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생기 흰쥐 대뇌 피질의 형태 구조에 미치는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의 영향

        이응희,정길남,조기진,조운복,Lee Eung-Hee,Jeong Gil-Nam,Jo Gi-Jin,Jo Un-Bock 한국생명과학회 2004 생명과학회지 Vol.14 No.6

        발생기 횐쥐 대뇌피질 발생의 형태적 변화와 이에 미치는 ECEE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태생 14일, 태생 18일, 생후 수유기 및 이유기와 성체 대뇌를 각 부위로 나누어 H-E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EGEE 투여시 태생 14일에 대뇌피질의 두께는 두정엽피질이 제일 두꺼웠으나$(95{\pm}12.7\;{\mu}m)$, 대조군$(102{\pm}14.0\;{\mu}m)$에 비해 얇았고, 다른 피질에 비해 후두엽피질$(57{\pm}10.5\;{\mu}m)$이 제일 얇았다. 각 엽의 두께는 수유기 때에 급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이유기 이후 성장이 둔화되어 성체기 때와 유사했으며, 성체기 때는 두정엽피질$(93.4{\pm}21.6\;{\mu}m)$에서 가장 많이 성장하였다. EGEE 투여시 대뇌피질내 신경모세포의 수는 태생 14일 두정엽피질의 외투층에서 제일 많았으나$(207.7{\pm}11.4/10^{-2}\;mm$,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고$(224.2{\pm}13.8/10^{-2}\;mm$, 크기는 출생후 3일 후두엽피질의 뇌실막세포층에서 제일 크게 나타났으나$(7.5{\pm}1.3\;{\mu}m)$), 대조군$(9.0{\pm}1.2\;{\mu}m)$에 비해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같이 과립세포와 추체세포의 수는 두정엽피질의 II층과 III층에서 가장 많았으나,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크기는 후두엽피질의 IV층과 V층에서 가장 컸으나,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EGEE 투여시 대조군과 같이 태생기와 출생후 3일까지의 대뇌피질은 뇌실막세포층, 외투층, 연변층의 3층으로 분화되나, 조직내 빈 강소와 공포가 나타나고, 신경모세포가 합착된 양상이 나타났다. 출생후 5일이후 수유기 때 대뇌피질층은 대조군과 동일하게 4층으로 나눌 수 있으나, 과립세포와 추체세포 내에 빈 강소나 공포가 나타났고, 신경세포의 수는 감소하였다. 이유기와 성체기 때는 대뇌피질의 세포층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외과립세포, 외추체세포들이 섞여 조직내 빈 강소나 공포가 형성되며, 신경세포 주위 혈관의 내강이 확대되거나 합착되어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lterations of rat cerebral cortex, and the effects of EGEE on the developmental cerebral cortex in the prenatal, postnatal and adults were examined by morphological methods and H-E staining was used for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case of injection of EGEE, at 14 day of fetal phase, parietal cortex was thickest $(95{\pm}12.7\;{\mu}m)$ but, it was thinner than in the control group $(102{\pm}14.0\;{\mu}m)$ and, occipital cortex $(57{\pm}10.5\;{\mu}m)$ compared with other cortexes was the thinnest in fetal phase. In the suckling phase, each cortex grew thick quickly but, after weanning phase, the growth of the cortex slowed and the thickness of cortex was similar to that of cortex in the adult phase. At 105 day after birth, the parietal cortex was thickest $(934{\pm}21.6\;{\mu}m)$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113{\pm}19.0\;{\mu}m)$. When EGEE was injected in intraperitoneal of rat, the number of neuroblasts per unit area was largest $(207.7{\pm}11.4/10^{-2}\;mm$ at the mantle layer of parietal cortex at 14 day of fetal phase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24.2{\pm}13.8/10^{-2}\;mm$ , and the size was largest $(7.5{\pm}1.3\;{\mu}m)$ at the ependymal cell layer of occipital cortex at 3 day after birth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9.0{\pm}1.2\;{\mu}m)$. Simillar to control group, the number of granular cells and pyramidal cells were largest at the II and III layer of parietal cortex, but decreased during developmental phase. The size was largest at the IV and V layer of occipital cortex but it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en EGEE was injected in intraperitoneal of rat, the cerebral cortex from fetal phase to 3 day after birth has differentiated into the 3 layers; ependymal, mantle and marginal layer, but empty cisternaes or vacoules in the cerebral cortexes and the condensed phases of neuroblasts were appeared. From 5 day after birth, it has differentiated into the 4 layers; molecular, external granular, mixed layer of internal granular, external and internal pyramidal cells and multiformal layer but, empty cisternaes or vacoules in the granular and pyramidal cell layers were appeared and the number per unit area of neuron was decreas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weaning and adult phases, division of cell layers was not clear and empty cisternae was formed in the cortex with the cells in external granular and pyramidal cell layers, was magnified or condensed around blood vessels of neurons.

