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 방향 탐색

        조진수 ( Jin Su Jo ),소지영 ( Ji Yeong S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본고는 그간의 학교 교육에서 어문 규범이 언어 주체의 전 생애에 걸친 국어생활에 관여하는 문제라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생애교육 관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본다는 점에서, 일정한 수준의 지식에 ``도달``한 존재를 목표로 삼는 이전의 어문 규범 교육과 차별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문 규범 교육의 연구사를 재검토하여, ``국어의 구조에 관한 문법 지식 활용``과 ``규범에 내재한 원리 활용``이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에서 메타학습의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생애교육이라는 거시적 조망 하에서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 경험의 구조화 방식, 사례 제시 측면에서 기존의 어문 규범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 이러한 관점에서 구체적인 학습 활동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예증하였다. This study raises an issue that the school edu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fact that language norms is involved in the language use of a person all throughout their life, and proposes to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to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n schools. When approaching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t views the ideal person to be someone who pursues to grow via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regard,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which strives to become like those who ``achieved``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By reexamining the research on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usage of grammatic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and ``the usage of the principle embedded in the norm`` can function as a material for meta-learning in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t is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how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can be designed in school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reveals how language norms education, with the lifelong education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terms of the pursued human type, the way of structur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se present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also illustrate how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can be designed.

      • KCI등재

        조선족 소학교 국어 교육과 한국의 초등학교 국어 교육의 비교 연구(1)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기창,정상섭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1 청람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조선족 소학교와 한국 초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을 통해서 조선족 국어 교육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과 조선족간의 교육적 연대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초등학교 국어과와 조선족의 소학교 국어교육과정을 비교 검토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조선어문 교육과정이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은 점이다. 교육과정의 체제에서부터 각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교육내용까지 제7차 교육과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다.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을 잘 계승하고 있는 조선어문 교육과정의 다양한 특징은 우리 국어 교육계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읽기 교육에서 낭송과 낭독, 시의 암송을 중시하는 점, 쓰기 지도에서 글씨쓰기를 강조하는 점은 의미있는 것으로 수용할 가치가 있다. 조선어문의 또 하나의 특징은 건전한 인격을 강조하는 인문적 품성 교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국어과는 언어 교과로서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민족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매개체라는 점에서 민족의 얼과 문화, 가치관을 어떻게 교과에 반영할 것인지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本論文通過朝鮮族小學與韓國小學的國語敎學課程的比較分析,了解朝鮮族國語敎學的特點,試圖摸索出一套韓國與朝鮮族之間國語敎學的聯動方案。幷在此基礎之上,開피出韓國小學國語敎學未來的發展方向。通過韓國小學的國語課以及朝鮮族小學的國語敎育課程的比較發現,其中最大的特點是朝鮮語文的敎學課程標准在흔大程度上受到了來自韓國第七次敎育課程改革的影響。無論是課程的整體結構,還是聽說讀寫等各個方面,均受到了韓國第七次敎學課程的直接影響。朝鮮語文的敎學課程標准良好地繼承了民族敎育的傳統,然而我國的國語敎育界却被批評爲全盤毫無保留地接收外國語言敎學模式。我們相信,朝鮮語文敎學所表現出來的種種特點無疑將可以成爲我國敎育界値得借鑒的範例。閱讀方面强調朗誦與朗讀、背誦詩歌,寫作方面强調寫字練習,在傳承民族傳統文化的視角來看,諸如此類的方法都是我們値得參考的。朝鮮語文敎學的령一大特點是,不僅是將國語課看作是單純的語言功能科目,而是將其作爲陶冶人文素養、培養健全人格的人文類科目。盡管國語課的語言科目功能非常重要,但是作爲傳承民族文化的重要媒介,有必要積極思考如何才能在敎學過程中充分體現出民族的精神、文化與價値觀。

      • KCI등재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윤천탁 ( Cheon Tak You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2 청람어문교육 Vol.45 No.-

