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951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최근 한국의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주관적 행복감, 삶의 만족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4년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보고되었다. 보건복지부가 2013년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0.3점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2015년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 어린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12개국의 전 연령대랑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은 매우 낮은 상태임에도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서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고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Veenhoven(1994)은 개인이 지각하는 행복이란 각자가 속한 집단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행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초등학생들이 속한 학교와 가정 등에서 일어나는 맥락적 변인 및 상황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초등학교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목적에 입각하여 연구문제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구인화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2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내용타당도 검증 등)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본조사를 위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본조사에서 서울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1,115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분석을 통해 변인구조를 타당화하고, 신뢰도 분석을 하여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차이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무엇인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행복감을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상(上)인 집단과 중(中)인 집단, 하(下)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높고, 부정 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낮았다.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는 높아지고, 부정 정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초등학생의 집단이 아버지 교육수준이 중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인 초등학생의 집단 보다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가 높고, 부정 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 긍정정서가 더 높고 부정 정서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2개인 초등학생 집단 간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이 더 높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1개인 초등학생 집단 보다 부정 정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과 긍정 정서가 낮아지고 부정 정서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성적인지가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51.1%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4.9%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3.1%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62)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자아존중감(=.152)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부모관계(=.127), 주관적 건강상태(=.126), 감사성향(=.111), 낙관성(=.082), 교과외활동(=.067), 교사의 방임적 훈육(=.153), 성별(=.063)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가족관련 스트레스(=-.12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다음은 부모의 기대(=-.11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학년(=-.089), 학업관련 스트레스(=-.086), 교사관련 스트레스(=-.0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45.2%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2.6%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1.2%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88)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135)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28), 부모관계(=.123), 감사성향(=.113), 가족여가만족도(=.080), 성별(=.072), 주관적 성적인지(=.066)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업적 성취동기(=-.09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교사관련 스트레스(=-.07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가족관련 스트레스(=-.065)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2.4%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5%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1.4%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관계(=.204)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대인관계성향(=.16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44), 감사성향(=.120), 여가만족도(=.093), 교과외활동(=.083)과 주관적 건강상태(=.083), 낙관성(=.07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의 기대(=-.07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094)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과외관련 스트레스(=-.071)와 소외감관련 친구스트레스(=-.071)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21.6%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3.3%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4.0%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낮출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자아존중감(=-.107)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090)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낙관성(=-.085) 교사의 방임적 훈육(=-.079), 교사의 지원적 훈육(=-.068), 성별(=-.0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년(=.13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12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학업관련 스트레스(=.091)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행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성향, 자아존중감 등과 같은 개인 심리적 변인을 강화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지도와 학부모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자녀와 좋은 관계를 만드는 방법, 가족 내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등에 대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교육 계획과 교육관련 행사 추진 시 초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친구관계에서 소외감과 위협의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교육적으로 배려하고 예방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외활동 즉,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스포츠 활동, 예술체험활동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저소득층 아동의 행복감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주관적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여덟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행복감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학교 교육에서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홉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사의 학급 운영방법과 훈육방식에 대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해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이 다른 국가 아동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것으로 수년간 보고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관한 연구 결과가 교육정책 수립 및 일반 학교에서의 교육 계획 수립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Recently,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However, in contrast to this popular opin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r well-being for Korean children is too low, comparing the children's of other countries.