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의 2014 지방선거 - 민주성과 개혁성을 초점으로”

        조정관(Cho Jung kwan)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ttings,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2014 local elections in the area of Honam that includes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author tries to highlight whether or not the electoral politics could be judged to enhance procedural democracy and/or to produce restructuring outcomes, both of which were badly demanded by local people. Before the elections,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in Honam to see a competitive match between Democratic Party, which had been hegemonic over the region for decades, and a new party under formation by Ahn Cheol Soo. However, the two parties suddenly merged into one before the elections. Honam voters in the elections expressed a sizable amount of critical sentiments but helplessly accepted the new party(NPAD: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s candidates in general. Nevertheless the electoral returns showed that the NPAD has been losing its influence over Honam.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a reform of nomination procedures is necessary to further the electoral democracy in Honam.

      • KCI등재

        “한국 민주화에 있어서 부마항쟁의 역할”

        조정관(Cho Jung kwan)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2

        This paper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Busan-Masan Uprising(BMU) in 1979 played a role in Korea's democratization. First, the BMU helped heighten the factional strife in the heart of the Yushin regime, which abruptly collapsed because of it. Second, the fact that Yushin system's demise was triggered by the BMU induced the succeeding interim government to choose to open the path toward the Seoul Spring of 1980. Third, both the BMU and the Gwangju Uprising of 1980 enmited the range of legitnmacy formula adopted by the Fifth e pubenc. It ultnmately opened politncal opportunitnes for the democratic oppositnon. Moreover, BMU's legacy stremochened the student movement, helped democratic activf 1s to organize a popular (Minjung) solidarity, nullify the dictaranship's justifncatnon, and solidify the democratization frame in the 1980ng By contrasting the BMU with the Gwangju Uprising, this study also tries to explain why the BMU has been forgotten. The sequence of events, different magnitude of two events, the problems related to BMU leadership and to local democratic movement forces, and the surge of regionalism-based party politics since 1987 are all suggested as causes.

      • KCI등재

        행정입법과 행정부-의회관계 : 한국에서의 시사점

        조정관(Cho Jung kwan) 21세기정치학회 200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3 No.1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the legislative control over Administration's rule-making proces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the cases of several advanced democracies, the paper first illustrates how the extent of Assembly's institutional check on rule-making process i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Administration-Assembly relationship. Secondly, the paper tracks down South Korea's institutional development on the subject.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so far has exercised little influence over the extensive rule-making by the country's Administration. Recently the Assembly gains legal stipulations to realize legislative controls. But some more conditions the author suggests in the paper are needed to make them substantiated.

      • KCI등재
      • KCI등재

        국무총리(수상)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비교 연구

        조정관(Jung-Kwan Cho)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2

        이 논문은 다수의 공고화된 민주주의국가들을 비교하여 총리(수상)의 다양한 정치적 역할을 집약하고 그 강도/범위/방법에서의 차이를 낳은 독립변수들을 특히‘권력구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수상의 역할은 국가형태, 대 의회관계, 대 정당관계, 대 집행부관계, 및 대 국민/국제관계라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대 의회관계와 대 정당관계에서 권력구조의 차이는 수상의 정치적 역할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연구는 모든 정치영역에서 수상의 역할이 권력구조보다는 ‘정당지지’라는 중범위적이고 상황적인 변수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결정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또 한국에서의 권력구조 개편 논의와 관련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e cases of advanced democratic nations in Europe and Japan, the author aims to answer what decides prime minister’s political role, focusing on its variation in relation to the type of government.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different power, range and tools garnered by PMs in each of five policy domains defined by the author, he finds 1) that the type of government brings about meaningful variation in PM’s political role; and 2) that nevertheless, the level of party support is a stronger independent variable for deciding PM’s political role.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과 한국 정치의 변화

        조정관 ( Jung Kwan Cho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28 No.2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in the 1990s influenced Korean politics, with particular focus on political parties,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elites. The end of the Cold War provided apt justification for the 1990 ‘three-party-merger’ and facilitated the adaptation of formerly authoritarian regime elites to democratic party politics. It also helped the creation of both Minjungdang(People`s Party) and Tongilgukmindang(Unification Nation`s Party), which were not able to overcome the existing regionalistic party system. Democratic reform by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was assisted by the post-Cold War setting that minimized the otherwise strong resistance from the formerly authoritarian leaders. The change of governmental power by Kim Dae Jung, which consolidated Korea`s electoral democracy, was possible both by the preceding elite change and by the alteration of the mentality of the elite and the masses, which was caused in part by the post-Cold War setting.

