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Mucosubstances of Rat Duodenum

        Jo, Un-Bock,Kim, Sung-Ro,Park, Byung-Tae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3

        The effect of vitamin C on th egramoxone toxicity in the duodenal globlet cells of rats were investigated suing histochemical methods. Rats in control, gramoxone and gramoxone+vitmain C (Vt.C) group, aged 6 to 7 weeks, were fed 18% casein diet. In th egramoxone group, neutral and acid mucins of the globlet cells in villi and crypts of duodenum tended to de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globle cells secreting nonsu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number, being usually accompanied by a decrease of the globlet cells secreting suphated mucins which are prominent in the duodenal mucosa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goblet cells secreting nonsu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the gramoxone + Vt.C group.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globlet cells in the gramoxone group were noted vacuolation and demolition of globlet cells, while thos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gramoxone +Vt. C group. It seems to be that Vt. C has alleviating effects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secretion and production of the duodenal goblet cells.

      • Histochemical Study on Glycosaminoglycans of Esophageal Mucous Cells in Agramus agramus, Inimicus japonicus, Epinephelus chlorostigma and Helico-lenus dactylopterus

        Jo, Un-Bock,Jung, Kwun-Soon,Hong, Mal-Sook,Jo, Gi-Ji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0 Journal of Life Science Vol.10 No.2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structure of esophageal mucousa and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glycosaminoglycans of esophageal mucous cells in four teleostean species, i.e., Agramus agramus, Inimicus japonicus, Epinephelus chlorostigma and Helicolenus dactylopterus. To observe the structure of eosphageal mucosa, hematoxylin-eosin(H-E) staining was used. The glycosaminoglycans was stained with PAS(periodic acid schiff), alcain blue(AB) pH 2.5, AB pH 1.0, aldehyde fuchsin(AF) pH 1.7, AF pH 1.0, AB pH 2.5-PAS, AB pH 1.0-PAS and AF pH 1.7-alcian blue pH 2.5. As for the amount and histochemical composition of glycosaminglycans in Agramus agramus, most of mucous secreting columnar cell and mucous cells contain large and moderat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 few of mucous cells having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In Inimicus japonicus, the esophageal mucous cells were composed of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with moderat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only only, a few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and most of small mucous cells with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to smal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 and a feq of small mucous cells with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In Epinephelus chlorostigma,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were mixed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with sulfated glycosaminoglycans, a few of which were contained with moderate or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with sulfated glycosaminoglycans, while most of small mucous cells containing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small to moderate or considerable to minima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 a few of which containing a mixture of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considerable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only. In Helicolenus dactylopterus,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mixing with moderate to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small to moderate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while most of small mucous cells with considerable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 (sialomucin), a few of which having a mixture of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considerable or smal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

      • Histochemical Properties of Mucins in Minor and Major Sublingual Glands of Rat

        Jo, Un Bock,Choi, Won Chul,Shin, In Sung 부산대학교 1985 자연과학논문집 Vol.40 No.-

        흰쥐의 소설하선 및 대설하선 점액선 또는 점액세포내 상피성 점액질의 조직화학적 성상을 밝히기 위해 alcian blue pH 2.5 염색 alcian blue pH 1.0염색, alcian blue pH 2.5-PAS염색, alcian blue pH 1.0-PAS염색,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 염색 및 high iron diamine-alcian blue pH 2.5 염색을 실시하여 점액선포내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 그리고 산성점액질중 sulfated mucin과 nonsulfated mucin을 국재시키고 서로 비교하였다. 대설하선 점액선포는 sialomucin 만으로된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의 혼합성이며 산성점액질 양이 더 많고 단일 선포군으로 되어 있었으나 소설하선 점액선포들은 다량의 강 sulfated mucin 과 중성점액질을 함유하는 점액선포군 또는 점액세포들과 소량의 sialomucin과 중성점액질을 함유하는 점액선포군 또는 점액세포들로 구분되며 전자가 후자 보다 많았다.

