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족 소학교 국어 교육과 한국의 초등학교 국어 교육의 비교 연구(1)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기창,정상섭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1 청람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조선족 소학교와 한국 초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을 통해서 조선족 국어 교육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과 조선족간의 교육적 연대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초등학교 국어과와 조선족의 소학교 국어교육과정을 비교 검토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조선어문 교육과정이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은 점이다. 교육과정의 체제에서부터 각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교육내용까지 제7차 교육과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다.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을 잘 계승하고 있는 조선어문 교육과정의 다양한 특징은 우리 국어 교육계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읽기 교육에서 낭송과 낭독, 시의 암송을 중시하는 점, 쓰기 지도에서 글씨쓰기를 강조하는 점은 의미있는 것으로 수용할 가치가 있다. 조선어문의 또 하나의 특징은 건전한 인격을 강조하는 인문적 품성 교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국어과는 언어 교과로서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민족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매개체라는 점에서 민족의 얼과 문화, 가치관을 어떻게 교과에 반영할 것인지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本論文通過朝鮮族小學與韓國小學的國語敎學課程的比較分析,了解朝鮮族國語敎學的特點,試圖摸索出一套韓國與朝鮮族之間國語敎學的聯動方案。幷在此基礎之上,開피出韓國小學國語敎學未來的發展方向。通過韓國小學的國語課以及朝鮮族小學的國語敎育課程的比較發現,其中最大的特點是朝鮮語文的敎學課程標准在흔大程度上受到了來自韓國第七次敎育課程改革的影響。無論是課程的整體結構,還是聽說讀寫等各個方面,均受到了韓國第七次敎學課程的直接影響。朝鮮語文的敎學課程標准良好地繼承了民族敎育的傳統,然而我國的國語敎育界却被批評爲全盤毫無保留地接收外國語言敎學模式。我們相信,朝鮮語文敎學所表現出來的種種特點無疑將可以成爲我國敎育界値得借鑒的範例。閱讀方面强調朗誦與朗讀、背誦詩歌,寫作方面强調寫字練習,在傳承民族傳統文化的視角來看,諸如此類的方法都是我們値得參考的。朝鮮語文敎學的령一大特點是,不僅是將國語課看作是單純的語言功能科目,而是將其作爲陶冶人文素養、培養健全人格的人文類科目。盡管國語課的語言科目功能非常重要,但是作爲傳承民族文化的重要媒介,有必要積極思考如何才能在敎學過程中充分體現出民族的精神、文化與價値觀。

      • KCI등재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 방향 탐색

        조진수 ( Jin Su Jo ),소지영 ( Ji Yeong S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본고는 그간의 학교 교육에서 어문 규범이 언어 주체의 전 생애에 걸친 국어생활에 관여하는 문제라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생애교육 관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본다는 점에서, 일정한 수준의 지식에 ``도달``한 존재를 목표로 삼는 이전의 어문 규범 교육과 차별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문 규범 교육의 연구사를 재검토하여, ``국어의 구조에 관한 문법 지식 활용``과 ``규범에 내재한 원리 활용``이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에서 메타학습의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생애교육이라는 거시적 조망 하에서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 경험의 구조화 방식, 사례 제시 측면에서 기존의 어문 규범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 이러한 관점에서 구체적인 학습 활동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예증하였다. This study raises an issue that the school edu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fact that language norms is involved in the language use of a person all throughout their life, and proposes to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to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n schools. When approaching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t views the ideal person to be someone who pursues to grow via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regard,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which strives to become like those who ``achieved``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By reexamining the research on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usage of grammatic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and ``the usage of the principle embedded in the norm`` can function as a material for meta-learning in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t is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how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can be designed in school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reveals how language norms education, with the lifelong education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terms of the pursued human type, the way of structur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se present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also illustrate how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can be designed.

      • KCI등재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윤천탁 ( Cheon Tak You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2 청람어문교육 Vol.45 No.-

        현재 교육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교과용 도서에 사용된 문장 부호를 살펴보면,현행 어문 규범에 있는 문장 부호의 용법에 따르지 않고 있거나 어문 규범에 없는 문장 부호를 임의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또한 동일 교과서 내에서 문장 부호의 용법이 불일치하거나 학교 급이나 교과목 간에도 불일치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로는 문장 부호 관련 어문 규정의 미비, 어문 규정에 대한 집필 기관의 무지나 어문 규정 적용 시 편집상의 단순 실수,감수 기관이나 검정 기관의 역할 수행 미흡,교육과학기술부 등 기관의 최종 확인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문 규범 제정 기관에서 언중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 등을 반영하여 어문 규범의 개정, 교과서 집필 시 어문 규범의 준수, 감수 기관 및 검정 기관의 철저한 감수 및 검정, 교육과학기술부 등 최종 검토 담당 기관의 확인 철저 등이 이뤄져야 한다. Current problems ofusing punctuation marks in textbooks are non-compliance with the usage of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using non-existent punctuation marks in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inconsistency in the textbook`s susages. The reasons why these problems happen are incompleteness of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textbook writer`s ignorance about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unsatisfactory performance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committee and the textbook supervision institute, etc.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considerabl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textbook writer`s observance of the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thorough authorization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committee, e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한문 학습자의 誤讀, 誤譯, 誤記검사 및 분석

