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치성 개방우각녹내장에서 시행한 Trabectome#174;을 이용한 섬유주절개술 1예

        정희영,최재완,최진영,김연덕,Heeyoung Chung,Jaewan Choi,Jin Young Choi,Yeon-Deok Kim 대한안과학회 2011 대한안과학회지 Vol.52 No.4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b interno trabeculotomy with Trabectome<sup>Ⓡ (NeoMedix Corp., CA, USA) conducted on a refractory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patient. Case summary: Trabectome<sup>Ⓡ has microelectrocautery with simultaneous infusion and aspiration of debris and ablates a segment of trabecular meshwork and the inner wall of Schlemm’s canal. The patient, a 54-year-old man had uncontrolled intraocular pressure (IOP) with topical anti-glaucoma medications after trabeculectomy and Ahmed valve implantation for POAG. For the patient, ab interno trabeculotomy with Trabectome<sup>Ⓡ was performed. There were no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except for microhyphema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IOP was controlled between 14 to 24 mm Hg up to 3 months postoperatively with topical anti-glaucoma medications (Cosopt<sup>Ⓡ, Alphagan-P<sup>Ⓡ, Lumigan<sup>Ⓡ). Conclusions: Ab interno trabeculotomy with Trabectome<sup>Ⓡ appears to offer a newer method of lowering IOP in POAG than conventional trabeculectomy and glaucoma drainage devic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4):502-506

      • KCI등재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한 눈물소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정희영,김명진,이상언,Heeyoung Chung,Myungjin Kim,Sangun Lee 대한안과학회 2011 대한안과학회지 Vol.52 No.9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transcanalicular laser-assisted dacryocystorhinostomy (TCL-DCR) using a diode laser in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Methods: A total of 71 patients (76 eyes) who underwent TCL-DCR between May 2004 and April 2010 were analyzed. The functional and anatomic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and the causes of failure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tomic and functional success rates in primary TCL-DCR were 73.9% (51 of 69 eyes) and 62.3% (43 of 69), respectively. The causes of failure were membranous obstruction in 50.0% of the cases, granuloma formation in 38.9%, synechia formation in 5.6%, and canalicular stenosis in 5.6%. The anatomic and functional success rates were both 42.9% (3 of 7eyes) after TCL-DCR revision. Conclusions: The success rate of TCL-DCR is relatively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surgery. Additionally, the advantages of the procedure are its minimal invasiveness and convenience in an outpatient setting, suggesting that TCL-DCR may be an effective procedure for primary and secondary NLDO.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9):1019-1023

      • KCI등재

        막장전방 예측기법에 근거한 TBM 터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정희영,박정준,이강현,박진호,이인모,Chung, Heeyoung,Park, Jeongjun,Lee, Kang-Hyun,Park, Jinho,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1

        TBM 시공 중에는 설계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지반과 조우할 수 있다. 그 중에서 TBM 굴진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위험지반과 조우할 경우, 예상치 못한 문제로 인한 공사비 증가, 공기 지연 등으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 중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은 TBM 프로젝트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TBM 시공 중 막장전방의 위험지반을 사전에 예측하는 방안과 해당 위험지반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리스크 사건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대응이 필요한 리스크 사건에 대하여 대책공법을 제시할 수 있는 TBM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TBM 굴진 중 안정성을 저해하는 위험지반들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정리하였으며, 시공 중 막장전방의 위험지반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비저항 탐사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렇게 예측한 위험지반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의 위험도 평가는 위험지반 조우 시 리스크 사건의 발생확률과 리스크로 인한 다운타임의 크기에 대한 상호 영향도를 고려하여 수행한다. 평가 결과 등급에 따라 대응이 필요한 리스크 사건에 대하여 대책공법들을 제시하였으며, 여러 대책공법 중 최적의 대책공법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공사비와 공사기간 등을 속성으로 한 다기준 의사결정론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실제 리스크가 발생했던 EPB Shield TBM 현장에 개발 시스템을 적용하여, 시공 중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의 사전 대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When utilizing a Tunnel Boring Machine (TBM) for tunnelling work, unexpected ground conditions can be encountered that are not predicted in the design stage. These include fractured zones or mixed ground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reduce the stability of TBM excavation, and result in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such as construction delays or increases in costs. Minimizing these potential risks during tunnel construction is therefore a crucial issue in any mechanized tunneling project. This paper proposed the potential risk events that may occur due to risky ground conditions. A resistivity survey is utilized to predict the risky ground conditions ahead of the tunnel face during construction. The potential risk events are then evaluated based on their occurrence probability and impact. A TBM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an suggest proper solution methods (measures) for potential risk events is also developed. Multi-Criterion Decision Making (MCDM) is utilized to determine the optimal solution method (optimal measure) to handle risk events. Lastly, an actual construction site, at which there was a risk event during Earth Pressure-Balance (EPB) Shield TBM construction, is analyze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system.

