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동식 축사용 사료 급이기의 개발

        신용인 ( Yong-in Shin ),신종범 ( Jong-beom Sh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개발된 전동식 사료 급이기의 개발시 고려사항은 축사 간격이 좁아 회전 반경을 최소화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전륜구동/후륜조향을 기본 형태로 구성하였음, 전면부에 사료 푸셔, 중앙에 청소용 블레이드를 배치할 수 있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설계하였음. 사료 급이기는 차중 300kg, 원할한 작업수행을 위해 구동 모터는 24V, 1.2kW의 출력을 선정함. 사료 급이기는 전면에 급이를 위한 블레이드와 잔여 사료 및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브러시를 부착하였음. 블레이드는 작업폭 및 작업 방향을 고려하여 수동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축소와 더불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두 개의 브러시를 좌우 양쪽으로 배치함. 구동부는 회전반경의 최소화를 위하여 3륜 형태로 그림과 같이 배치하였음. 또한 축사환경을 고려하여 러그형(전륜), 일반형(후륜) 타이어를 적용하였음. 이때 조작용 핸들 및 조향을 위한 기구는 후륜부에 배치하였는데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조향체인은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제작하였음. 푸셔의 상하이동 및 청소용 브러시의 구동은 400W의 직류모터를 브러시와 직결하였음. 브러시와 푸셔의 상하 이동은 별도의 컴프레셔가 필요한 공압실린더 대신 전기로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를 사용하였으며 푸셔용은 최대 스트로크 150mm, 브러시용은 최대 100mm의 스트로크를 구현하여 이동시 푸셔 및 브러시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하였음. 제품은 탑승부 포함 전장 1,867mm 높이 1,070mm로 제작되었으며 작업폭은 푸셔가 수평인 경우 최대 1,100mm로 제작되었음.

      • KCI등재

        아동거주가구의 빈곤에 관한 다차원적 접근

        정은희(Eunhee Joung),최유석(Youseo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차원의 박탈지표를 이용하여 아동빈곤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2년 7차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잠재집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아동빈곤 집단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이 있는 가구를 주거비 과부담, 다차원 박탈, 비빈곤 등 세 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주거비 과부담 집단은 다른 영역에서 박탈은 높지 않지만, 주거비 부담이 높은 집단이다. 다차원 박탈 집단은 열악한 주거환경, 식생활 영역 및 고용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박탈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비빈곤 집단은 박탈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집단이다. 잠재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짓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 박탈집단은 다른 두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 집단과 주거비 과부담 집단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아동이 거주하는 가구의 복지, 교육, 문화적 자원의 박탈 등 다차원적인 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children poverty in Korea. Using the 7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conducts latent class analysis to classify households with children. Results show that households with children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housing expenditure overburdened households, 2)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households, 3) non-poverty households. The housing expenditure overburdened households have higher rates of housing expenditu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household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deprivation such as food insecurity, poor housing, and unstable job security for householders. The results imply that comprehensive approaches are needed to address multiple problems which 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suffer.

      • KCI등재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정은희 ( Joung Eun Hee ),최유석 ( Choi You Se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실제출산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출산계획과 관련하여, 연령이 낮고, 결혼만족도와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남편 또는 부부가 자녀교육 문제를 공동으로 결정하는 경우 출산계획을 가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모, 시모가 생존한 경우, 사교육비 지출수준이 낮으며, 자녀를 일찍 가져야 한다고 인식할 수록 출산계획을 갖는 확률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자녀 출산과 관련된 요인은 출산계획과 관련된 요인과 대체로 유사하였다. 연령대가 낮고, 전업주부인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고 자녀교육에 관해 남편의 참여가 높은 경우 출산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비 지출이 적을수록 둘째자녀를 출산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둘째자녀 출산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related to birth plan for second child and second birth for married women in Korea. It utilizes thre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KLoWF). Regarding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married young women who are more satisfied with marriage life and their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keeping are more likely to have the plan for having second child. The probability of having plan for second child is higher for women with living mother or mother-in-law and traditional family values. Married women who spent less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their first child are more likely to have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Findings from the analysis on the second birth show that married women with young age, higher satisfaction on marriage life and their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give birth to their second child. Compared with working mothers, mothers staying at home are more likely to have second child. Higher level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their first child decreases the likelihood of the second birth.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ncrease second births for married women in Korea.

