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성별, 연령, 기질,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제희선,이강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by analyzing longitudinal effects of gender, age, temperament and peer-play interactions on children’s self-esteem. For this purpose, 2010 (3rd) - 2016 (9th) records out of PSKC data provided by KICCE were used. The research objects were 551 young children from 6 regional areas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 and general linear mixed model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linear change model was selected by observing developmental changes which reflected a linear increase of self-esteem. Second, the factors of sex, age,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did not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and peer-play interac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initial value of children’s self-esteem. Gend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hildren’s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several methods to improve the support toward strengthening children’s self-esteem. 본 연구는 아동의 성별, 연령, 기질,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조사(PSKC) 데이터 중 2010년(3차)-2016(9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개 권역에 위치한 아동 551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GM) 분석과 일반화선형혼합모형(GLM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시기별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아동의 활동성과 자아존중감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형변화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아동의 성별, 연령, 정서성, 사회성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동의 활동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체화된 인지의 유아교육적 함의

        제희선,황해익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인지에 관한 최근의 접근인 체화된 인지 이론의 전개와 특징을 살펴본 후 이것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과정에 있어서 신체와 환경의 다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에게 앎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봄으로써 첫째, 앎을 세계에 관한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개인의 구조에 의해 새롭게 창출되고 만들어지는 것으로 봄으로써 개인의 앎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윤리적 시각에 대해 재고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발달심리학에 근거한 유아 인지발달 이론의 한계점을 제시한 후, 체화된 인지 이론이 다양한 발달이론들을 융합하여 유아의 인지과정을 더 풍부히 이해하게 해줄 수 있는 설명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체가 인지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기 신체적 경험의 중요성과 위상을 교육 논의의 중심부로 가져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plore embodied cognition, which is a recent approach to cognition for child education, and to find its implica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Looking at the role of multifaceted interaction between body and the environment in children’s cognition process, firs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was not achieved by objective learning about the world, but by innovative creation based on structure of environment and individual’s knowing. Second, after presenting the limitation of children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based on existing development psychology, this study suggests the explanatory frame for embodied cognition theory to fuse various developmental theories, enabling richer understanding in children cognitive processes. Finally,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physic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can be placed in the center of educational discussions by suggesting that the body continuously participates in the cognitive process.

      • KCI등재

        누리과정 유아교육평가 비평연구

        제희선,황해익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assessment areas specified in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modern discourse and to bring up for discussion abou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essment in the post-modern era. The modern discourse of evaluation contexts in the Nuri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ontexts in Nuri curriculum was designed to assess young children and educational operation based on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curriculum area, thereby holding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empirical language. Second, because of the myriad evaluation contexts in Nuri curriculum divided the time and space of educational field, complex experiences were fragmented and teachers were disciplined in accordance with assessment area. Third, there were only the lists of what to evaluate, but no value for the reason why it should be evaluated.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purpose of evalu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ost-modern society should be directed toward creation rather than recognition and reappearance, evaluation contents should be made in terms of placement and relationship, and lastly,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one in many other languages.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에 명시된 평가영역을 근대 담론에 기초하여 비평하고, 탈근대시대의 유아교육평가의 담론을 제언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누리과정에 나타난 평가 영역의 근대 담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의 평가 담론은 각 영역별 세부내용을 기준으로 유아 및 운영평가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교육현장을 실증적인 언어의 틀 안에 고착화시키고 있었다. 둘째, 교육 현장의 시간과 공간을 분절화 시키는 무수한 평가 영역으로 인해 교육현장의 복잡한 경험들은 파편화되었으며 교사는 평가 영역에 따라 훈육화 되었다. 셋째, ‘무엇’을 평가할 지 나열할 뿐 ‘왜’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치가 부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탈근대사회에서 유아교육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평가의 목적에 관해서는 재인과 재현에서 생성을 위한 평가로, 평가의 내용에 관해서는 배치와 관계를 위한 평가로, 평가의 방법을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를 통해 평가하기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종단매개효과

