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악(堂樂)장단의 음악 특징 분석

        구수정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2 No.-

        이 논문은 당악장단의 음악적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여 당악만이 가진 고유한 특성을 고찰한 글이다. 당악은 서울ㆍ경기지역 굿에서 연행되는 무당의 춤 및 검무ㆍ학무ㆍ승무 등에서 쓰이는 장단이자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악곡이다. 그런데 당악장단은 단독으로 연구한 사례가 거의 없을뿐더러 타 장단에 빗대어 설명되기도 하였다. 이에 당악만의 독자적인 음악적 특징은 없는지 의문점이 있었다. 각 지역 또는 갈래에 나타나는 당악장단만의 고유한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당악이라 일컬어지는 굿 및 춤반주음악의 장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음악적 실체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먼저 당악은 장단의 세가 고르게 4박(또는 3박)을 치고 있다. 이는 당악장단이 ‘달아가는’ 기능을 가진다 할 수 있다. 둘째, 한 유형의 장단을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한다. 음악에 맞게 장단을 다채롭게 쓰는 여타 장단과 구분된다. 셋째, 속도의 범위가 =96~146까지 상당히 넓으며 빨라져도 3소박4박을 내재하고 있다. 이같은 당악장단의 음악적 특징은 도무(蹈舞)ㆍ연풍(燕風)의 춤반주음악이라는 기능적 면모가 음악적 정체성으로 발현된 것이다. 여기에 당악과 유사한 평안도다리굿의 당악형장단, 황해도굿의 춤ㆍ연풍장단을 비교했을 때 장단형은 일부 차이가 있지만 기능과 음악적 특징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는 서북부지역에 분포한 빠른 속도의 춤반주장단이 무가(巫歌)의 음악문법과 마찬가지로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당악장단의 기능 및 음악적 특징은 다른 장단과 변별되므로 그동안 타령ㆍ자진모리ㆍ휘모리에 빗대어 설명하던 방식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예방에 관한 한의약 임상 연구 고찰

        구수정,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20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3 No.1

        Objectives: This review is aimed at assessing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oriental medicine for the preven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overview. Methods: Database search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n oriental medicine for the preven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Studies were searched from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Medical Data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ochrane library, PubMed and EmBase up to 7th November, 2019. Results: Ten RCTs were finally selected. Eight studies intervened with oral Chinese herb medicine, one is intervened with Chinese medicine enema and the other with acupuncture. Eight studies concluded that intervention with oriental medicine significantly decreased OHSS incidence. Five stud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gnancy rate in the intervention groups. Two studies reported higher ovulation rate and other two studies showed more maturated eggs than the control groups. Four studies showed opposite results in serum Estradiol leve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tervention groups in two studies. Conclusions: From ten studies, oriental medicine reduced OHSS incidence rate and showed preventable effectiveness. Further strictly designed studies and acupuncture intervened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evidences.