      • KCI등재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아동양육참여: 재혼 및 동거를 통한 새로운 파트너와 아버지의 가구내 거주하는 아동의 영향

        정은희 ( Eun Hee Jou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미국은 이혼이나 미혼출산의 영향으로 아버지와 살고 있지 않은 아동의 수가 증가하여 왔다. 이혼과 미혼출산으로 인한 아버지의 부재는 아동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비거주 아버지의 원가족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부재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능력과 아동부양비와 같은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양육참여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비거주 아버지의 새로운 파트너를 통해 형성된 아버지의 새로운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미국의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파트너 존재 유무에 따라 다른가? 다르다면, 파트너와 데이트 상태인지, 동거상태인지, 결혼한 상태인지에 따라서도 다른가? 2)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현재 살고 있는 아버지의 가구에 함께 거주하고 있는 아동이 있는지에 따라 다른가? 다르다면, 현재 살고 있는 아동이 현재 파트너의 친자인지 예전 파트너의 친자인지, 의붓자녀인지에 따라 다른가? Fixed effects 모델을 사용하여 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비거주 아버지는 현재 파트너가 있는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현재 파트너가 없을 때 지난 한달 동안 자신의 자녀와 더 자주 만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단순히 지난 이년 동안 만나는 경험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와 원 가족의 자녀간 만남을 질적인 측면에서(예를 들어 놀아주기, 책읽어 주기 등) 양육참여 수준을 조사했을 경우에도 아버지의 파트너 상태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되었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의 가구에 함께 거주하고 있는 아동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가 있다. 미혼출산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아버지의 가족구조가 재혼과 동거 등으로 인해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가족의 출현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비거주 아버지의 원가족 아동양육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거주 아버지의 아동양육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은 가능한 아버지가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기 전에 추진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우선 일차적으로 원가족이 헤어지지 않고 함께 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원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혼출산부부의 결혼장려정책과 같은 방안들이 지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재혼이나 새롭게 동거가족을 형성한 경우에는 비거주 아버지로 하여금 원가족의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를 도울 수 있도록 현재 새롭게 구성한 가족의 존재를 인지하고, 아버지와 현재 파트너와 원가족의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도입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a large and growing number of children in the U.S. live in a household that does not include their biological father, reducing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a father`s absence on children`s well-be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Using data from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 this paper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ether nonresident fathers` involvement with children differs by whether a father is 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partner other than nonresident child(ren)`s mother (versus being single) and, if so, by the type of relationship he is in (a marriage, a cohabitation, or a dating relationship), and (2) whether nonresident fathers` involvement with children differs by whether a father`s current household includes any children (versus no children) and, if so, whether these children are biological or step. Results from fixed effects regressions indicated that fathers saw their nonresident children a great number of days during the past month if they remained single than if they were involved in any type of romantic relationship. The finding was consistent with the study hypothesis that, compared to single fathers, re-partnered fathers would be less involved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father relationship status in whether father had contact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during the past two years, nor in the number of days fathers engaged in activities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during the past month, for those who had seen the children more than once in that month. This study also found no associations of the presence of children in fathers` current households with any of the measures of fathers` involvement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 KCI등재

        다차원적 접근을 이용한 한국 빈곤집단의 유형화와 특성분석

        이현주 ( Hyon Joo Lee ),정은희 ( Eun Hee Jou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2