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port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Survey on Korean Children in 2015, life satisfaction level is 60.3 points on a 100-point scale out of OEC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Survey of Children’s Well-Being in 2015 accomplished by Save the Children and Social Welfare Institut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ubjective well-being is too low. In terms of subjective self-being, Korean children got an average of 8.5 points for 8 year-olds, 8.2 points for 10 year-olds, and 7.4 points for 12 year-olds. This average is the lowest, when compared to all ages across 12 countries(an average 8.9 points for 8 ages, 8.7 points for 10 ages, 8.2 points for 12 ages). As a criteria of 10 year-olds, which are 5th grader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Rumania,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Turkey, an average of 9.2 points for Colombia. When put in order, Korean was the lowest out of all the countries. Nepal has an average of 8.6 points, Ethiopia an average of 8.6 points and South Africa has an average of 8.7 points, even though their economic developmental levels are lower than Korean's. Although subjective happiness for school children is too low like the above-mentioned,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the research for perceived happines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rted to be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on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s on the general variables that make up the well-being and happiness, rather than specific circumstances that belong to schools and home. Veenhoven (1994) postulated that the perceived happiness of individuals depends on the groups which he or she belongs to and the contextual situations. Consequently, in order to evaluate the perceived happiness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should observe and grasp the contextual variables and situations which occur simultaneously in their schools and families. What's more, the research which explores and confirm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is little. Overall, in this study, I tried exploring and confirm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s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analysed and verified what variables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 extracte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nstructed the conceptual model through analyzing variou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conceptual model, I formulated preliminary quest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final survey through two Delphi surveys and consultations within the panel of professionals. In the final surve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1,155 students in 4th through 6th grades were selected to conduct this research. I verified the factor structure validity and measured the reliability. Finally, I made the questionnaires for the reseach in terms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surveys. I verified what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are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happiness through verification differenc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ake of analyz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examined the different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of subjected students influenced by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Nega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direct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However, grad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were. In terms of family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their father and mother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a father and mother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were, and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more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 school dropout.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higher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are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school dropout. In terms of fathers' occupations,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the administrative position or more specialized position manifested highe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office workers. In terms of schoo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higher tendency of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a lower tendency for negative emotion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a higher tendency for perceived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lower tendencies for negative emotions. Secondly, I di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se students.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verall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51.1%.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9%.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1%.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interpersonal tendencies(=.16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elf-esteem(=.152)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Relationships with parents(=.127), subjective health status(=.126), thanks tendency(=.111), optimism(=.082), extra-curricular activities(=.067),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153) and gender(=.063)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related stress(=-.12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Parents' expectations(=-.11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grade(=-.089), academic-related stress(=-.086) and teachers-related stress(=-.077)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2%.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6%.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2%.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tendencies(=.188)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135) a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28), relationships with parents (=.123), thanks tendency(=.123), family leisure satisfaction level(=.080), gender(=.072),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066)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09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eachers-related stress(=-.07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ith family-related stress(=-.065) being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2.4%.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4%.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204)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terpersonal tendencies(=.16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44), thanks tendency(=.120), leisure satisfaction level(=.093), extra-curricular(=.083), subjective health status(=.066) and optimism(=.07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expectation(=-.07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094)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Private education-related stress(=-.071) and alienation from friend-related stress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1.6%.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nega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3%. The total percentage of explan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0%.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lower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107)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090)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Optimism(=-.085),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079), supportive discipline of teachers(=-.068) and gender(=-.06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13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12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academic-related stress(=.091) is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licies are proposed: 1.