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부비동염의 임상적 연구

        오경영(Kyoung Young Oh),이선기(Sun Ki Lee),권우진(Woo Jin Kwon),임승근(Seung Keun Lim),윤경애(Kyoung Ae Yoon),이동희(Dong Hee Lee),박진(Jin Park),현재호(Jae Ho Hyun),양만규(Man Kyu Ya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부비동염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비동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소아기에 빈발하는 질병의 하나이며, 소아과 의사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흔한 질환중의 하나이다. 부비동은 태생기와 소아 초기에 발생하여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발육하므로, 소아의 부비동염은 성인과는 다른 임상 증상과 치료에 차이를 보인다. 부비동염과 호흡기 알레르기와 관련성을 보면, 만성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알레르기질환 환아에서 부비동 질환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식 환아에서 부비동 X-선 검사를 해보면 비정상 소견을 흔하게 볼수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으며 알레르기 질환 환아의 53%에서 비정상 소견이 있었으며, 27%에서는 완전한 혼탁이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부비동염 환아를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분류하여 소아부비동염의 일반적인 특징과 알레르기와 부비동염의 관계 및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대림 성모 병원 소아과 외래 및 입원 환아 중 부비동 X-선 검사상 부비동염으로 환진된 107명을 대상으로 하고 그 중 71멍에서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이들 10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혈청 IgE와 총호산구를 측정하고 천식,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종합하여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 사이에서 중상과 혈액 검사 소견 부비동과의 관계 및 특징을 알아보고, IgE와 총호산구와의 관련성을 t-teat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1) 나이늘 3세에서 8세까지가 18.6%를 차지했고, 남때비는 1.7:1이었다. 2) 임상 증상 및 증후로는 비루가 66례(61.7%), 발열이 63례(58.9%), 비폐색 44례(41.1%)로 비교지 많이 볼 수 있었고, 알레르기군에서는 재채기, 비루, 발열, 비폐색이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비알레르기군에서는 비폐색, 재채기, 발열, 비루, 구토의 수능로 나타났다. 3) 알레르기 질환 과거력에서는 천식성 기관지염이 8.4%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아토피성 피부염 7.5%, 결막염 5.6%, 알레르기성 비염 47%, 두드러기 2.8%, 식품 알레르기 1.9%에서 볼 수 있었다. 4) 혈액학적 소견으로는 백혈구 증가가 33.3%, 호산구 증다증 23.2%, 적혈구 침강속도 증가 33.3%였다. 5) 부비동 X-선 소견은 혼탁이 77.6% , 점막비후 22.4%로 나타났다. 6) 총 IgE치는 200IL/m1 미만이 84.4%. 200IL/m1 이상이 15.5%이며, 1,000IL/ml 이상은 1.6%였다. 결론 : 부비동염 환아를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나누어서 비교한 결과 임상 증상 및 증후, 알레르기 질환 과거력증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IgE와 총호산구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IgE와 총호산구수 검사는 알레르기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는 부적절하다고 생각된다. This report is an analysis of 107 outpatients and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sinusiti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between January, 1993 and December, 1995. In these patients, serum IgE, total eosinophil count, allergic skin test were performed and past history of allergy was taken. These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llergy group and the non-allergy group and the clinical observation was don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ange of ages from 3 to 8 was 78.6%, a large percentage. There were 67 males (62.6%) and 40 females(37.4%), male to female ratio was 1.7:1. 2)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consisted of rhinorrhea in 61.7%, fever in 58.9%, nasal obstruction in 41.1% of the cases. 3) Sneezing, rhinorrhea, fever, nasal obstruction were noted, in decreasing order, in the allergy group and in the non-allergy group, nasal obstruction, sneezing, fever, rhinorrhea vomiting, in decreasing order. 4) Asthmatic bronchitis was noted in 8.4% which was the highest in the past history of the allergic patients and the others such as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conjuntivitis, urticaria, food allergy were noted only in a small number. 5) In hematologic findings, leukocytosis(>10,000/㎣) was noted in 33.3%, increase in eosinophil was noted (>5%) in 23.2%, and the ESR level was elevated(≥15㎜/hr) in 33.3%. 6) In the PNS view, opacity was noted in 77.6%, mucosal thickening in 22.4% of the cases. 7) Total IgE level less than 200 IU/ml in 84.4%, more than 200 IU/ml in 15.6% and more than 1,000 IU/ml 1.6% of the cases. 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mean value of IgE & total eosinophil count of t-test between allergic group and non-allergic group.