      • KCI등재

        사회적 갈등 이슈에 대한 언론과 NGO의 관계: 촛불집회에서의 보수신문과 NGO를 중심으로

        곽복률(Bok-Ryul Kwak),조정관(Jung-Kwan Cho) 한국NGO학회 2015 NGO연구 Vol.10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 in Korea between the mass media and the NGOs on social conflict issues. The authors try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scourses of both Dong-A Ilbo (a representative conservative newspaper in Korea) and National Conference to Prevent Mad-cow-disease , which has led the Candlelight Assembly demonstrations in 2008. The authors find that the newspaper in both their Op/Eds and news stories ideologically framed the series of events and maintained an antagonistic stance against the NGO while the NGO also took the conflictual posture against the newspaper. The authors conclude that unless the conservative media stop to use the ideological frame, a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NGOs is unlikely to grow. 본 논문은 ‘촛불집회’와 같은 사회적 갈등 상황에서 NGO와 언론, 특히 보수 신문은 어떤 동태성과 상호관계를 갖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대형 사회적 갈등이슈인 2008년 ‘촛불집회’사건과정에서 당시 대표적 NGO인 ‘광우병국민 대책회의’와 대표적 보수신문인 동아일보의 담론을 분석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유형화하였다. 동아일보는 이념적 프레이밍으로 촛불집회가 주장하는 특정부분만을 발췌하여 반박 또는 비난하는 기사를 실었다. 물론 NGO인 광우병국민대책회의가 보수신문에 대해 갈등 모드를 취한 것도 상호관계를 어렵게 만든 이유 중의 하나였 다. 갈등의 발단기부터 확대기까지는 언론과 NGO 두 영역 간에 아주 낮은 수준의 상호관계마저 형성되지 않고 있었다. 즉 대립적 갈등관계가 지배적이었다. 한국 보수언론의 이념적 프레임이 계속되는 한 NGO와 언론 간 관계는 협력적 관계로 전환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교육정책 지역거버넌스 비교분석: 광주와 울산 사례 비교

        황혜성(Hae-seong Hwang),조정관(Jung-Kwan Cho)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10년 교육감 직선제를 전후하여 이슈가 되었던 교육정책 중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과 학생인권조례 정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교육청과 교육시민사회단체 각 주체와의 교육정책 지역거버넌스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거버넌스의 개념 및 모델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협력적 거버넌스와 교육 거버넌스를 개념화하여 연구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을 기초로 하고, 본 연구는 거버넌스 형성의 분석 기준과 운영도 분석 기준을 도출하고 거버넌스 행위자 분석도 수행하였다. 그리고 종합적인 거버넌스 관계 모형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교육감 직선제 시대 거버넌스의 현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관점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종합적으로 마련한 후 본 연구는 진보교육감의 대표인 광주지역과 보수교육감의 대표인 울산지역의 교육감이 수행한 두 개의 정책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경험적인 작업을 통하여 유사점과 상이점들을 파악하여 그들의 교육 로컬 거버넌스 상태에 대한 평가를 시도 하였다. 두 지역의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두 정책 사례 모두 에서 광주는 울산보다 참여도, 협력도, 투명도 및 교육청의 관리정도 등 모든 면에서 전반적으로 거버넌스 운영도가 진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상정한 모형으로 거버넌스 발달단계를 잠정적으로 진단해 본다면 울산의 경우는 아직 ‘독립형’에 머무르고 있으며, 광주의 경우는 ‘연립병존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본 연구는 일반화하기 어려운 탐색적 성격의 것이다. 인터뷰 지역이 광주와 울산으로 한정되어 있고, 조사 대상자가 너무 적은 수여서 대표성을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관련하여 더욱 많은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정책에 대한 교육 거버넌스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authors aim to explore how a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between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ducation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s being formed in Korea in times of the popular election of educational superintendents, which first started in 2010. The authors first review the concept of governance and its different models as well. Then the authors extract bot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governance and the analytical yardsticks that enable us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governance. The authors also set up a model of relations between partners of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In order to judge the current state of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the authors choose Gwangju and Ulsan cases, with focus on two controversial policy-making processes, one on teachers ability evaluation policy and the other on city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The authors took elite interviews on local educational bureaucrats, civil society activists, and journalists, in addition to the document-based research.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both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and education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Gwangju have developed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much more than those in Ulsan. In all aspects that include participation, cooperation, transparency and controllability in governance operation, Gwangju s experience is more developed than Ulsan s. The authors make a tentative conclusion that among the developmental steps of governance Ulsan remains at the bottom level of mutual independence, while Gwangju has moved up between the coexistence level and the network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