      • KCI등재
      • KCI등재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혀침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조운복(Un Bock Jo),최윤주(Yun Ju Choi),조기진(Gi Jin Jo),박숙미(Suk Mi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2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NDMA) 17 mg/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 혀 von Ebner 샘과 혀 점액 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 -1, sWGA, RCA-1, UEA-l, Con A 및 LCA)을 사용하려 조직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혀 von Ebner 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 군에서 DBA, PNA, BSL-l 및 sWGA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PNA 은 NDMA투여 후 12시간 군과 24시간 군에서, DBA는 NDMA투여 후 96시간 군에서, BSL-l은 NDMA투여 후 72시간 군에서 그리고 sWGA는 NDMA투여 후 3시간 군이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BSL-1 와 sWGA에서 NDMA 투여 후 12시간 군이었다. PNA 와 sWGA는 NDMA투여후 72시간 군 이후에, BSL-l과 DBA는 NDMA투여 후 120시간 군 이후에 각각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BA, RCA-1는 NDMA 투여 군에 NDMA 투여 후 3시간 군에서 감소되었으나 그 이외 NDMA 투여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BA 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RCA-1은 현저하지 않았다. UEA-1, LCA 및 Con A는 NDMA투여 군에서 감소와 증가의 변화가 다소 있었으나 현저하지 않았다. 혀 점액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군에서 SBA, sWGA 및 UEA-1은 대조 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SBA와 sWGA의 경우 NDMA투여후 3시간 군에서 , UEA-1은 NDMA투여후 3시간군과 24시간군이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SBA경우 NDMA투여후 24시간군과 48시간군에서, sWGA경우 NDMA 투여후 48시간군, 72시간군 및 96시간군에서 UEA-1경우 NDMA투여후 48시간군이었다. SBA 와 UEA-l은 NDMA투여후 96시간군 이후에, sWGA는 NDMA투여후 120시간군 이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NA와 Con A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였으나 현저하지 않았으며 LCA는 다소 증가되었다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였다. DBA는 NDMA투여후 12시간군과 24시간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그 외군에서 증가되었으며 NDMA투역후 96시간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NDMA 독성은 혀의 발 암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파괴된 침샘꽈리의 수복에 glycoconjugates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생후 발육기 흰쥐의 혀침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적 연구

        윤정미(Jung Mee Youn),조기진(Gi Jin Jo),조운복(Un Bok Jo)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2

