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조병영 ( Byeong Young Cho ),김종윤 ( Jong Yun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4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oblem of inaccuracy in reading that often emerges from Internet text environments and to describe an aspect of critical reading required in such digital literacy contexts. We view inaccuracy as a situated concept which should be defined within a complex coordina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reader, text, writer, message, and context of reading. We provide the scenarios of the reading situations in which a reader is forced to cope with and respond to the problem of inaccuracy in Internet settings, using the cooperative principle. We review relevant theories of reading comprehe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accuracy, including discourse processing, multiple-documents comprehension, and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ing. This presentation closes by interpreting the verbal report data produced by highly-skilled adolescent readers as they attempted to strategically read on the Internet, which provide a clue to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the nature of critical reading strategies required for Internet reading.

      • KCI등재

        미국 공통핵심기준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조병영 ( Byeong Young Cho ),서수현 ( Soo Hyun Seo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최근 미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함께 미국의 공통핵심성취기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통핵심기준이 설정하고 있는 10개의 읽기 영역 중핵 기준들을 근거로 하여, 그 기저 핵심 능력을 (1) 자세히 읽기, (2) 다문서 읽기, (3) 디지털 매체 읽기, (4) 복잡한 텍스트 읽기, (5) 내용 교과 읽기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이 다섯 가지 읽기 능력에 대한 설명이 지금까지 읽기 연구를 통해서 쌓아 온 과학적 지식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은 최신의 연구 경향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세부 내용을 따져보면, 읽기의 능력을 상당히 텍스트 중심적 분석 능력으로 국한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글을 읽는 주체인 독자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이 읽기의 과정에 작용하는 양상과 그 의미 구성 과정에서 요구되는 복잡다단한 과정들에 관해서는 간과한 부분이 없지 않았다(예, 선행지식, 상위인지, 동기와 흥미). 따라서 독자의 성장에 요구되는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발달적 역량에 대한 전제가 성취 기준 문서에 충분하게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최신의 문식성 및 읽기 분야의 연구에 근거하여 미국 핵심공통기준의 읽기 역량이 함의하는 이론적, 실제적 가능성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among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Korea, along with increased atten-tion to the future curricular standar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ore reading competencies that the CCSS anchor standards for reading represent. Five core reading skills are identified: close reading, digital text reading, multiple text reading, disciplinary read-ing, and complex text reading. This review, based on the state-of-the-art research in reading, suggests that while the CCSS standards reflec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ext in treading and the central themes of literacy research (e.g., new literacies, content area literacy, multiple text reading), the accounts of these five core reading skills do not fully honor the com-plexities of reading that research has explicated in the past decades. The CCSS standards lack consideration in reader factors (e.g., prior knowledge, metacognition, motivation, development): The CCSS standards heavily emphasize text-based reading skills, which are required for comprehend-ing complex texts analytically. A consequence is that the CCSS standards describe reading as a text-driven cognitive enterprise and are silent about affective, social, and developmental competencies that are essential for stu-dent growth.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what promises and limits should be considered in interpreting the CCSS as Korean educators attempt to envision future Korean language curricular standards.