        현재 교육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교과용 도서에 사용된 문장 부호를 살펴보면,현행 어문 규범에 있는 문장 부호의 용법에 따르지 않고 있거나 어문 규범에 없는 문장 부호를 임의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또한 동일 교과서 내에서 문장 부호의 용법이 불일치하거나 학교 급이나 교과목 간에도 불일치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로는 문장 부호 관련 어문 규정의 미비, 어문 규정에 대한 집필 기관의 무지나 어문 규정 적용 시 편집상의 단순 실수,감수 기관이나 검정 기관의 역할 수행 미흡,교육과학기술부 등 기관의 최종 확인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문 규범 제정 기관에서 언중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 등을 반영하여 어문 규범의 개정, 교과서 집필 시 어문 규범의 준수, 감수 기관 및 검정 기관의 철저한 감수 및 검정, 교육과학기술부 등 최종 검토 담당 기관의 확인 철저 등이 이뤄져야 한다. Current problems ofusing punctuation marks in textbooks are non-compliance with the usage of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using non-existent punctuation marks in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inconsistency in the textbook`s susages. The reasons why these problems happen are incompleteness of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textbook writer`s ignorance about the current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unsatisfactory performance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committee and the textbook supervision institute, etc.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considerabl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textbook writer`s observance of the Korean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and thorough authorization of the textbook authorization committee, etc.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한 고찰

        김영옥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이 글에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고찰하고 그 성과와 문제점들을 짚어보았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조선족들을 위한 민족어 교육으로서의 학교 교육과 중국인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이다. 중국에는 약 200만 명의 조선족들이 살고 있다. 그들은 중국의 소수민족(少數民族) 교육 정책에 따라 어릴 적부터 정규적인 민족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민족 집거(潗居) 지역을 중심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한국어(조선어) 교육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조선어문(朝鮮語文) 」,과 「한어문(漢語文)」을 동시에 배운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주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중국과 남복한의 여러 분야의 교류에 필요한 인재와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다. 현재까지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은 비록 굴곡적인 과정도 거치기는 했지만 매우 큰 성과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중국어) 교육의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들은 중국 교육 제도와 교육 과정 자체와 연관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재 ·문법체계·고유문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남북한의 전폭적인 지원과 밀접한 교류와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제 이기도 하다.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려면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get the results and problems of it. There are two mean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China. One is the racial language education for China-Koreans in schools and the other is as the second language for Chinese. China has about two millions of China-Koreans. They can be educated regularly in racial language from their childhoo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olicy for a minority in China. The Korean Language is educated generall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round China-Koreans town. China-Koreans learn both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second language is generally for Chinese and for raising a man of ability and professional work forces needed in various parts of exchange between China and South and North Korea Up to now,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obtains excellent results in spite of the difficult process. However, there are also many limits and problem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roblem in China is related to Chinese Educational System and the Curriculum itself. And the problem needs strong support,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many areas such as teaching materials, grammatical system and traditional culture. It needs continuous concerns and efforts of the people to activate and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 KCI등재

        중국 초등학교 조선어 말하기 교수,학습 방법

        김순희 ( Shun Ji J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3 No.-

        이 논문은 의무교육 표준 조선어문 과정의 듣기ㆍ말하기 교수ㆍ학습 목표를 근거로 현행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 교수의 상황을 분석하고 학생의 말하기 실태에 대한 점검, 교사의 역할과 지도, 평가기준의 제시 등 각 방면에서 말하기 능력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실제 조선어문 수업에서 말하기 교수는 개성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초등교육 단계에서 말하기 수업의 내용 및 목표는 언어 영역, 인지 심리영역에 치중돼있다. 말하기 교수에서 나타나는 이런 현상들은 말하기 교수ㆍ학습의 개선과 효율적인 방안 제시의 필요성을 요구한다.현재 중국 조선족 초등학교가 처해 있는 다원적인 말하기 상황은 다양한 언어 환경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며, 학습자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다양한 층의 말하기 수준을 보인다. 따라서 조선어문 교수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에 대한 점검과 적합한 교수설계가 이루어진다면 말하기 수업의 효율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또한 이 논문에서는 개인차에 따른 말하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말하기 지도 능력 향상에 대해 제안하고, 학생에 대한 말하기 평가제도 확립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향후 이런 제안은 더 보완되고 또 다른 면에서의 합리적 대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eaking teaching circumstances of current existing education field based on listening, speaking, teaching and learning purpose of compulsory Korean language course standard and suggest a rational way of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in teacher``s role and instruction, valuation standard presentation. Speaking teaching in Korean language class cannot be realized in the way of respecting student``s individuality in practice. In addition, the content and purpose of speaking class in the primary education level are focused on linguistic section and recognition psychology field. These phenomena appearing in speaking teaching dem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effective plan. The present pluralistic speaking teaching circumstances of Korean Chinese primary schools are originated in the various language environments. Learners show various strata of speaking level. If the examination on student``s various level and suitable teaching model are achieved, the efficiency of speaking teaching will be increa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oposal on the method of teacher``s speaking teaching ability improvement by way of individual differences to enhance speaking ability. From now on, these suggestions must be supplemented, and try to find rational alternatives in another aspect.

