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월당집』 贊에 담긴 김시습의 비판의식과 지향세계

        강창규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2

        This paper attempts to read Kim Si-seup's critical consciousness and world of orientation by analyzing 31 chans in Volume 19 of 『MaewoldangMunjip』. Chan is a genre that directly praises the object that the author thinks is excellent, and not only can understand Kim Si-seup's world of orientation immediately, but also his critical consciousness is included in Kim Si-seup's chan. Kim Si-seup's Chan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t is a praise for the person of loyalty, a praise for the world of ideals, and a praise for himself and the objects around him. In the praise of the loyal character, I was able to read the criticism of King Sejo in the scene where the relatives of the same sex emphasized what they should do and harshly criticized King Mu. In the praise of the ideal world, I could read Kim Si-seup's Neo-Confucian thought. In praise of himself and the surrounding objects, we could see the aspect of praising his life in seclusion in his later life and not stopping his ideological search. Kim Si-seup's literary thought came as a result of learning the knowledge of the time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from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t is judged that Chan was also built as a result of studying historical books and Seongri-seo that were circulating at the time, along with the context from Lee Kyu-bo, Lee Je-hyun, and Kwon Geun.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10 works in Volume 20 of 『Maewoldangmunjip』, so a close review is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로컬리티의 관점에서 본 생육신 -漁溪 趙旅를 중심으로-

        강창규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Locality is a theory established in modern times and is a useful tool for close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surroundings. Locality is a relative and multilayer concept, and the center can be changed to the periphery at any time, and the center-peripheral layers can be reproduced again within the periphery. The same is true of Saeng Yuk Sin(生六臣). Saeng Yuk Sin is based on Sa Yuk Sin(死六臣), so Sa Yuk Sin is the center. At the same time, inside Kim Si-seup and Nam Hyo-on were regarded as strong centrality, and the other four longed to become such a status. EoGye(漁溪) Jo-Ryeo(趙旅) was able to become a member of Saeng Yuk Sin because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Several figures from Haman Cho clan continued to enter the center and continued the family's prosperity. Thanks to the role of Jo Joong-hoe(趙重晦), who served as Yejo and Yi Jo Pan-seo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the current list of Saeng Yuk Sin could be confirmed. The region also made efforts to promote Jo-Ryeo's JulEui(節義). In 1516, 28 years after Jo-Ryeo's death, Eo Gyejip(漁溪集) was compiled. Kang-Hon(姜渾) wrote the preface and commented that Jo-Ryeo was a noble man who did not change his fidelity. And the most notable figure is Jo Yim-do(趙任道). He actively read JulEui in Jo-Ryeo's poem 「GuIldeunggo(九日登高)」 while writing 「GuIldeunggosihubal(九日登高詩跋)」. Thanks to this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region, Jo-Ryeo was able to publish articles in Noreungji(魯陵志) and Jangneungji(莊陵誌) . There were several figures who kept their respect for King Danjong, including Jo-Ryeo, but as the times passed, Saeng Yuk Sin, who matched Sa Yuk Sin, was created. 본고는 로컬리티의 관점으로 생육신을 고찰해 보기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 작성되었다. 로컬리티는 근현대에 성립된 이론으로서 중앙과 주변의 관계를 긴밀히 살펴보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로컬리티는 상대적이고 중층적인 개념으로서, 중앙은 언제든 주변으로 바뀔 수 있으며 주변 내에서도 다시 중앙-주변의 층위가 재생산될 수 있다. 생육신 역시 마찬가지다. 생육신은 사육신을 모태로 하기에 사육신이 곧 중심이다. 그러면서도 생육신 내부에서는 김시습ㆍ남효온을 강력한 구심점으로 삼고 나머지 4명은 그와 같은 위상이 되길 갈망했다. 그것은 단순히 지역적으로 서울-지방의 관계를 넘어 여러 국면에서 중층적 국면을 가지고 있다. 어계 조려가 생육신의 구성원으로 자리할 수 있었던 것에는 중앙-주변의 열정적이고 꾸준한 노력에 의해 가능했다. 조려 사후, 함안 조씨의 여러 인물이 계속 조정에 출사하며 가문의 성세를 이어나갔고, 임진왜란 시기에는 의병장 조종도가 황석산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가문의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더욱이 영ㆍ정조 시기에는 예조ㆍ이조판서를 지내고 봉조하가 되었던 원로대신 조중회의 역할 덕분에, 현재 통용되는 생육신의 명단이 확정될 수 있었다. 지역에서도 조려의 절의정신을 현양하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조려 사후 28년 만인 1516년에 어계집 이 편찬되었는데, 강혼은 서문을 쓰면서 조려가 지조를 바꾸지 않은 군자라고 평하였다. 그리고 가장 주목할 인물은 조임도이다. 그는 「구일등고시후발」을 작성하며 조려의 시 「구일등고」에서 절의정신을 적극적으로 읽어내었다. 그리고 성문준이 지은 「어계선생전」을 자신이 편찬한 금라전신록 에도 실으면서 그 절의정신을 더욱 현양하였다. 이렇게 중앙과 지역이 연계한 덕분에 조려는 노릉지 와 장릉지 에 사적이 실릴 수 있었으며, 정조 20년에 편찬된 장릉사보 의 「정의제신열전」에 김시습ㆍ남효온에 이어 세 번째로 실릴 수 있었다. 조려를 비롯하여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킨 인물들은 여럿 있었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사육신에 짝하는 생육신이 만들어졌다. 그것은 중앙과 지역이 연계하여 그 의도와 욕망이 만들어낸 결과이다.

