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損窩 崔錫恒의 삶과 그에 대한 재구 -行狀을 통해 본 최석항에 대한 기억의 서사-

        정하정 동방한문학회 2023 東方漢文學 Vol.- No.96

        Choi Seok-hang(崔錫恒), who was in charge of the disposition of SinYim Literati purges(辛壬士禍), wa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during the period when the party strife of the Noron Party(老論) and Soron Party(少論) was at its peak. In his lifetime and after his death, he was criticized by the Noron Party and defended by the Soron Party. And as a result, his reputation has been repeatedly reversed. The controversy over Choi Seok-hang continued 55 years after his death. It was at this time that records of a decimated he's life was built. The author of Choi Seok-hang's Haeng jang(行狀) had to induce respect and affirmation for the deceased by selecting a specific part of his life data. In other words, Haeng jang about Choi Seok-hang, who wa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even after his death, has no choice but to feature a ‘memory narrative’ based on the ‘record of facts.’ Based on this point, this paper considered the ‘narrative of memory’ that appears in Choi Seok-hang's Haeng jang. As a result, three things could be derived. First, it is the point of disputing the crime pointed out by the Noron Party. Second, it highlighted and revealed that it was recognized by the kings. Third, anecdotes showing generosity and generosity were listed. The image of Choi Seok-hang, reconstructed through these three, is the opposite of Noron party's criticism, and was the image of Choi Seok-hang that the artist wanted to imprint. From this point of view, Haeng jang can be said to be a literary material beyond objective data examining the life of the deceased. In particular, if the evaluation of the deceased is mixed, the Haeng jang surely has the author's intended description device hidden. Referring to this point, it is expected that a literary approach to Haeng jang will continue.

      • KCI등재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정하정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3

        Georg Simmel is a thinker who implied the phenomena and interrelationships of society, culture, and art at the center of human beings in the modern era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monetary economy of capitalism was intensively revealed. Among his extensive discourses on modernity, 'Cultural Philosophy' and 'Sociological Aesthetics' focuses on the value of human essence, and his research provides fundamental concepts necessary for the study of human awareness as a designer in the contemporary digital-based industry. Through the design methods and processes universally developed in the fashion-textile design studio, the researcher's design thinking and behaviors are drawn from the perspective of Simmel's 'cultural philosophy' and 'sociological aesthetics', an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discussing the creative style and behavior that a designer should have for the modern aestheticization of fashion-textile desig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ashion market economy, research i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group to which the designer belongs. According to the purpose, direction, process, and role of the designer, design research is conducted by understanding the times and expanding historical knowledge. Second, empathize with the public through communication.By following the principle of autonomous competition in the capitalist market, designers understand and accept trends to express free creativity. Third, explore creative behaviors. The internal value of the industry is raised by combining the cultural and aesthetic needs that can survive in the autonomous competition of the expanded fashion industry. 게오르그 짐멜은 자본주의의 화폐경제가 집약적으로 발현하는 19세기의 근대에서 인간의 중심에서 사회, 문화, 예술의 현상과 상호관계를 함의한 사상가이다. 그의 광범위한 모더니티 담론 중 ‘문화철학’과 ‘사회학적 미학’은 인간 본질의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의 연구는 현대의 디지털 기반의 산업에서 디자이너로서의 인간이 지녀야 할 인식 연구에 필요한 근본적 개념을 제공한다.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보편적으로 전개하는 디자인의 방법과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의 디자인 사고와 행위를 짐멜의 ‘문화철학’과 ‘사회학적 미학’의 관점에서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를 위해 디자이너로서 지녀야 할 창의적 양식과 행위를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시장경제에 따라 디자이너의 소속된 집단을 고려하여 리서치한다. 디자인 리서치는 목적, 방향, 과정, 그리고 디자이너의 역할에 따라 시대성을 이해하고 역사적 지식을 확장하여 진행한다. 둘째, 소통으로 대중과 공감한다. 이는 자본주의 시장의 자율경쟁 원칙에 따라 디자이너는 유행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자유로운 창의성을 발현한다. 셋째, 창의적 행위를 모색한다. 확장된 패션산업의 자율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문화적 욕구와 미학적 욕구를 결합하여 산업의 내적 가치를 높인다.

