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장년 발달장애인 미래설계지원프로그램의 설계코디네이터 지원활동 및 직무역량 평가

        정은주 ( Eun-jue Jung ),이은혜 ( Eun-hye Lee ),한정은 ( Jeong-eun Han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22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pport activities and job competencies of design coordinators, who are exclusive personnel of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s for the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design coordinators in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s were in charge of closely supporting the overall process of activities in ord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program, activity evaluation for such coordinators was a sector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mixed methods research of questionnaire and FGI targeting design coordinator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out of 4, overall evaluation for support activities was 3.06, attitude competency was 3.50, technical competency was 2.95 in terms of job competency. For the result of FGI, design coordinators felt it rewarding when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change regarding self-support through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y had difficulties because of limitations in individual support resulting from lack of experiences in the field of disability, low expectations from caregivers for their children’s future, hardships in terms of free communication. Also, the coordinators felt bad as they were limited in carrying out programs concerning local community because of COVID-19.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expertise in support personnel for middle-ag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supervision and budget support for continuous program support activities.

      • KCI등재

        CIPP 모형을 활용한 성인 발달장애인 미래설계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정은주(Eun-Jue Jung),유수진(Su-Jin You),이은혜(Eun-Hye Lee)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과정설계를 위한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과 개선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북부지역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 각 15명씩을 대상으로 CIPP(상황-투입-과정-산출) 평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평가에 있어서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과정설계에 대한 이들의 욕구를 대응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둘째, 투입평가에 있어서 프로그램 전 과정에 설계코디네이터라는 전담지원인력을 투입하여 집중지원을 함으로써 참여자들의 몰입도를 높이고 변화과정을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었다. 셋째, 과정평가로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참여자들이 낙오 없이 각 단계(준비교육, 계획수립, 실천 및 모니터링)를 성공적으로 이행하였고 과정별 만족도도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기존 발달장애인의 평생과정설계 프로그램들이 준비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졌던 것과는 달리 본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에서는 삶의 영역에 대한 미래계획을 수립하여 직접 실천까지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할 수 있으며 넷째, 산출평가로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역량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보호자는 자녀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인식전환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과정설계 실행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측면의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impact and to find out points to improve regarding future-design support program for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achieve the goal, an analysis was done using CIPP (Context-Input-Process-Product) evaluation model with 15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caregivers from northern part of Seoul as research obj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ntext evaluation,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 is a timely approach that meet the need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oncerning lifelong process design. Second, in terms of input evaluation, the research was meaningful in that it could increase the engagement level of the participants and manage precisely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concentrated support given by exclusive support staff (design coordinator) throughout the whole program. Third, in terms of process evaluation, each process (preparation education, goal-setting, action and monitoring)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with no dropouts from the program despite COVID-19 situ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ach process was very high. Additionally, the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 has its distinction in that it set future goals regarding life domains and went on to fulfilling them, as opposed to how preexisting lifelong process design programs only focused on preparation education.

      • KCI등재

        가족중심실천에 관한 중요성인식과 현재실천의 차이 연구: IPA기법 활용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중심으로-

        정은주 ( Eun Jue J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2

        본 연구는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을 대상으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현재 실천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조직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원들의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중요성 인식수준은 높게 나타났으나, 현재실천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가족중심실천의 6개의 하위요인 및 18개 세부 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피해아동의 보호과정에서 상담원들은 가족중심실천이 중요하다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장여건은 가족중심실천을 수행하기에는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가족중심실천의 중요성인식과 현재 실천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IPA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족과의 협력``, ``포괄적 서비스``, ``가족의사결정``요인은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에 비하여 현재 실천정도는 낮아 앞으로 집중노력을 요하는 조직전략이 필요하였으며 반면 ``개별화``, ``가족초점``, ``가족강점``요인은 중요성 인식이 낮은 것에 반하여 현재 실천은 높게 나타나 과잉영역에 속하였다. 특히 세부적으로 중요성과 현재 실천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한 항목은 ``가족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앞으로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잘 유지해나갈 수 있는 관리전략을, 그리고 양쪽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차지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에 가족은 물론 가족지지집단까지도 참여 권장``에 대해서는 가족중심실천을 수행하기 위해 전국의 기관차원에서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화 전략마련을 통해 차이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전략적인 방안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which can overcome the gap between knowing the importance of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amily-centered practices for effective child protection intervention, with service workers in child protection agencies especially in mi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lthough workers at child protection agencies knew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s the level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such practices was low. Secondly, the results showed that six factors of family-centered practices and all of the 18 ite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s. Also, in the process of protection, work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s, but field conditions made it hard for them to actualize the knowledge. Thirdly, the resul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hich was used to identify the strategies of organizations which could overcome the gap-showed that partnership in families, comprehensive services, and family decision making were high in importance but low in imple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ntensive efforts toward closing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individualized family focus, and a strength-based approach were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implementation, being served over the appropriate amount. In order to overcome the gap between knowing the importance of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amily-centered practices for effective child protection intervention, organizational strategies such as increasing community networks, job-training, and supervision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현장 종사자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의 중복과 누락에 관한 연구