      • KCI등재

        흡연이 흰쥐 복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조운복(Un Bock Jo),정길남(Gil Nam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실내 환경 오염원으로 각종 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흡연이 피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lectin 조직화학으로 연구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에 1일 1회 10분간 1일군, 2일군, 3일군 및 5일군으로 나누어 직ㆍ간접 흡연 방법으로 폭로시켜 피지샘 형태는 PAS 염색, 피지샘의 glycoconjugates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1, WGA, RCA-1, UEA-1, Con A 및 LCA)으로 연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흡연군에서는 피지샘꽈리의 크기 감소, 피지샘꽈리 상부의 파괴, 중앙부 피지세포의 공포화 및 미성숙 피지샘꽈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 피지샘 glycoconjugates에는 염색성에 차이가 있으나 기저세포는 BSL-1, PNA 및 WGA에만 반응하고 BSL-1의 반응이 더 강하며, 피지세포는 PNA, WGA, Con A, BSL-1 및 SBA에만 반응하고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강했다. 흡연군의 렉틴 반응에서 특이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흡연군의 피지샘 기저세포의 PNA 반응은 증가되었고, BSL-1는 감소되었다가 회복되었으며, WGA는 소실되었다. 피지세포의 Con A는 증가하였으나 PNA, BSL-1, WGA 및 SBA는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대조군에 관찰되지 않던 흡연군의 미성숙 샘꽈리 PNA, Con A 및 BSL-1이 반응하였으며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현저하였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피지샘의 형태 및 glycoconjugates 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smoking, which is one of indoor-environmental pollutants and related to various cancers, on glycoconjugates of rat sebaceous glands with the lectin his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on glycoconjugate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tabacco smoke for 10 minutes per day in an inhalation chamber for 1, 2, 3, and 5 days with active and passive exposure. For the structure of sebaceous glands we used PAS reaction, and for the glycoconjugates binding pattern 9 biotinylated lectins (DBA, SBA, PNA, BSL-1, WGA, RCA-1, UEA-1, Con A, and LCA) were used. Some remarkable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in the size of sebaceous glandular acini, the destruction of upper portion of sebaceous glands, vacuolation of central portion of sebocytes, and the immature sebaceous glandular acini were seen in the smoke-exposed rats. In the control rats, basal cells were stained with BSL-1, PNA and WGA, but the stronger reaction was founded in BSL-1 binding. Also, sebocytes were stained with PNA, WGA, Con A, BSL-1 and SBA, but stronger reactions were founded in PNA and Con A stainings. Specific changes in the lectin binding patterns were also observed in the smoke-exposed rats. In the basal cells of exposed rats, PNA binding increased, BSL-1 decreased but returned to control level, and WGA disappeared. Plus, immature glandular acini, which were not found in the control rats, were stained PNA, Con A and BSL-1, but the stronger reaction were founded in PNA and Con A binding. In conclusion, it was assumed that the tabacco smoke seriously effected on the structure and glycoconjugates metabolism of sebaceous glands.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Mucosubstances of Rat Duodenum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최병태(Byung-Tae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3

