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모의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서수현 ( Seo Soohyu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가 초등학교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모의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 양상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설계하고 실행한 쓰기 수업 협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동영상과 그에 대한 경험을 반성적으로 성찰한 일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는 쓰기 영역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모든 활동을 쓰기 수업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 속에 쓰기 수업을 설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는 쓰기를 단일 양식 텍스트로 인식하여 복합 양식 텍스트와 같이 확장된 쓰기 개념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초등 교사는 수업을 준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쓰기 수업의 중심에 쓰기에 필요한 사고가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점, 쓰기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은 쓰기 행위 자체가 아닌 학습자의 쓰기를 함양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예비 초등 교사의 이와 같은 수업 실행의 경험과 반성적 사고는 예비 초등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함양하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reflective thinking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simulation classes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writing. To this end, the writing class discussion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the class video, and the journal used to reflect on them were us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fused about what should be taught about writing, and they tended to design writing classes based on the stereotype that all activities should be composed of writing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writing as a single modal text and maintained a conservative stance about the extended writing concept, including multimodal texts. However,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class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at the thought upon which the writing is based should be at the center of the writing class, that the concept of writing needs to be extended and re-conceptualized, and that the class should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writing, not the writing act itself. It is believed that the experience and reflec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ducting classes have contributed in part to cultivating their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과 쓰기 활동과의 관계 연구

        서수현 ( Seo Soohyu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의 양상과 실제 쓰기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필자 정체성은 자신의 글을 쓰는 행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그로 인해 형성된 경향성을 의미하며, 이 연구에서는 필자 정체성을 필자로서의 자기 효능감과 쓰기 흥미, 필자의 쓰기 행위에 대한 의미 있는 타자의 인식, 필자의 자율성, 의미 있는 타자와의 소통 욕구, 교실 밖 쓰기의 경험의 다섯 요인으로 설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929명의 대도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은 125점을 만점으로 할 때에 72.29점으로 나타났으며, 쓰기 활동에서는 일기 쓰기를 가장 빈번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 필자 정체성은 실제 쓰기 활동의 27.1% 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과 그들의 쓰기 활동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일정 부분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학생 필자에게 의미 있는 작문 교육을 구성하는 데에 토대를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rban elementary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In this study, identity as a writer was defined by `writer`s awareness of his/her writing and intrinsic proneness`, and sub-factors composing the identity as a writer were set as follows: `autonomy as a writer`, `self-efficacy as a writer`, `interest in writing`, and `interaction between writer and meaningful others`. 929 urban elementary students at 2, 4, 6 gra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dentity as a writer scores was 72.29 and diary writing was most frequent writing practices, finally 27.1% of the writing practices was explained by the identity as a writer. This study had a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for improving writing ed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을 매개로 한 성인 독서의 실천적 진화