        정은주 ( Eun Jue Jung ),한정은 ( Jung Eun Ha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 관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아동청소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 종사자의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의 중복과 누락 문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의 중복과 누락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은 길버트와 테렐(Gilbert and Terrell)의 정책분석틀에 기초하였다. 조사결과, 법적으로 아동복지법과 청소년기본법 등에서 연령 중복이 발견되었고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가 진행하고 있는 방과후 돌봄사업이 서비스내용, 대상자, 전달체계, 예산 등 모든 부분에서 중복되어 그에 따른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었다. 또한 문화체험사업, 다문화지원사업, 상담사업에서 중복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하였다. 현장 종사자들은 현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서 중복의 문제보다는 누락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하였고, 고등학생 이후의 청소년 지원, 학교 밖 아동청소년지원, 청소년 활동 공간, 특수치료와 같은 전문치료서비스, 가족지원, 저녁 6시 이후와 주말 돌봄 등에서 누락이 있다고 하였다. 특히 12세 이하의 저소득층 가정 자녀에 서비스가 집중되어 있어, 보호가 필요하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일반 아동에 대한 누락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견이었다. 따라서 이후 방과후 돌봄사업에 대한 부처 간 서비스 협력과 재조정, 야간 및 주말 돌봄시간 확장, 지역별 아동청소년 시설 편차 해소 및 확충, 제공자 전문성 확보 등을 위한 예산 확대 등이 요청된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hild and youth welfare policy by figuring out the problems of being overlapped or omitted from its benefits. It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former studies about social work for child and you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of fieldworkers. The policy analysis of Gilbert and Terrell was examined to clarify the situation of overlapping or omitting in social services for child and youth.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arget age group is overlapped among the Child Welfare Law, Framework Act on Juveniles and so on. Each afterschool childcare administr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Education shows severe duplication in most of the details; benefits, target, service delivery system, budget, etc. Cultural experience servic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other counseling service has minor overlapping issues. On the other hand, the fieldworkers, who are working for child and youth welfare, pointed out that the omitting issue is more severe than the overlapping problem in their services. Since most of the services focus on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in poverty, other children or juveniles in need of care tend to be seriously neglected by the system. Also, it is said that support for juveniles who have graduated high school, child and youth who do not attend school, youth centers, those receiving special care, family support and care services after 6p.m. or on weekends are relatively excluded. Therefore, the solutions are as follows. Cooperation and rearrangement among the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is needed about afterschool childcare. Further, opening hours of the services should be extended later into the night as well as the weekends. The regional differences among facilities for child and youth ought to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centers need to be increased. A budget to hire qualified professionals has to be a high priority.