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approach is needed for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ariet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the individual variables like interpersonal tendencies, self-esteem, etc. 2.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family bonding and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how to make good relationships with one's children are needed, in addition to programs highlighting how to decrease family-related stress. 3. We need the approach and view points for decreasing study-related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al events when making annual educational plans in schools. 4. We should run prevention programs for ha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encountering alienation and threats from their friends. 5. Institution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to increase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xample after-school programs, sports activities and arts activities, are necessary. 6. Active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low-income children are needed. 7.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pport for enhancing subjective health level is necessary. 8. The educational approach to prevent the happiness from decreasing depending on the grade is required. 9.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 disciplining ways are important. Overall, I explored and confirmed the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as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bjectively rated happiness for past 6 years. What's more, the importance in terms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highlighted. All in all,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used in a variety of effective ways when we make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plan in schools.

      • 우울증 대학생들에 대한 인지적 독서치료와 정서수용의 효과

        지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인지적 독서치료가 대학생 우울증 치료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인지적 독서치료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증을 위해 주요우울장애 진단에 부합된 대학생을 모집하였고, 모집된 대학생들은 세 집단에 할당되었다. 집단은 독서치료 집단(실험집단A)과 인지적 독서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서수용 과제를 접목시킨 독서치료 집단(실험집단B) 그리고 대기 집단이다. 연구는 총 5주간 시행되었고,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첫 주에 정서수용 관련 과제를 시행한 후, 인지적 독서치료에 참여하게 된다. 정서수용 과제는 부정적인 경험을 적는 글쓰기 과제이고, 인지적 독서치료는 Burns(1980)의 Feeling good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우울수준(BDI-II),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정도(ATQ-N)와 정서수용 수준(정서수용척도)은 프로그램 시작, 중간, 종료시점에 측정되었다. 사전-사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독서치료에 참여한 우울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유의미한 감소는 대기집단과 비교했을 때 또한 지지되었다. 그리고 우울수준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변화가 정서수용 수준의 변화와 상관관계임이 확인되었지만, 정서수용 수준이 치료효과 증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우울한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독서치료가 효율적인 치료 대안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인지적 독서치료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ibliotherapy for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cognitive bibliotherap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motional acceptance level. For verification, college students who met the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recruited and the colleg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The group is the bibliotherapy group (experimental group A) and the bibliotherapy group (experimental group B) which combined the tasks to raise emotional acceptance level and the waiting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5 week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complete their emotional tasks in the first week and then participate in cognitive bibliotherapy. Depression(BDI-II), negative automatic thought(ATQ-N), and emotional acceptance (emotional acceptance scale)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 scores,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ed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gnitive biblio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Significant reductions were also supported when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 Depression level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emotional acceptance level, but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 acceptance level would affect the treatment effect was not supp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 level of emotional acceptance does not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but it correlates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

      • 시장지향성과 조직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재수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has focused on serving two purposes. First the study aimed at inducing a research result which helps prepare an objective and unified criteria regarding a clear and effective definition of concept, structural elements, advance factors and result factors about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Second the study also aimed at inducing a result which helps create and improve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based on a viewpoint that corporations acquire and manage market information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or competitive advantage.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formulated differently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tudy model was built based on the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consisting of acquisition, management, utilization and performance stages thereof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element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such methodologies as relationshi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mong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eight hypothesis out of twelve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propensity to market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learning were adopted and four hypothesis out of nine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the establishment,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marketing strategy were adopted. All the four hypothesis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 of establishment,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marketing strategy on business performance were adopted. Further studies will have to be mad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o provide objective and unified criteria to define concept, structural elements, advance factors and result factors regarding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lso both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re closely related to corporations'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Therefore aforementioned studies to prepare the criteria will have to be pursued in conjunction with corporations'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This study was made as a stepping stone in pursuit of future studies with giving rise to a meaning in this context.