      • KCI등재

        패션의 리디자인에 나타난 기술철학의 환경친화적 실천 유형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 이론 중심으로-

        정하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현대 패션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리디자인은 산업적‧사회적으로 대중화를 위한 변화와 환경친화적 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간과 기술, 그리고 환경의상관관계를 염두에 두고 개발하는 기술이 환경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주장한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패션의 리디자인에 나타난 기술을 통하여 환경친화적 실천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연구 방법은 패션의 리디자인의 리사이클 기술, 리듀스 기술, 리유즈 기술, 리플레이스 기술과돈 아이디의 ‘도구 매개적 지향성’의 ‘체현적 관계’, ‘해석학적 관계’, ‘배경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바탕으로 리디자인에 나타난 기술철학의 환경친화적 실천 유형을 도출한다. 그 분석 내용은 폐기물을원사로 제작하는 리사이클 기술과 폐의류를 섬유로 재가공하는 리듀스 기술은 ‘해석학적 관계’에서 기계 기술을 사용하여 폐자원의 순환을 실천하고, 해체와 조합의 섬세한 수작업의 리유즈 기술은 ‘체현적 관계’에서 숙련된 솜씨로 정교한 제품을 지향하며, 인터넷을 통한 소통의 리플레이스 기술은 ‘배경적 관계’에서는 지속가능성의 기업 이미지 홍보로 사회적 공감을 형성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인간으로서의 사회적 공헌‘에서는 ‘기술적 인간‘은 도구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과학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속가능성을 목적으로 도구를 변형한다. 둘째, ‘지속기능성의 아우라 생성’에서는 디자이너의 사회적인지로 만든 상품은 친환경 소재, 상품의 내구성, 미적 호환성, 윤리성이 고려된 아우라가 있다. 셋째, ‘환경 문제 극복을 위한 고급기술’에서는 소비자의 정부 정책 협력과 생산자의 신기술 개발이 공존하여 소비-배출-재활용으로 자원 순환의 고급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선 시대 산문 전범의 변주 양상 -韓愈의 「送窮文」을 중심으로-

        정하정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5 No.-

        This paper focused on 「SongQiongWen(送窮文)」 to examine how Han Yu(韓愈)'s prose was accepted and vari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is well known, 「SongQiongWen」 produced many imitations as a light literature. Thus, it became a classic of prose. This work personifies the author's predicament. It consists of a conversa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predicament, and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the writer accepts the predicament. This is an expressive tradition that originates from 「SongQiongWen」 and leads to imitations of 「SongQiongWen」. Looking at the works of the Joseon Dynasty that inherited The expressive tradition, there are various materials. Furthermore, the works accommodate 「SongQiongWen」 in multiple layers in composition and development. Works imitating 「SongQiongWen」 show various variations beyond acceptance. The first is a periphrastic variation based on self-reflection in the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The second is the ritual variation achieved in combination with the folk customs of Joseon. The third is a variation created by the author's literary competence, a variation on 「SongQiongWen」's expressive tradition. This aspect shows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magnetization of classy by achieving individual variations on the motif andexpressive tradition of 「SongQiongWen」. 본고는 韓愈의 산문을 조선 시대에 어떻게 수용·변주하였는가 하는 점을 살피기 위해서 그의 「送窮文」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자신을 곤궁하게 만드는 窮鬼를 인격화하여 대화체로 구성한 「송궁문」은 戲作으로서 후대 많은 모방작을 낳았던 만큼 산문 전범의 하나였다. 본래 揚雄의 「逐貧賦」를 모방하여 지은 작품으로, 작가가 자신을 곤궁하게 하는 존재를 의인화하여 그들과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 대화 끝에 작가가 자신을 곤궁하게 하는 존재에게 수긍·승복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는 「축빈부」에서부터 이어져 온 표현론적 전통이며, 「송궁문」의 모방작들에게서도 함께 보이는 공통점이다. 이와 같은 표현론적 전통을 계승한 조선 시대 「송궁문」의 모방작을 일별해 보면, 窮鬼뿐만 아니라 瘧鬼, 病鬼, 痘神 등 다양한 소재를 갖고 있으며 특히 졸음인 睡魔를 소재로 한 작품은 하나의 계열을 이룰 만큼 많이 창작되었다. 이들은 「송궁문」에서 구도·전개·표현 등을 수용하기도 하고, 또는 「송궁문」의 존재 자체를 작품의 논리 전개에서 활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송궁문」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데에서만 그치지 않았다. 「송궁문」의 모방작은 전범의 수용을 넘어 저마다의 다양한 변주를 보이는데, 이는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작가 개인이 처한 시련이나 좌절을 동기로 창작한 경우이다. 이러한 작품은 ‘固窮’을 통한 시련의 정신적 극복을 표현한 결과였다. 이는 「송궁문」과 유사하지만, 세상과의 단절 속에서 자기 성찰을 기반으로 개인의 상황을 융화해 내어 우언적 요소의 변주를 이루었다고 할 만하다. 둘째는 작가가 민간 풍속을 접한 경험을 바탕으로 「송궁문」의 모방작을 지은 경우이다. 무엇보다 중국이 아닌 조선의 민간 풍속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그로 인해 풍속과 관련한 작품 창작의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는 점은 「송궁문」에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조선의 민간 풍속과 「송궁문」의 모티프를 결합하여 이룬 제의적 요소의 변주 양상이다. 셋째는 구도·전개의 변용을 통한 다채로운 서사 확장이다. 이는 작가가 처한 상황이나 사회의 풍속과 같이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변주가 형성된 것과는 달리, 작가의 문인으로서의 기질과 문학적 역량에 따라 이루어진 작품 내적 변주로서 「송궁문」 모방작의 표현론적 전통을 일부 변형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상의 양상은 「송궁문」의 모티프와 그 표현론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저마다의 개성적 변주를 이룸으로써 전범에 대한 수용과 자기화의 일면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南圃 金萬英의 散文 연구