      • 한국 소아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선별검사로서 Phadiatop(R)Infant 검사법의 임상적 유용성

        김병주 ( Byoung Ju Kim ),이정용 ( Jung Yong Lee ),송영화 ( Young Hwa Song ),유진호 ( Jin Ho Yu ),오흥범 ( Heung Bum Oh ),홍수종 ( Soo Jong Ho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2

        목적: 아토피(IgE sensitization)는 IgE-매개성 알레르기질환 발생의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향후 예후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Phadiatop(R)Infant는 소아에서 감작률이 높은 항원으로 구성된 복합항원으로 ImmunoCAP을 측정하며 결과는 양성 및 음성으로 보고되어 IgE-매개성 알레르기 질환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별검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에서 흔한 식품 및 흡입항원에 대한 특이 IgE 유무를 검출하데 있어 PhadiatopInfant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아토피피부염 혹은 반복천명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 아토피센터를 방문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Phadiatop Infant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6가지 흡입항원(D.p, D.f, cat, dong, cockroach, alternaria) 및 6가지 식품항원(egg, milk, soybean, wheat, fish, peanut)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여 두 가지 검사법에 대한 일치율 및 IgE-매개성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있어 Phadiatop(R)Infant 검사법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93명의 소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남자는 54명 여자는 39명이었다. 평균나이는 32.4(±20.4)개월이었다. 특이항원 측정에 의한 흡입항원에 감작률은 38.7%, 식품항원에 감작률은 53.8%, 12가지 항원 중 하나이상의 감작률은 71%였다. Phadiatop(R)Infant에 의한 양성률은 66.9%였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이항원에 대한 감작유무와 Phadiatop(R)Infant 검사의 일치도는 0.768(Kappa value)이었다. Phadiatop(R)Infant에 양성이나 특이항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가 4례, Phadiatop(R)Infant에 음성이나 특이항원이 검출된 경우는 5례이었으며 후자에서는 모두 집먼지진드기 특이항원이 검출되었으며 전자에서는 1례를 제외하고 연령이 36개월 이상이었다. 나이별에 따른 일치율은 나이가 적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κ=0.933(0-24개월), 0.692(25-48개월), 0.619(49개월 이상) 결론: Phadiatop(R)Infant 검사는 한국 소아에서 IgE-매개성 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어릴수록 식품항원에 대한 감작이 높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흡입항원에 대한 감작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Purpose: Atopy is a prerequisite for IgE-mediated allergic disease and also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hadiatop(R)Infant (phadia AB, uppsala, sweden) is a new blood test designed for the detecting the presence of IgE sensitization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hadiatop(R)Infant test in Korea.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Childhood Asthma Atopy Center,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08 and August 2008, young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who had eczema or wheezing were enrolled. Ninety-three patients were tested using specific IgE antibody tests with 6 aeroallergen including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 Dermatophagoides farinae (D.f), cat, dog, cockroach and alternaria, and 6 food allergen including egg, milk, soybean, wheat, fish and peanut as well as Phadiatop(R)Infant test. Results: The study group was consisted of 54 males and 39 females, with a mean age of 32.4±20.4 months. By specific IgE antibody test, 38.7% were sensitized to aeroallergen, 53.8% to food allergen, 71% to at least one allergen. Positive rate of Phadiatop(R)Infant was 66.9%. There were 9 discrepant cases: 4 cases with positive Phadiatop(R)Infant but negative specific IgE antibody test and 5 cases with negative Phadiatop(R)Infant but positive specific IgE antibody test. The former cases except one were older than 36 months and all the latter cases were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 The kappa value between Phadiatop(R)Infant and specific IgE antibody test was 0.768. When the age was considered, the younger children showed the better agreement rate [kappa value=0.933 (<24 months), 0.692 (24-48 months) and 0.619 (>48 months)]. Conclusion: Phadiatop(R)Infant may be a useful screening test for atopy in Korean children,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It is presumed that the rates of sensitization to local inhalant allergen become higher with increasing ag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155-164]