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째, 시장지향성과 조직학습 각각의 개념, 구성요소, 선행요인, 결과요인 등을 비교적 명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기업이 시장정보를 획득·관리하여 기업성과 또는 경쟁우위를 높이기까지의 일련의 업무체계를 기업의 시장정보 이용체계로 보고, 이것을 만들고 발전시켜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시장정보의 획득단계→관리단계→이용단계→성과단계’라는 기업의 시장정보 이용체계를 기준으로 하여,‘시장지향성(시장정보 획득단계)→조직학습(시장정보 관리단계)→마케팅전략의 수립·수정·실행(시장정보 이용단계)→기업성과(시장정보 성과단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연구모형에 이용된 변수들 각각의 구성요소도 기존 연구들과는 조금 다르게 재구성했다. 그리고 이 연구모형의 합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변수들의 관계에 대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시장지향성이 조직학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하위가설 12개 중 8개가 채택되었고, 조직학습은 마케팅전략의 수립·수정·실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하위가설 9개 중 4개가 채택되었고, 마케팅전략의 수립·수정·실행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하위가설 4개는 모두 채택되었다. 시장지향성과 조직학습 각각의 개념·구성요소·선행요인·결과요인 등을 명확하게 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는 다각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시장지향성과 조직학습은 기업의 시장정보 이용체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는 기업의 시장정보 이용체계와 결부시켜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장지향성과 조직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기업이 시장정보 이용체계를 만들고 발전시켜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 베이커리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광만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19

        (국문초록) 본 연구는 베이커리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직무만족, 혁신행동, 경영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베이커리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베이커리 종사원의 인적관리방안과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경쟁력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부산의 베이커리 업체의 종사자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총 29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통계 소프트웨어 SPSS 21.0으로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설 1-1의 리더 자아인식은 혁신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2의 내재화된 도덕적관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3의 관계적 투명성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4의 균형잡힌 정보처리는 혁신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설 2-1의 리더 자아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2의 내재화된 도덕적관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3의 관계적 투명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4의 균형잡힌 정보처리는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설 3-1의 리더 자아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2의 내재화된 도덕적관점은 직무만족에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3의 관계적 투명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4의 균형잡힌 정보처리는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직무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5의 직무만족은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설 6의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설 7의 직무만족은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리더 자아인식, 균형잡힌 정보처리와 혁신행동의 영향관계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화된 도덕적관점, 관계적투명성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설 8의 직무만족은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 자아인식, 균형잡힌 정보처리와 경영성과의 영향관계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화된 도덕적관점, 관계적투명성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혁신행동은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실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성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 결과로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 자아인식과 균형잡힌 정보처리의 진성리더십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베이커리 관리자는 솔직한 본인의 강점과 약점을 종사원들에게 이해시키고, 본인의 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인식하고, 종사원과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을 구해야 할 것이다. 이는 종사원의 수평적인 관계라는 심리적 안정으로 직무에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베이커리 관리자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종사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의견을 따르도록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여 설득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리더의 행동으로 종사원은 업무에 대한 성취감, 만족감, 자신의 발전과 성장의 기회를 마련하는 일터라는 느낌이 강하여 직무만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영향관계 결과로 모든 진성리더십의 요인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베이커리 관리자는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진성리더십의 리더 자아인식, 균형잡힌 정보처리 뿐만아니라 자신의 신념과 결정에 따른 행동을 하고, 종사원들과 재무적성과 및 비재무적성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자신의 생각을 진솔한 자세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베이커리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은 직접적으로 경영성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직무만족을 통해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직무만족은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종사원의 보수, 일할 수 있는 환경, 심리적인 안정감 등이 가질 수 있는 직무만족에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혁신행동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베이커리 관리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시, 이러한 아이디어를 계획 및 실행에 옮길 수 있는 행동에 필요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자면, 외부 전문가 자문, 기술지도 또는 요리대회 및 베이커리 대회 참가 등 창의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매뉴얼 구축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정복근 희곡 연구

        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is targeted on Jeong Bok-geun‘s drama text centered on narrative strategy, having its goal in in-depth examining and identifying the writer consciousness. Jeong Bok-geun has been an active playwright, however, due to the times when the work was absent, previous studies are lacking. Even the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at the time of Jeong Bok-geun's most active writing period that clearly shows the writer's individuality, they are divided into feminist consciousness, social class studies, and etc., thus, a quest for identifying internal principles and research with holistic perspective more broadly crossing the works are needed. Thus, through exploring Jeong Bok-geun's world of art shown in the dramaturgy on the peak time period of 1985 to 1994, this paper aimed on tracing the world of Jeong bok-geun's world of art by revealing the narrative strategy in author's dimention. Jeong bok-geun doesn't 'directly present' the dialogue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but presents complex- and three-dimentsional perspectives using epic narrator, focusing on the inner side of a character, proceeding to critical reasoning and reflection on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While Jeong bok-geun's playwrite range over women's issues and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centered not on the event but on the figures developing the story by narrative strategy variously utilizing epic narrator in the case of historical plays, the characters in the play relevant to the body of epic narrator perform chrous role asserting the fundamental thematic consiousness and writer consiousness which motivates Jeong bok-geun's dramas. Through epic