        식이속의 비타민 C가 피리딘계 제초제인 gramoxone의 독성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위해 6~7주령의 Wistar계 흰쥐 숫놈 32마리를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자유급식법으로 4주간 사육하였다. 정상대조군은 2, 3 및 4주 사육군으로 나누고 18% casein식이로 사육하였고 실험군 중 gramoxone처리군도 2, 3 및 4주 사육군으로 나누고 18% casein식이에 0.04% gramoxone을 첨가하여 사육하였으며,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은 2주 사육군의 gramoxone처리군의 흰쥐에다 18% casein식이에 0.04% gramoxone과 3% 비타민 C를 첨가하여 1주 및 2주 사육하여 3 및 4주 사육군으로 하였다. 십이지장의 조직학적 구조 및 배상세포의 형태변화는 hematoxylin-eosin염색으로, 배상세포내 점액질양과 성상변화는 PAS, alcian blue pH 2.5 및 1.0, alcian blue pH 2.5-PAS염색, alcian blue pH 1.0-PAS염색 및 alden blue pH 1.0-PAS염색 및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대조군의 십이지장 융모 및 은와에는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와 non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의 분비하는 배상세포가 섞여 있었으며 융모 배상세포내 점액질양이 은와 배상세포내 점액질양보다 많았으며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액질양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ramoxone처리군의 경우 십이지장의 산성점액질 및 중성점액질양이 다 같이 감소되며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non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의 경우 감소된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양이 다시 증가하고 감소 되었던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가 다시 증가하였다. 십이지장 배상세포의 형태변화는 gramoxone처리군의 경우 커진 세포, 공포변성된 세포, 세포막이 파괴된 세포 및 미성숙세포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의 경우 그 수가 감소되었다. 위의 사실로 보아 비타민 C는 흰쥐 십이지장의 배상 세포형태 및 점액질에 미치는 gramoxone의 독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duodenal goblet cells of rats were investigated using histochemical methods. Rats in control, gramoxone and gramoxone+vitamin C(Vt. C) group, aged 6 to 7 weeks, were fed 18% casein diet. In the gramoxone group, neutral and acid mucins of the goblet cells in villi and crypts of duodenum tended to de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goblet cells secreting nonsul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number, being usually accompanied by a decrease of the goblet cells secreting sulphated mucins which are prominent in the duodenal mucosa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goblet cells secreting nonsul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the gramoxone+Vt. C group.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goblet cells in the gramoxone group were noted vacuolation and demolition of goblet cells, while thos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gramoxone+Vt. C group. It seems to be that Vt. C has alleviating effects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secretion and production of the duodenal goblet cells.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Total Lipid Contents,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Patterns of Rat Liver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최병태(Byung-Tae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6

        흰쥐의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간지질함량, 간내 과산화지질 및 단백질양사에 미치는 gramoxone독성과 비타민C의 완화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및 간무게는 gramoxone처리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의 지질함량과 TBA가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gramoxone처리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간단백질 양상은 gramoxone처리군과 정상대조군에서 별 변화가 없었고 gramoxone처리군의 2주 사육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단백질량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단백질양상에 변화가 왔으며 고분자량의 단백질량은 감소하고 저분자량의 단백질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made to determine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Vt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rats with respect to the growth gain, feed efficiency ratio, total lipid contents,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patterns in rat liver. Growth gain, feed efficiency ratio and liver weight in the gramoxone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ile those values obtained in the gramoxone-Vt C group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Lipid contents and TBA value of rat liver of the gramoxone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ose values of the gramoxone+Vt C group wer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iver protein patterns between the gramoxone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liver protein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amoxone group fed for 2 week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hanges of the liver protein patterns, such as the decrease of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and the increase of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were observed in the gramoxone + Vt C group.

      • KCI등재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혀침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조운복(Un Bock Jo),최윤주(Yun Ju Choi),조기진(Gi Jin Jo),박숙미(Suk Mi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2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NDMA) 17 mg/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 혀 von Ebner 샘과 혀 점액 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 -1, sWGA, RCA-1, UEA-l, Con A 및 LCA)을 사용하려 조직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혀 von Ebner 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 군에서 DBA, PNA, BSL-l 및 sWGA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PNA 은 NDMA투여 후 12시간 군과 24시간 군에서, DBA는 NDMA투여 후 96시간 군에서, BSL-l은 NDMA투여 후 72시간 군에서 그리고 sWGA는 NDMA투여 후 3시간 군이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BSL-1 와 sWGA에서 NDMA 투여 후 12시간 군이었다. PNA 와 sWGA는 NDMA투여후 72시간 군 이후에, BSL-l과 DBA는 NDMA투여 후 120시간 군 이후에 각각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BA, RCA-1는 NDMA 투여 군에 NDMA 투여 후 3시간 군에서 감소되었으나 그 이외 NDMA 투여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BA 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RCA-1은 현저하지 않았다. UEA-1, LCA 및 Con A는 NDMA투여 군에서 감소와 증가의 변화가 다소 있었으나 현저하지 않았다. 혀 점액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군에서 SBA, sWGA 및 UEA-1은 대조 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SBA와 sWGA의 경우 NDMA투여후 3시간 군에서 , UEA-1은 NDMA투여후 3시간군과 24시간군이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SBA경우 NDMA투여후 24시간군과 48시간군에서, sWGA경우 NDMA 투여후 48시간군, 72시간군 및 96시간군에서 UEA-1경우 NDMA투여후 48시간군이었다. SBA 와 UEA-l은 NDMA투여후 96시간군 이후에, sWGA는 NDMA투여후 120시간군 이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NA와 Con A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였으나 현저하지 않았으며 LCA는 다소 증가되었다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였다. DBA는 NDMA투여후 12시간군과 24시간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그 외군에서 증가되었으며 NDMA투역후 96시간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NDMA 독성은 혀의 발 암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파괴된 침샘꽈리의 수복에 glycoconjugates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Rat Liver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3