        본 연구는 생활상의 어려움을 칭하는 빈곤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우리나라의 빈곤집단을 다차원적 측정 방법을 활용하여 규명하였다. 소득으로 빈곤을 측정하는 일차원적 연구는 빈곤의 실질적 생활양상을 반영하는데 한계를 갖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다차원적 분석을 시도한 국내 연구들도 대개 생활상의 어려움을 대변하는 여러 차원의 박탈 등을 활용하면서도 빈곤집단을 비박탈집단과 대비되는 단일 집단으로 간주하거나, 빈곤의 심도를 고려하여 집단을 층화하여 구분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러한 방식은 빈곤의 각 차원의 특성을 사상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잠재적 집단분석을 활용하여 빈곤층의 구성을 개방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빈곤층은 세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주로 근로능력이 미약하며 의료비 부담이 큰 집단이었다. 두 번째 집단은 근로능력은 있지만 고용상태가 불안정하며 주거와 교육, 금융거래 등 거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박탈을 경험하는 극빈한 집단이었고, 세 번째 집단은 근로활동을 하면서 생활을 꾸리지만 주거비 부담이 큰 집단이다. 각 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of the poor group by utilizing a latent class analysis model. Many scholars have acknowledged the limitations of income poverty measure and have suggested us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s an alternative poverty measure. This study try to share same orientation and explore a new method that help us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poor in Korea. The poor may not be one single homogeneous group.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poverty group in Korea. The first poverty group is composed of people who are weak at work ability and pay high medical costs. The second group is characterized by unstable employment status, though has physical ability to work. Further, the poor in this second group, have experience of deprivation in most of living area such as housing, credit accounts, and education. The third group has a job but pays high housing costs.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also are suggested in this paper.

      • KCI등재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통한 아빠노동자 탄생에 관한 사례연구

        최새은(Saeeun Choi),정은희(Eun Hee Joung),최슬기(Seulki Choi)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A기업은 국내 최초로 2017년 1월부터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도입하였다. 연구진은 이 사례가 기존 남성 육아휴직자 연구에서 한계로 지적된 육아휴직자 선택편향 문제로부터 벗어나고, 개인차원을 넘어선 집단차원의 변화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해당 제도도입 및 실행과정의 특징과 육아휴직사용자가 경험한 가정과 직장에서 변화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기업의 ‘남성육아휴직의무제’는 1) 남성 육아휴직을 의무화함으로써 조직내 육아휴직 사용을 빠르게 보편화하였고, 2) 대체근로자 충원없이, 3) 휴직기간은 1개월로 하며, 4) 통상임금 100%를 보장하였다. 또한 5) 출산초기 3개월 이내에 사용을 시작토록 하였으며 6)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특징을 지녔다. 이러한 특징들은 여성들이 갖는 출산전후휴가에 상응한 ‘아빠출산휴가’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육아휴직 경험자들은 휴직기간을 통해 아빠라는 정체성을 새로이 형성하였다. 이들은 복직후에도 ‘아빠노동자’라는 경계횡단자(border crosser)로 등장하여 가족친화적인 기업 문화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연구는 국내 한 대기업집단에서 도입한 남성육아휴직 의무제를 사례연구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발견된 남성 육아휴직의무제의 긍정적 모습들은 ‘일-가정 양립’에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pany A introduced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from January 2017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We tried to explore the process adopting the new system and its effect on family and the company from a variety of research sour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ental leave is different from usual spouse parental leave in six points; It is mandatory. There is no substitute. The period is one month. It guarantees the full payment. It should begin within 3 months from the birth. There is educational program called daddy-school. Instead, it is more similar to martenity leave. Then, it may be called ‘paternity leave’. We also found that they developed a new identity as a father. After returning from the leave, they became ‘working dads’ who are border crossers between two boundary - family and work. It is expected that they work for building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a case study from a leading conglomerate in Korea. The findings may not happen from other company in the same way, especiall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 positive stories of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we observed from the case could serve as a hint for work and family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