        제희선,이강훈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자아개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조사(PSKC) 데이터 중 2008년(1차)-2014년(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대 권역에 위치한 아동 964명이다.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자아개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잠재성장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간접 효과 및 직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측정시기별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형변화모형을 선정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자아개념 모두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아개념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지원하기 위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돕기 위한 방안 및 자아개념의 연속적인 측면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살펴볼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hange profile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young children’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young children’ self-esteem by analyzing longitudinal change profile. Method: For this purpose, 2008-2014 longitudinal data of PSKC provided by KICCE. The research objects were 964 young children from 6 regional area in Korea.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 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elf-concept on self-esteem, we used the potential growth model and examined the indirect and direct effec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ather’ parenting did not showed significant change and selected a non change model as it did not increased from time passes. Seco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young children’ social competence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young children’ self-esteem. Third, young children’ social competence i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young children’ social competenc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look into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in the aspect of consecutive aspects of the self-concept and the plan to help the father s participation in the nurture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개발: 행화주의적 관점에서

        제희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to interpret and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from the enactive perspective of embodied cognition, which is a new perspective in cognitive science. Methods To this end, through a literature study on the cognitive science of Enactive cognition and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can be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enactive cognition. And iIn addition,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how young children’s self-esteem was revealed during the daily routin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 interview and literature research results, expert relevance tests were conducted on the items and drafts of the children's enactive self-esteem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Results Through this, a tool to measure children's enactive self-esteem was developed with 3 factors and 32 item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presents a new perspective to observe and evaluate young children's self-esteem, but also develops a tool that can reliably and properly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 KCI등재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살펴본 홍익인간 사상과 민주시민의 의미

        제희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교육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 사상을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민주시민의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군신화를 바탕으로 홍익인간 사상을 해석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의 모습을 살피고자 하였다. 단군신화는 일원론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타자와 공존하며 변화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홍익인간은 전체론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이 아닌 모든 존재를 이롭게 하는 상생, 공존의 공동체를 추구하는 이념이다. 이는 이질적인 존재에 대한 사랑과 개방성을 가진 인간, 관계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인간의 모습을 추구한다. 즉 인간을 혼종적인 존재로서 정의함으로써 윤리적 주체성을 찾아가고자 하는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 따라서 홍익인간 이념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이념으로써 재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유아교육과정의 인간상으로 제시된 민주시민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해보고, 홍익인간 이념에 따라 시민의 미덕을 제언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itizenship by reinterpreting Hongik Ingan ideas - generally translated as “to help all humankind” - as an educational id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s. To this end, we interpreted Hongik human thought based on Dangun mythology and explored the human form in the posthumanism. To this end, we interpreted Hongik Ingan thought based on dangun mythology, and explored the human form in the posthuman era. The Dangun myth depicts a changing human being coexisting with others based on a – holistic world view. Thus, Hongik Ingan is an ideology that benefits all non-human beings as well, and seeks a community that co-exists with others based on a holistic world view. It seeks to be a human being with love and openness for heterogeneous beings and a human being who recognizes his or her existence on a relational level. This is a human form in the posthuman era that seeks to create an ethical identity by defining humans as hybrid beings. Thus, Hongik Ingan ideas can be re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concept in the posthuman era. Therefore, I critically explored the mean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presented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and explored the virtues of citizenship according to Hongik Ingan ideas.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와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활용한 매개효과

        제희선,채혜경 육아정책연구소 2019 육아정책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and self-esteem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mutual influence over time b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using the 7th, 8th and 9th year data of the children's panel. As a result, mother's daily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ffected happiness and self–esteem. Also the influence of mother's happiness and self-esteem persisted over time. Self-esteem and happiness also affected each other. In addition, mot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Mother's social emotion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omoting child's executive function, and multifaceted social support is needed to further enhance mother’s emotional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행복감, 자존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아동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7차년도, 8차년도,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7차년도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은 강한 자기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 사이에 상호교류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취업모 어머니의 근로조건이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 및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한 제도화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에 나타난 담론 분석

