기원전후경에 중국 동남부에서 인도네시아 제도로 파급되었을 것이므로 그동안 인도네시아에 지석묘가 존재하며 외형적으로 서로 유사한 점 등을 근거로 제기된 우리나라 지석묘의 남방기원설은 좀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Dolmens in Indonesia. Of those, it is considered that the earliest types are Bagyo Prasetyo Unsupported cap stone type, Hybrid type-Subtipe a and Table-typed Dolmens-Subtipe a. Those types of Dolmens are more similar to the Dolmens of Zhejiang, China than the Dolmens of kore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olmen Culture of Indonesia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southeastern region of China. In B.C. 4000~3000, Austronesians expanded from southeastern region of China to Taiwan, Philippines and Indonesia. After that, The expansion path of Austronesians was continuous diffusion path of culture. It is assumed that Dolmen culture of Indonesia also spreaded from southeastern region of China through this path from B.C. 1st to A.D. 1st. Therefore, Dolmen culture of Indonesia formed from B.C. 1st to A.D. 1st. It is hard to believe that Dolmen culture of Indonesia was the area of origin of Korean Dolmen culture. Because Korean Dolmen culture had started to form around the 10th century B.C.

      • KCI등재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조진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6 No.-

        고고학적으로 보는 古朝鮮에 대한 논의는 기원전 1000년기에 중국 동북지역부터 한반도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琵琶形銅劍文化를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원전 1000년기 전·중엽의 비파형동검문화는 대능하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十二臺營子文化, 요동반도의 崗上類型, 요동 북부~길림성 중남부의 二道河子類型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이 기원전 9세기경 대능하 중류지역에서 발생한 十二臺營子文化인데, 기원전 8~7세기경에는 대능하 상류지역으로 확산하며, 기원전 6~4세기에는 요동의 심양·요양지역까지 파급된다. 이 시기의 비파형동검문화를 典型琵琶形銅劍文化로 부를 수 있다. 필자는 이 중 대·소능하유역의 十二臺營子文化와 여기에서 분지된 심양·요양지역의 鄭家窪子類型을 古朝鮮과 관련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요동반도의 崗上類型을 “發”로 비정하였다. 기원전 1000년기 후엽에 이르면, 중국 동북지역의 琵琶形銅劍文化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가장 큰 변화는 中原文化의 확장과 琵琶形銅劍文化의 급격한 쇠퇴 및 變形琵琶形銅劍文化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요동지역의 變形琵琶形銅劍文化는 요동반도 ‒ 심양지역의 尹家村類型, 요동 북부 ‒ 서북한지역의 上堡類型, 길림성 중부의 西荒山屯類型으로 구분된다. 尹家村類型은 중원문화적 성격이 강하게 가미된 점을 감안하면, 戰國~秦·漢代의 遼東郡과 관련될 것이다. 그리고 재지적 성격이 강한 上堡類型과 西荒山屯類型은 각각 秦開 침입 이후의 古朝鮮 및 衛滿朝鮮, 그리고 扶餘와 관련될 것이다.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琵琶形銅劍文化) is the culture of Bronze ware fromNortheastern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in Northeastern China by 900 to 300 B.C. is divided to: Shiertaiyingzi Culture(十二臺營子文化) of Daling river(大凌河), Gangshang Culture(崗上類型) of Liaodong Peninsula and Erdaohezi Culture(二道河子類型) from northern Liaodong to south central Jilin. Shiertaiyingzi Culture is the most advanced Culture of Bronze ware, among others. It is estimated that Shiertaiyingzi Culture is “Gojoseon(古朝鮮)” and Gangshang Culture is “Bal(發)”.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in 300 B.C. was converted to Atrophied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變形琵琶形銅劍文化) through a major change. Atrophied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is divided to: Yinjiacun Culture(尹家村類型) of Liaodong Peninsula, Shangbu Culture(上堡類型) of southern Jilin – central Liaodong – northwest region and Xihuangshantun Culture(西荒山屯類型) of north central Jilin. It is considered that Yinjiacun type having strong Chinese culture is related to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Also Shangbu type is related to Gojoseon(古朝鮮) and Wimanjoseon(衛滿朝鮮). Xihuangshantun type is related to Buyeo(扶餘).

      • KCI등재

        세형동검문화의 동부(銅斧)와 도끼(斧)ㆍ자귀(錛)

        조진선,김주호,노형신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6 No.-

        세형동검문화의 청동제 목공구로는 동부와 동착이 있다. 동착은 단순하지만 동부는 선형동부와 유견 동부, 장방형동부, 주머니형동부로 다양하다. 이 중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편인 이다. 필자들은 민족지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1960년대까지 신석기시대 농경민의 삶을 살고 있었 던 뉴기니의 두굼 다니가 돌도끼는 나무를 쪼개는 데 사용했고, 자귀는 나무를 베고 다듬는 데 사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필자들은 장방형동부를 도끼와 자귀로 착장해서 나무 베기 실험을 진행 하였는데, 자귀로 사용했을 때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두굼 다니의 사례, 그리고 돌도끼와 돌자귀로 나무 베기를 진행한 실험고고학적인 연구 결과와도 상통한다. 즉, 장방형동부는 나무를 벨 수도 있고 다듬을 수도 있는 자귀여서 長方形銅錛이라는 명칭이 더 적합하다. 나아가 세형동검문화의 동부들은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자귀여서 有肩銅錛, 扇形 銅錛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 고고학계에서는 목공구의 명칭을 총칭해서“斧”로 쓰거나“斧”와“鑿”으로 이원해서 쓰는 경 향이 강하다. 하지만 이러한 목공구 명칭은 현대 대목장의 연장인 도끼, 자귀, 끌이나 18세기에 편찬된 『才物譜』의 斧(독긔), 錛子(자귀), 鑿( )이라는 명칭과 달라서 대중들의 인식과 괴리되어 있다. 그 래서 한국 고고학계에서도 목공구의 명칭을 도끼(斧), 자귀(錛), 끌(鑿)과 같이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 이어서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명칭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The bronze woodworking tool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clude bronze axe and bronze chisel. Of these, bronze axe are varies in form with fan-typed bronze axe and bronze axe with shoulder form and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and pocket type bronze axe. The rest is chizel grinding edge except for the pocket type bronze axe, which is the convex grinding edge. The authors conducted a woodcut experiment using a rectangular shaped bronze axe and confirmed that it was much more effective when used as a bronze adze. This aspect also relates to the case of Dugum Dani in New Guinea and the results of experimental archaeological studies that conducted tree cutting with stone axe and stone adze. So, the name "Rectangular Shaped Bronze adze" is more suitable because it is adze that can cut down trees and trim them. Similarly, it is reasonable to call it fan-typed bronze adze, bronze adze with shoulder form. The Korean archaeological community tends to use the name of woodworking tools collectively as "Axe" or dualize them as "Axe" and "Chisel". However, the name of these woodworking tools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uses of Axe, Adze, and Chisel. So they are separated from the public. Therefore, the Korean archaeological community needs to change the name of woodworking tools to one that the public can under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