      • 소아에서 잡초류 알레르기 감작률의 증가와 알레르기성 잡초류의 연중 화분량과의 상관관계

        오재원 ( Jae Won Oh ),강임주 ( Im Ju Kang ),김성원 ( Sung Won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김봉성 ( Bong Seong Kim ),신경수 ( Kyung Soo Shin ),한윤수 ( Youn Soo Hahn ),신수아,이하백 ( Ha Baik Lee ),손명현 ( Myung Hyun Shon ),정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잡초류의 대표적인 돼지풀이 최근 그 분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아연령에서도 돼지풀에 대한 감작이 증가하게 되어 소아알레르기 환자에게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잡초류 특히, 돼지풀의 증가가 실제적으로 어떤 임상적인 의의가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국에 화분 분포를 조사하고 있는 지역(서울, 구리, 대구, 부산, 광주)을 대상으로 화분에 대한 알레르기 피부시험을 실시하여 소아연령(0-18세)에서 각 화분에 대한 감작률을 파악하고 그 지역의 연중 화분량을 조사하고 각 화분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잡초류의 화분량과 이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잡초류 화분은 돼지풀과 쑥의 화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의 최고치가 1997-2000년에는 89-128 grains/m3/day이었으나 2001-4년 275-302 grains/m3/day로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3년의 돼지풀에 대한 소아 감작률이 7.1%였는데 이는 성인 감작률(6.6%)과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소아연령에서의 매년 잡초류의 감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1999년 4.4%, 2000년 7.1%, 2001년 7.4%) 결 론 : 소아에서 돼지풀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이 매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돼지풀 등과 같은 잡초류 번식의 급증 뿐 아니라 교통량의 증가와 아파트 건축, 공장 등에 따른 공기오염이 돼지풀과 같은 식물의 번식에 증식 효과를 더 배가하게 되어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위해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allergic disease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schools and among preschool aged childhood. Pollen amount of weeds also, especially ragweed, were increased. We evaluated the increased pollen count of weed was associated with the sensitization rate to weed in childhood. Methods :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from eight stations nationwide(Seoul, Guri, Cheongju,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s-Burkard sampler(Burkard Manufacturing Co Ltd, Hertfordshire, UK), for 7 years in South Korea(July 1, 1997-June 30, 2004).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the weat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diatric patients with allergic symptoms, who visit the pediatrics allergy clinics and capable of allerfy skin test among hospitals that have pollen collecting centers. Results : Airborne pollen has two peak seasons : May and September in Korea. There were the tree pollen seasons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late July, then followed the grasses and weed season from the middle of July to the end of October. Ragweed was one of the most common pollens of autumn in Korea. In skin prick tests, Mugwort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7.6 percent), followed by ragweed(7.1 percent), birch(6.1 percent), alder, grasses mix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 aged children. Ragweed pollen count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In the same period, sensitization rates for airborne pollen, especially weeds, in Korean children have increased annually(1999 : 4.4 percent, 2000 : 7.1 percent, 2001 : 7.4 percent, 2002 : 8.5 percent, 2003 : 7.7 percent). Conclusion: Sensitization rates for outdoor airborne pollens have increased in Korean children. These findings might result from the changes of life styles and living environments in Kore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14-121]

      • 3세 이하 소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와 아토피 소견이 바이러스성 천명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

        안병환 ( Byoung Whan Ahn ),이동환 ( Dong Hwan Lee ),강임주 ( Im Ju Ka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3

        목적: 3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와 관련한 천명의 경우 천명의 재발과 호흡기 바이러스 및 아토피 소견과의 관계는 분명치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와 관련한 천명을 가진 3세 이하의 소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및 아토피 소견이 천명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2006년 3월에서 2009년 2월까지 3년간 대구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상기도 감염 증상과 함께 갑작스런 호흡 곤란 기침 및 호기성 천명과 함께 흉부방사선 소견이 정상 혹은 과팽창 등으로 입원한 3세 이하의 환아에서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 다중 역전사 중합연쇄반응 검사를 이용하여 한 가지 이상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된 340명을 대상으로 대상 환아를 6개월 이하 7-12개월, 13-24개월, 25-36개월의 네 가지 연령군으로 나누고 각 연령군을 첫발병군과 2회 이상 천명이 있었던 재발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에서 바이러스 종류 및 아토피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호흡기 바이러스는 RSV, PIV, RV의 순으로 나타났고 RV와 PIV는 천명의 재발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SV는 천명의 재발보다 첫발병과 좀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5 IU/mL 이상의 혈청 IgE의 증가와 함께 흡입항원 감작 및 음식항원 감작은 천명의 재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상의 호산, 4%이상의 호산구의 증가는 천명의 재발과 관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친의 천식병력 및 아토피피부염의 과거력은 천명의 재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접흡연은 천명의 재발과 관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3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와 관련한 천명 환아에서 바이러스 종류는 천명의 재발에 다소다르게 영향을 주며 아토피 소견은 천명의 재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입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므로 향후 이를 보완한 전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studied to know the influence of respiratory virus and atopic characteristics on recurrence of virus-induced wheezing in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Methods: Between March 2006 and February 2009, 340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with symptoms of sudden onset of dyspnea, cough and wheezing after symptoms of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nd detected specific respiratory viruses by multiplex RT-PCR were enroll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ge (≤6, 7-12, 13-24, and 25-36 months) as well as previous wheezing episodes (first or recurrent episode). Respiratory viruses and atopic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mong individual groups. Results : The 3 commonly identified viruses were RSV (62.4%), PIV (15.6%) and RV (11.8%). PIV and RV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but RSV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Food sensitization, aeroallergen sensitization, elevation of total IgE,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and history of parent asthm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current episode, but serum eosinophil and passive smoking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current episod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specific respiratory viruses can have different influenceon recurrence and that atopy may be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wheezing, in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with virus-induced wheezing.

