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포화 기를 함유하는 미생물 폴리에스터의 반응

        정택규,김영백,임굉,조성준,윤인권,Jung, Taek-Kyu,Kim, Young-Baek,Yim, Going,Cho, Sung-Joon,Youn, In-Kwon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1998 공학논문집 Vol.3 No.1

        곁가지에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탄소-탄소 삼중결합을 포함한 미생물 폴리($\beta$-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 실리콘 화합물과 브롬의 첨가반응을 수행하였다. IR spectrometer와 DSC를 이용하여 생성된 고분자를 분석한 결과, 실리콘 화합물이 첨가된 고분자는 결정성이 증가하였으며, 브롬이 첨가된 고분자는 유리전이 온도가 올라갔다. 브롬의 탄소-탄소 이중결함과 탄소-탄소 삼중결합에 대한 반응속도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beta$-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 코발트 화합물을 반응시킨 결과, 착물을 형성하여 가교반응이 일어났다. Hydrosilylation and vromination of vacterial poly($\beta$-Hydroxyalkanoates) containing carbon-carbon double bond or triple bond were carried out. The produc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IR-spectroscopy and differential scnning calorimetry. Hydrosilylat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crystallinity while brominated polymers had lower degree of crystallinity with increas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Mixing polymers containing carbon-carbon triple bonds with Co(II) AND Pt(II) resulted crosslinked polymers.

      • KCI등재

        저온 감열 특성을 가지는 Comb-Type Grafted Polymer Hydrogels의 합성 및 특성평가

        정택규,김승수,신병철,Taek Kyu Jung,Sung Soo Kim,Byung Cheol Shin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1

        생물학적 의약품, 식품 등과 같이 저온 유통 체계(cold chain)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제품 용기에 부착하여 보관 온도 이상에 노출될 경우 비가역적인 변화를 일으켜 고온 노출여부를 검지 할 수 있는 라벨의 소재로소 poly(N-isopropylacrylamide-co-t-butylacrylamide) [p(NIPAAm-co-t-BAM)]수화겔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NIPAAm-co-t-BAM)수화겔은 cold chain 온도인 8$^{\circ}$C 이하에서 온도 민감성을 갖도록 t-BAM양을 조절하여 레독스 중합반응을 통하여 저온 (4$^{\circ}$C)합성하였고, 또한 oli해(NIPAAm-co-t-BAM) 공중합체를 그라프트하여 빗살 구조를 가지는 가교수화겔을 제조함으로써 수화겔의 수축 팽윤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합성 된 수화겔의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s(LCSTs)는 흐림 점 측정법과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NIPAAm 단량체와 빗살형태의 t-BAM 공중합체의 조성비가 가교제의 양에 따라 수화겔의 수축과 팽윤 거동을 관찰하였다.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t-BAM의 조성비율에 따라 8$^{\circ}$C 이하 저온에서 수화겔의 LCST조절이 가능하며, 빗살 형태로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의 조성비에 따라 수축-팽윤율 및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comb-type grafted polymer hydrogels, which composed of N-isopropylacrylamide monomer and oligo(N-isopropylacrylamide-co-tert-butylacrylamide) [oligo(NIPAAm-co-t-BAM)], were synthesized by redox polymerization in 5~10% methanol aqueous solution using ammonium peroxodisulfate (APS) at 4 oC for 24h.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s (LCSTs) of the comb-type grafted hydrogels were decreased with increase of t-BAM content in the grafted copolymer. We observed the effect of crosslinker and concentration of oligo(NIPAAm-co-t-BAM) on the shrinking/swelling ratio of hydrogels. Changes of shrinking/swelling ratio were decreased with increase of concentration of crosslinker. The increase of grafted oligo(NIPAAm-co-t-BAM) in the hydrogel shows an fast changes of shrinking/ swelling rate. The comb-type grafted hydrogel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the sensing materials of time-temperature labels(TTLs).

      • KCI등재

        유화제로서 PEG-PPG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Poly(DL-Lactide-co-Glycolide) 나노입자: 제조 및 지용성 약물의 로딩