      • KCI등재

        梅月堂 金時習의 「感興詩 11수」 연구

        강창규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is study intends to grasp the part of Kim Si-seup(金時習)'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and ideologic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Gam-Heng poetry(感興詩) 11」 written by Si-seop Kim in 1465 (the 11th and 31st year of King Sejo's reign). Kim Si-seup‘s life and thoughts do not unfold simp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attention and focus on certain aspects of various situations. I want to pay attention to ‘Sa-yu-rok( 四遊錄 ) period’ and focus on a piece written while living in Mt. Geumo in the latter part of the wandering life. 「I had been sick for ten days and got better in the autumn. feel the present and think of the past. 11」 is that Kim's work was written in deep contemplation after a decade of intense self-seeking in the midst of wandering. He did not just indulge in pessimism, but he fiercely honed his studies by meeting various characters and books. After settling on Mt. Geumo, he wrote the poem in a vow to go deeper into the world of Neo-Confucianism. Kim regrets how much Confucianism suffered by heresy against the backdrop of China and Korea. The first poem talked about the flow of space and the noble man.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poem, he spoke that Neo-Confucianism was difficult by heresy. From the seventh to the eleventh, he spoke of the ups and downs of the Neo-Confucianism. It has a structural precision of cod, and shows Kim putting more importance on Neo-Confucianism ideologically. Kim's world of Neo-Confucian studies shines when he meets up with Neo-Confucian Scholars(新進士類) in Seoul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hey had the first discourse on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possible because Kim studied Neo- Confucianism a little ahead of time. This is the reason why this article focused on Kim's Neo-Confucian and analyzed its representative work. 본 연구는 매월당 김시습이 1465년(세조 11, 31세)에 지은 「병으로 열흘 동안 누웠다가 가을이 깊어지고 나서야 일어났다. 현재를 느꺼워하고 과거를 생각하며 感興詩를 짓다. 11수」(이하 ‘「感興詩 11수」’로 약칭)의 분석을 통하여, 김시습이 가졌던 성리학 이해의 일단과 사상적 전환의 일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김시습의 삶과 사상은 단순하게 전개되지 않는다. 그의 삶을 돌이켜 볼 때 유자에서 불자로, 다시 유자로 돌아왔다가 또다시 승려의 행색으로 방랑을 떠나는 과정만 보아도 그러하다. 사상적으로도 유ㆍ불ㆍ도를 오가고 성리학에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다. 본고는 이런 김시습의 다층적 학문세계와 전환의 지점을 살펴보기 위해, 주요한 한 작품을 꼼꼼히 읽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좀 더 세밀하게 김시습의 삶과 사상에 있는 전환의 지점을 밝힐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품 시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른바 ‘ 四遊錄 시기’에 주목하고 그중에서도 방랑의 후반부 금오산 정주기에 지어진 「感興詩 11수」에 집중해보고자 한다. 「感興詩 11수」는 김시습이 10여 년이 넘는 방랑 속에서 치열한 자기 모색의 과정을 거친 후, 깊은 사색 속에서 지은 작품이다. 김시습은 관서ㆍ관동ㆍ호남ㆍ금오를 방랑하면서 그저 분노와 울분 속에서 떠돈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물과 서적을 만나면서 학문을 갈고닦았다. 그리고서 금오산에 안착한 후, 성리학 이해에 진전을 보이면서 이 시를 지은 것이라 판단된다. 「感興詩 11수」는 朱熹의 「齋居感興 20수」를 전범으로 해서 그 배경을 우리나라로 확대하고, 유교/성리학의 부침 과정을 읊은 시이다. 제1수는 序詩에 해당하며 우주의 흐름 및 天道와 君子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읊었다. 제2수부터 제6수까지 다섯 수는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으며, 제7수부터 제11수까지 다섯 수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대도의 부침과 현재 자신의 감회를 읊었다. 구조적으로 정밀한 대구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사상적으로도 김시습이 성리학에 더욱 방점을 찍는 국면을 보여준 작품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김시습의 성리학 공부는 훗날 성종 시기 서울에서 신진사류들과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스승 격으로 조선 최초의 성리학 담론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亡國의 유교 지식인 小訥 盧相稷이 걸어간 講學의 길 -紫巖書堂의 記文을 중심으로-