      • 알레르기비염 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최은혜 ( Eun Hye Choi ),강빈 ( Ben Kang ),이희영 ( Hee Young Lee ),강희숙 ( Hee Suk Kang ),김정희 ( Jeong Hee Kim ),임대현 ( Dae Hyun Lim ),손병관 ( Byong Kwan So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3

        목적: 알레르기비염은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교육 부족과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 지도에 근거한 효율적인 교육 도구 개발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는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부재하다. 이에 저자들은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알레르기비염의 이론적 측면에 관한 문헌 및 전문가의 조언과 알레르기비염 교육 및 상담을 통한 환자 보호자들의 질문을 수집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은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일반지식 증상 진단 및 환경관리 치료 4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8회의 예비조사를 통해 60문항의 설문지를 만들었고 알레르기비염 환자 보호자 일반인으로 구성된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된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내적 신뢰도가 0.67인 20문항의 인지도 측정 도구를 완성하였다. 문항의 설문 결과 알레르기비염의 정의 일반지식 증상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고 환경관리 중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관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알레르기비염과 천식과의 연관성 정기적인 검사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다. 유지치료 비강흡입식 스테로이드제 치료의 중요성 치료가 환자의 면역력 성장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다. 결론: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저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자료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Despit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there are difficulties i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due to lack of education and misunderstanding of the disease. Development of efficient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Methods: Questions related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professional advice and inquiries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4 areas: (1) basic knowledge, (2) symptoms, (3) diagnosi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4) treatment. Through the eight preliminary survey on 38 adults, a questionnaire of 60 items was develop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Results : A tool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was completed, which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an internal reliability of 0.6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 60 items, the areas of basic knowledge, symptom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showed high awareness. The item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necessity of regular checkup, awareness of maintenance treatment, importance of treatment with intranasal steroids, and the influence of treatment on immun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patient showed low awareness. Conclusion: A reliable tool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o optimize its educational effect on allergic rhinitis

      • 최근 5 년간 mycoplasma 폐렴의 역학적 추이 및 임상소견에 관한 보고

        편복양(Bok Yang Pyun),정지태(Ji Tae Choung),김현희(Hyun Hee Kim),이준성(Joon S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2