      • KCI등재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조병영 ( Byeong Yo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 글은 구성적-반응적 독서 모형에 근거하여 수행된 청소년 독자들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분석한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들이 인터넷 상황에서 사용한 핵심 전략을 설명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전략들은 (1) 잠재적 텍스트의 실현과 구축, (2) 주요 글 내용의 확인과 학습, (3) 독서 과정에 대한 점검, 그리고 (4) 텍스트의 평가로 범주화될 수 있었다. 청소년 독자들은 대체로 인터넷상에서 사실적인 정보를 검색하고, 문면적으로 글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능숙하였다. 그러나 복잡한 하이퍼텍스트 공간 안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 분석하고, 정보의 질을 평가하면서, 이를 깊이 있게 학습하는 비판적 전략을 사용하는 데에는 부족함을 보였다. 이 글은 청소년들의 비판적 독서 전략, 초인지적 독서 전략의 신장을 위한 독서 교육이 요구됨을 강조하고,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서 한국의 청소년 독자들이 어떻게 글을 찾아 읽고 공부하는지, 그 과정과 전략에 관한 심화된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이 분야의 연구 결과는 21세기 독자를 생각하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Framed within the model of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ing, I conducted a research synthesis to describe the strategies that adolescent readers use while reading on the Internet. In this review, a body of literature emanating from multiple areas of research contributes to descriptions of central reading strategies in Internet settings, including strategies for (1) realizing and constructing potential texts to read, (2) identifying and learning text content, (3) monitoring one`s own reading processes, and (4) evaluating texts. The result indicates that adolescents bring general tendencies to the Internet reading task: They are good at collecting and finding information and also understanding literal meaning from Internet texts. However, the result also demonstrates that adolescents have weaknesses in the use of monitoring strategies when navigating toward useful information and building deeper understanding by making meaning from multiple Internet texts. Metacognitive and evaluative reading strategies are the most concerned areas of student reading in need of support. The study suggests that ongoing examinations of reading strategies in Internet contexts, especially situated in Korean literacy environments, should be conducted to build a knowledge base that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21st century read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대한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 :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서수현 ( Seo Soo-hyun ),조병영 ( Cho Byeong-yo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부모, 교사, 친구, 누리꾼과 같은 문식성 후원자들이 자신들의 디지털 기반 활동과 관련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전국의 초등 3~6학년 학생 10,11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로, 문식성 후원자들의 `가치 부여`, `모델링`, `통제`에 관한 인식을 묻는 문항과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부모의 통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디지털 기반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인터넷에 대한 친구들의 가치 부여를 중요한 문식성 후원 양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부모와 교사라는 전통적 문식성 후원자 이외에 또래 집단에서 공유되는 디지털 문식 경험에 대한 가치 부여가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문식성 인식과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문식성 후원자가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영향의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different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teachers, peers, and internet users would influence elementary-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Grades 3~6 students (n=10,111) in Korea, using the items about literacy sponsor activities (i.e., valuing, modeling, control) and the amount of time that the students spend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pattern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is study perceived that parental control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However, parental control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students. Seco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peer value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is perception tended to increase as they go up to higher school grades. Last,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anonymous online us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and that the online user factor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respondents. The results imply that in addition to traditional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and peer groups their valu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ctivitie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옥현진 ( Hyoun Jin Ok ),조병영 ( Byeong Young Cho ),김종윤 ( Jong Yun Kim ),김지연 ( Ji Youn Kim ),김희동 ( Hee Dong Kim ),고진아 ( Gi Na Koh ),오은하 ( Eun Ha Oh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2

        Substantial progress has been made to describe the cognitive and social processes involved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non-cognitive factors that may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engagement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is article describes a research project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elf-report instrument to assess children`s digital literacy attitudes as emotional and behavioral tendencies that influence and intervene their engaged (or disengaged) digital literacy practices. Informed by research in digital literacy and motivation for learning, we considered five factors that may account for multiple dimensions of the construc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s. These included (a) value (e.g., task, medium), (b) self-efficacy (e.g., ability, success), (c) emotion (e.g., feeling, preference), (d) participation (e.g., engagement, interaction), and (e) self-regulation (e.g., control, reflection).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 instrument was created, built upon the five-factor model, and multiple sets of items were revised and updated through pre-validation procedures including cognitive interviews and expert surveys. Finally,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1,609 third- and sixth-grad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substantial internal consistency among 33 items in the final version of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these five factors. Based upon the results, we discuss critical issues in conceptualizing and assess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gital literacy practices and how the study`s results contribute to research and practice at a crucial time in schools where cognitive-only curricular and assessments are pervasive.

      • KCI등재

        학습자의 주관적 웰빙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의 가능성 탐색

        이채윤 ( Lee Chaeyun ),최인찬 ( Choi Inchan ),조병영 ( Cho Byeong-young ) 한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 Vol.- No.183