        제희선 ( Je Hui-seon ),박리나 ( Park Reen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에 활용되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담론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성교육의 내용 및 실천과 관련된 비판적 사유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그림책 9권을 중심으로 Faircough의 담론분석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서를 위한 통제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둘째, 목적을 위한 협력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다. 셋째, 공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나 타인과 환경에 대한 대상화, 타자화 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넷째, 동질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났으며 이는 고정화된 주체에 대한 담론으로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담론에 따라 인성교육이 다원적인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회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인성교육을 위해 동화책을 사용하는 성인 역시 담론의 재생산자가 아닌 반응적인 청자로서 유아의 반응과 배움의 과정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aise critical thinking about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discourse focusing on picture books which are used in children’s personal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Fairc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8 children' s books that were used in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ourse reveals that the individual has to conform to and follow the control. Second, discourse about the passive role of individuals for macro goals was revealed. The value of cooperation is a priority rather than individual voluntary and free negotiation. Third, uniformity of subjectivity of elderly people and women appeared. Fourth, for the coexistence and co - operation, the discourse emphasizing the normalized and idealized standards was revealed, and separation and exclusion appeared if they did not meet these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urn personality education in a direction that respects the pluralistic value. Thus, the adult who mediates the picture book needs to listen to the reaction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hild as a responsive audience.

      • KCI등재

        한국의 영유아기 능력에 관한 인식의 변천연구 : 유아교육과정(1969~2019)을 중심으로

        제희선(Je hui-seon),한현정(Han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아동관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유아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영유아의 능력이 구조화되어가는 문맥을 계보학적 접근으로 서술, 분석한 것이다. 영유아의 능력은 시대별로 권력과 지식의 관련 속에서 조건 지워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능력을 유아교육과정의 변천 속에서 국가, 과학, 평등을 둘러싼 힘의 역학관계로 재구조화하면서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첫째, 초기의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영유아를 국가를 위한 인재로 규정하고 전체 인구조절의 계획 하에 건강한 신체를 가진 자로 양성하도록 하는 아동관이 형성되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통계학, 예방학, 우생학 등 과학 규범이었다. 이를 통해 영유아기는 가정으로부터 벗어나 국가의 소국민으로 규정되기 시작했다. 둘째, 1980년대부터 유아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증거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대학과 연구소는 영유아기 능력의 표준적 발달을 생산, 보급하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는 가정, 교사, 기관으로 전파되었는데 동일 연령 영유아에게 동일한 능력이 있으며 발달에 적기가 있다는 영유아에 대한 신념이 확대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유아교육과정에서는 영유아기의 능력 개발을 교육기회 평등의 관점에서 조명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유아교육기관 팽창기에 전개된 기회 평등론은 영유아기 발달 능력의 동일성을 전제하여 결핍된 환경에 놓인 아동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 논리가 2000년대에는 경제적 인과관계로 변모하여, 영유아기의 투자를 성인기의 산출에 연관시키면서 모든 가정의 아이들에 대한 지원의 구도로 변천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능력에 대한 관점이 교육정책과 이를 지지하는 학문에 의해 형성되어왔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의 아동관 및 교육관에도 영향을 끼치는 신념을 상대화하고 재구성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view of Korean society by describing the context in which young children’s competency is structured through the genealogical approach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discourses. First, perspectives about childhood were formed to prescribe young children as talents for the nation and to educate them to have a healthy body under the plan of total population control. Second, since the 1980s, scientific evidence has begun to be taken seriously in the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gents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the standar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ompetency. This led to the belief that young children have the same amount of ability and they have the right time for development. Third, the equality dis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ted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child in a deprived environment, presupposing the equality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ability. This logic has been transformed into economic causality in the 2000s.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viewpoint of young children’s competency was formed by the policies and the supporting academic disciplines in the soci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