        목 적 : Mycoplasma 감염은 소아기 가장 흔한 호흡기 감염증의 원인으로 그 빈도가 매우 높다. 우리나라에서도 mycoplasma 폐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는 실제로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가, 임상 증상이나 다른 검사 소견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최근 5년간(1993-1997년) 서울의 3계 대학병원과 인천의 1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였던 환아 중 냉응집소 항체나 항 mycoplasma 항체 검사에 양성을 보인 1,004명을 대상으로 임상 증상 및 징후, 검사소견, 방사선소견 및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의 연령 분포는 3세 이하의 영유아가 287명으로 28.6%, 4-6세의 학령 전기 소아가 421례로 41.9% 였으며, 7세 이상의 학령기 소아는 29.5%로 학령 전기의 소아 및 영유아에서 많았다. 2) 93.2%에서 기침, 권태감 2.3%, 두통 3.3%, 발열이 72,6%에서 선행되었다. 3)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침, 콧물, 호홉 곤란, 인후통 둥이 있었다. 4) 비호흡기계 증상으로는 구토가 22.7%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구역, 복통, 설사 및 두통의 순이었다. 피부 발진은 7.4%, 부정맥은 0.2%에서 관찰되었다. 5) 진찰소견으로는 인후 발적이 56.8%, 경부 림프절 종대가 1.9%, 결막 충혈이 0.7%에서 관찰되었다. 6) 청진상 라음이 68.4%, 천명이 8.2%에서 들렸으며, 10.6%의 환아에서는 호흡음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7) 말초혈액 백혈구수가 1000/dL 이상으로 증가되었던 예가 전체의 36.2%, CRP 양성이 39.8%, ESR의 증가는 37.4%에서 볼 수 있었고, 13.1%에서 빈혈을 볼 수 있었다. 그 외에 ALT 또는 AST 증가는 각각 5.1%, 4.7%에서 관찰되었다. 8) 흉부 방사선 촬영상 폐침윤을 보인 예는 전체의 76.5%였으며, 이중 67.1%에서 일측성, 32.9%에서는 양측성 폐침윤을 볼 수 있었다. 침범된 부위는 우하엽이 가장 많았으며, 좌하엽, 우상엽, 우중엽, 좌상엽의 순이었다. 침윤 형태는 34.5%에서 간질성, 30.0%에서 대엽성, 23.4%에서 소엽성 폐침윤 소견을 보였고, 7.8%에서는 흉막 삼출 소견을 볼 수 있었다. 8) 합병증 또는 동반된 질환으로는 기관지천식을 유발 또는 악화시킨 예가 전체의 4.0%, 부비동염이 3.5%, 중이염이 1.4%에서 동반되었으며, 무균성 뇌막염이 4례에서 동반되었고, 1례에서는 폐농양이 합병되었다. 결 론 : 저자들은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서울의 3개 대학병원과 인천의 1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였던 mycoplasma 폐렴 환아를 대상으로 그 발생 빈도와 임상소견 및 검사소견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나 최근 그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과 전에 비해 대엽성 침윤을 보이는 환자가 많았다는 사실은 확인하였지만 그 외에 임상소견과 검사소견에는 큰 번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urpose : It is not surprising that serologically based epidemiologic studies have documented the high incidence of mycoplasma respiratory infection throughout the world. We studied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aspects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if there is any differences in the peak age-related incidence, seasonal predomina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compare with other studies reported in Korea. Methods = We reviewed 1004 cases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diagnosed b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ositive serologic tests, retrospectively,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Inchon during the last 5 years from 1993 through 1997. Results 1) The age distribution of mycoplasma pneumonia showed highest incidence in children 4-6 years ol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x distribution at any age group. 2)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nnual distribution, it was highest in 1997. 3) Cough was the most prevalent prodromal symptom. 4) Vomiting, Nausea, Abdominal pain and headache were noted as the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5) Pulmonary infiltration was noted mostly in lower lobe on chest X-ray. They showed interstitial involvement in 34.5%, lobar involvement in 30.0%, and pleural effusion in 7.8% of the total. 6) As the complications, aggravate or trigger the asthma attack were noted in 4.0%, development of sinusitis in 3.5% and otitis media in 1.4% of the total. There were four cases of aseptic meningitis and one case of lung abscess. Conclusion : In our survey, there was little or no epidemiologic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e can find the increasing tendency of lobar pattern of involvement on chest X-ray in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 소아 급성 천식의 치료에서 베타 자극제와 스테로이드제에 추가된 정맥 투여 아미노필린의 효능

        나영호(Young Ho Rah),배종우(Chong Woo Bae),정사준(Sa Jun Chung),최용묵(Yong Mook Choi)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1