      • KCI등재

        어문정책과 한문교육정책의 변천 연구 : 開化期부터 日帝强占基까지 from the civilized age of Korea to the dark age under Japanese rule

        최관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어문정책에 따른 한문교육의 변천 과정을 음하여 우리 나라 한문교육정책의 문제점을 발편하고 앞으로의 한문교육의 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895년에 縮鬪戈, 鬪漢交用文, 純漢文 3종의 '獨立誓告文'과 洪範 14條文'이 반포되었는데, 이는 근대적인 국가의석의 자각으로 한글 창제 이후 처음으로 讚家의 公漏戈에 純國文이 사용된 것이다. 근대적인 학제의 수립과 함께 틀을 연 한성사범학교와 각종 사립학교에서는 한문을 독립 교과로 설정하여 지도하였다. 학부는 1906년 8월에 普通學校令을 側定하면서 공립학교에서도 한문을 독립교과로 지도하다가 1909년 4월에 보통학교령을 改定하면서 국어, 한문 두 과목을 國語及漢文으로 하였다. 이는 日帝가 國誘인 朝鮮語를 縮小하고 日本語를 强化한 緖果이다. 1910년 韓關合邦으로 국권이 완전히 일본으로 넘어가자 朝鮮總督府는 敎育課程에 朝鮮語及漢文을 더욱 축소하고 國語(開本語)를 대쪽 확장시켰으며 19駱년 2월 15일 공포된 普通學檀規程부터는 조선어를 선택과목화하고 한문을 일본어에 포함시켜 지도하게 하였다. 한문 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는 첫째, 실용적인 차원에서 한자가 중국문자라는 생각을 버리고 동양 공통의 문자라는 인식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부터 간단한 한자를 지도함으로써 중학교에서 정상적인 한문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셋째, 다음 교육과정에서 최소한 1,800한자를 지도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시수를 확보해야 한다. The goal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political problems of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transitional processes of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which was influenced by a language policy and to discover the true directions of such education. In 1896, three types(only in Hangul, both in Hangul and Chinese composition and only in Chinese composition) of 'Korea'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Hong-bum 14 Jo' ( It means 14 standard rules.) were promulgated. They are the first official documents written only in Korean since Hangul was invented. The Hahn-seong College of Education and other private schools with the modem educational system taught Chinese writing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August, 1906,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the Elementary Curriculum Statute, and they also let the public school students study Chinese composition as an independent course. In April, 1909, with the revised statute, Korean and Chinese composition were put together as Korean. Because Japan reduced the use of Korean as a mother tongue and increased the use of Japanese. In 1910,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 after the loss of sovereignt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Korea let the use of Hangul-Chinese composition be reduced in the curriculum. Also they let the Koreans study Japanese as their mother tongue. And then, by the new Elementary Curriculum Statute promulgated on February 15th, 1922, Korean became an optional subject and Chinese composition was taught with Japanese. The course that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should take includes these provisions : First, the old idea that Chinese characters belong to Chinese culture only must be dismissed, and the understanding that Chinese composition is a common language of the East should be expanded. Second, through teaching basic Chinese characters from elementary education, the foundation by which desirable Chinese composition education can be attained should be formed. Third, in the next curriculum, a suitable number of lessons should be secured for the learning of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as limited to 1,800) to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 KCI등재