        정택규,김승수,신병철,Taek Kyu Jung,Sung Soo Kim,Byung Cheol Shin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인 용매 확산 방법 (emulsification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poly (DL-lactide-co-glycolide) (PLG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지용성 vitamin A (Retinol)와 Vitamin E acetate를 담지하였다. 고분자 용액은 물에 잘 혼합되는 유기 용매인 에탄올과 아세톤의 이종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유화제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polyethyleneglycol-polypropyleneglycol diblock copolymer를 사용하였다. 고분자의 농도, 유화제의 농도, 물/오일상의 비, 고분자/약물의 비 등의 인자들이 나노입자의 형성과 약물의 담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활성 성분이 로딩된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입자의 크기와 분포도는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담지 효율은 UV-visibl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는 50-200 nm의 크기와 단분산 형태의 크기분포를 보였으며 담지 효율은 50-60%까지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유기상과 수용액상에서 이종 혼합 용매와 고분자의 농도에 대한 적당한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PLGA 나노입자의 높은 수율과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poly(DL-lactide-co-glycolide) nanoparticles loaded with water-insoluble vitamins such as vitamin A (Retinol) and vitamin E acetate were prepared by the emulsification diffusion method.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the two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ethanol and acetone. Because of its biocompatible property, polyethyleneglycol-polypropyleneglycol diblock copolymer was used as surfactant and stabilizer. The influence of some preparative variables on the nanoparticle formation and on the loading efficiency of active agents, such as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stabilizing agent, the stirring methods, the water/oil phase ratio and the polymer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ntrol and optimize the process. After preparation of nanoparticles loaded with active agent,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ere evaluated by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 analyzer. The loading efficiency of active agents was evaluated by the UV-visible spectroscopy. As the results, particle size were 50-200 nm and dispersibility was monodisperse. The optimum loading efficiency of active agents was observed 50-60%.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of selections of binary solvent mixtures and polymeric concentrations in both organic and aqueous phases could provide good yield and favorable physical properties of PLGA nanoparticles.

      • KCI등재후보

        신규 자외선차단제인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안정성 평가

        정택규 ( Taek Kyu Jung ),김영백 ( Young Back Kim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3

        신규 자외선차단제로 개발된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유기-무기 혼성 구조의 고분자 입자로, 본 연구진은 이미 신규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제조방법, 물리적 특성 및 자외선차단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유기 자외선차단제인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와 동일한 기능기를 갖는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화학적 특성과 자외선에 대한 광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자외선 흡광도와 형광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안정화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광화학적으로 EHMC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octocrylene, ethylhexyl methoxycrylene 및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이 우수한 광안정화제로 확인되었다. The new sunscreen agent,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is manufactured as polymeric particles with an organic/inorganic hybrid composition. We have already reported the manufacturing method, physical properties, and sunprotection effects of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hotochemical properties and photostabilities of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that has the same functional group as a typical organic sunscreen agent,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 Using the correlation of UV absorbance and fluorescence, we studied photostabilizers to enhance the photostability of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Finally, we confirmed that octocrylene, ethylhexyl methoxycrylene, and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were good photostabilizers for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 KCI등재후보

        신규 자외선차단제로서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폴리실세스퀴옥산의 in vitro SPF 평가 및 화장품에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정택규 ( Taek Kyu Jung ),김영백 ( Young Back Kim ),윤태진 ( Tae-jin Yoon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1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6 No.1

        기존의 유기계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대한 자극과 투과의 문제,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백탁현상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보다 효과적인 자외선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유기/무기 복합구조의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진은 새로운 자외선차단제인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폴리실세스퀴옥산의 제조와 그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신규 자외선차단제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과 향상된 자외선차단 효과 및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외선차단제의 구조분석은 TGA, solid state NMR, 원소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자외선차단지수는 5 wt%를 포함하는 제형을 평가하였을 때, 6.0 정도의 수치를 보였다. 또한, 기존의 유기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혼합적용 시, 자외선차단효과에 대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S 유형의 화장료 제형에서 우수한 적용성을 보였다. UV-screening agents have some adverse effects that raise consumers' concern. The organic agents often cause irritation and may penetrate into human body while the inorganic agents raise aesthetic issues because they often turn opaque. Organic agents with high molecular weights and nano-sized inorganic agents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to minimize transdermal intrusion into human body and suppress turning opaque. Recently, we reported preparation of powdery UV-screening agents made of polysilsesquioxane,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Powders would not penetrate into epidermis and organic-inorganic hybrid nature would suppress the opaqueness problem. In this study, we continued our research on this powdery polysilsesquioxane UV-screening agent, SESQUV, regarding its chemical composition, its synergic UV-screening effects when mixed with other organic agents, and its applicability in practical formulation. Results showed SESQUV was promising UV-screening agents useful in sunscreen formulation.

