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지역 일부 고등학생들의 가공식품 사용실태와 인식

        정정은(Chung, Jung Eun),윤진숙(Yoon, Jin Sook)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5 科學論集 Vol.41 No.-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ir preference among 33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preferences for the processed food was highest for the ‘coffee & sports drinks’ and the average score of female studen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p<0.05). The group with high dietary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high preference for "dairy products" for the processed foods. Those who have low dietary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for sweets such as ‘ice cream, candy and chocolate’. Female students put higher emphasis on ‘food’ and ‘expiration date’ for processed foods than male students. The group with higher dietary behavior score gives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nutrition’ when selecting the processed foods. In general, consciousness on processed food was negative. Our results indicated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focus on selecting clean and nutritious products rather than taste, consuming proper amounts, and avoiding junk foods.

      • KCI등재

        자궁동정맥 기형 1 예

        현우(Hyun Woo Jung),이현주(Hyun Ju Lee),신현찬(Hyun Chan Shin),철권(Chul Gyun Jung),정정은(Jung Eun Chung),기성(Ki Sung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6

        Arteriovenous malformation of uterus is a rare disease in gynecology, and its etiology, diagnosis, classification is not definitely established. We have experienced a patient, 22-year-old woman with a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presenting with vaginal bleeding, no other symptom. Diagnosis was established by pelvic ultrasonography and angiography, and the treatment was done by embolization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 of uterus. We report a case of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홍로’ 사과 과피 및 과육의 단백질체 비교 분석

        정정성(Jung-Sung Chung),최성환(Sung Hwan Choi),김재호(Jae Ho Kim),심수용(Soo Yong Shim),모크 아드난(Moch R. Adnan),장은실(Eun-Sil Chang),손영걸(Young-Geol Sohn),김윤희(Yun-Hee Kim),김진국(Jin Gook Kim),이증주(Jeung Joo Lee) 한국원예학회 2021 원예과학기술지 Vol.39 No.2

        국내 육종 사과 품종인 ‘홍로’의 과피와 과육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체를 추출하여 이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단백질들은 과피와 과육에서 유사한 정도로 발현되었으나, 30개의 단백질 spot들은 과피 또는 과육에서의 발현 정도가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들 중 25개는 과피에서, 5개는 과육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이들 단백질들을 MALDI-TOF/TOF로 분석한 결과, 과피에서 더 높게 발현된 단백질 spot들 중 18개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단백질로 동정 되었고, 나머지 7개는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동정되었거나 미동정 되었다. 과육에서 더 높게 발현된 단백질 spot들의 경우 2개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단백질로 동정 되었고, 나머지 3개는 미동정 되었다. 과피에서 더 높게 발현된 단백질은 에틸렌의 생합성과 관련된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homolog(spot 21번),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과 관련된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spot 148),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like(spot 316) 및 8-hydroxygeraniol dehydrogenase-like(spot 348), 광합성과 관련된 oxygen-evolving enhancer protein 1, chloroplastic(spot 210) 및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large subunit(spot 273), 생체방어 및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neomenthol dehydrogenase-like(spot 216 및 219), form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spot 305), glutathione S-transferase-like(spot 483 및 484) 및 acidic endochitinase SE 2-like, partial(spot 391 및 392), 항산화효소인 L-ascorbate peroxidase 2(spot 221), 알레르기 관련 단백질인 MLP-like protein 34(spot 406), major allergen Mal d 1(spot 451 및 452) 및 major allergen Mal d 1.06A01(spot 457)이었다. 한편 과육에서 더 높게 발현된 단백질은 protein folding과 관련된 chaperonin 60 subunit alpha 1, chloroplastic(spot 8) 및 탄수화물 대사와 관련된 NADP-dependent D-sorbitol-6-phosphate dehydrogenase(spot 380)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사과의 육종, 저장, 품질, 환경에 대한 내성 등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roteome expressed in the peel and flesh of ‘Hongro’, a domestic breeding apple cultivar, was extracted and separa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Most of the proteins were expressed at similar levels in the peel and flesh, but 30 protein spots showed a difference of more than two times higher in expression level in the peel and flesh. Of these, 25 were higher in the peel and 5 were higher in the flesh. By analyzing these proteins with MALDI-TOF/TOF, 18 of the protein spots that were higher in the peel were identified as proteins with their respective functions, and the remaining 7 were identified as having unknown function or were un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protein spots expressed higher in the flesh, two were identified as proteins having respective functions, and the other three were unidentified. Proteins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eel were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homolog (spot 21)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ethylene; acetyl-CoA acetyltransferase (spot 148), cytosolic 1,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like (spot 316) and 8-hydroxygeraniol dehydrogenase-like (spot 348)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oxygen-evolving enhancer protein 1, chloroplastic (spot 210), and ribulose-1, 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large subunit (spot 273) related to the photosynthesis;(+)-neomenthol dehydrogenase-like (spot 216 and 219), form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spot 305), glutathione S-transferase-like (spot 483 and 484), and acidic endochitinase SE 2-like, partial (spot 391 and 392) related to the biological defense and stress response; and antioxidant enzyme L-ascorbate peroxidase 2 (spot 221), MLP-like protein 34 (spot 406), major allergen Mal d 1 (spot 451 and 452), and major allergen Mal d 1.06A01 (spot 457) related to allergies. On the other hand, proteins that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flesh were chaperonin 60 subunit alpha 1, chloroplastic (spot 8) related to protein folding, and NADP-dependent D-sorbitol-6-phosphate dehydrogenase (spot 380) related to carbohydrate metabolism.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a wide range of studies related to apple breeding, storage, quality, and environmental tolerance.