        ( Wang Kyu Kim ),( Kyong Lck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8 No.-

        이 연구는 한문 학습자의 오류 검사를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한문 학습 오류 검사 도구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활용하여 지문과 답지를 구성하였다. 검사 문항은 오독, 오역, 오기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고려하여 35개를 개발하였다. 본 검사는 전국 18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표집하여 중1~고3학생 1,6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오독, 오역, 오기의 영역별, 문항별로 분석하였고,응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문항의 기술 통계치와 답지 반응률 등을 통해 응답자의 한문 학습 실태와 오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학생 변인에 다른 통계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의 오류가 적었으며, 한문 교과를 이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오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교육 여부와 한자 능력 자격 검정 자격증 소지 여부의 영향은 미약했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문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 독해를 위한 기초적 한문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한자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한다. 셋째, 한문 학습 과정에서 개별 학습자의 한문 학습 오류를 파악해야 한다. 넷째, 오독, 오역, 오기의 대표적 사례를 교재에 제시하도록 한다. In this research, we develop a testing tool for analysing learners` errors and carry Out an inspection. After that, the result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With the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text books published by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7, the tool is composed of text and answer sheets. The number of questions amounts to 35 considered by three sections, misreading, mistranslation, and misdescription, and subcomponents. The main test was conducted targeting 1,660 students from freshmen of middle school to seniors of high school with sampling 18 schools of the entire country. We analyse the results by each section and question, and verify statistically based on the respondents` character.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ponse rate, we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learning and the features of errors. According to the student variable, generally, error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smaller in numb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students who completed the course in classical Chinese commit less errors than those who did not. On the other hand, whether they bought private education and have got certified or not did not seriously affect their error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everal ways to reduce their errors. First, grammar to read classical Chinese should be educated. Second, textbooks should be revised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character writing constantly. Third, learning errors of individual learners should be grasp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classical Chinese. Fourth, specific examples of misreading, mistranslation, and misdescription should be revealed in the textbook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어휘 연구

        전은진 ( Jeon Eun-j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연구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어휘를 품사별 고빈도 시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시어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어 `나`와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를 네트워크로 분석해 보았다. 김수영 시의 어휘를 분석해 본 결과, 체언에서는 `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나`는 `주인, 아내`와 같이 삼인칭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특정 대상과 긴밀한 의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유`와 연결 강도가 높은데, 이는 김수영이 살아온 삶이나 그 시대의 사회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김수영 자신의 자유에 대한 갈망이 강하게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용언에서는 부정 표현 `않다, 없다, 아니다` 등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김수영은 시적 화자인 `나`를 통하여 현재의 삶이나 극복할 수 없는 암담하고 절망적인 현실을 상태 동사로 표현하고, 나의 의지와 앞으로의 다짐을 행위 동사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수영 시의 또 다른 특징은,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빈도가 높다는 점이다. 이는 김수영의 시가 다른 시보다 산문성과 서술적 요소가 두드러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김수영은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된 세계를 정직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언어보다는 일상적인 어휘를 구사하고 있었다. 일상어에 담긴 자기 고백적 성향과 자기 반성적 모습으로 시인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word in the poems of Kim Su-yeong. Accordingly, More than 176 poems of Kim Su-yeong were build to a corpu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words. The frequency of the entire poetic words was analyzed for each part of speech.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he personal pronoun `na` in the poems of Kim Su-yeong was appearanced highly. The personal pronoun `na` that is the main word in his poems were selected by target words and co-occurring words of the personal pronoun `na`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occurrence relation of personal pronoun `na` and co-occurring word, a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could be analyzed on the aspect of words and the network of co-occurring words in the poems of Kim Su-yeong.

      • KCI등재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교과역량화 양상 분석

        이인화 ( Lee In-wh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5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국어 교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판단되는 역량인 의사소통 역량의 교과역량과 양상을 분석하여 이후 보다 안정된 형태로 의사소통 역량이 교과역량으로 수용되기 위해 논의가 필요한 지점을 밝혔다. 의사소통 역량은 다른 교과에서도 길러질 수 있거나 길러져야 하는 범교과 역량이이기 때문에 교과의 경계를 넘어선 의사소통 역량의 일반적 의미와 교과 특수적 의미에 대한 탐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단초로서 본고에서는 첫째, 교과별로 의사소통 역량이 설정되어 있는데 각 교과들이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둘째, 각 교과의 전문가들이 그러한 규정을 어떻게 인식,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그 결과 역량의 명명 방법은 모두 다르고 역량의 의미 설명과 관련된 요소도 다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제별 역량의 의미를 정교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역량 명명의 기본 원칙을 수립하고, 역량 의미론에 인지 기능적 정서적 수준 포함하며, 교과 내용에 관련된 주제별 역량 개발 이를 위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as analyzed for the literature study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s core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s subject-specific competency. Next, an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Analyzed the opinions from 19 experts i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The naming methods of competency were all different, an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meaning description of competency we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there were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elaborate the meaning of subject-specific competency by subject. After tha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supplemented; (1)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s of competency naming, (2) to include cognitive, functional, and affective levels in the semantics of competency, and (3) to make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relevant to curriculum contents. To this end, a climate for developing curriculum that can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should be prem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