        한글해득을 위한 기초 어휘 선정 연구

        이경남 ( Lee Gyeong-nam ),박혜림 ( Park Hye-rim ),이경화 ( Lee Gyoeng-hw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해득을 위한 기초 어휘를 선정하는 데 있다. 한글해득에서 기초 어휘는 초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일상생활의 문자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의미 단어를 말한다. 기초 어휘는 한글해득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고, 한글해득의 지도와 평가의 자료가 되고, 기초문식성의 토대가 된다. 기초 어휘를 선정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843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전문가 중요도 평정을 하였다. 최종 선정된 기초 어휘는 총 712개로 매우 쉽다가 31개(3.8%), 쉽다 270개(32.0%), 보통이다 411개(48.7%)로 나타났다. 기초 어휘 전체의 품사 비율은 명사가 497개(70%), 동사가 87개(12.1%), 형용사가 60개(8.4%), 부사가 68개 (9.5%)이었다. 기초 어휘는 다른 품사에 비해 명사가 많고, 주변 생활 범위에 따라 세단계 수준으로 구분된다. 또한 추상적인 낱말보다 구체적인 낱말이 많고, 형태론적 특징뿐 아니라 의미론적 특징을 함께 고려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basic vocabulary for Hangeul Learning. Basic vocabulary is a meaning word that must be known in order to use everyday language of everyday life at the first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he basic vocabulary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Korean reading, and it becomes the basis for the guidance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reading, and the basis of beginning literacy. In order to select the basic vocabulary, 843 vocabularies presented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evaluated. The final choice of basic vocabulary is very easy, with 712 (3.8%), 270 (32.0%) and 411 (48.7%). 497 (70%) of the nouns, 87 (12.1%) of the verbs, 60 (8.4%) of the adjectives and 68 (9.5%) of the adverbs were the parts of the basic vocabulary. The basic vocabulary is more noun than the other parts of speech and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range of surrounding life. In addition, there are more concrete words than abstract words, and we consider not only morphological features but also semantic features.

      • KCI등재

        웹 기반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검사도구 개발 연구

        이경화 ( Lee Gyeong-hwa ),김상한 ( Kim Sang-han ),김명순 ( Kim Myoung-soon ),이수진 ( Lee Soo-jin ),최규홍 ( Choi Kyu-hong ),이경남 ( Lee Gyeong-nam ),강서희 ( Kang Seo-hee ),박혜림 ( Park Hye-r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7

        한글해득은 기초 문식성의 발달과 이후의 모든 문식 활동의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다. 그간 한글해득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한글해득 여부를 판별하고 부족한 부분을 진단하는 검사 도구가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반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글해득 능력 구인은 한글해득준비도, 음운 인식, 해독 및 낱말 재인, 문장 청해, 글자 쓰기, 유창성으로 설정하였다. 각 구인별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평가 문항은 3회 이상의 검사를 거쳐 수정하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표준화하였다. 더불어 웹 기반 진단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거쳤다. 뿐만 아니라 진단 검사 결과를 학부모와 교사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결과지를 구성하였다. 한글해득 여부, 각 구인별 성취도 및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웹 기반 한글해득 표준화 진단 도구는 한글 미해득자의 조기 선별을 가능하게 한다. 한글해득 여부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검사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피드백 제공으로 효과적인 지도 중재가 가능하다. Hangeul is a basic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literacy and all subsequent literary activities. but there was no instruments to identify ability to read and write with Hange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Early literacy Standardized diagnosis instrument. This study select literacy preparedness, vocal sound recognition, decoding, word recognition, writing, fluency as the factors of the early literacy diagnosis instrument. The evaluation items was extracted and the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construct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s to parents and teachers. This instrument provides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checking of Early literacy. In addition more specific feedback is provided to enable effective map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독서 문항의 Q 행렬 타당화 연구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6월 모의평가를 중심으로 -

        김태호 ( Kim Tae-ho ),현윤진 ( Hyeon Yun-jin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3

        본고는 2018년 대학수학능력 모의평가의 국어영역 독서 평가 15문항에 대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928명의 학생의 문항 응답 결과를 토대로 독서 평가 문항의 인지요소를 규명하고, 문항과 인지요소의 관계인 Q 행렬의 타당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생 13명의 사후 사고구술 프로토콜 분석을 토대로 한 문항 풀이 과정에 대한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고, 내용 전문가인 교사 12명의 문항 과제 분석을 토대로 독서 평가 15 문항에서 요구되는 인지요소를 확인하고, 인지요소를 규명하였다. 규명된 인지요소를 토대로 Q 행렬 타당화를 위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카드 계수를 통해 중복되는 인지요소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삭제가 요구되는 인지요소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지진단 모형 중, Fusion 모형을 활용하여 문항 모수 추정을 통해 Q 행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 독서 평가 문항의 학생 정답 여부 정보를 통해 학생의 인지요소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성취 수준에 대한 타당한 정보 제공의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Q matrix of reading assessment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the Korean language area Us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Based on the student 's item response results, the cognitive attribute of the reading evaluation items were identified and the validity of the Q matrix,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and the cognitive elements, was presente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tem responses of 928 students in the high school on the 15 items of reading assess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 items of 12 teachers who are experts in contents and the analysis of oral communication protocol of 13 high school stud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Q matrix based on the identified cognitive attribute. Finally, the validity of the Q matrix was obtained by using the Fusion model amo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