      • 폐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저탄소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

        정희영(Heeyoung Chung),현돈(Don Hyun),박범찬(Bumchan Park),조남현(Nam-Hyun Cho),서병석(Byung-Seok Seo)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세라믹 소재의 위생도기는 1,25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어지며, 이는 자연상태에서 1,000년 이상 분해되지 않아 자연분해가 매우 어려워 폐기 시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위생도기 중 양변기는 수자원 낭비 및 막힘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재생이 어렵고 탄소배출량이 높은 세라믹 소재를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활용 소재로 대체한 초절수 및 막힘방지 층상배관 양변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폐플라스틱을 30% 이상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 개발을 통해 양변기 무게를 약 30% 감소할 수 있으며, 제조·수송·사용·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생량을 약 4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트랩 기술을 활용한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을 통해 절수 1등급으로 막힘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폐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저탄소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

        정희영(Heeyoung Chung),현돈(Don Hyun),박범찬(Bumchan Park),조남현(Nam-Hyun Cho),서병석(Byung-Seok Seo)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세라믹 소재의 위생도기는 1,25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어지며, 이는 자연상태에서 1,000년 이상 분해되지 않아 자연분해가 매우 어려워 폐기 시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위생도기 중 양변기는 수자원 낭비 및 막힘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재생이 어렵고 탄소배출량이 높은 세라믹 소재를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활용 소재로 대체한 초절수 및 막힘방지 층상배관 양변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폐플라스틱을 30% 이상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 개발을 통해 양변기 무게를 약 30% 감소할 수 있으며, 제조·수송·사용·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생량을 약 4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트랩 기술을 활용한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을 통해 절수 1등급으로 막힘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폐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저탄소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

        정희영(Heeyoung Chung),현돈(Don Hyun),박범찬(Bumchan Park),조남현(Nam-Hyun Cho),서병석(Byung-Seok Seo)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세라믹 소재의 위생도기는 1,25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어지며, 이는 자연상태에서 1,000년 이상 분해되지 않아 자연분해가 매우 어려워 폐기 시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위생도기 중 양변기는 수자원 낭비 및 막힘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재생이 어렵고 탄소배출량이 높은 세라믹 소재를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활용 소재로 대체한 초절수 및 막힘방지 층상배관 양변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폐플라스틱을 30% 이상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 개발을 통해 양변기 무게를 약 30% 감소할 수 있으며, 제조·수송·사용·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생량을 약 4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트랩 기술을 활용한 층상배관 양변기 개발을 통해 절수 1등급으로 막힘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EFDC 모델을 이용한 새만금 담수호 수리해석

        정희영 ( Heeyoung Jeong ),이흥수 ( Heungsoo Lee ),류인구 ( Ingu Ryu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2006년 4월 21일에 국내 최대의 간척사업이자 세계 최장인 새만금 방조제(33 km)의 최종 체절이 완료되면서, 새만금사업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새만금사업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담수호의 수질목표 달성과 효과적 관리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방조제 완공 후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전과는 완전히 다른 수리 환경 변화가 예상되므로, 새만금호의 최적 수질관리 대안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수치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범용 수리 및 수질 해석모델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적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신시갑문에서 해수유통 여부에 따른 추적자 수치 모의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확산과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형자료는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에서 2008년 새만금호를 대상으로 측량한 수치 지도를 이용하여 SMS 10.0 프로그램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총 활성화 된 Cell의 개수는 1,593개이고, 수층은 3개의 Layer로 나누었으며, 수평방향으로는 직교곡선 좌표계, 수직방향으로는 시그마 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지형자료의 적합성 판별을 위해 모델에서 계산된 저수지 수위별 저수용량과 실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AME(Absolute 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각각 15.68×10<sup>6</sup> ㎥, 19.08×10<sup>6</sup> ㎥으로 총 저수용량에서 2.03%의 오차를 보였고 R<sup>2</sup>는 0.999로 나타났다. 유입유량은WWASS(Watershed Water balance And Streamflow Simulation)모형을 이용하여 만경대교와 동진대교를 대상으로 산정한 일 유입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방류량은 유입량과 내측 수위자료로부터 산정한 저수용량을 이용하여 저류함수식으로 산정하였다. 물수지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신시 갑문 내측에서의 실측수위와 모의수위를 비교한 결과 AME와 RMSE는 각각 0.249 m, 0.345 m로 나타나 모델이 실측수위를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호 내 각 지점별 수온 실측치와 모의치를 시계열로 비교한 결과, 비교적 신뢰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추적자(보존성물질) 모의 결과 1일부터 시작하여 145일 정도에 호내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수호일 경우가 신시배수 갑문을 개방하여 해수 유통했을 경우보다 Dye 농도가 높게 모의되어 어느 정도 해수유통이 오염물질 확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동진수역에서는 신시 갑문의 개방 여부에 따른 추적자 농도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신시 갑문의 해수 유통이 동진수역까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한 쉴드 TBM 터널 리스크 분석

