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루테늄 촉매를 이용한 N-치환 과수소아제핀 유도체의 합성

        심상철,도칠훈,이승엽,조완호,허근태,Sim, Sang Cheol,Do, Chil Hun,Lee, Seung Yeop,Jo, Wan Ho,Heo, Geun Tae 대한화학회 1990 대한화학회지 Vol.34 No.6

        Primary amines react with 1,6-hexanediol at 180$^{\circ}C$ for 5 h under argon atmosphere in the presence of both $RuCl_3{\cdot}3H_2$O and $PR_3$ to give N-substituted perhydroazepine derivatives in good yields. For aromatic amines such as anilines, $RuCl_3{\cdot}3H_2$O combined with $PPh_3$ showe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On the other hand, in the reaction of aliphatic amines, $RuCl_3{\cdot}3H_2$O combined with $PBu_3$ showe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These differences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 basicity of these amines. Less basic aromatic amines may require less basic phosphines, while more basic aliphatic amines may require more basic phosphines as the ligands. 각종 일차아민과 1,6-헥산디올을 촉매량의 $RuCl_3{\cdot}3H_2$O와 $PR_3$의 존재하 18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켜 N-치환 과수소아제핀을 높은 수득률로 얻었다. 방향족 아민인 아닐린 유도체에 대해서는 $RuCl_3{\cdot}3H_2$O와 PR3을 이용한 촉매계가 적당하고, 한편으로 지방족 아민에 대해서는 $RuCl_3{\cdot}3H_2$O와 $PBu_3$을 이용한 촉매계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염기성이 작은 방향족 아민에 대해서는 염기성이 작은 포스핀 배위자인 $PPh_3$가 유용하고 염기성이 큰 지방족아민에 대해서는 염기성이 큰 포스틴 배위자인 $PBu_3$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 권고안과 6, 7차 교육과정 비교

        구수정,김영신,김병석,이성,완호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BSCS 위원회가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하여 제시한 중등 생물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우리 나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을 개념 제시 형태, 하위 개념들의 내용 일치도, 개념 수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의 상의 수준으로서의 지식 영역과 하위수준으로서의 내용 요소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개념들이 포괄성의 차이 없이 단순히 개념 나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상태라서 개념 수준간 등급화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 나라 생물 교육과정에는 생태계, 유전과 생식, 물질대사 부분에 너무 많은 개념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BSCS가 학문중심 교육 과정기에 제시했던 많은 개념들에 대해서 현 시대 흐름에 비추어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재조정하도록 권고하면서 제시한 6개의 통합 원리들을 편중되지 않게 고르게 포하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에서도 생물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생물 Ⅰ보다 생물 Ⅱ에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필수 개념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 10에서 과학적 소양이, 그리고 생물 Ⅰ에서 생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이 강조되고 있고, 생물 Ⅱ에서는 생물학 관련 전공 과목 이수 준비를 강조하고 있는 과목별 성격과 목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각 과목별 특성을 분명히 제시 및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현재 우리 나라 과학 및 생물 교육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생물 교과서의 교수 자료 개발 및 장차 제8차 교육과정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있어야 함을 시사받았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presentation form, the content coherence of sub-dimensional concepts and the number of concepts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curriculum were analyzed comparing the guide to developing the secondary biology curricula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with BSC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iscrimination between concept levels in the frame of contents of the Korean curricula is insufficient, because each of concepts presented in the knowledge domain as upper level and sub-dimensional concept elements as lower level are simply arrayed. Considering too much concepts of ecosystem, genetics, reproduction and metabolism,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orm the biological curriculum to include concepts evenly, not in the biased state, to reflect all the 6 unifying principles by BSCS for developing students' biological literacy. Finally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s concretely among Science 10, Biology Ⅰ and Biology Ⅱ in the 7th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sult that essential concepts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are presented more in some principles of Biology Ⅱ than Biology Ⅰ. Think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crete discussions should be made to set up the standard reference about biological literacy and to present essential concep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it in the process of biology textbook development for meet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in the development of 8th Korean curriculum in advance.

      • KCI등재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 권고안과 6, 7 차 교육과정 비교

        김영신,완호,구수정,김병석,이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BSCS 위원회가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하여 제시한 중등 생물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우리나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을 개념 제시 형태, 하위 개념들의 내용 일치도, 개념 수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의 상위 수준으로서의 지식 영역과 하위 수준으로서의 내용 요소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개념들이 포괄성의 차이 없이 단순히 개념 나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상태라서 개념 수준간 등급화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 나라 생물 교육과정에는 생태계, 유전과 생식, 물질대사 부분에 너무 많은 개념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BSCS가 학문중심 교육 과정기에 제시했던 많은 개념들에 대해서 현 시대 흐름에 비추어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재조정하도록 권고하면서 제시한 6개의 통합 원리들을 편중되지 않게 고르게 포함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에서도 생물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생물 I보다 생물 II에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필수 개념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 10에서 과학적 소양이, 그리고 생물 I에서 생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이 강조되고 있고, 생물 II에서는 생물학 관련 전공 과목 이수 준비를 강조하고 있는 과목별 성격과 목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 나라 교육과정에서도 각 과목별 특성을 분명히 제시 및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현재 우리 나라 과학 및 생물 교육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생물 교과서와 교수 자료 개발 및 장차 제8차 교육과정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있어야 함을 시사받았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presentation form, the content coherence of sub-dimensional concepts and the number of concepts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curriculum were analyzed comparing the guide to developing the secondary biology curricula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with BSC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iscrimination between concept levels in the frame of contents of the Korean curricula is insufficient, because each of concepts presented in the knowledge domain as upper level and sub-dimensional concept elements as lower level are simply arrayed. Considering too much concepts of ecosystem, genetics, reproduction and metabolism,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orm the biological curriculum to include concepts evenly, not in the biased state, to reflect all the 6 unifying principles by BSCS for developing students' biological literacy. Finally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s concretely among Science 10, Biology I and Biology II in the 7th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sult that essential concepts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are presented more in some principles of Biology II than Biology I. Think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crete discussions should be made to set up the standard reference about biological literacy and to present essential concep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it in the process of biology textbook development for meet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in the development of 8th Korean curriculum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