        수유기 및 이유기 흰쥐 혀 침샘의 조직발생 및 glycoconjugates 변화를 9 종류의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1, sWGA, RCA-1, UEA-1, ConA 및 LCA 를 사용하여 lectin 조직화학법으로 연구하였다. 혀 침샘의 원기와 미분화생 생파리의 출현은 점액샘에서 생후 0 일에, 미각샘에서는 생후 3 일이었으며, 혀 점액샘의 용화 및 생숙도가 미각샘보다 더 빨랐고 두샘 모두 수유기보다는 이유기에 생의 분화 및 증식이 더욱 현저 하였다. 미각샘의 샘 원기 및 미분화성 장액생꽈리들의 lectin 결합양상은 BSL-1 에는 약한 반응을, RCA-1 에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며 생후 1 주에 DBA 와 sWGA 의 반응이 증가하였으나, 생후 2 주,3 주 및 4 주에 미약한 반응을 나타내는 BSL-1 을 제외하고 모든 lectin 의 반응이 소실되었다. 생후 2 주의 분화성 장액생꽈리는RCA-1, PNA, sWGA, BSL-1 및 SBA 에 반응을 나타내며,SBA 및 sWGA 에 반응이 더 강하고, 이유기의 증가가 수유기보다 더 현저하였다. PNA, SBA 및 BSL-1 의 증가가 현저하였으나, RCA-1 과 sWGA 는 이유기 생후 5 주 에 감소되었다가 생후 6 주에 다시 증가되었으나 생체에 다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관찰되지 않던 UEA-1 가 생주 3 주부터 약간의 생파리에서 미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였다. 점액샘 원기 및 미분화성 정액생꽈리는 생후 0 일 ConA 및 PNA 에서 미약한 반응 또는 약한 반응을 나타내 거나반응이 없었으며, 생후 3 일에 PNA 반응이 증가하여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나타내는 것 외는 모든 lectin 에 반응이 없었다. 생후 0 일의 분화성 점액샘꽈리에서 DBA 는 모든 생꽈리에서 ,BSL-1 은 약간의 생꽈리 에서 약한 반응 내지 중등도 반응을, SBA 는 대부분의 생꽈리에 약한 반응을, RCA, PNA, sWGA 및 BSL-1 은 약간의 생꽈리에서 미약한 반응 또는 약한 반응을 나타내였다. BSL-1 과 sWGA 는 생후 2 주까지는 반응이 증가 되었으나 그 이후 계속 감소되어 sWGA 는 생후 5 주에 반응이 소실되었으며, 생후 6 주에 다시 증가되었다. RCA- l 및 PNA 는 생후 l 주까지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 감소되어 PNA 는 이유기 생후 5 주 및 6 주에 그 반응이 소실되었고,RCA- l 은 이유기에 다시 증가하였다. 분화성 점액샘꽈리의 SBA 반응은 생후에 증가하였으며, 수유 기 보다 이유기에 더 많이 증가하였다. UEA-1 은 생후 1 주 및 2 주에 감소되다가 생후 3 주부터 이유기 생후5 주까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에 다소 감소되었다. DBA 는 수유기와 수유기에 다소의 변화가 있었으나 현저하지는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Hyaluronic Acid에 대한 사람 뼈육종의 부착에 있어서 CD44의 역할

        김규찬(Gyoo-Cheon Kim),황윤(Yoon Hwang),박혜련(Hae-Ryoun Park),조기진(Gi Jin Jo),정준영(Jun-Young Chung),유영현(Young-Hyun Yoo),박봉수(Bong-Soo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뼈모세포는 분화과정 중에 몇몇 세포밖바탕질 분자들을 단계적으로 발현하며, 이러한 사실은 다양한 부착기작들이 뼈모세포의 분화와 뼈발생을 조정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세포밖바탕질 중의 하나인 hyaluronicacid (HA) 분자는 연골와 세포밖바탕질에 주로 분표하는 glycosaminoglycan (GAG) 후서 매우 큰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며 용매와 결합하여 높은 정성을 나타내게 된다. 발생초기와 조직 분화 전의 몇몇 조직에서 세포밖바탕질의 주된 구조적 거대분자를 구생하며, 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CD44는 HA 에 대한 주된 수용기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세포의 표면에서 필수 막 당단백질의 형태로 발현 된다. 세포뼈대인 가는 미세섬유 (actin filament) 와 세포밖바탕질사아에서 막통과신호전달 (transmembrane signalling) 의 가능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뼈육종세포를 모델로 사용하여 이세포가 HA 에 대한 부착여부와 부착할 때 세포막에 존재하는 CD44 와 GAGs 의 관여여부, 그때 CD44 발현양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Has 는 HA 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부착하였으며, 부착한 후 180 분 경과 시에 세포의 약 90% 가 HA 에 부착하였다. CD44 와 hyaluronidase, genistein으로 Has 에 전처리 하였을 때 세포의 부착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HA 를 도포한 군에서 Has 는 HA 흉 도포하지 않은 군에 비해 훨씬 많은 CD44를 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여 볼 때 Has 는 HA 에 대한 부착 친화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착에 있어서 세포막 단백질인 CD44 와 세포막에 존재하는 GAGs, 세포질에 존재하며 이차적으로 세포 신호전달계통에 참여하는 단백질인 tyrosine kinases 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 KCI등재

        경골어류 유문수의 장내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조기진,박숙미,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1999 교사교육연구 Vol.37 No.-

