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센서 융합을 사용한 자동차형 로봇의 효율적인 실외 지역 위치 추정 방법

        배상훈(Sang-Hoon Bae),김병국(Byung-Kook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10

        An efficient outdoor local localization method is suggested using multi-sensor fusion with MU-EKF (Multi-Update Extended Kalman Filter) for car-like mobile robots. In outdoor environments, where mobile robots are used for explorations or military services, accurate localization with multiple sensors is indispensable. In this paper, multi-sensor fusion outdoor local localization algorithm is proposed, which fuses sensor data from LRF (Laser Range Finder), Encoder, and GPS. First, encoder data is used for the prediction stage of MU-EKF. Then the LRF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environment is used to extract objects, and estimates the robot position and orientation by mapping with map objects, as the first update stage of MU-EKF. This estimation is finally fused with GPS as the second update stage of MU-EKF. This MU-EKF algorithm can also fuse more than three sensor data efficiently even with different sensor data sampling periods, and ensures high accuracy in localizati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revealed via experiments.

      • KCI등재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분석

        배상훈(Sang Hoon Bae),라은종(Ra, Eun Jong),홍지인(Hong Jee-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 체질 개선과 현장 적합성 높은 대학교육의 제공이라는 산 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목적에 비추어, LINC 사업에 3년 동안 참여한 대학들의 사업성과를 비 LINC 대학과 비교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사업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CIPP(Context-Input-Process-Product) 이론모형을 적용하여 LINC 사업과 관련 된 맥락 요소를 고려하는 동시에 투입-과정-산출 측면에서의 성과와 변화를 체계적으로 고찰 하였다. LINC 사업을 3년간 수행한 41개 대학을 대상으로 경향점수매칭(PSM) 방법을 적용하 여 비교 집단을 선정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LINC 대학은 비 LINC 대학보다 현 장실습 이수학생 비율이 높고, 기술이전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체경력 전 임교원 비율, 산학협력 중점교수 수, 캡스톤디자인 이수학생 수, 창업 강좌 시수, 기술이전 수 입료, 민간 과제수, 민간 연구비, 취업률 등의 지표에서는 LINC 대학과 비 LINC 대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산학 협력 재정지원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olicy outcomes of the LINC project, the government-sponsored program to promot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Employing the CIPP (Context-Input-Process-Product) model, ten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compared between LINC universities and non-LINC universities. Samples include 41 LINC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the project for three years (2012-2014) and the same number of non-LINC universities. In order to select the comparison group, the study employed the PSM(propensity scoring matching) method that is well known to be useful in reducing the sample selection bias and estimating the effects of policy interventions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receiving the policy treatmen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completed practical training in industries and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of LINC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non-LINC universitie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other indicators including the percentage of professors who came from business and industry,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work mainly f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pleted capstone design classes, the number of classes to help students start a business, revenues from technology transfers, the number of projects and earning from the private sector, and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be considered in planing and implementing the government project to enhanc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대학 편입생의 학습 참여 분석

        배상훈(Sang-Hoon Bae),윤수경(Soo-Kyung Yoon),한송이(Song-Ie Han),곽은주(Eun-Ju Kwak),이규린(Gyu-Rin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이 신입학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집단 차원에서 차별화되는 인구학적 배경을 확인하고, 두 집단 사이에서 학습 참여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99개 대학에 재학 중인 26,047명의 학생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통계 및 교차 분 석(카이제곱 검정), 경향점수매칭,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배경 측면에서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입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연령이 높고, 고교내 신 등급은 낮으며, 가계소득 수준은 높았다. 또한 편입생은 일반 학생보다 대학 진학 과정에서 대학과 전공 모두를 고려하여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대학과 전공 모두 원하는 대로 선택하지 못한 비율은 낮 았다. 편입 여부에 따른 학습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고교내신 등급, 가계소득 수준을 공변인으로 하는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하였고, 동 변인들에 대하여 등가성을 가진 2,250명의 자료가 최 종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편입생은 일반 학생 보다 학습 전략, 교직원 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고,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우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고 차원 학습과 반성적․통합적 학습, 다양한 토론, 효과적 교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exist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udent engagement between transferred students and their non-transferred counterparts. Samples included 26,047 students from 99 four-year colleges. Chi-squared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transfer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transfer of students. Study results showed that transferred students compared to non-transferred peers were older, have lower academic performance at high schools, and higher family income. In addition, transferred students tend to consider more the college reputation and major when they went to college, compared to their peers. Transferr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ir peers showed higher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relationships with the college staff, and perceived supportive college climate, while they showed lower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pe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eir peers.