      • SCIESCOPUSKCI등재

        건강인에서 소장의 감각능과 팽창도에 대한 선택적 5-HT4 수용체 부분 작용제 tegaserod의 효과

        정정조 ( Jeong Jo Jeong ),최명규 ( Myung Gyu Choi ),조유경 ( Yu Kyung Cho ),전은 ( Eun Jung Jun ),조영석 ( Young Seok Cho ),우철 ( Woo Chul Chung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우 ( Sang Woo Kim ),최상욱 ( Sang Wook Choi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위장관의 내장 감각능 이상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중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장관의 감각을 지각하는 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세로토닌은 위장관의 운동과 감각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는 5-hydroxytryptamine-4 (5-HT4) 수용체 부분 작용제인 tegaserod가 건강인에서 소장의 감각능과 팽창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 지원자 16명을 대상으로 위약이나 tegaserod (6 mg 하루 2회) 두가지 약물중 한 약제를 단일 맹검, 무작위 순서로 3일간 전투약한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십이지장 3부에 최대 용적 120 mL의 풍선이 부착된 검사관을 위치시킨 후 바로스타트에 연결하여 소장의 팽창도 및 소장의 감각능을 평가하였다. 풍선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최초 인지 용적(처음으로 감각을 느끼는 용적), 최대 인내 용적(불편감/통증으로 참기 힘들때의 용적)을 기록하고 압력 변화를 관찰하여 소장 팽창도를 계산하였다. 소장 감각능은 20 mL, 40 mL, 60 mL의 3가지 팽창 자극을 무작위 순으로 3회씩 주어 피험자가 느끼는 감각을 시각적 선형척도에 기록하게 하여 평가하였다. 고칼로리 유동식인 엔슈어를 지속적으로 소장에 주입하면서 다시 무작위 순서로 3가지의 팽창자극을 주면서 피험자의 감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Tegaserod 투여군의 소장 팽창도는 2.59±0.74 mL/mmHg로 위약 투여군의 소장 팽창도 2.25±0.42mL/mmHg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egaserod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사이에 최초 인지 용적의 차이는 없었지만 최대 인내 용적은 tegaserod 투여군에서 55.7±12.9 mL로 위약투여군 41.7±7.3 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20,40, 60 mL의 팽창자극을 하였을 때 오심, 팽만감, 불편감/통증 및 총 감각 지수는 tegaserod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유동식을 주입하면서 팽창자극을 주었을때에도 두 군간에 팽창 자극에 대한 감각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Tegaserod군과 위약군 사이에 빠른 위상성 팽창 자극에 대한 감각의 차이는 없었으나 단계적 팽창 자극에 대한 최대 인내 용적이 tegaserod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tegaserod가 소장의 감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Backgr ound/Aims: Disturbances in visceral perception contribute to postprandial symptom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However, the mechanism of perceiving sensation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Our aim in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egaserod on compliance and visceral perception in the proximal small intestine. Methods: Sixteen healthy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bjects underwent single blinded randomization to either a placebo group or a regimen group of 3-day pretreatment with tegaserod (6 mg bid). Thirty minutes after the insertion of a balloon-equipped, double-lumen tube into the duodenum, we sequentially measured the compliance and maximal tolerable volume to stepwise balloon distension. The maximum volume of the balloon was 120 mL, and an electronic barostat was used to maintain a constant volume within the balloon. Sensory function was assessed by grading accompanying symptoms of nausea, fullness, and abdominal discomfort/pain during random-ordered isovolumetric ditension of the balloon at volumes of 20 mL, 40 mL, and 60 mL. We made additional assessments on sensory function by slightly modifying the above method of randomized balloon distension to include continuous infusion of liquid meal into the tub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between the two groups. Maximal tolerable volum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egaserod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55.7±12.9 mL vs. 41.7±7.3 mL, p<0.05). Perceived sensation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during random ordered rapid phasic distension (20, 40, 60 mL) did not reve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egaserod had no effect on perceived sensation during rapid phasic distension, but it did increase the maximal tolerable volume during stepwise disten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gaserod reduces the sensitivity to small bowel distension in healthy subject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35-42)