        경골어류인 볼불낙, 넙치, 도다리, 전어, 숭어 및 은밀복 유문수 점막에 출현하는 장내분비 세포 중 somatostatin, serotonin, gastrin, PP, CCK-8 및 glucagon 세포를 면역 세포 화학적 방법으로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하에서 장내분비 세포들의 분포, 출현빈도, 모양 및 세포형을 비교 관찰하였다. Somatostatin 세포는 모든 종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Serotonin 세포는 넙치에만. Glucagon 세포는 도다리에서만 관찰되었고, 그 외 장 내분비세포들의 종류와 출현도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도다리에서 가장 풍부하였다. 도다리는 somatosatin 및 serotonin 세포를 제외한 4종류의 세포들이, 숭어는 gastrin, PP 및 CCK-8 세포 3 종류만이, 불복낙은 gastrin 및 PP 2종류만이, 넙치는 serotonin 및 gastrin 세포 2종류만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전어는 gastrin 세포 1종류만이 관찰되었다. 은밀복은 모든 장내분비세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Serotonin 세포는 넙치에서만. glucagon 세포는 도다리에서만 중등도로 각각 관찰되었으며 gastrin과 PP 세포는 도다리에서 중등도, 그 외 종에서 소수 관찰되었고, CCK-8 세포는 도다리와 숭어에서만 소수 관찰되었다. Serotonin 세포는 넙치에서 폐쇄형이었고 glucagon 세포는 도다리에서 개구형이었다. Gastrin 세포는 넙치, 도다리, 및 전어에서 폐쇄형이었으나 불볼낙은 개구형이었고 숭어는 두 형이 섞여있었고 개구형이 더 많았다. PP와 CCK-8 세포는 불볼낙과 도다리는 폐쇄형이었으나 숭어는 폐쇄형과 개방형이 섞여있었다. To investigate the immunocyt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matostatin, serotonin, PP, CCK-8, and glucagon cells in the pyloric caeca, six marine bony fishes were used; Sebastes tbompsoni, Paralicbtbys oblivaceus, Pleuronicbtbys cornutus, Clupanodon punctatus, Mugil cepbalus, and Lagocepbalus wbeeleri. For the demonstration of five enteroendocrine cell types, the peroxidase-antiperoxidase(PAP) method with each antisera was used. The frequency of endocrine cells per unit area(㎟)of each mucosa was counted, and the shap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cells were observed. The somatostatin cells were not found in all species. The serotonin cells were detected in Paralicbtbys oblivaceus, and the glucagon cells in Pleuronicbtbys cornutus exclusively.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other endocrine cells were various in the species investigated and were observed more often in Pleuronicbtbys cornutus. In the pyloric caeca, all of endocrine cells examined except the somatostatin and serotonin cells were detected in Pleuronicbtbys cornutus, the gastrin, PP, and CCK-8 cells in Mugil cepbalus, the gastrin and PP cells in Sebastes tbompsoni, the serotonin and gastrin cells in Paralicbtbys oblivaceus, the gastrin cell in Clupanodon punctatus, None of these endocrine cells was detected in Lagocepbalus wbeeleri. The moderate distribution was detected with the serotonin cells in Paralicbtbys oblivaceus and the glucagon cells in Pleuronicbtbys cornutus. The gastrin and PP cells were moderate in number in Pleuronicbtbys cornutus, whereas a few of these cells were observed in other species investigated. A few CCK-8 cells was detected only in Pleuronicbtbys cornutus and Mugil cepbalus. While the shape of serotonin cell of Paralicbtbys oblivaceus was closed types, the open type of glucagon cell was observed in Pleuronicbtbys cornutus. The shape of gastrin cells was closed type in Paralicbtbys oblivaceus, Pleuronicbtbys cornutus, Clupanodon punctatus, and the open type in Sebastes tbompsoni. The both types of gastrin were mixed with dominant of open shape in Mugil cepbalus. The shape of PP and CCK-8 cells was closed type in Sebastes tbompsoni and Pleuronicbtbys cornutus. The both types of these cells were mixed in Mugil cepbalus.