      •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 권고안과 6, 7차 교육과정 비교

        구수정,김영신,김병석,이성조,정완호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BSCS 위원회가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하여 제시한 중등 생물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우리 나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을 개념 제시 형태, 하위 개념들의 내용 일치도, 개념 수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의 상의 수준으로서의 지식 영역과 하위수준으로서의 내용 요소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개념들이 포괄성의 차이 없이 단순히 개념 나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상태라서 개념 수준간 등급화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 나라 생물 교육과정에는 생태계, 유전과 생식, 물질대사 부분에 너무 많은 개념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BSCS가 학문중심 교육 과정기에 제시했던 많은 개념들에 대해서 현 시대 흐름에 비추어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재조정하도록 권고하면서 제시한 6개의 통합 원리들을 편중되지 않게 고르게 포하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에서도 생물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생물 Ⅰ보다 생물 Ⅱ에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필수 개념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 10에서 과학적 소양이, 그리고 생물 Ⅰ에서 생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이 강조되고 있고, 생물 Ⅱ에서는 생물학 관련 전공 과목 이수 준비를 강조하고 있는 과목별 성격과 목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각 과목별 특성을 분명히 제시 및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현재 우리 나라 과학 및 생물 교육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생물 교과서의 교수 자료 개발 및 장차 제8차 교육과정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있어야 함을 시사받았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presentation form, the content coherence of sub-dimensional concepts and the number of concepts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curriculum were analyzed comparing the guide to developing the secondary biology curricula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with BSC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iscrimination between concept levels in the frame of contents of the Korean curricula is insufficient, because each of concepts presented in the knowledge domain as upper level and sub-dimensional concept elements as lower level are simply arrayed. Considering too much concepts of ecosystem, genetics, reproduction and metabolism,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orm the biological curriculum to include concepts evenly, not in the biased state, to reflect all the 6 unifying principles by BSCS for developing students' biological literacy. Finally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s concretely among Science 10, Biology Ⅰ and Biology Ⅱ in the 7th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sult that essential concepts to develop biological literacy are presented more in some principles of Biology Ⅱ than Biology Ⅰ. Think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crete discussions should be made to set up the standard reference about biological literacy and to present essential concep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it in the process of biology textbook development for meet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in the development of 8th Korean curriculum in advance.

      • KCI등재

        교육대학교 과학 전공 학생들의 생물 교수활동 및 내용 조직에 임하는 윤리적 관점에 대한 정성적 이해

        구수정 韓國生物敎育學會 1997 생물교육 Vol.25 No.1

        This study enplopres desirable improvement on analyzing our country's deucation course, in Biology Department, and to investigate how the general sphere of life science is accepted and educated. These facts are as follows, from the gathering and analyzing sources of biology education coerse in our country's university. 1. Curricula content in major-requiring subject The major-requiring subjects which should be completed are 7~10 subjects and correspond to 17~31 credits in our country's 44 universities. The major-requiring subject are as follows; animal physiology, genetics, plant taxonomy, animal taxonomy, microbilogy, general biology, plant physioligy, animal morphology, plant morphology, embryology, general biology, biochemistry and mycology. University, which dose not demand experiment necessarily, is 10 universities(22%) these cases are supplied by major-selective subjects for the most part. The fact should be observed that any subjects of major-requiring subject do not have common subject within our country's university curricula. Therefore, there should be related mutually by thoughtful consideration. 2. Curricula Content in Major-Selective subject Major-seelective subjects are showing diversifying distribution, 9~48 courses each, consequntly has 18~23 major-selective subjects. Evolutionary science, biological statistics, molecular biology, biochemistry, marine biology, organic chemistry and radiation biology are established as mjor-selective, marine biology, organic chemistry and radiation biology are established as major-selective subject mostly, in this situation there is only lecture without exoeriment, gener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에너지·환경 탐구대회」 초등팀 탐구 활동 소개 및 보고서에 환경 가치 분석

        구수정,김영신,정완호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and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ten in their reports of the EnergyㆍEnvironment Inquiry Activity Contest which is a unit contest of the Youth Science Festival held annually in Korea and get some ideas for the valuable wa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10 teams' reports were gathered and the locality, class study area, inquiry theme, inquiry method and values were analyzed and introduced as case studies to get some insights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values through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subject approach. Each teams set various inquiry themes in the content domain of energy resources and earth environment conservation focusing on each team'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local areas. There were 16 sentences representing technocentrism and 12 sentences representing ecocentrism. 5 of 10 teams showed both of technocentrism and ecocentrism in their reports. But their was only scientific knowledge without any environmental values in one team's report. Inquiry activity is a good teachingㆍlearning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 literacy. There should be environmental values involved as far as it is the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subject matt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hat environmental educators should actively intervene for inquirers to set a stage in the whole process to search for an alternativ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volved in their project activities. The reason is becau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established to operate by the infusion way into various subjects already existed in the Korea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