        정하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Nampo (南圃) Kim Man-yeoung (金萬英) has been spotlighted as a Neo-Confucianist in academia. In order to attempt to examine Kim Man-yeoung’s literature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s, this paper first focused on his pros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were largely captured. First of all, Kim Man-yeoung had an identity as a ruralist to such an extent that he claimed to be a scholar who studies and a farmer. To express this identity, he created a form of prose called ‘Self-narrative’. In these works, he partially revealed for his life and goal different from the world by setting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virtual characters he had made. In addition, through composition and development similar to Tao Yuan-Ming (陶淵明)’s 「Wuliuxiansheng-zhuan (五柳先生傳)」, the joy of being a ruralist and Zhuangzi (莊子)’s worldview were revealed. He also found a motif in the prose of Han Yu, borrowed Han Yu’s prose development methods and rhetoric, but fused his own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life. He created a unique sense of aesthetics by expressing subjects that would otherwise be serious and banal, such as ‘self-sufficiency (self-sufficiency)’ or ‘seek truth (求道)’ as a rather light comedy. Finally, the diverse application of the Personal Process prose is also a characteristic of the prose. They personified pear, plum, and heart, respectively, and showed completely different writing styles depending on the style. The prose works examined in this paper represent the literary aspect of Kim Man-young.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se works may eventually be close to the character of a Neo-Confucianist, but his literary temperament played a role in expressing the subject. This unique expression of a universal subject is clearly the literary achievement of Kim Man-yeoung’s prose. 南圃 金萬英은 그간 학계에서 도학가의 모습만 조명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 김만영의 문학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우선 그의 산문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 크게 다음 세 가지 특징을 포착할 수 있었다. 먼저, 김만영은 학문을 하는 학자이자 농사를 짓는 농부로 자처하였을 만큼 野夫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정체성을 표명하기 위해 자기서사라는 형식의 산문을 창작하였다. 이들 작품에서 자신이 가탁한 經鉏野夫라는 인물과 客 간의 가상 문답을 설정하여 세상과는 다른 자신의 삶과 지향을 일부 변론하는가 하면, 자전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陶淵明의 「五柳先生傳」과 유사한 구도와 전개로 野翁으로서의 즐거움과 莊子的 세계관을 드러내었다. 또한 그는 韓愈의 산문에서 모티프를 찾고 그 산문의 전개 방식과 수사법 등을 차용하면서도 자기 삶의 도학적 관점을 융화해 내어, ‘自足’이나 ‘求道’와 같이 자칫하면 진지하고 진부할 수 있는 주제를 다소 가볍게 느껴지는 희작으로서 표현하여 독특한 미감을 만들어 내었다. 마지막으로 擬人體 산문의 다채로운 운용 역시 그 산문에서 꼽을 수 있는 특징이다. 각각 배, 매화를 의인화한 假傳과 마음을 의인화한 檄文으로 그 문체에 따라 전혀 다른 글쓰기 양상을 보였다. 심지어 같은 가전 작품에서도 구조와 편폭을 달리함으로써 각기 다른 창작 의도와 특색을 나타냈다. 게다가 격문을 통해 마음을 의인화하는 천군계 작품의 모티프를 새로운 문체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이상 본고에서 다룬 산문 작품들은 김만영의 문장가적 면모를 대변하는 동시에 대부분 세상과 동떨어져 자연 속에서 살고자 했던 그의 도학가적 지향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즉 작품의 주제 의식은 결국 도학가의 성격에 가까울지 모르나 그 주제를 표현한 데에는 그의 문장가적 기질이 작용한 것이다. 이같이 보편적인 주제의 독특한 표현은 분명 김만영 산문의 문학적 성취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바둑 유행에 따른 문학적 변모 양상