narrator, centered on character's inner side, Jeong bok-geun's dramaturgy aiming mediativ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requiring not a superficial but an in-depth reflection is a dramatic strategy coming forth from the writer's critical awareness. In the communication art of play, this can be said as a meta-communication strategy to properly deliver the writer's implicit intention to the audience in the theater. Jeong bok-geun demands the audience who is buried in personal matters to broaden awareness and extend the scope of reasoning by arousing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women, and history. Chapter II deals with women's issues, Jeong bok-geun becomes epic narrator where characters in the play talk to the audience, and let the character confess own heart in the form of molologue. Jeong bok-geun appears to highlight the inner repression of women through the character's inner voice. Monologue of epic narrator reveals internalized norms and ideological consciousness in figures in the play and leads the audience to critical awareness and reflection by expanding women's issues to societal dimension. The 'talk time' of epic narrator is not an oppressed object but functions as an principal time building own narrative and experience of 'day-to-day, or specific repression' summoned by the story extends to reflecting on responsibility of collective and historical dimension. Chapter Ⅲ, noting on the point how jeongbokgeun approach the societal problem using the text where complex lay out of time and space becomes the majority like in the construction of movie scenes, the writer examines [the aspect of materializing figure's inner side through concealed epic narrator, which signifies stage lighting, music, and other theatrical devices. Jeong Bok-geun summons the past and unconscious mind of the characters on stage through intersection of time and space and juxtaposition by time Montage, which is revealed to be the aspect of pathos linked to the social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time that individuals go through. Jeongbokgeun becomes narrative self behind the concealed epic narrator, meta-incarnating character's inner surface, providing the vision to critically look at the societal reality of the time. Chapter Ⅳ, 'the keeper series' historical play, shows strengthened performance aspect. Historical play which leans heavily on dramatic interpretation premising performance, epic narrator of collective narrative self acting as chorus appears, and bluntly reveals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writer. While the historical play of Jeong bok-geun has strong performance element through performances by the spectacle, the intended message to the audience by the author is clear. Jeong bok-geun explores the internal power of history and urge the audience to seek for invariable value, not a life pandering on variable reality. Jeong bok-geun's perspective broadly encompassing the history and the artist's value pondering on the image of whole human and pursuing the invariable morality and conscience is ever directly revealed through chorus group's dance and songs. Jeong bok-geun's playwrite focused on the mediating communication structure is strategically structured through using varying tex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ubject. As the characteristic of play genre absorbs and fuses different genres on performance ground, Jeong Bok-geun's playwrite is stretched out on dramatic spectrum ranging from play text strengthened in narrative aspect by lyrical monologue, montage text where complex layout of time and space is the main stream, and to post-dramatical text which intends to uplift and awaken the audience sense. This is not only Jeong bok-geun's artistic skill but a meaningful pioneering of open work, looking at the coordinate axis of era and women the writer was located in. 본 연구는 정복근의 극 텍스트의 서사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 작품의 심층적 분석 및 작가 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복근은 활발한 극작 활동을 해온 작가이지만 작품집이 부재하는 상황 등으로 인해 선행 연구의 실적이 부족한 상태다. 정복근이 작가적 개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면서 왕성하게 극작 활동을 펼쳤던 시기에 편중되어 있는 기존의 논의들마저도 여성주의 의식, 사회 계층에 대한 탐구 등으로 나뉘어 있어서 정복근 극작을 보다 폭 넓게 아우르는 내적 원리에 대한 규명과 총체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고는 정복근 희곡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1985~1994년에 해당되는 시기의 작품 세계에서 보여지는 극작술을 통해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 전략을 밝힘으로써 정복근 극작의 내적 원리와 작가 의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복근은 인물의 대사와 행동에 대한 ‘직접 제시’가 아닌 서사적 자아의 활용을 통한 복합 관점과 입체적 제시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물의 내부에 작동하고 있는 사회, 역사적 조건에 대한 비판적 사유 및 성찰로 나아간다. 여성 문제와 당대 사회의 현실 등을 다룬 정복근의 극작이 사건이 아닌 인물에 중심을 두면서 서사적 자아를 다양하게 활용한 서사화 전략을 통해 전개되었다면 역사극의 경우 집단의 서사적 자아에 해당하는 극중 인물들이 코러스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정복근 극작을 추동하는 근본의 주제 의식과 작가 의식이라는 바탕을 설파한다. 서사적 자아를 통해 인물의 내면에 중심을 두고 매개적 소통구조를 지향하면서 표층적 인식이 아닌 심층적 성찰을 요구하는 정복근의 극작술은 작가가 가진 문제 의식에서 나온 극적 전략이다. 이것은 연극이라는 의사소통의 예술에서 작가의 함축적 의도를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한 메타 의사 소통적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복근은 개인의 문제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관객에게 동시대의 사회, 여성, 역사의 문제를 환기하면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사유의 범위를 확장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Ⅱ장은 여성 문제를 다루는 극들로 정복근은 극중 인물들이 관객에게 말을 거는 서사적 자아가 되어 모놀로그의 형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게 한다. 정복근은 인물의 내면적 발화를 통해 여성이 겪는 내적인 억압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양상이 드러난다. 서사적 자아로서의 모놀로그는 극중 인물에 내면화된 규범 의식과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비판적인 인식과 성찰을 유도한다. 서사적 자아의 ‘이야기의 시간’은 억압의 객체가 아닌 자신의 서사를 구축하는 주체의 시간으로 기능하고, 이야기에 의해 소환된 일상적, 혹은 특정한 억압의 체험은 집단적, 역사적 책임을 고민하는 차원으로 확장되어 가는 면모를 보인다. Ⅲ장은 정복근이 영화적 장면 구성처럼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텍스트를 통해 사회 문제에 접근해가는 점에 주목하여 작가가 조명, 음악 등의 연극적 장치를 의미하는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구현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정복근은 시간 몽타주를 통한 시공의 교차, 병치 등으로 인물의 과거, 무의식 을 무대 위에 소환하는데 그것은 사회 구조 및 시대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이 겪는 페이소스의 양상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정복근은 은폐된 서술적 화자를 통한 작가적 차원의 서사화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메타적으로 구현하면서 당대의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Ⅳ장의 ‘지킴이 시리즈’인 역사극은 공연성이 강화된 양상을 보인다. 공연을 전제로 한 무대 위의 구현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역사극에는 코러스적 역할을 하는 집단의 서사적 자아가 등장해서 작가가 추구하는 근본의 가치를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정복근의 역사극은 퍼포먼스적 스펙터클을 통한 공연적 요소가 강하면서도 작가가 관객에게 의도한 메시지 역시 분명하다. 정복근은 역사의 내적 동력을 탐구하면서 관객으로 하여금 가변적 현실에 영합하는 삶이 아닌 불변하는 가치를 추구하는 자세를 촉구한다. 역사를 폭 넓게 아우르는 정복근의 시선과 온전한 인간의 모습을 고민하면서 불변의 도의와 양심을 추구하는 작가의 가치관은 코러스적 집단의 춤과 노래를 통해 직접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매개적 소통구조를 중심으로 한 정복근의 극작술은 주제에 따라 상이한 작가만의 텍스트적 전략으로 구축된다. 공연을 전제로 하여 다른 장르들을 흡입, 융합하는 희곡의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정복근의 극작은 주제에 따라 서정적 모놀로그로 인해 서술성이 강화된 극 텍스트에서 시공의 복합적 제시가 주를 이루는 몽타주적 텍스트, 관객의 감각적 고양 및 각성을 의도한 포스트드라마적 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펼쳐진다. 그것은 정복근의 작가적 역량임과 동시에 시대와 여성이라는 작가가 위치한 좌표에서 선구자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열린 작업의 의미를 갖는다.