        박정준,정희영,문준배,최항석,이인모,Park, Jeongjun,Chung, Heeyoung,Moon, Joon-Bai,Choi, Hangseok,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5

        본 논문에서는 쉴드 TBM 시공 시 발생 가능한 사건 및 원인의 규명, 리스크 발생의 인과관계 규명, 리스크의 위험도 판별, 리스크의 저감대책 제시를 통한 쉴드 TBM의 전반적인 시공 리스크 관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쉴드 TBM의 사고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 설계 및 시공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리스크 사건은 절삭량 저하, 막장면 붕괴, 지반 침하, 지반 융기, 이수 분출, 배토 불능, 굴착 불가, 지하수 누수의 8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리스크의 원인은 지질 원인, 설계 원인, 시공관리 원인의 3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리스크 원인과 사건간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식적인 관계도를 작성하였다. 리스크의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리스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다운타임 및 비용을 기준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수행하였으며, 위험도 결과에 기반하여 리스크 대응단계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리스크 발생사례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리스크 저감대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구는 TBM 설계자 및 시공자가 현장의 조건을 고려하여 리스크 원인을 선정하고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리스크의 위험도의 판별 및 그에 대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저감대책을 통해 체계적인 쉴드 TBM 리스크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Overall risks that can occur in a shield TBM tunnelling are studied in this paper. Both the potential risk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tunnel construction and their causes are identified,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vents is obtained in a systematic way. Risk impact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potential risk events and ways to mitigate the risks are summarized. Literature surveys as well as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made for this purpose. The potential risk events a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cuttability reduction, collapse of a tunnel face, ground surface settlement and upheaval, spurts of slurry on the ground, incapability of mucking and excavation, and water leakage. The causes of these risk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geological,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factors. Bayesian Networks (BN) were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asses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vents. The risk impac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a risk response level by adopt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owntime and cost of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isk impact analysis, the risk events are divided into four risk response levels and these levels a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occurrences of risk events. Measures to mitigate the potential risk events during the design and/or construction stages are also proposed.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of the help to the designers and contractors of TBM tunnelling projects in identifying the potential risks and for preparing a systematic risk manage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risk response level and the migration method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 새만금호 유입 유사량의 조사 분석

        김형산 ( Hyungsan Kim ),조영권 ( Youngkweon Cho ),황주하 ( Juha Hwang ),정희영 ( Heeyoung Jeong ),정세웅 ( Sewoong Chung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의 유사퇴적량을 산정하기 위해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에서 유량과 유사량을 측정하여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식을 산정하였다. 총유사량은 수정아인슈타인 식에 의해 산정하였고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의 일유출량은 DIROM 모형에 의해 과거 14년(1994∼2007년)간 모의하였으며, 이를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에 입력하여 연 유입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대천지점의 14년 평균 유입유사량은 28,590(ton/yr)로 산정되었으며, 신태인지점은 23,616.1(ton/yr)로 나타났다. 새만금호 유역의 총 유입유사량을 산정하기 위해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은 각각 대천과 신태인 지점의 유입 유사량을 면적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새만금호 지구로 유입되는 전체 유사량은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유입유사량을 합산하여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새만금호 지구의 유입유사량은 연평균 115,122(ton/yr)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중 만경강 유역에서 52,841(ton/yr)과 동진강 유역에서 111,502(ton/yr)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호의 연 평균 비유사량은 63(ton/㎢/yr)로 추정되었다. 동진강이 만경강보다 비유사량이 더 큰 이유로는 만경강의 경우 전주, 익산 등과 같은 도시 및 공단지역이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여 유사발생량 자체가 적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을 통해 만경강 및 동진강의 비유사량을 도출하였으나, 2008년도에는 홍수기 유량 및 유사량 실측자료가 전무하여 2009년도에 보다 많은 실측자료를 활용한다면 2008년도 보다 신빙성 있는 새만금 유역내로 유입하는 비유사량을 산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