        정하정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As Go is rich in history, the literature regarding Go has been created constantly. Whilst scrutinizing the literature regarding Go, a distinctive feature can be found from the literary works in the later Jose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fad of Go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As Go had become a fad and the cultural way of enjoying Go had been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way, the literary works which reflect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began to be created. It is apparent that Han-si(漢詩) takes the dominant part of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Go. Go is usually depicted as a means of amusement enjoyed by hermits or a means of socializing among literati. However, starting from 17C, various kinds of literary genre started to appear. The first noticable attribute is that Disputatious Prose(議論 散文) regarding Go began to be created abundantly. As Go became prevalent and people started to consider Go only as a means of entertainment, diverse arguments had been posed. Some criticized the illness derived from enjoying Go, and the others argued that they conceived the utility of Go by playing Go for themselves. In addition, arguments analyzing the main cause of victory had emerged as well. As Go had became papular in the later Joseon, Guk-su(國手) referring Go players at that time started to appear. Their existence intrigued literati of Joseon. So many literati created Jeon(傳) based on Guk-su, and their anecdotes had been contained in Pil-gi(筆記) and Yadam(野談). Jeon(傳) about Guk-su usually illustrated their duantless manner, their superb skills and their courtesy and respect to the oppenent. On the other hand, Pil-gi(筆記) and Yadam(野談) usually contained the anecdotes which describe their ludicrous behavior or their defeat. This can be analyzed as the distinctive literary trend forged by a fad of Go during the later Joseon. 바둑은 그 연원이 깊은 만큼 이를 소재로 한 문학 역시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바둑 소재 문학을 일별해보면 조선 후기에 돌출된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대 바둑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말하자면, 바둑이 유행하고 그 향유 문화가 기존과 달라지면서 이 문화를 반영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바둑 관련 문학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漢詩이다. 여기에서는 대개 한적한 은일자의 향유 수단이나 교유 수단으로서 바둑이 형상된다. 그런데 17세기에 이르면 바둑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창작된다.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바둑 관련 議論 散文이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즉 바둑이 성행하고 유희성이 강화됨에 따라 바둑 향유 문화의 폐단을 지목하고 경계하는 논의들이 제기되는 한편, 자신의 바둑 경험을 통해 그 효용을 자각했다는 논의들도 함께 대두되었다. 이 외에도 國手에 주목하여 그들이 승리하는 이유를 분석하는 논의도 출현하였다. 이와 아울러 주목되는 부분은 국수를 제재로 한 문학 작품이 다수 창작된 점이다. 조선 후기 바둑의 유행에 힘입어 등장한 국수는 오늘날의 바둑 기사와 유사한 존재였다. 그들은 조선 문인들에게 흥미로운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리하여 많은 조선 문인들은 그들을 제재로 傳을 창작하였고, 그들의 일화는 筆記․野談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그중 전에서는 승부의 세계에서 견지한 의연한 자세, 전투를 연상시킬 만큼 적을 압도하는 실력과 자부심, 상대를 인정하고 예우하는 협사의 풍모 등이 부각되어 국수를 형상하였다. 그런가 하면 필기․야담에서는 허구성이 보다 강화되면서 국수에 대한 해학적 형상과 아울러 그들의 패배담을 전하였다. 이들은 바둑 관련 의론과 함께 바둑 유행 문화가 빚어낸 조선 후기의 문학적 현상으로, 조선 전기와는 차별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한민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관한 비판적 연구