        김지연(Kim, JiYoun),서수현(Seo, SooH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이 연구는 성인의 독서 실천이 어떻게 변화, 발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성인 독서 교육 및 독서 운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발적인 성인 독서 모임의 사례를 참여 관찰하였으며 효과적인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활용하였다. 이는 해당 모임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 모임의 구성원이자 관찰자로서 참여하여 자료를 수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독서가 현대 성인들에게 문화 향유의 장르로, 함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대상이자 매개로, 집단 지성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독서 교육이 향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dult reading education and future reading movement by analyzing specific practical cases to gauge how adult reading practice is evolving. Accordingly, we participated in voluntary adult reading sessions and observed them as a way of effective data collection. This method was used because the reading groups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data by participating as both members and observers of the group.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ound that reading is used as a cultural entertainment genre for modern adults, as a medium for sharing information, and as a means of establishing a collective intelligence network. The study suggests that reading education, which has so far focused on children and teenagers, should be alter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seok ),서수현 ( Seo Soohyun ),옥현진 ( Ok Hyou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하기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 계획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5개 시·도의 중학교 1학년 1001명이 참여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학습자의 디지털 환경 및 디지털 활동 양상 파악을 위한 설문지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자기진단 평가도구가 활용되었다. 디지털 환경에 따라 디지털 활동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디지털 환경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평균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디지털 활동 양상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활동에 높은 빈도로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활동 양상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제고를 위한 방안, 그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Whil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being emphasized,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effectively improve it have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environment, digital activit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as analyz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ystematize educational plans in the future. A total of 100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ive provinces participated and a questionnaire for learners' digital environment and digital activity and a self-diagnosis evaluation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ere use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digital activity appeared according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test and F-test was implemented to examine how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ppeared according to the digital environment. Also one-way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ccording to the digital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various types of digital activities with high frequenc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ctivity patter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plan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윤 ( Kim Jong-yun ),서수현 ( Seo Soohyun ),김인숙 ( Kim Insuk ),조병영 ( Cho Byeong-young ),김지연 ( Kim Ji-youn ),유상희 ( Ryu Sanghee ),김희동 ( Kim Heedong ),오은하 ( Oh Eunha ),옥현진 ( Ok Hyo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2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여러 문헌들을 먼저 검토한 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한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탐색·이해·평가·적용하고, 새로운 텍스트를 창조하며, 사회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평가도구가 디지털 리터러시를 얼마나 잘 평가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8종의 기존 평가도구(CBAL, DIL, ePIRLS, ICILS, ORCA, PARCC, PISA DRA, SBA)를 평가틀의 측면, 평가 도구의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의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평가도구들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제 측면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읽기 영역 평가에 치우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설계 및 문항 구성 방식은 평가도구별로 상이하였으며, 여러 측면에서 참조할 만한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평가도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의 개선 방향으로서 시나리오 기반 평가와 근거 중심 평가 설계에 대해 제안하였다. As a preliminary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grounding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that is particularly focused on cognitive domain. First,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of the digital literacy was condu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lens to 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individuals` ability to search, understand, evaluate, utilize, and create text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digital tools and technologies to achieve one`s goal. Next, eight digital literacy assessments (CBAL, DIL, ePIRLS, ICILS, ORCA, PISA DRA, PARCC, SBA)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ir assessment framework, design, and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ch assessment partially measured digital literacy but failed to adequately capture the whol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assessment were also identified, analyzed, and compared. The study suggests scenario-based assessment and evidence-centered design as a usefu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ssessment.

      • KCI등재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조재윤 ( Cho Jaeyoon ),서수현 ( Seo Soohyun ),방상호 ( Pang Sangh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청소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신념을 소통한다. 이런 과정에서 형성되는 청소년 문화는 개별 청소년이 지닌 인성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자원이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일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참여가 청소년의 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인성이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측정·분석하였다. 둘째, 문항반응 이론 분석을 통해 해석과 평가의 타당성을 높였다. 셋째, 인성 점수를 규준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인성 점수는 평균적으로 향상되었고 특히 지혜 요인 향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년별 분석 결과 효과성 범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제한적일 가능성을 드러내었다. 문항 반응이론 분석 결과 검사 도구가 대부분 하위 요인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다 정교하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방안과 더불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목표로 프로그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Young people communicate thoughts and beliefs that they value through their language. Their culture formed during this process becomes a key resource that constitutes the characters and identities of individual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how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ir personality. To this end, we measured and analyzed to what extent their personality was improved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was also examined through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demonstrated by comparing their scores with the norms. The average scores of participants were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in the area of “wisd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cope of effectiveness might be limited if they are in higher school years. The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showed most sub-factors were measured validly and reliably.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improve the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young people continuously as well as to have a plan to more precisely and validly measure its effectiveness of it.

      • KCI등재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양길석 ( Yang Kilseok ),서수현 ( Seo Soohyun ),옥현진 ( Ok Hyou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사회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동안 학교교육 안팎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있었지만, 그러한 교육적 노력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19년 6∼7월에 수행한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의 원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디어 교육 경험과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미디어리터러시, 특히 그중에서도 뉴스 리터러시 수준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분석해 보았다. 우리나라 10대 청소년 2363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 경험과 뉴스 리터러시의 관련성을 뉴스 이용 양상, 유목적적 뉴스 이용, 비판적 뉴스 읽기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디어 교육 경험은 뉴스 리터러시의 향상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디어 교육 경험의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뉴스 리터러시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하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제언에서는 향후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 개선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is increasing in a digital media-based society. There have been various educational efforts to reinforce media literacy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school education, but attempts to objective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al efforts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2019 Teenage Media Use Survey' conducted between June and July 2019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we analyzed how the media education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level of media literacy, especially news literacy among teenagers in Korea. Based on the data from 2363 teenager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ducation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in terms of news use patterns, purposeful news use, and critical news rea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news literacy overall. However, regardless of media education experience, Korean teens' news literacy scores were generally low, confirming the urgent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on news literacy in the future. 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education and research on news literacy in the future.