      • KCI등재

        황기추출물의 보습 및 항산화 효과

        정택규 ( Taek Kyu Jung ),김미진 ( Mi Jin Kim ),임경란 ( Kyung Ran Urn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3

        화장품 원료로서 황기추출물을 산지 및 추출방법에 따라서 추출한 후, 보습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시험하였다. 황기는 산지별로서 제천산, 정선산, 영주산, 태백산 및 중국산 1년 근을 사용하였다. 황기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한 지표성분으로서 선정한 formononetin을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로서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에 75% 에탄을 수용액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한 황기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75% 에탄을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는 50% 소거효율에 대한 농도(IC<sub>50</sub>)가 2.162 mg/mL이었으며,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는 IC<sub>50</sub> 값이 2.981 mg/mL로 나타났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제니스테인과 유사한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황기추출물의 보습효과는 제천산 황기추출물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초음파추출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isturizing and anti-oxid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Astragali Radix) root extract with respective to growing districts and extract methods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cosmetic ingredients. Astragalii Radix was collected in Jecheon, Jeongseon, Taebaek, and Yeongju in Korea and China as growing districts. Formononetin was determinated by HPLC method as one of the various active agents in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The 75% ethanol extract demonstra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H₂O-extracted one for a scavenging activities to DPPH radicals and reactive oxygens. The 75% ethanol extract showed IC<sub>50</sub> (50% scavenging concentration) of 2.162 mg/mL and 2.981 mg/mL in case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and re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test, respectively Especiall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soflavonoids isolated from ethylacetate fraction was similar to scavenging activity of genistein.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of Jecheon district by sonicating extraction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skin hydration compared with others.

      • KCI등재

        미백 및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Poly(me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구의 제조와 평가

        정택규 ( Taek Kyu Jung ),임미선 ( Mi Sun Lim ),김영백 ( Young Back Kim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1

        최근에 고분자, 지질 또는 그 밖의 여러 소재를 이용한 캡슐화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 및 방출 제어를 목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주요한 기능성 성분들을 캡슐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방법으로써, methylmethacrylate (MMA)와 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TMPMA)로 구성된 MMA-TMPMA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Poly(MMA-co-TMPMA)로 제조된 구는 속이 빈 형태의 미립구이며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유도체나 유용성감초추출물과 같은 기능성 성분들을 core 성분으로 캡슐화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제조된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 평균 입도는 0.1~10 μm, 기능성 성분의 로딩 함량은 15~25%이며 로딩 수율은 90% 이상이었다.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는 캡슐 자체에 의한 안정화 외에 미립구 표면에 자외선차단 silane 전구체를 도입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다. 기능성 성분에 대한 광안정성은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함유된 poly(MMA-co-TMPMA) 미립구의 경우,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도입되지 않은 미립구에 비해 25%정도 더 항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encapsulation studies have been tarried out to protect active agents using shell materials such as polymers, lipids, inorganic materials and the other protective materials. We have prepared copolymers of methylmethacrylate (MMA) and 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TMPMA), and the copolymers as shell materials were used for encapsulating active agents. Poly(MMA-co-TMPMA) spheres were very efficient for encapsulating active agents such as vitamin derivatives (such as retinol, retinyl palmitate, tocopheryl acetate and ascorbyl tetraisopalmitate) and oil soluble licorice extract etc. Mean diameters of poly(MMA-co-TMPMA) core-shell spheres containing active agents varied between about 0.1 to 10㎛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loading amount of encapsulating active agents was 15 to 25% (w/w) and the loading yield was above 90%. The stability of active agents in poly(MMA-co-TMPMA) core-shell spheres prepared with an UV absorbing precursor increased by 25% compared with that of active agents in spheres prepared without an UV absorbing precursor.

      • KCI등재

        Poly(DL-lactide-co-glycolide) 나노입자의 표면 수식

        오유미,정택규,지상철,신병철,Oh, Yu-Mi,Jung, Taek-Kyu,Chi, Sang-Cheol,Shin, Byung-Cheol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co-glycolide)(PLGA)를 자발적 유화용매 확산(spontaneous emulsification solvent diffusion, SESD)법을 이용하여 표면이 양이온으로 수식된 나노입자로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분자 용액은 에탄올과 아세톤의 이종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고, 유화제는 양이온성 유화제인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CTAC),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TTAB)와 비이온성 유화제인 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 공중합체(Lutrol F68)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입자에 결합한 백신은 인플루엔자($H_3N_2,\;H_1N_1$, B strain)이었고 입자에 대한 백신의 코팅 양은 NHS-fluorescein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양이온성과 비이온성 유화제가 표면에 수식된 입자의 크기는 160-180 nm와 80-90 nm이었고 제타포텐셜은 $50{\sim}60$ mV, -10 mV이었다. 백신 코팅 후 입자의 크기는 양이온성이 380-400 nm, 비이온성은 별다른 크기 변화가 없었다. 양이온이 수식된 입자에 코팅된 백신의 양은 22.73 ${\mu}g$/mg이었다. We studied on preparation of nanoparticles modified surface using biodegradable polymer,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Two kinds of PLG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 spontaneous emulsification solvent diffusion (SESD) method using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 and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 as a cationic surfactant and 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 copolymer (Lutrol F68) as a nonionic surfactant. Model protein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by the ionic complexation. The model protein was that influenza vaccine ($H_3N_2,\;H_1N_1$, B strain) labeled with NHS-fluorescein. The sizes of cationic nanoparticles were 140-160 nm and the surface charges were 50-60 mV. The sizes of nonionic nanoprticles were 80-90 nm and the surface charge was -10 mV. After coating vaccine on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the sizes of cationic nanoparticles were increased to 380-400 nm and the size of nonionic nanoparticles was not increased. The amount of coated vaccine on the cationic nanoparticles was 22.73 ${\mu}g$/mg.