        정하정 한국무역경영학회 2019 한국무역경영연구 Vol.0 No.18

        Export control, of which original objective is international safety and peace keeping, has been utilized for the respective nations’ interest. Japan’s export restriction measures against South Korea, accusing Korean catch-all system is defective, deleting South Korea from White Country list, and forbidding comprehensive export license with regards to 3 specific items, is in line with the trend above. The study, aiming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in order not only to understand the measures correctly, but to respond properly, analyzed the measure’s illogicality from the export contro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hange in licensing type to individual for 3 specific items and the allegation that Korean catch-all is defective. Th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nd Japan, as a cooperative partner to achieve the goal of export control, to improve its national export control system. 최근 들어 수출통제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라는 추상적인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개별 국가의 이익을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한국의 제도적 미비를 지적하며 한국을 수출통제 우대국가에서 제외함과 동시에 특정 품목에 대해 포괄허가를 인정하지 않는 금번 일본의 對韓 수출통제 강화 조치는 이러한 맥락으로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당해 조치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대응해 나가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특정 3품목에 대한 개별허가 전환이라는 조치가 수출통제 측면에서 불합리함을 지적하는 한편, 한국의 캐치올 제도 미비라는 일본의 주장 역시 문제의 소지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수출통제의 국제적 이행 확산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 파트너인 한일 양국이 본 연구를통해 보다 내실 있는 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洪晉猷의 필기 저작 『終南漫錄』 연구

        정하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4 No.-

        洪晉猷의 필기 저작 『終南漫錄』은 그간 학계에서 연구된 적 없는 새로운 자료이다. 본고는 그러한 자료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종남만록』을 개관하고 그 내용의 핵심적인 부분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남만록』은 1718년(숙종44)에서 1720년(경종 즉위년)까지의 짧은 기간 내 저자의 견문을 바탕으로 한 기록으로, 다양한 필기의 하위 유형을 갖추고 있다. 권1에서는 주로 사적 영역의 견문을, 권2에서는 공적 영역의 당대 정치 현안을 담고 있다. 이로 볼 때 『종남만록』은 현재성과 사실성에 기반한 公私의 영역을 아우르는 필기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종남만록』의 주된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時流에 휩쓸리는 世態를 향한 비판’, ‘移葬으로 인한 風水地理에 대한 관심’, ‘黨爭과 거리를 두는 자세의 견지’이다. 첫 번째, ‘時流에 휩쓸리는 世態를 향한 비판’은 풍습의 연원과 의미를 파악하지 않은 채 유행만 좇거나, 벼슬을 통해 입신양명하려다 자신의 지조를 잃거나, 시류에 휩쓸려 자신의 주견 없이 행동하는 세태를 비판하는 일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필기 저작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보편적인 면모지만, 『종남만록』의 여러 기사들에게서 확인되는바, 중심 내용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移葬으로 인한 風水地理에 대한 관심’은 『종남만록』에서 보이는 다수의 移葬 관련 일화와 異人 일화에서 확인된다. 이는 『종남만록』 집필 당시 홍진유가 집안 묘소의 이장을 준비하던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자신의 집안이 정한 묘 터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자 풍수지리에 해박한 인물을 필요로 하였고 그러한 인물의 일화를 듣고서 만나보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였다. 그만큼 선조의 묘소를 명당으로 이전하고자 한 염원이 강했던 것인데, 이는 묘터를 두고 다른 집안 간의 갈등을 겪은 일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일화들은 당시 홍진유의 개인적인 관심사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가문 의식의 강화로 인해 가문의 위상을 정립하는 활동이 활발해져 갔던 18세기의 시대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 번째, ‘黨爭과 거리를 두는 자세의 견지’는 대부분 권2의 기록에서 나타난다. 이는 예비 관원으로서 알게 된 정치 현안에 대해 자신만의 견해를 정립하고, 당시 상대당을 공격하려고만 하는 붕당 정치의 풍조를 비판적으로 보고자 했던 홍진유의 모습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점은 성균관 유생으로서 당쟁에 직접적으로 개입되지 않았던 당시 그의 상황과 아울러, 노론의 온건파로서 활동하였던 부친의 배경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종남만록』은 필기 저작이라면 으레 예상되는 보편적인 면모는 물론이고, 18세기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爲先事業에서 비롯된 사회 갈등 및 상대당과의 공존을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극심하게 대립했던 노소의 당쟁을 홍진유라는 프리즘을 통해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부분이야말로 홍진유의 개인 문집이 확인되지 않는 상황에서 『종남만록』을 주목하게 하는 점이다. ‘Jongnam Manrok(終南漫錄)‘, written by Hong Jin-You(洪晉猷), has never been studied in the academia before. This study aims to overview 'Jongnam Manrok' and investigate the main themes of the book. 'Jongnam Manrok' is a record of a short period from 1718(King Sukjong’s region) to 1720(King Gyeongjong’s region). ‘Jongnam Manrok’ contains various types of Pilgi(筆記), and mostl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author Hong Jin-You at the time. 'Jongnam Manrok' has three main themes; ‘Social criticism’, ‘The desire to find a good graveyard(明堂)’, and ‘Distancing from the party strife(黨爭)’. The first theme is revealed from criticizing behavior that seeks personal gain, loses one’s principle and belief or jumps on the bandwagon. Many other Pilgi(筆記) also deal with the theme of social criticism. Yet, this theme appears frequently in ‘Jongnam Manrok’, which makes it one of the main themes of the book. Anecdotes of moving graves and eccentrics show its second theme, ‘The desire to find a good graveyard(明堂)’. It derives from the background of Hong Jin-you preparing to move the graves of his family, while writing 'Jongnam Manrok'. As he prepared to move the graves, he needed a person who had deep knowledge in feng shui. When he heard the anecdotes of such a person, he regretted not being able to find such a person. He also recorded anecdotes of conflicts with other families over the same graveyard. This reflects the author's personal interests as well as the aspects of the 18th century society where one’s life was oriented for ancestors and family. Distancing from the party strife(黨爭) can be found mainly in the records from Volume 2. In this respect, it can be analyzed that Hong Jin-you established his own views on political issues, and took a critical view on the Bungdang(朋黨) politics at that time. This attributes to his attitude and family tradition that was not engulfed in the strife. In summary, ‘Jongnam Manrok’ captures the aspects of the family-centered society and the Bungdang(朋黨) politics in the 18th century through a prism called Hong Jin-you. In this regard, the true value of 'Jongnam Manrok’ distinctive from other Pilgi(筆記) works can be found.