        강창규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8

        본고는 小訥 盧相稷이 평생 추구했던 강학의 길 속에서도 망명으로 인해 강학이 잠시 중단된 1911년과 다시 돌아와 자암서당을 중건하며 강학을 재개했던 1914년에 주목하고, 중건하며 지은 자암서당의 기문들을 통해 노상직이 걸어간 강학의 길을 세부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노상직은 형 노상익을 따라 1911년 12월에 남만주로 망명을 떠났지만, 맏아들 식용의 죽음을 맞닥뜨리며 형의 강력한 권유로 인해 고국으로 돌아와 국내에서의 강학 활동을 재개하게 되었다. 돌아온 노상직은 자암서당으로 들어오는 다리를 斷塵橋라고 이름하고, 올라오는 입구에 있는 시내를 洗心澗이라고 이름하면서 자암서당을 自靖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리고 변치 않는 바위의 붉은빛에 자신을 투영하여 예전부터 걸었던 강학의 길을 재개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를 수호할 뿐만 아니라, 성리학의 핵심 본령인 마음공부를 일상에서 솔선하고 강학과 출판을 통해 성리학의 도를 끊임없이 이어가고자 함을 재천명하였다. 노상직은 자암서당을 중건하며 스스로 기문을 썼을 뿐만 아니라, 국내 자정의 동지인 장석영과 국외 망명의 동지인 이건승에게 기문을 부탁했다. 장석영은 노상직이 재산을 아낌없이 내놓으며 전통의 가치를 수호하는 공동체의 공간으로 자암서당을 유지함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노상직의 마음공부에 뜻을 함께하며 그들이 함께 걸었던 강학의 길이 곧 자정의 길임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훗날 파리장서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저항 의식과 연대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건승은 세상의 알아주지 않음을 이겨내고 전통 학문을 고군분투하며 지켜내는 노상직에게 격려와 지지를 보냈다. 이건승의 「자암서당기」는 그의 문집 해경당수초 에 실린 것 외에 자암서당의 현판으로 걸린 현판본 「자암서당기」가 있다. 현판본 「자암서당기」는 爲己之學에 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기문이 수정되었다. 위기지학은 결국 마음공부이다. 이는 참혹한 시대에서 세상의 알아주지 않음에서 초탈하여 자기 수양으로 깊숙이 파고들고자 했던, 혹은 파고들 수밖에 없었던 망국의 유교지식인이 걸었던 자존의 길이다. 그들은 광포한 시대를 저항하고 전통의 가치를 보존하고 전수하기 위해 뜻을 함께 한 동지들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1911 when lectures were temporarily suspended due to Sonul(小訥) Roh Sang-jik(盧相稷)'s exile, and 1914 when he returned to rebuild JaamSeodang(紫巖書堂) and resumed lectures, and examines in detail the path of lectures taken by Roh Sang-jik through the writings of Jaamseodang. Roh Sang-jik left for exile in December 1911 following his brother Roh Sang-ik(盧相益), but he returned with his brother's strong recommendation, judging that teaching activities in his home country were more meaningful than in the barren environment of Nammanju. Returning, Noh Sang-jik named the bridge entering Jaamseodang as Danjin(斷塵) Bridge, and tried to make Jaamseodang a space of Jajung(自靖).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continue the study of mind, which is the core spirit of Neo- Confucianism, through lectures and publications. Roh Sang-jik reconstructed Jaamseodang and asked Jang Seok-young(張錫英), a comrade at Jajung in Korea, and Lee Geon-seung(李建昇), a comrade in exile, to write. Jang Seok-young praised Noh Sang-jik for generously giving up his property and making Jaamseodang a community space that protects the values of tradition. He also shared the will of Noh Sang-jik to study the mind and emphasized that the path of their lectures is the path of Jajung. And they later showed their sense of resistance and solidarity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arijangseo(巴里長書) movement. Lee Geon-seung gave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Noh Sang-jik, who overcame the world he did not recognize and struggled to protect traditional studies. However, in the Hyeonpan(懸板) version of Jaamseodanggi, the writing was revised to focus more on Wigijihak(爲己之學). At the end of the day, Wigijihak is mind study. This is the path of self-esteem taken by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e ruined country who wanted to dig deep into self-discipline or had no choice but to dig deep from the ignorance of the world in the harrowing times. They were comrades who worked together to resist the violent times and pass on the value of trad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