      • KCI등재후보

        PEG-free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Nanoemulsion의 안정화

        김희주,정택규,김자영,윤경섭,Kim, Huiju,Jung, Taek Kyu,Kim, Ja Young,Yoon, Kyung-Sup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은 계면활성제, 세정제, 유화제 등으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된다. 이들은 제조 과정 중, ethylene oxide의 이량체화에 의해 인간에 몸에 유해한 1,4-dioxane이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 화장품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퍼스널케어 시장에서 PEG 성분이 없는 보다 안전한 에멀젼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PEG-free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polyglycerol ester (PGE)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식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하여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PEG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나노에멀젼 제형의 개발 및 안정화를 목표로 하였다. 최적화된 나노에멀젼 제형 개발을 위해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수 및 변수의 범위 결정을 위한 예비 실험의 결과로 계면활성제 함량(2~4%), 오일 함량(4~8%), 폴리올 함량(12~24%)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반응변수로는 제형의 입자 크기(particle size), 제타 전위(zeta potential), 현탁도(turbidity),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였다. 제조한 나노에멀젼을 FIB (Focused ion beam)로 측정한 결과, 구형의 입자들이 100~200 nm의 크기를 가지고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제형에 대해 30일 간 각 온도별($4^{\circ}C$, $25^{\circ}C$, $45^{\circ}C$)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최적의 입자 크기, 현탁도, 다분산지수, 제타 전위를 고려한 최적의 처방은 계면활성제(2%), 오일(8%), 폴리올(24%)로 확인되었다. Polyethylene glycol (PEG) is widely used in cosmetics as a surfactant, detergent and emulsifi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1,4-dioxane, which is toxic to humans, can be produced as a by-product by dimerization of ethylene oxide. As consumers' interest in cosmetic ingredients has increased, the need for safe emulsion research without PEG ingredients in the personal care market h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sumer interest in cosmetic ingredients, the need for safer emulsion research without the PEG ingredient in the personal care market has increased.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nd stabilize nanoemulsion formulation without PE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develop optimized nanoemulsion formulations. Surfactant content (2~4%), oil content (4~8%) and polyol content (12~24%)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preliminary experiments for determin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ranges. The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turbidity, and polydispersity index of the formulation were measured as response variables.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prepared nanoemulsion by FIB (Focused ion beam), spherical particles were found to have a size distribution of 100 to 200 nm. The stability of each formulation was evaluated for 30 days at each temperature ($4^{\circ}C$, $25^{\circ}C$, and $45^{\circ}C$). The optimal formulation considering the optimum particle size, turbidity, polydispersity index and zeta potential was found to be surfactant (2%), oil (8%) and polyol (24%).

      • KCI등재

        In vitro Screening of Jeju Island Plants for Cosmetic Ingredients

        김미진,정택규,김무한,윤경섭,Kim, Mi Jin,Jung, Taek Kyu,Kim, Moo-Han,Yoon, Kyung-Sup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 2018 KSBB Journal Vol.33 No.2

        To identify new active cosmetic ingredients of natural origin, we screen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50 different kinds of plants from Jeju Island, the southernmost island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nitric oxide, and melanin production,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Eight plants, Viburnum erosum Thunb.,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Sageretia theezans Brongn., Sorbus alnifolia var. hirtella T. Lee, Staphylea bumalda DC., Pourthicea villosa var. brunnea Nak., Illicium religiosum S. et Z.,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were potent inhibitors of elastase (over 80% inhibition at 1 mg/mL).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ara ($IC_{50}$: $13.99{\mu}g/mL$), Sapium sebiferum (L.) ROXB. ($IC_{50}$: $14.27{\mu}g/mL$),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IC_{50}$: $16.46{\mu}g/mL$) showed good antioxidant effects. Eurya japonica Thunb., Quercus myrsinaefolia Bl., Caesalpinia decapetala var. japonica (S. et Z.) Ohashi,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and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dose-dependently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on RAW 264.7 cells (at $50-200{\mu}g/mL$). Furthermore,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ara, Ilex integra Thunb., and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 Kuntze dose-dependently inhibited ${\alpha}-MSH$ stimulated melanin synthesis on B16 F10 cells (at $25-100{\mu}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Jeju Island plants possess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and may be potent anti-aging, anti-inflammatory, skin-whitening, and anti-oxidative ingredients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