        오늘날의 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인격을 성장시키고 지속가능한 방식의 좋은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에 방점을 둔다. 이에 국어교육 역시 학습자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영위를 궁극적인 목표로 두고, 학습자가 다양한 담화 맥락의 의미 구성 과정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성찰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주관적 웰빙과 리터러시 개념을 탐구하고, 리터러시 경험을 통해서 학습자의 주관적 웰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교육적 실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주관적 웰빙을 ‘삶에 대한 이해, 정서에 대한 태도, 자아실현’으로, 리터러시를 ‘능력과 역할, 사회적 영향력, 실천과 성장’으로 해석함으로써 두 개념을 교육의 맥락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간의 국어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리터러시와 주관적 웰빙이 어떻게 상호 연결될 수 있을지 확인하고, ‘전환적 의미 디자인’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주관적 웰빙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의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국어교육이 학습자의 행복한 삶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를 고민한 결과이자, 우리의 교육이 미래 세대의 유연한 성장과 지속가능한 삶을 목표로 한 실천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에 응하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 Contemporary education is centered on fostering learners’ personal growth and enabling them to lead a good and sustainable life. In line with this obj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ces the ultimate goal on promoting learners’ healthy and happy lives. It is crucial to assist learners to positively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ir live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meaning-making in various discourse contexts.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ncep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literacy, examining the potential of educational practices to positively transform learner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literacy practices. Subjective well-being is interpreted as ‘understanding of life’, ‘attitude toward emotions’, and ‘self-realization’, whereas literacy is interpreted as ‘abilities & roles’, ‘social influence’, and ‘practice & growth’. By interpreting these two concepts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ir connections.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iteracy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interconnected. It also proposes principles for literacy education for learners’ subjective well-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design for meaning’. This endeavor is a result of contemplating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contribute to learners’ happy lives and response to the demand for our education to be a practical effort toward the flexible growth and sustainable lives of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김종윤 ( Kim Jong-yun ),서수현 ( Seo Soo-hyun ),김지연 ( Kim Ji-youn ),조병영 ( Cho Byeong-young ),김인숙 ( Kim In-suk ),옥현진 ( Ok Hyo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6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교육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교육내용 설계와 평가를 위한 하나의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 요소는 여섯 개의 요소(탐색, 해석과 통합, 평가, 설계, 제작, 공유)로 구성되며, 각 요소별로 다시 2∼4개의 하위요소를 설정하였다. 탐색은 접근하기, 검색하기, 훑어 읽기, 선택하기로, 해석과 통합은 내용 확인하기, 추론하기, 상호텍스트적 연결하기로, 평가는 출처 신뢰성 확인하기, 내용 타당성 비판하기, 정보의 유용성 판단하기로 구분된다. 또 설계는 수사적 맥락 파악하기, 배양하기와 창안하기, 조직하기로, 제작은 배치하기, 형상화하기, 편집하기로, 마지막으로 공유는 전파하기와 반응하기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요소는 리터러시의 이해와 표현의 양면을 모두 포괄하였다는 점, 제작이나 공유와 같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속성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성취기준 개발, 성취기준 위계화 등 관련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for cogni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which had 6 components. ‘Explore’ consisted of ‘access’, ‘search’, ‘scan’ and ‘select.’ ‘Interpret and integrate’ consisted of ‘identify text contents’, ‘generate inferences’, and ‘make intertextual connections.’ ‘Evaluate’ consisted of ‘identify source reliability’, ‘examine content validity’, and ‘determine information usefulness.’ ‘Design’ consisted of ‘understand rhetorical contexts’, ‘incubate and invent’, and ‘organize.’ ‘Produce’ consisted of ‘arrange’, ‘materialize text’, and ‘edit.’ ‘Share’ consisted of ‘disseminate’ and ‘respond.’ The study was significant at the point that the assessment factors include bidirectional aspects of literacy and show a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digital literacy such as ‘produce’ and ‘share.’ Suggestion was discussed at the end.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윤 ( Kim Jong-yun ),서수현 ( Seo Soohyun ),김인숙 ( Kim Insuk ),조병영 ( Cho Byeong-young ),김지연 ( Kim Ji-youn ),유상희 ( Ryu Sanghee ),김희동 ( Kim Heedong ),오은하 ( Oh Eunha ),옥현진 ( Ok Hyo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2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여러 문헌들을 먼저 검토한 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한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탐색·이해·평가·적용하고, 새로운 텍스트를 창조하며, 사회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평가도구가 디지털 리터러시를 얼마나 잘 평가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8종의 기존 평가도구(CBAL, DIL, ePIRLS, ICILS, ORCA, PARCC, PISA DRA, SBA)를 평가틀의 측면, 평가 도구의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의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평가도구들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제 측면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읽기 영역 평가에 치우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은 평가도구별로 상이하였으며, 여러 측면에서 참조할 만한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평가도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의 개선 방향으로서 시나리오 기반 평가와 근거 중심 평가 설계에 대해 제안하였다.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grounding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that is particularly focused on cognitive domain. First,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of the digital literacy was condu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lens to 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individuals` ability to search, understand, evaluate, utilize, and create text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digital tools and technologies to achieve one`s goal. Next, eight digital literacy assessments (CBAL, DIL, ePIRLS, ICILS, ORCA, PISA DRA, PARCC, SBA)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ir assessment framework, design, and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ch assessment partially measured digital literacy but failed to adequately capture the whol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assessment were also identified, analyzed, and compared. The study suggests scenario-based assessment and evidence-centered design as a usefu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