      • KCI등재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김인숙(Kim, Insuk),서수현(Seo, Soohyun),김종윤(Kim, Jong-Yun),옥현진(Ok, Hyounjin)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증거 중심 설계(Evidence Centered Design)는 평가 계획 및 실행의 첫 단계에서부터 타당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다양하게 수집하도록 하는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의 틀로서, 최근 해외의 여러 역량 기반 평가도구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주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과정에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함으로써 그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증거 중심 설계는 평가 영역 분석, 평가 영역 모형화, 개념적 평가틀 정의, 평가 시행, 평가 결과 보고 절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프로토타입 문항 개발 과정에 이와 같은 일련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증거 중심 설계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인을 이루는 핵심 지식, 기능, 역량에 대하여 논증 원리를 만들고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평가도구 개발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성과는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포함한 각종 평가도구의 질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which help gather a variety of evidence that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the assessment from the start, Evidence Centered Design is being used to develop competency-based evaluation tools overseas. Consequentl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Evidence Centered Design to develop evaluation tools for digital literacy, a skill which is being considered as a core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Evidence Centered Design is composed of Domain Analysis, Domain Modeling, Conceptual Assessment Framework, Assessment Implementation, Assessment Delivery. This study applied these models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rototype for the cognitive domains of a digital litera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Evidence Based Design supports the core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of digital literacy and provides support to an efficient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The results of thi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for various competency evaluation tools including digital literacy.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또래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인식하는 갈등 조사 연구

        조재윤(Cho Jaeyoon),서수현(Seo So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 간 의사소통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 642명에게 또래 간 의사소통 갈등과 관련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기술 통계와 t- 검증, F-검증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주로 친구가 자신에 대해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이야기하거나 자신을 무시한다고 인식할 때에 또래 간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서로 대화 방법이 다르거 나 성별이 다른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은 비교적 적었다.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그리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갈등 해결 방법으로는 협력 유형을 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청소년의 갈등과 관련된 인식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었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의 또래 간 갈등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야기되고 그 해결 방안 또한 의사소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청소년 시기의 갈등 해결 경험이 성인기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밑바탕이 되기 때문에, 청소년에게또래 간 의사소통에서 양질의 갈등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청소년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긴요한 과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the youth peer-to-peer language communication conflicts and resolu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ing 642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sking about recognition related to peer communication conflict, an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F-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had conflicts in youth peer-to-peer communication situations when they realize that their friends often spoke inaccurate contents or ignored oneself.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licts caused by different way of conversation or gender are relatively small. In the process of resolving conflicts, it was recognized that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ere not significant, and as a ways of resolving conflict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other party and adjusting one s thoughts was mainly ado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were generally not significant. Peer conflicts among youths are caused by communication processes and resolutions are also communicated. It is a critical task in terms of youth growth to provide a quality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 for youth because experience of conflict resolution in adolescence is fundamental to successful communication in adulthood.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양길석(Yang, Kilseok),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부분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향상에 미치는 가정의 역할이다.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가정 변인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 문항들을 추출하고 기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변인의 일부 항목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선 이번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된 항목들을 중심으로 가정이 교육적 중재를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학습자 특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여 영향력 있는 가정 변인 항목들을 새로 발굴하고 그 효과를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Digital literacy will b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Literacy consis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ve domain is emphasiz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household in improving learner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everal items were selected as househol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igital literacy attitude was assessed with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 A total of 1008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tudy found that some items among the household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some do not. The items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by families of learners as par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foster digital literac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influential household variable items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more closely and verifying their effects through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