      • Cyclophosphamide가 흰쥐 혀침샘의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화학

        조운복,정길남,조기진,이응희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6 科學敎育硏究報 Vol.33 No.-

        항암 및 항종양 치료제인 CP가 흰쥐의 혀 미각샘과 점액샘의 형태 및 그 분비물인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을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AF pH 1.7-AB pH 2.5 및 HID-AB pH 2.5 염색법으로 연구하였다. 1. CP군의 혀 미각샘의 형태적인 변화는 장액샘꽈리의 위축 및 파괴, 장액세포의 세포질과립의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일부 도관상피세포의 점액화였으며, 혀 점액샘의 형태적 변화는 점액샘꽈리의 확장, 융합, 파괴, 점액세포의 세포질과립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도관상칙의 현저한 점액화였다. 2. 혀 미각샘의 중성점액질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극소수의 미각샘세포에서 산성 점액질이 나타났다. 혀 점액샘의 중성점액질과 산성점액질은 대조군에 비해 다같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산성점액질 중 sulfomucin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ialomucin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 of cyclophophamide(CP) on the mucins of rat lingual salivary gland was examined by prelectin histochemical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50-300 gm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CP groups. Control group was administrated by only drinking water for one week, CP group which was admirdstrated by 0.04% CP in the drinking water for one week. Mucins properties were stained with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AF pH 1.7-AB pH 2.5 and HID-AB pH 2.5 methods. 1. For the morphologic changes, the lingual gustatory glands of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re noted atrophy of serous adrd, decrease and disapperance of zymogen granules and vacuolation tn the serous cell. The mucification of duct cells was appeared in CP group. And the lingual mucous glands of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howed atrophy of mucous acini, and decrease of mudgen granules in mucous cells. Especially, many enlarged, fused mucous acini, and vacuolated mucous cells were detected. The mucification of duct cells increased very notably in CP group. 2. Neutral mucin of the lingual gustatory gland, and add and neutral mucins of lingual mucous gland decreased very remarkably in C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decrease of acid mucin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neutral mucin in the mucous gland. But, in CP group, the mucous cells which secrete sulfomudn decreased, and the mucous cells which secrete sialomucin increased remarkably.

      • KCI등재

        흰쥐 혀 침샘 점액질에 미치는 paraquat 독성에 대한 녹차의 완화효과

        조운복,정길남,조기진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2003 교사교육연구 Vol.42 No.-

        흰쥐의 혀 미각샘 및 점액샘과 그 점액질에 미치는 paraquat 독성과 녹차의 paraquat 독성완화 효과를 대조군, paraquat 투여군, Paraquat-녹차 투여군,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으로 나누어 prelectin 조직화학법으로 연구하였다. Paraquat 투여군 미각샘은 대조군에 비해 장액샘꽈리 위축, 장액세포의 과립의 감소 및 소실, 공포변성 등이, 점액샘은 점액샘꽈리의 위축, 확장 또는 융합, 점액세포의 과립의 감소, 공포변성 및 미성숙 샘꽈리 등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다. 미각샘 및 점액샘 도관상피의 점액화도 관찰되었다. Paraquat-녹차 투여군과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는 paraquat 투여군의 미각샘과 점액샘의 형태적 변화가 대조군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후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Paraquat 투여군의 미각샘의 중성점액질과 점액샘의 산성 및 중성점액질 양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Paraquat 투여군의 혀 점액샘에서 sulfomucin을 분비하는 점액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ialomucin을 분비하는 점액세포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araquat-녹차 투여군과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 대조군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후자에서 더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araquat는 혀 미각샘 및 점액샘과 그 분비물인 점액질에 강한 독성을 나타내며 이 독성에 대해 녹차가 완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고 녹차 3주 투여후 paraquat-녹차 투여군에서 녹차-paraquat 투여군보다 완화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paraquat 독성에 대한 완화효과는 녹차를 투여하는 시기와 그 양에 따라 더 효과가 있고 녹차에 paraquat 독성 발현억제 및 예방물질이 있음이 사료되어진다. Paraquat toxicity and the alleviating effects of green tea on the toxicity to the rat lingual mucins were investigated through prelectin histochemical methods. Mucosubstances properties were stained with PAS, AB pH 2.5, AB pH 1.0, AB pH 2.5-PAS, AF pH 1.7-AB pH 2.5 and HID-AB pH 2.5 methods. Sprague-Dawley male adult rats(250∼300g)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DP group which was administrated by only 0.04% paraquat in the drinking water for one week, GP group which was fed by both 0.04% paraquat and 3% green tea for one week, and GGP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both 0.04% paraquat and 3% green tea for one week after 3% green tea in the drinking water was dosed for three weeks. For the morphological changes, the lingual gustatory glands of D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re noted atrophy of serous acini, decrease and disappearance of zymogen granules, and vacuolation in the serous cells. And the lingual mucous glands of DP group showed atrophy of mucous acini, and decrease of mucigen granules. Especially, many enlarged, fused mucous acini, and vacuolated mucous cells were detected. Mucification of duct cells increased very notably in DP group. The groups of feeding green tea showed recovering tendency. The recovery degree of GGP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GP group. And GGP group recovered almost up to the state of the control group. Neutral mucin of the gustatory gland, and acid and neutral mucins of mucous gland decreased very notably in DP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decrease of acid mucin was more notable than that of neutral mucin in the mucous gland. And DP group showed that the mucous acini which secrete strong sulfomucin decreased, but the mucous acini which secrete sialomucin increased remarkably. GP and GGP group appeared the recovering tendency to the control group. The recovery of GGP group, comparing the degree,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GP group. And GGP group recovered almost up to the state of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araquat exhibites the toxicity which affects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s properties in the lingual salivary glands, and also suggest that green tea alleviates this toxicity. The different results of recovering tendency of paraquat toxicity in GP and GGP group indicate that the alleviating effects of green tea on paraquat toxicity to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s in the lingual salivary glands depend on the dosing time and the amount of green tea. Furthermore, green tea is presumed to have effects to recover from paraquat toxicity, to suppress exhibition of paraquat toxicity and to prevent paraquat toxicity.