      • KCI우수등재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학습참여 및 대학 몰입과 예측요인: 잠재프로파일분석

        배상훈(Bae, Sang Hoon),황수정(Hwang, Soo Jeo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본 연구는 2020년 1학기 동안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대학 몰입 양상을 기준으로 어떠한 차별적인 학생 집단이 있는지 탐색하고, 학생 개인 특성, 교수의 효과적 수업에 대한 인식,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및 소재지가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전국 25개 대학에 재학한 16,848명 자료를 가지고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고, 이를 소극적 참여 집단, 중간 참여 집단, 나 홀로 학습 집단, 적극적 참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학생의 성별, 학년,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 정도, 교수의 효과적인 수업 방식,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정도 및 소재지는 가장 낮은 참여를 보이는 집단(준거집단)과 비교해서 다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학습참여와 대학 몰입을 기준으로 낮은 수준과 높은 수준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학생 집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의 63%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친구나 교수와 교류 없이 혼자서 공부하는 나 홀로 학습 집단에 속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확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대학이 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고 대학 몰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attern of student engage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gender, grade, and degree of high impact practices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teaching practices perceived by students, and supportive environment of universities on which groups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Samples include 16,848 students from 25 universitie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four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student engage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patterns – passive participants, middle-level participants, ‘study alone’ students, and active participants. 63% of all students were found to belong to study alone group. All predictor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which latent group students are likely to belong to. The study suggests what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배상훈(Bae Sanghoon),전수빈(Jeon Suebin),홍지인(Hong Ji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국내 대학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가진 학생이 심층 학습을 활발히 하는지와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learning context)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심층 학습(deep learning)이란 단순 암기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적 학습(surface learning)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지식의 통합, 반성, 재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층적인 학습 접근(deep approach to learning)을 지칭한다. 양적 조사(K-NSSE) 결과, 재학생의 심층 학습 수준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93명과 교수 37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전사 한 자료를 주제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으로는 심층 학습 촉진자로서 교수의 역할, 문제해결 학습 상황, 협동 학습과 다양성 기반 학습 환경, 융합교육 환경, 기숙사 생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 특성으로는 대학의 규모와 교육 및 연구중심 등 대학기관 의 특성이 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특성으로는 개인의 성향, 학년이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기대 및 동기와 전공 계열이 대학의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심층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있었다. 결론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생의 심층 학습을 이 끌어 내고자 하는 대학들이 실천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deep learn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engagement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importance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ep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multi-case analysis on three universities.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in the upper ranks of the K-NSSE for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participat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0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subject universities. The analysis followed a stri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cedure. Two major factors on college students’ adopting deep learning strategies were noted by analyzing the interviews: personal and contextual. O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deliberated, the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policies whi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adopt to improve and facilitate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 KCI우수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배상훈(Sang Hoon Bae),변수연(Su Youn Byoun),이수정(Soo Jeung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관점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 역량 기반 교육 관점에서 대학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13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328명과 동 대학에 재직하는 교수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해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협업 능력, 유연성과 적응력이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각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대학 소재지나 전공계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집단은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했지만 교수집단은 창의적 사고력 함양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학생들은 졸업 후 바로 사용할 역량에 관심을 두지만, 교수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역량을 중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생 중심 역량 기반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대학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in regards to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developed at the university leve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1,328 students and 138 professors from 13 four-year universities.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es were employed.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prioritize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interpersonal collaboration skills,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to develop as a university student.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they attend and by student major. Third, students considered communication skill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o be developed, while professors perceived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hinking skills the mos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rgued that students value competencies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while professors place an emphasis on competencies that may be of great help in the long run. Finally, the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erms of competency development.

