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COVID-19 이후 대학교육 연구 경향

        조성범(Sungbum Cho),한송이(Song Ie 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이루어진 대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국내 학술연구정보(KCI)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 중‘코로나19’,‘대학교육’,‘대학’을 주제어로 검색된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학술논문 197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연구 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맥락에서 이루어진 대학교육 연구에서는 ‘대학생’,‘원격 교육’,‘비대면’,‘스트레스’,‘대학생활 적응’의 주제어가 핵심어로 도출되었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주제어끼리 집단화한 결과, 4개의 응집 구조(1) 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관련 연구, 2) 심리·정서 변화 관련 연구, 3) 대학생활 적응 관련 연구, 4) 비대면 상황에서의 원격 수업 관련 연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수자 관련 연구 확대, 위기 상황에 대한 대학 차원의 비전 수립 필요, 다양한 전공 분야별 코로나19 교육 성찰 등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rends of academic research on college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ost-COVID era. To achieve this purpose, articles searched for as keywords ‘COVID-19’, ‘university education’, and ‘university’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 total of 197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journals from January 2020 to September 2022 were se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research key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olleg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was mainly conducted with the main keywords of ‘college student’, ‘remote class’, ‘non-face-to-fac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tudy found that four clusters were derived as grouping keywords with high conceptual relationships: 1) research related to student experience of college life, 2) research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students, 3) research relate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4) research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갈등 : 서울 소재 S대학 사례

        조성범(Cho, Sungbum),배상훈(Bae, Sang Hoon)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팀 학습, 프로젝트 학습, 갈등,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과 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 대학이 실시한 ‘융합기초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갈등을 경험한 4개 팀의 12명 학생에 대한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나타나는 갈등을 살펴본 결과, 이는 크게 참여자 개인에게 나타난 내적 혼란, 다른 팀 구성원과의불화 및 다툼, 팀 전체에 불거진 부정적 분위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팀 프로젝트 학습 초기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인 차원 혼란이 구성원 간 다툼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부정적인 팀 전체분위기를 낳는 일련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갈등을 유발하고 지속하는 요인은 세 가지로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참여자 개인 차원에서 서로 다른 참여 동기, 팀원을 불쾌하게 만드는 언행과 태도, 특정 팀원의 과도한 자기 확신과 다른 팀원의 의견 무시가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가치관과 접근 방식, 지속적인 의견의 불일치가 갈등을 만들었다. 셋째, 팀 프로젝트 학습을 둘러싼 환경도 참여 학생에게 갈등을 유발했는데, 여기에는개방형 문제 부여에 따른 당황스러움, 부족한 시간이 주는 압박, 외부 전문가들의 상반된 조언, 중간평가에 받은 부정적 피드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갈등을 수반할 수 있는 팀 프로젝트학습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aspects of conflict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 team and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The study also examined what created and maintained conflict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our teams and twelve students which experienced conflicts during project meetings of one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ree types of conflict which includes a) confusion on the goal of the project and member’s attitude(intra-personal), b) discord between members(inter-personal), and c)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and subsequent negative atmosphere of the team(intra-group). These conflicts were found to be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as time went by. Factors which created these conflicts may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at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include a) differen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 offensive attitude and remarks toward colleagues, and c) excessive self-assertiveness of one member which discouraged participation of other members. Second, at the project level, a) different approaches toward the way of performing projects and b) a lack of consensus among team members. Third, at an environment of the project level, a) nature of the project which do not provide a certain problem, b) a lack of time, c) incompatible advices from project mentors, and d) negative feedbacks from evaluator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eam and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초등학교 자체평가 모델 개발 : 학교평가 영역 및 지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집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조성범(Sungbum Cho),배상훈(Sang Hoon Bae),장인수(In Su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토대로 학교 운영의 효율성 제고와 학생 교육의 책무성 확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초등학교 자체평가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과 학교평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학교평가 이론 모델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이론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오산시 소재 공립 초등학교의 교사 55명과 학부모 39명을 대상으로 각 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3개 영역 22개 지표로 구성된 학교평가 모델이 개발되었다. 각 영역별 교사와 학부모가 강조하는 지표가 달랐다. 교사는 학교행정시스템 관련 지표를 중시하는 반면, 학부모는 학생의 안전과 교육 관련 지표를 보다 중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공동체적 관점에서 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lf-evaluation model of elementary school that support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chool management and educational accountability based on perceptions on teachers and parent. Methods To this end, a school evaluation theory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reviews by school evaluation expertise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55 teachers and 39 parents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Osan-si to emplo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Results A school evaluation model consisting of 22 indicators in three areas was developed.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d on different indicators each other. Teachers valued indicators related to the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while parents valued indicators related to student safety and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successfully manage schools from a community perspective.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대학의 고효과 프로그램 학생 요구 분석 : 서울 소재 H 대학 사례