      • KCI등재

        林象元의 산문 연구 - 정치적 행적과 관련한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

        정하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영조대에 ‘八文章’으로 지목되었던 林象元은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산문 작가이다. 그가 남긴 산문을 일별해보면, 그의 정치적 행적과 관련한 몇 가지 주제 의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본고는 이러한 주제 의식에 착목하여 그의 문학 실체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그의 「年譜」와 함께 각종 사료에서 발견되는 그의 자취를 추적하여 생애를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산문의 주제 의식 및 특징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그의 생애를 살펴본 결과 그의 삶은 영조대 치열했던 노소간의 당쟁 속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잦은 논란과 이로 인한 삭출은 그가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었다. 하 지만 그는 끝내 조정을 떠나려 하지 않았다. 이러한 삶의 모습과 관련하여 산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 주제 의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불우한 처지에 초연한 삶의 지향, 둘째, 신하로서의 경세 책무 의식, 셋째, 붕당 타파를 위한 군주의 권력 강조이다. 이러한 주제 의식은 다수의 산문에서 뚜렷하게 보이는 동시에 그가 놓인 정치 현실과 맞닿아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각의 주제 의식은 문학적으로 구현되어 독특한 산문 작품을 낳는 동력이 되었다.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out mentioning Lim Sang-won, known as one of the eight great wri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Yongjo. In his works, several themes related to the political climate he faced can be found. In the light of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ce of Lim Sang-won’s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historical records to reconstruct his life and extract the topics and the attributes of his proses. It is suggested is life is aligned with the fierce political dispute between the Noron party and the Soron party. Frequent controversy and the resulting deportation were a reality he had to endure. Yet, he refused to relinquish his political life. As a result, Three themes are implicated in his proses. First, he was never dispirited by his hardship. Second, he underlined the duty as a servant to serve his King and govern the country. Finally, he also emphasized the empowerment of the King to abolish the conflict among the political parties. These themes are cleary recognizable in his works, which attributes to the political atmosphere around him. These themes also functioned as an impetus to create unique prose works of hi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