      • KCI등재

        A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배상훈(Bae, Sanghoon),강민수(Kang, Minsoo),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지방 소재 중소형 사립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나타난 질적 현상을 탐색한 사례 연구이다. 학생과 교수 개인은 물론 대학 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의 교류 문화가 제도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나타난 특징과 이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노력 및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례 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문화는 크게 발아기, 발전기, 정착기를 거치면서 진화하고 있었다. 발아기에는 기존의 관련 제도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하였다. 총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교수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이었다. 둘째, 발전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제도와 프로그램의 체계성 및 정합성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다. 사례 대학에서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발전기에 접어들면서 한층 참여율이 증가하고 실질적으로 보편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수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학습동기와 전공실력을 높이면서 자기 계발에 대한 노력을 확대하는 정서적, 사회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에서는 지속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이를위해 교류와 소통의 장을 정례화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교수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생과 교류할 수 있도록 교수의 위상을 담보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었다. 한편 대학의 혁신을 주도하는 집단과 일반 교수 및 학생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이나 마찰을 해결해 나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드러났다 This case study examine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ynamics that wer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s a culture in one university.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a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with a clos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developmental stages, institutional efforts, and barriers in practices in the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case institution had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embryo, developing, and matured stages. First, during the embryo stage, the institution made efforts to further develop existing systems and create the new programs to promote an institution-wide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President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lementing the programs and this developed the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other key issue was to have both student and faculty willingly engaged in the programs and thus the process of interactions. Second, during the developing stage, building institutional structures to support student-facult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both student and faculty had substantially been increased. Interacting with the faculty,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a variety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at led to institu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of academic motivation and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their own talent. Lastly, in relation to the matured stage, the systemization of the programs for student-faculty interactions was found to be a key issue. In this stage, the case institution has made an effort to secure and promote the status of the faculty so that they further develop interaction with students. During this stage, another important issue was to resolve the problem of conflicts between the head quarter of the institution seeking for innovation and the faculty having a tendency of resisting change or not adapting to change as quickly as desired.

      • KCI등재
      • Nb₂O? 차단막 형성이 염료감응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Sang-Hoon Bae),한치환(Chi-Hwan Han),조태연(Tae-Yeon Cho),홍영식(Young-Sic Ho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나노 결정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흡착된 염료분자가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전자는 HOMO에서 LUMO로 전이하고 이 들뜬 상태의 전자는 다시 에너지 준위가 낮은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는 나노입자간 계면을 통하여 투명 전극으로 확산, 전달되고 산화된 염료분자는 전해질 I?에 의해 다시 환원되어 중성 분자가 된다. 그러나 표면상태 전자 중 일부는 산화된 염료와 다시 결합하거나, 전해질의 I₃? 이온을 환원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암전류를 증가시키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변환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전극 표면에 전자의 재결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을 코팅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Nb₂O? 졸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코팅하여 차단막을 형성하였으며,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차단막 두께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Ⅰ-Ⅴ 측정 결과 반응시간 50분, 약300㎚ 두께의 차단막을 형성 했을 때 광전변환 효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가장 좋은 효율은 9.89 % (전류밀도 19.43 ㎃/㎃, 개방전압 0.72 V, fill factor = 0.72)였다. A protecting layer of Nb2O5 was coated on the FTO glass by sol-gel method to protect a back electron transfer reaction from the conduction band of FTO to redox couple in electrolyt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layer was controlled by the reaction time of sol.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increased from 200 ㎚ to 400 ㎚ as reaction time increased from 30 min to 70 min. Ⅰ-Ⅴ test of the cells with Nb₂O? coated electrodes showed better photon to 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than the cell without protecting layer. The best cell efficiency of 8.89% (Jsc = 19.43 mA/㎠, Voc = 0.72 V, FF = 0.63) was obtained with the sol of 50 m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