        목 적 : Methylxanthine제의 기관지 확장제인 아미노필린 정맥주사는 그 효능에 대한 근거가 적고 유효 치료 범위가 매우 즘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오래 전부터 홉입 베타 자극제와 함께 천식의 급성 악화 환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급성 천식 상태에서 적절한 베타 자극제에 추가된 아미노필린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해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추가 투여가 아무런 유용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흡입용 베타 자극제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의 정맥 투여에 추가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은 1996년 3월부터 1997년 9월까지 18계월동안 경회의대 부속병원 소아과에 급성 기관지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만 5세부터 15세까지의 환아 30명을 선정하여 아미노필린을 투여받는 군(아미노필린군, n=15)과 투여받지 않는 군(대조군, n=15)으로 나누었다. 두군 모두 전 입원기간을 통해서 흡입용 albuterol과 정맥으로 methylprednisolone을 투여받았으며 아미노필린군은 정맥용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받았다. 치료에 따른 효능의 평가는 입원기간, 최대호기속도(PEFR), 천식 증상점수 등을 근거로 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해서 Student t-test와 chi-square 분석을 통해서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의 연령, 성비, 치료 전에 측정한 PEFR의 정상추정치에 대한 백분을, 천식 중상점수(asthma symptom score) 및 심박수에서는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의 치료에 따른 결과 변수 비교에서 아미노괼린군과 대조군의 입원기 간은 각각 5.1±1.0일과 5.3±1.2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24시간의 중상점수 차이는 각각 2.0±1.1점과 1.9±0.9점으로 두군 모두에서 치료후 24시간에 치료전 비해서 증상점수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두군 사이 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을의 평균치는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치료후 12시간에 54그雲4%와 53±19%, 24시간에 58±15%와 60±20%, 48시간에 64±25%와 66±23%, 최종 측정치는 78±30%과 82±28%로 24시간 이후부터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연구 기간의 어떤 시점에서도 두 군간에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buterol 분무 치료 24시간 동안의 albuterol 투여 횟수는 아미노필련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5±0.8회와 4.4±0.6회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필린군의 평균 혈중 theophylline 농도는 10.2±1.7㎍/mL이었다. 부작용은 아미노필린군에서 더 흔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구역(nausea) 및 구토 중상이 아미노필린군에서 가장 흔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급성 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경증 및 중둥중 환아의 치료에서의 베타 자극제의 흡입과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에 정맥내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효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중종의 급성 천식환자에서 아미노필린의 정맥내 투여로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결정을 위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determine if intravenous aminophylline adds any efficacy to nebulized albuterol and intravenously administered corticosteroid in children who hospitalized with mild to moderate asthma. Method : Subjects wer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5 and 15 years admitted of acute asthma attack t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ll patient received therapy with albuterol delivered with nebulization at 4-6 hour interval and intravenously adminstered methylprednisolone in standardized doses. Thirty patients were recruited to receive either an intravenous aminophylline(n=15) or not(n=15). The outcome variables were:duration of hospitalization, percent of predicted peak expiratory flow rates recorded at 12-hour intervals and side effects. When intravenously administered medications were discontinued, therapy continued with oral administration of theophylline. Twice daily assessments of clinical asthma symptoms were made by using a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respiratory rate, wheeze and accessory muscle use. Result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study entry in age, sex, race, number of previous hospital admission, clinical symptom scores, or initial peak flow rates ` for the two groups. 2) Fifteen patients in the aminophylline group were hospitalized for an mean duration of 5.1 1.0 days, whereas 1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required 5.3 1.2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3)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absolute changes in their scores two scoring intervals(at 24 hours)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measurements of peak expiratory flow rates at any time interval and at the end of treatment. 5) The mean theophylline level for aminophylline group was 10.2 1.7 ㎍/mL. 6) In the aminophylline group, 6 of 15 patients who entered the study experienced adverse effects consisting of nausea/vomiting, abdominal pain, and irritability. Five of 1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an advers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amount of albuterol therapy required. Conclusion : When the combination of systemically administered corticosteroid and inhaled albuterol is used in hospitalized asthmatic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asthma, addition of theophylline provided no additional benefit.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if patients with more severe asthma exacerbation benefit for the use of intraveously administered aminophylline.

      • 학동기 천식에 대한 일선 교사의 지식 수준에 관한 조사

        윤혜선(Hae Sun Yoon),이혜란(Hae Ran Lee),김우경(Woo Kyung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2