        장명희(Myung-Hee Jang),조성범(Sungbum Cho),정소미(So-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운영하는 고효과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참여도 간 학생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소재 H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326명의 고효과 프로그램별 중요도와 참여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에서 제시한 고효과 프로그램 목록을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학생들이 인식한 고효과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참여도에 대해서 t-검증과 IPA가 차례로 수행되었다. 결과 먼저, t-검증을 통해 고효과 프로그램별 중요도와 참여도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요한 것에 비해 참여 정도가 낮다는 학생 인식이 모든 고효과 프로그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PA를 통해, 고효과 프로그램의 학생 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1) ‘지속 유지’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멘토링, 튜터링을 통한 도움 받기’, 2) ‘인식 개선’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으로는 ‘학습 공동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신입생 세미나’, ‘멘토, 튜터, 서포터즈, 학생회 활동’, 3) 장기적 관점에서 ‘점진 개선’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는 ‘교수와의 연구 프로젝트 참여’, ‘지역사회 프로젝트’, 마지막으로 4) 현 시점에서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는 ‘산업현장 참여 프로젝트’, ‘6개월 이상 국제 교류 프로그램’, ‘고학년 대상 통합적 학습 활동’이 포함되었다. 연구대상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고효과 프로그램의 학생 요구 정도는 전공계열, 성별,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고효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udent perception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of high-impact practices(HIPs) of university.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26 students of H University in Seoul,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in each HIPs was analyzed for the students. The list of HIPs of K-NSSE was use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for each HIPs was examined through t-test.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n participation was low compared to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HIPs. The analysis results are priorities for student’s demand of HIPs through IPA as follows; 1) programs that need to be ‘continued’ : ‘mentoring and tutoring’, 2) programs that require ‘improvement of awareness’: ‘Learning Community’, ‘Freshman Orientation’, ‘First-Year Seminars’, and ‘Mentor, Tutor, Supporters, Student Council Activities’, 3) Programs that require ‘gradual improve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Service Learning’, and 4) programs that required ‘intensive improvement’ at this time: ‘Internships’, ‘Study Abroad Program’, and ‘Capstone Courses and Projects’.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HIPs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HIPs in university.

      • KCI등재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대한 학생 인식 : 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실천적 개념과 관점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한송이(Han, Songie),곽은주(Kwak, Eun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관점에서‘성공적인 대학 생활’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 특성(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서울 지역 4개 대학에 재학하면서 능동적인‘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의 모습을 보인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적 자료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보다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깊은 인간관계 경험’,‘만족스러운 취업’,‘높은 학점’,‘폭넓은 인적 교류’,‘전공 지식 함양’,‘다양한 교내외 활동’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얽혀있는 양상을 보였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것끼리 집단화한 결과, 3개의 개념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은 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맥락에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대학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common features of students who are considered to have been successful at learning and college life from the student 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a successful college life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students. Samples include ninety-thre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ata from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successful school lives with related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to explore how these key words are structurally linked to each ot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ccess include various elements (key words) - ‘deep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 satisfied employment , higher GPA , an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 , ‘acquisi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 and a full palette of varied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high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divided into three clusters.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college life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효과를 일반고 및 특성화고와 비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2010년부터 3년에 걸쳐 마이스터고 11교 일반고 11교 특성화고 11교에 재학했던 학생 중 2,571총 명(마이스터고 853명 일반고 854명 특성화고 864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3시점 유사종단 자료를 구축하고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2010년 개교 당시 마이스터고 집단은 일반고 집단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마이스터고 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고 2012년에는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경우, 마이스터고 집단은 2010년 입학 당시 일반고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지만 특성화고 동료들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후 년 동안 비교 집단보다. 성장률에서 차이를 보일 만큼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다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는 마이스터고 집단은 3개교 당시부터 일반고 동료들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년 동안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은 일반고 동료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 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2010년 초기상황을 통제했을 때, 위의 세 종속 변인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수행 효과는 사라졌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of outcome variables for three years among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amples include 853 Meister students, 85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64 vocational students from across the nation. Multi-level modelling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outcome variables.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eister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2010 when Meister schools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growth of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Meister stud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2010-2012. The same holds true for school satisfaction. Meister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wo comparison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three groups.