      • 유아의 체육활동 참여가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일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유아체육참여가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바람직한 유아체육의 내용과 방법적인 접근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 Y시와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중 유아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유아체육수업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유치원을 비교집단으로 4 ~ 6세의 유아 총 36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정서 및 사회성발달의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령별에 따른 정서 및 사회성발달은 내적통제, 동료와의 상호작용, 유치원에서의 안정감, 호기심 요인에서는 5세 보다 4, 6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은 4, 5세 보다 6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및 사회성발달의 하위요인(교사와의 비의존성, 내적통제, 동료와의 상호작용, 유치원에서의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모두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참여 여부에 따른 정서 및 사회성발달에 평정척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 및 사회성발달 평정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by infants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in order to be provided as basic material for systematic and concrete studies on the content and methodological approach of infant physical activities. To achieve such purpose of study, among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Y and P city in the year 2008, 360 infants aging from 4 to 6 where established as the population with kindergartens which had infant physical activit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kindergarten which did not have infant physical activity as the control group, and afterwards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on emo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here achieved. First, emo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showed that ages 4 and 6 were higher than age 5 in factors of inner control, interaction with colleagues, stability at the kindergarten, and curiosity, while age 6 showed higher sense of achievement over ages 4 and 5.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non-dependency with teachers, inner control, interaction with colleagues, stability at the kindergarten, motive for achievement, and curios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all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ol group. Third, the rating standard on emo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infant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rating standard for emotion and sociality development then the control group.

      • 논술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 분석

        다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19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 요인들을 탐색하여 핵심 영향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하 영향 요인)들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탐색하여 추출하고 선별함으로써 쓰기 평가 영향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쓰기 평가 영향 요인들을 평가자의 성별 및 일관성에 따라 차이를 비교하고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교육 평가의 관점에서 쓰기 평가는 현재 학생 수준을 결정하는 지표로, 평가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가 중요한 분야이다. 그러나 쓰기 평가는 평가자의 주관이나 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쓰기 평가의 본질적인 문제를 중점에 두고 볼 때 쓰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요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쓰기 평가와 관련한 연구들은 쓰기 평가의 영향 요인에 대해 단면적인 요인을 통한 접근만 이루어졌을 뿐 전반적인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관계나 구조를 밝히기 위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쓰기 평가에 대한 현행 논의와 실태를 고려해 볼 때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대해 총체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쓰기 평가에서 논의되는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한 이론적 토대와 통계적인 수치를 통해 쓰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 내고 관계와 구조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기반으로 이 연구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 영향 요인을 탐색하여 핵심 영향 요인을 추출하고 다양한 영향 요인의 관계와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국어 교사의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대해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일부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중점을 두고 단면적인 영향 요인의 특성과 관계에 대해 논의하는 데 그쳤던 기존 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실증적인 근거를 통해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대해 전체적인 영향 관계와 구조를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보다 다양한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선별을 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선별하는 과정을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먼저, 수집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 영향 요인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다국면 Rasch 모형(MFRM, many-facet rasch model)에 다양한 가설 영향 요인을 적용하여 산출된 수치를 바탕으로 핵심 영향 요인을 추출하였다. 선별된 핵심 영향 요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구조 및 관계를 분석할 최종 핵심 영향 요인을 선별하였다. 