        목 적 : 학동기의 천식은 잦은 천식 발작이나 투약 중인 약물로 인해 학교수업에 지장을 줄 수 있고, 중요한 천식 유발요인 중의 하나인 운동이 학교 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투약 관리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를 위해서는 능동적 참여자로서 일선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교사가 천식 환아를 이해하고, 학교에서 발작을 예방할 수 있고, 웅급 시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사용 천식 지침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위와 같은 교사용 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일선 교사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국의 각도에서 무작위로 60개교를 선정하여 우편으로 설문지를 우송하여, 설문지에 응답을 하였던 초등학교 및 중학교 31개교의 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천식의 인식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되는 간략한 교사의 인적사항과 천식에 대한 지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질문은 O,X로 표기하여 정오답 처리하였고, 교사 인적사항과 연관시켜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SPSS for window)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설문지에 응답한 총159명 중 초둥학교 교사는 61명(양호교사 15명 포함)과 중학교 교사는 98명(양호교사 21명 포함)이었다. 교사들 중에서 천식 아동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37명(23.3%)이었고, 교사 본인이나 가족 중에 천식이 있는 경우는 20명(12.6%) 이었다. 천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25점 만점에 평균 18.2±2.8점이었으며, 지식수준의 분석 결과를 문항별로 보면 천식 중상 및 발생 기전에 대한 문항은 비교적 인식도가 높았으나, 유병률과 유발 인자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하였고, 특히 천식 발작시 치명적으로 위험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인식이 부족하였다. 또한, 무조건 운동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웅급시에 연락처나 웅급처치법을 알고 있는 경우는 55명(34.6%)에 불과하였다. 교사의 연령, 근무지, 근무기간, 결혼 여부, 본인이나 가족의 천식 병력 유무가 천식의 지식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단, 양호교사이거나 과거에 천식 아동을 경험했던 교사에서는 천식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았고, 특히 발작시 긴급연락처와 응급처치법에 대한 사항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았다. 결 론 : 학동기 소아 천식 치료에서 관리자로서 일선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조사에 의하면 교사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 수준이나 발작시에 대처하는 능력은 크게 미흡한 실정이므로 `교사용 천식 관리 지침서`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Purpose : School-age children spend more than half of the day at school and teachers or school nurses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students with asthma during school hours. Thus,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asthma is very important for the care of asthmatic school children. Methods : Total 159 teachers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 on their knowledge about asthma and their personal profile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by mail. The questionnaire includes 17 items about pathophysiology, symptoms, precipitating factors, treatment, care and prognosis, which were to be answered by either `true` or `false`.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s were examin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Results : Most teachers were in their thirties(54.7%)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from six to fifteen years(50.4%).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asthma students were 23.6%, and 12.6% were either asthma patients or had asthma patients in their family. They had knowledge about precipitating factors of asthma, but, the knowledge was not correct in detail. Only 34% teachers knew what to do and where to contact in case of asthma attack among the students. Teachers` demographic and professional factors did not affect the knowledge about asthma, except their working experience as school nurses and/or with school nursing asthmatic students. Conclusion : The surve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ir teachers` knowledge about asthma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take good care of the asthmatic students at school including emergency management. Asthma education for the school teachers is required and efficie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 과체중 소아에서 천식 발생과 Adiponectin 및 Leptin의 연관성

        백혜성 ( Hey Sung Baek ),김영대 ( Young Dae Kim ),박용순 ( Young Soon Park ),신재훈 ( Jeh Hoon Shin ),오재원 ( Jae Won Oh ),이하백 ( Ha Baik Lee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1

        목적: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과 천식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양한 역학 조사보고들이 있지만, 확실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체중 소아에서 천식과 leptin과 adiponectin이 연관성이 있는지, 그리고 폐기능의 저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6-18세 소아 총 61명 중 제 1군은 과체중을 동반한 안정된 천식 환아(n=14), 제 2군은 과체중을 동반하지 않은 안정된 천식 환아(n=16), 제 3군은 천식이 없는 과체중 소아(n=16), 그리고 건강한 대조군(n=15)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혈액에서 혈청 총 IgE와 알레르겐 특이 IgE치, 말초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호산구 음이온단백(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혈액 내 leptin, adiponectin, 지질(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유리지방산, 저 밀도 및 고 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3 (IGF-BP3)와 코티솔, 음식 섭취 설문조사 후 혈액에서 비타민 C와 E, 베타-카로틴, 셀레늄과 아연을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메타콜린 흡입과 자유 운동에 의한 기관지 유발시험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과체중군에서 혈중 leptin치는 높은 경향이 있는 반면, adiponectin은 낮은 경향을 보였고 leptin과 adiponectin 사이에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479; P<0.001)천식군에서 leptin은 BMI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폐기능 검사로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에 대한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비율, FEV1/FVC은 천식군과 비 천식군을 포함한 과체중군에서 낮았다. 하지만 IL-6와 TNF-α, 영양소 및 다른 지표들은 과체중 천식 소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측정 가능한 과체중과 관련된 비만관련 호르몬, 염증지표와 영양소들이 천식의 직접적인 유발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근거는 충분하지 않았으나 과체중이 FEV1/FVC감소 및 폐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revalence of asthma and obesity is increasing concomitantly, but the link between asthma and obesity is unclear. We sought to address possible roles of leptin and adiponectin in the development of asthma, and changes in pulmonary function in overweight children. Methods: Four study groups of 61 children aged 6 to 18 years (mean age, 9.69±2.16) were enrolled: (1) 14 mild-to-moderate asthmatics with overweight, (2) 16 mild-to-moderate asthmatics with normal weight, (3) 16 obese subjects without asthma, and (4) 15 healthy controls. We measured biomarkers in blood, including total and allergen-specific IgE, eosinophil, eosinophilc cationic protein (ECP), leptin, adiponectin,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lipid profiles,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3 (IGF-BP3). Body mass index (BMI), antioxidants and micronutrients in a daily diet were evaluated by the questionnaire. We performed the bronchial challenge test by methacholine inhalation and free running, respectively. Results: The leptin levels was apparently high, and the adiponectin level was low in the overweight children, as depicting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2 variables (R=-0.479; P<0.001). The FEV1/FVC ratio was low in the overweight childre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asthma. However, the effect of IL-6, TNF-α, nutrients, and other variables on asthma development in the overweight children with asthma was not verified.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levels of leptin, adiponectin or other obesity-related biomarkers were not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sthm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obesity may not be an important factor in pulmonary function impairment.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48-58]