      • KCI등재

        고등학교 화학 I 과정 “물” 단원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백성혜,이은준,김정수,송영욱,김용진,정정,한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학교 교육에서 평가는 교육목표 달성 확인 및 교수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높은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학업성취도 문항은 수업목표에 비추어 적절하고 학습한 내용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평가 문항의 타당도는매우 중요한 반면, 실제 학교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화학 과목의 평가 문항들이 어느 정도 내용타당도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는화학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이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내용 타당도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개발된 동일한 화학Ⅰ 교과서를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5개 학교의 ‘물’ 단원에 대한 1학기 중간고사 평가문항이었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한 과정은 첫째,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에서 34개의 수업목표를 내용차원과 행동차원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둘째, 5개 고등학교의 평가문항에서 121개의 평가문항을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셋째, 행동차원과 내용차원별로 각각 수업목표와 평가목표의 비율차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5개 학교에서 사용된 학업성취도 문항은 행동차원에서의 내용타당도는낮았지만 내용차원에서의 내용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서 행동차원의 내용타당도를 높이는 노력이 좀 더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행동차원 중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 등 고등정신기능을 기르는 평가 문항의 개발에 노력을기울여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school education, the evalu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accomplishment ofeducational goal and for the planing of education. Thus, the achievement evaluation itemshould have high validity. The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should appropriate for theeducational goal and include all the learning contents. Although the validity of achievementevaluation items is very important, little research was performed on how much the evaluationitems of high school chemistry course really have the content valid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chemistry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used in schools in thedimension of behavior and content. For this, 5 different high schools were selected that used the same publisher's chemistry I textbook, and the middle semester achievement evaluation items were gathered. First, 34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the behavior domain and the content domain from the 'water' chapter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er's guide. Second, 121 evaluation items were classified into the behavior domain and the content domain. Third, the analysis of the ratio difference method were performed betwee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he evaluation objective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tent validities of the behavior domain were low, but those of the content domain were high. These results impli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paid to raise content validities of the behavior domain in achievement evaluation of high schools. Especially, the test items should be developed on the high level thinking skill such as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is study te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raise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on the evaluation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