      • KCI등재

        한국 대학생 학생성공 측정도구 타당화: 서울 소재 4년제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홍은선(Eunseon Hong),조성범(Sungbum Cho),조문석(Munseok Ch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Schreiner 외(2009)가 개발한 학생성공 측정도구인 ‘성장 지수(thriving quotient)’ 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성성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H 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 등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검증하고 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타당도 검증 결과, 9개 문항을 삭제하고 23개 문항으로 구성된 5개 요인구조 모형(능동적 학습 참여(EL: Engaged Leaning), 학업적 자기결정(AD: Academic Determination), 긍정적 인식(PP: Positive Perspective), 공동체적 시민의식(DC: Diverse Citizenship), 사회적 연결성(SC: Social Connectedness))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개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성공 척도의 구성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2020년 K-NSSE 데이터와 병합하여 ‘유의미한 학습경험’, ‘다양한 그룹과의 교류경험’,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 맥락에서 학생성공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타당화함으로써 국내에서 학생성공 개념을 구체화하고 관련 변인을 다각적으로 탐색하도록 한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의 활용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Success (Thriving Quotient) Scale developed by Schreiner et al. (2009) an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and to confirm the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 5-factor model with 23 items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EL (Engaged Leaning), AD (Academic Determination), PP (Positive Perspective), DC (Diverse Citizenship), and SC (Social Connectedness).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main survey, the fit indices of the five-factor structure model were high,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is scale was supported. Criterion-related validity has been verified by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uch as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with diverse groups,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friendship satisfac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concretizing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in Korea and in exploring the variables related to student success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군견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E. faecium의 항생제 내성 연구

        박경완 ( Kyoungwan Park ),주영훈 ( Younghoon Joo ),조성범 ( Sungbum Cho ),방기만 ( Kiman Bang ),고명식 ( Myeongsik Ko ),유건주 ( Gunju Yoo ) 국군의무사령부 2017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8 No.1

        Objective: Investigat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nterococci isolated from various group of military working dogs(MWDs)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solates from different groups. Methods: Fecal samples of military working dogs were collected from military working dog training center located in Chuncheon,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sterile material and transported to laboratory within 12hrs. Species was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on E. faecalis, E. faecium, and other unidentified Enterococcus spp. isolates using disk diffusion method against 12 antibiotics. Results: First, in cohort study, we collected 193 feces samples from three group of puppy dogs and 200 Enterococcus spp. (149; 74.50% E. faecalis, 45; 22.50% E. faecium, 6; 3.00% other Enterococcus spp.) were isolated from this samples. All 200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ampi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chloramphenicol, imipenem. Antimicrobial resistance against aminoglycosides and ciprofloxacin of the isolates was increased with growth of the puppy dogs. In cross sectional study, total 137 samples including 127 feces and 10 soil samples were collected. 44 E. faecalis, 50 E. faecium, and 19 species unidentified Enterococcus were isolated from those samples. In case of refresher training dogs, the isolation rate of E. faecalis was high shortly after entering training center, but the isolation rate of E. faecium tended to increase immediately before leaving. Most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were higher in enterococci isolated from MWDs served MWDs training center than in enterococci isolated from refresher training MWDs served other field troops. Conclusion: Continuous monitoring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s need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n soldiers who live with dogs and select appropriate antibiotics for MW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