      • 운동유발성천식 환아에서 혈청 Eosinophil Cationic Protein 의 변화 및 비특이적 기관지 반응과의 관계

        배원정(Weon Jeong Bae),박정권(Jeong Kwen Park),이재욱(Jae Ook Lee),강임주(Im Ju Ka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운동유발성천식시 항원 유발에 의한 천식과 같이 운동 후 4-12시간에 기도 수축과 함께 천식 증상의 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운동유발성천식에서 염증 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증거와 기도과민반응의 변화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운동유발성천식 환아에서 호산구 및 그 활성화 지표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의 변화를 관찰하여 운동유발성천식에서 호산구의 역할 및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관계를 알고자 볼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본원 소아 알레르기 진료실에 내원 환아중 7세 이상의 아토피성 천식 환아에서 운동유발성천식으로 진단된 26명을 12시간 동안 관찰 후, 초기 천식 반응군과 초기 및 후기의 동시 친식 반응군으로 분류하여 초기 천석 반응군을 A군, 동시 천식 반웅군을 B군이라 하였고, 이들 각각에서 혈중 호산구수의 변화, 혈청 ECP의 변화, methacholine을 이용한 운동전 기도 과민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아토피성천식 환아중 운동유발성천식이 없었던 1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고, 혈액 채취는 운동 직전, 운동 직후, 운동후 30분 및 60분, 각 4회 실시하였다. 결과: 1) 온동후 초기 FEV_1의 최대 감소는 A군이 24.9±9.6%, B군이 핀1.8±12.7%로 B군이 A군에 비해 의미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2) 운동 전과 직후의 혈중 호산구수와 혈청 ECP의 변화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A,B군에서 각각 혈중 호산구수와 혈청 ECP의 약간의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 의미 있는 증가는 없었다. 3) 운동전 혈청 ECP와 운동후 초기 FEV_1의 최대 감소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4) 대조군에 비해 운둥유발성천식군의 경우 비특이적 기관지과민반응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5) 운동전 혈청 ECP와 비특이적 기관지과민과의 관계를 보면 B군에서만 혈청 ECP가 높을수록 비특이적 기관지과민반응이 높게 나타났다(γ=-0.87). 결론: 운동유발성천식은 단순한 기관지 수축보다는 다른 항원과 같이 염증 상태를 유도하여 기관지과민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운동유발성천식에서도 호산구가 기관지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ercise-induced asthma(EIA) resembles antigen-induced asthma in that it may be associated with both immediate and late asthmatic reaction, 4 to 12 hr later, but the role of activated inflammatory cells and influence to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EIA are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ole of eosinophil and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s in serum ECP levels and BHR. Twenty six patients with exercise-induced asthma who visited to the pediatric allergy clinic, Fatima Hospital, Taegu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se patients were observed during 12 hours after exersice and then, divided into early asthmatic response group(group A) and early and late, dual asthmatic response group(group B). Peripheral blood was obtained just before, just after, 30 and 60 minutes after challenge with exercise to compare the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variation of serum ECP levels between two groups. BHR was grad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thacholine inhalation challenge test. 1) Maximal fall in FEV_1 after exercise was 24.9±9.6% in group A, 41.8±12.7% in group B and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B. 2) In the group with EIA, there was an initial mild increase in serum levels of ECP after exercise, bu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re was no correlations between the serum ECP level before exercise and maximal fall in early FEV, after exercise. 4) Baseline B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with EI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5) The serum level of ECP before exercise and BH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group B(γ=-0.87:p<0.05). Upon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exercise in bronchial asthma should be regarded not only as a trigger of bronchospasm but also as one that incite airway inflammation related with BHR and the enhanced activity of eosinophil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irway inflammation in E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