이어서 선별된 핵심 영향 요인의 구조와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전반적인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와 관계를 통해 학교 현장의 쓰기 평가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쓰기 평가 대상이 되는 문종 중에서 논술을 중심으로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설 영향 요인의 탐색, 핵심 영향 요인의 추출 및 선별을 통한 분석 대상 요인의 선정, 요인들의 구조 및 관계 분석,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모색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가설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18가지 요인을 탐색하고 영향 요인의 양상을 구체화하였다. 이후 실질적인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52명의 현직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검사지 작성과 학생 글 30편에 대한 채점을 의뢰하였고 결과를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평가는 국어 교사들에 대한 사전 구두 동의와 서면 동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구두 동의 과정에서 쓰기 평가 방법 및 작성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객관적이고 신중한 평가를 당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점자의 검사 결과와 채점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핵심 영향 요인을 추출 및 선별하여 분석 대상 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 단면 분포도 상에서 시각적으로 차이가 없는 요인를 추출하였다. 이후, 시각적으로 차이가 없는 요인에 대해 내적합 표준화 값을 기준으로 핵심 영향 요인의 하위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선별된 핵심 영향 요인에 대해 전문가의 견해 및 선행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 대상으로 설정할 최종 핵심 영향 요인을 선별하였다. 이어서 요인들의 구조 및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최종 선별된 핵심 영향 요인들의 성별 및 일관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영향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인된 영향 요인의 구조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FRM을 통해 측정 단면 분포도와 엄격성 지수 및 적합도에 따른 내적합 표준화 값을 기준으로 총 18가지의 가설 영향 요인이 추출하였다. 이 중 12가지 요인은 측정 단면 분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6가지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엄격성 지수 및 적합도를 산출한 결과 1가지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3가지의 요인을 가설 영향 요인으로 탐색하였다. 둘째, 탐색한 가설 영향 요인을 바탕으로 최종 분석할 핵심 영향 요인으로 5개를 선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공통성을 가진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쓰기 평가 수행 요인, 정의 요인, 인지 영향 요인, 일관성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4개 요인으로 분류된 핵심 영향 요인은 하위 요인에 따른 집단별 엄격성과 성별 및 일관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평가 수행 요인에서는 단어 선택을 가장 관대하게 평가하고 형식 및 어법을 가장 엄격하게 가장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 요인에서는 쓰기 평가 효능감 수준이 하인 집단이 가장 관대하게 평가하고 쓰기 평가 효능감 수준이 중인 집단이 가장 엄격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영향 요인에서는 평가 강좌나 평가 연수를 미수강 및 미이수한 집단에서 가장 관대하게 평가하고 평가 강좌는 교육 평가 관련 강좌와 국어과 평가 관련 강좌의 2가지 강좌를 모두 수강한 집단에서 가장 엄격하게 평가하고, 평가 연수는 교육 평가 관련 연수나 국어과 평가 관련 연수 중 1가지만 이수한 집단에서 가장 엄격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관성 요인에서는 부적합 집단에서 가장 관대하게 평가하고 과적합 집단에서 가장 엄격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평가 수행 요인, 정의 요인, 인지 영향 요인, 일관성 요인은 일관성 및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관대하게 평가하고 적합한 평가자 집단에 비해 과적합 및 부적합 평가자 집단에서 성별에 따른 평가 결과의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쓰기 평가 영향 요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와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에서 쓰기 평가 수행, 쓰기 평가 효능감, 일관성, 평가 강좌, 평가 연수의 5개 요인을 통해 설정한 경로에서 최적의 모형 적합도가 확인되었다. 5가지 요인을 최종 구조 모형으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정의 요인에서 인지 영향 요인에 이르는 경로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모형 분석 과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인지 영향 요인과 쓰기 평가 수행 요인, 정의 요인과 인지 영향 요인 간의 매개 효과를 파악한 결과, 인지 영향 요인과 정의 요인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하고 정의 요인과 쓰기 평가 수행 요인 간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의 요인과 쓰기 평가 수행 요인 사이에는 인지 영향 요인에 의한 매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쓰기 평가 영향 요인들을 실질적인 자료를 통해 탐색하고 핵심 영향 요인을 선별하여 핵심 영향 요인의 차이와 구조를 체계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실질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 핵심적인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선별하고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는 점, 쓰기 평가의 핵심 영향 요인의 구조를 확인했다는 점, 학교 현장의 교사들을 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실제 학교 현장에서 쓰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는 점,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쓰기 평가 영향 요인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학교 현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하였다는 점, 쓰기 평가 수행과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쓰기 평가에서 정의 요인에서 인지 영향 요인에 이르는 유의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의 요인을 통한 인지 영향 요인의 활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둘째, 쓰기 평가에서 인지 영향 요인과 정의 요인을 통한 쓰기 평가 수행 요인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쓰기 평가에서 평가 및 판단, 실행과 연계된 사항들의 균형을 이루는 평가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쓰기 평가에서 일관성 요인이 다른 영향 요인들과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성별에 따라 다양한 영향 요인이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평가 결과에서 일관성의 인정 범위를 설정하고 일관성과 관련된 평가 결과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넷째, 쓰기 평가 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영향 요인들의 개입과 상호작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영향 요인의 개입을 인정하고 수용 한계점을 설정할 근거를 마련하고 적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쓰기 평가 과정에서 평가 요인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평가 수행 전에 개별 평가자가 인지하고 있는 평가 기준의 편차를 조정할 수 있는 평가자 협의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측면에서 핵심적인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관계와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쓰기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산출한 측정치는 다양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평가의 개선 및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이 연구에서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의 구조에 대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쓰기 평가 영향 요인을 밝히고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차이연구