        흰쥐의 간조직에 미치는 gramoxone 독성과 비타민 C의 완화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Gramoxone처리군에서 간세포의 혼탁종창과 지방변화가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고 혼탁종창보다는 지방변화가 더 현저하였으며, 특히 간소엽의 문맥야주변대 간세포에서 지방변화가 심하였다. Kupffer세포의 수도 증가하여 4주 사육군에서 제일 많이 증가하였다. Gramoxone-비타민 C 처리군에서 간세포의 혼탁종창과 지방변화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세포의 glycogen 함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gramoxone처리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지방변화가 많이 일어난 간세포에서 glycogen 함량이 더 많았다. Gramoxone-비타민 C 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간세포의 glycogen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behaviour of glycogen and histological changes of hepatic tissues in the liver of rats, aged 6 to 7 weeks, fed 18% casein diet under control, gramoxone and gramoxone+vitamin C(Vt. C) diets has been investigated in a combined histopath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Cloudy swelling and fat changes of hepatic cells were observed in the gramoxone group with the duration of feeding time. Fat changes of hepatic cells were observed more obviously than cloudy swelling, especially in the hepatic cells of periportal area. The number of Kupffer's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amoxone group fed for 4 weeks. The cloudy swelling and fat changes decreased obviously in the gramoxone+Vt. C group. Glycogen content of hepatic cells tended to increase slightly in the gramoxone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Moreover, glycogen depositions were higher in the hepatic cells where fat changes were obvious. Glycogen content appeared to decrease in the gramoxone+Vt. C group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It seems to be that Vt. C has alleviating effects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patterns of glycogen distribution and histological structure of hepatic tissues.

      • KCI등재
      • Histological Study on the Oogenesis of Aarphysa sanguinea

        Choi, Won Chul,Un Bock Jo 부산대학교 1983 자연과학논문집 Vol.35 No.-

        Marphysa sanguinea는 우리나라 海岸一帶에서 採集되어 分類 및 形態學的으로 잘 調査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生殖巢의 卵發生過程에 대한 硏究가 거의 없었으므로 여기에 대해 調査하였다. 本 種은 雌雄異體로써 卵細胞의 起原이 腹腔內의 筋層과 접해있는 中皮에서부터 시작되며 始原細胞로부터 分化된 이 卵細胞는 그 容積이 增加되어지는 時期와 이어 未成熟단계의 卵細胞로 되어 時期 및 成熟卵子細胞로 되는 時期로 나눌수 있으며 이때의 細胞成分은 成熟된 卵의 狀態와는 뚜렷이 區別되어 진다. 그러므로 卵細胞發達에 따른 核은 첫째, 仁이 나타나지 않는 鹽基好性細胞 및 酸好性으로 된 始原細胞 단계(Stage 1)와 둘째, 仁과 perichromatin을 가진 卵原形의 卵母細胞期(Stage 2), 셋째, 核이 圓形으로 되는 時期(Stage 3), 넷째, 核의 부피가 增加하기 시작하여 形態가 不規則한 形態로되는 時期(Stage 4), 다섯째, 成熟된 卵細胞期(Stage 5)로 區別되어 진다. 아울러 卵細胞의 細胞質의 發達은, 첫째단계는, 위의 核의 發達過程의 stage 1과 2에서 볼 수 있는 원래의 細胞成分期 단계이며, 둘째단계는 위 過程의 stage 3과 4에서 나타나는 同質性의 卵黃의 前驅物質이 卵細胞 質內에서 生成되어지는 時期, 셋째단계는 上記過程의 stage 5에서의 成熟한 卵黃形成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卵黃物質의 轉移 및 變化는 처음은 核酸의 影響이나 그 다음은 mitochondria의 介入에 의한 것이라 提示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