      • KCI등재

        피조개 발의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최병태,조기진,홍말숙,정권순,조운복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95 교사교육연구 Vol.31 No.-

        피조개 발의 조직학적 구조는 hematoxylin-eosin염색 및 Weigert iron hematoxylin염색을, 점액질 성상을 검색하기 위하여 PAS반응, diastase 침지 후 PAS반응, alcian blue pH 2.5염색, alcian blue pH 1.0염색, alcian blue pH 2.5-PAS염색, alcian blue pH 1.0-PAS염색,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염색 및 0.25% toluidine blue염색을 실시하였다. 피조개의 발은 상피, 상피하결합조직 및 근층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상피는 단층섬모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피하결합조직 및 근층에 다세포성 점액선인 발선이 발달되어 있었고 도관은 결합조직과 상피세포를 거쳐 개구되어 있었다. 근층은 종주근, 수직근 및 횡근섬유로 구성되어 있었다. 점액질의 조성을 보면 상피세포섬모에는 sialomucin만을, 상피세포는 중성점액질만 함유하고 있었다. 상피세포 및 결합조직내 점액도관에는 산성과 중성점액질의 혼합성인 것과 산성점액질만 함유한 것이 혼재하나 전자가 더 많았다. 산성점액질의 성상으로 보아 대부분이 강 sulfomucin을 가지며 일부는 약 sulfomucin과 sialomucin의 혼합성이었다. 대부분 발선의 점액선포에 대한 점액질 조성은 점액도관과 유사하였으나 일부 상부발선의 점액선포는 중성점액질만을, 하부발선의 점액선포는 sialomucin만을 함유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cosubstances in the foot of Anadara broughonii. For the histological structure, hematoxylin-eosin and Weigert iron hematoxylin staining were used. The mucosubstances stained with PAS, PAS-diastase, 0.25% toluidine blue, alcian blue pH 2.5, alcian blue pH 1.0, alcian blue pH 2.5-PAS, alcian blue pH 1.0-PAS,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 methods. The foot was composed basically of three layers: epithelium,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layers. The foot was lined by simple ciliated columnar epithelial cell. Foot glands consisted of multicelluear mucous acini were present in the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layer. The mucous duct of foot glands was distributed from connective tissue to epithelial cells, and open onto the surface of the foot. The foot muscle traveled in three planes as longitudinal, transverse and vertical muscle fiber. About the properties of mucosubstances on the foot, cilia of epithelial cell contained sialomucin only and epithelial cell neutral mucosubstances only. Most of mucous duct within epithelial cells and connective tissue showed a mixture of acidic and neutral mucosubstances, while a few mucous ducts were contained acidic ones only. Among acidic mucosubstances, notable strong sulfomucin were found in most mucous cell of duct, and a mixture of weak sulfomucin and sialomucin appeared in a few cells. The properties of mucosubstances in the food glands were similiar to those of mucous duct. But a few mucous acini contained neutral mucosubstances and sialomucin only in upper and lower portion of foot gland,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