        솔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몇 개의 군집이 존재하는가?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충북, 대구·경북의 4년제 대학 5개교의 재학생 302명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단계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이상적 유형, 군집 2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낮은 총체적 문제형, 군집 3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모두 평균보다 높은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다.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이상적 유형이 총체적 문제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진로준비행동은 이상적 유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 총체적 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의 연구와 실제에서 정서적, 성격적 특성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환기시켰으며, 진로발달과 관련있는 관계적 변인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실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개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학생 또는 진로상담을 찾은 내담자를 대상으로 할 때에도 본 연구의 유형분류가 타당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군집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속변인으로 진로성숙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등의 변인을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丁자형亭子의 유형적 의미에 관한 연구

        미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지금까지 亭子建築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아직 亭子建築의 시대적, 지역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근래에 들어 ‘丁’자형 亭子가 지역적, 시대적 의미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제기되었지만 아직 실증적 검증이 이루어진 바는 없다. ‘丁’자형 亭子는 ‘一’자형에 비해 공간구성이나 형태의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즉, 다양한 공간구성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기에 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一’자형 亭子보다 진일보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丁’자형 亭子의 발생과 지역적 분포, 건축적 성격 등은 韓國亭子建築의 발전과정을 파악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과 지역적 분포, 조영배경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즉, ‘一’자형 亭子와 차별되는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을 알아보고, 이러한 형식의 발생이 특정한 지역이나 시대와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만일 관계가 있다면 왜 그 시대에 그 지역에서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해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한 내용이다. 이 연구에서 ‘丁’자형 亭子는 평면형태가 ‘丁’자형을 이루고, 그에 따라 지붕평면도 ‘丁’자형으로 직교하는 형식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의 亭子를 전국문화자산과 문화재 대관류의 문헌에 수록된 亭子의 사례 중에서 색출하였는데 전국적으로 16건의 사례가 검색되었다. 이를 대상으로 소재지를 분석한 결과 2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상북도에 소재하여 지역적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혁을 통하여 건립시기를 검토한 결과 ‘丁’자형의 현황이 조성된 시기는 17세기 이후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건립주체나 목적도 개인의 은거생활이라기보다는 문중후손들이 선조를 추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을 ‘一’자형과 비교해 보면 우선 규모 상으로 ‘一’자형 보다 규모가 크고, 침실 수나 면적이 넓고, 마루면적도 넓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간구성 상으로는 아주 다양한 형식이 나타나는데 크게 나누어 보면 마루 통간형, 침실.마루 분리형, 침실.마루 혼합형, 특수형 등 4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다양성은 각 형식별로 발생과정이 다르거나, 다양한 사용자들의 복합적 용도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입면과 형태상으로도 ‘一’자형에 비해 다양한 형태를 구사할 수 있었고, 폐쇄적인 마루를 갖는 것도 ‘丁’자형의 특성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세부건축요소에서도 ‘丁’자형이 보다 고급건축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丁’자형 亭子가 성격적으로 ‘一’자형 亭子와 다를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해 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丁’자형 亭子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마루 통간형의 亭子는 이미 고려시대 문헌에서 나타나며 상류계층의 고급건축 형식으로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나머지 형식들은 17세기 이후 문중亭子의 형식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문중의 위세를 표현하고 문중활동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로서, 문중의 기념관이며 문중회관의 성격을 갖는 형식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집회를 위한 넓은 마루와 다양한 계층의 숙식을 위한 다수의 침실, 침실의 실내환경을 위한 돌출형 배치, 마루와 지붕의 천정고 차이 등이 ‘丁’자형 평면구성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한편 왜 이러한 유형이 경상북도에서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다만 亭子建築이 건립주체나 용도, 성격적으로 사랑채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사랑채 형식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경북지방의 뜰집에서 유독 ‘丁’자형 평면이나 지붕형식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사랑채 건축에서 사용된 건축형식(평면구성이나 지붕구성)이 亭子建築에 쉽게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丁’자형 亭子는 亭子建築의 시대적 변화나 성격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형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든 사례들의 연혁 및 중수과정을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실증적 해석에 이르기에는 부족했다. 향후 문헌적 보완이 이루어져 가설적 수준의 해석이 입증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