      •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 구성차원에 관한 연구

        정은주 ( Eun Jue Jung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8 사회복지실천 Vol.7 No.-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급속하게 늘어나는 노인인구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노인문제들에 대한 해결점을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노인이 거주하는 노인복지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함에 있다. 노인부양의 문제를 가족에게만 떠맡길 수 없는 현 상황에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선호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무료시설에서부터 경제력있는 노인을 위한 유료노인시설에 이르기까지 노인복지시설들이 전국에 걸쳐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 생활의 만족을 위한 시설환경에 대한 논의와 객관적 기준은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노인정책의 우선순위로 논의되어지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이해, 노인복지시설에서 요구되어지는 시설의 물리적 환경 즉 서비스 스케이프에 대한 논의 그리고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 스케이프 구성차 원들을 도출해내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서비스스케이프란 서비스가 가지는 무형적이고 비가시적인 특성으로 인해 고객이 서비스를 구매하기 이전에 이를 추정할 때,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도중이나 구매 이후에 서비스에 대한 만족을 평가할 때, 흔히 사람들 이 가지는 서비스의 유형적인 단서, 물리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논하는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란 신체적, 정신적으로 허약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할 노인들이 생활하는 노인복지시설에서 제공 되는 서비스의 물리적인 환경, 서비스의 유형적 단서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용 가능한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 구성차원으로 `쾌적성`, `접근성`, `안전성`, `편리 성(배리어프리)`, `분위기요소` 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해 논의를 진행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ervicescape concept, servicescape components of elderly welfate facilities. Servicescape is service physical evidence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ter customers contacted service in service environments. Servicescape is to get an overall picture and a general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s evaluation proces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the roles in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In this study, servicescape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were service physical surrounding, service tangible evidence proving elderly people who have physical, mental weakens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The components of servicescape found comfortability, convenience(barrier free), safety, accessibility, mutual surroundings through domestic, international literatures and each special feature of components was explained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multiple strategic roles that physical surroundings, service organizations in elerly welfare facilities can cope elderly people and theire families` welfare need and success in organizational competition in Korea.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매개효과

        정은주 ( Eun Jue Jung ),이미선 ( Mi Sun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measure to lessen the difficulty of nurturing and heighte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for parents with infants.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y of nurturing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infants is analyze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irst, nurturing difficulty have a negative relationships with degree of life satisfaction, couple communicati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couple communica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y of nurturing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plans to improve parents-with-infants`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plans to reduce fostering difficulty, enhance couple communication, and elevate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goals may be achieved through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f home care allowance, the expansion of regional nurturing centers in which parents can learn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provision of family mentor services.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 변화

        김은혜(Kim Eun-hye),한정은(Han Jeong-Eun),정은주(Jung Eun-Ju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진행된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참여자들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6월부터 7개월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20대에서 50대까지 성인 발달장애인 12명이 최종 사회적 관계망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 척도를 사용한 양적연구와 개별인터뷰 및 관찰기록지를 활용한 질적연구의 혼합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결과 양적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친밀도, 접촉빈도의 부분에서 증가하였고, 물질적 지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35세 기준)로 청년 그룹과 중장년 그룹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 그룹이 청년 그룹에 비해 사회적 관계망이 더욱 뚜렷하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적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로 ‘다양한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적 변화’와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구축 및 지속적인 지원 필요’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래설계 지원프로그램이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에 대한 평생과정설계로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social network of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 participants who ar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took place during COVID-19 situation. Methods The program went on for 7 months from June 2020, and 12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20s to 50s participated in the final study of social network. The study was conducted by both quantitative method using social network criteria and qualitative method using individual interview and observation records Resul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showed that the social network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in the parts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closeness and contact frequency whereas material support decreased. Additionally, when the change in social network of youth and middle age group was studied (age 35 as the dividing point), middle age group showed more evident change in their social network compared to the youth group. Th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the change in social network of participants who ar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d to higher topic of ‘positive change in social network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need for continuous support and construction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ociety’. Conclusions It was shown that future design support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e of social network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it can be proposed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support policy as lifelong course design should be arranged.

      • KCI등재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원희(Won-Hee Choi),정은주(Eun-Jue Ju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가 인식한 사례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분석하여 이들 차이를 극복할 조직전략을 마련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e-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IPA(중요도-실행도 비교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 중요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4.17점, 실행도는 3.50점으로 중요도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행도가 낮았지만 실행도 자체도 보통이상의 수준이었다. 둘째, 사례관리역량의 IPA(중요도-실행도 간 차이분석)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역량은 지역사회 자원연계개발과 관리, 대상자의 자원정보 분석, 사례관리 단기목표 및 장기목표 수립, 사례관리 실행계획 전략, 자원활용계획, 대상자의 문제해결 역량강화, 지역사회연계 및 개발 등이었는데, 이들 역량들에 대한 향후 중점관리전략이 요청되었다. 셋째, 사례관리역량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사례관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례관리역량을 강화하고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조직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competency as perceived by integrated case managers of Dream Start, and to develop an organizational strategy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two and increas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 email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argeting 229 Dream Start’s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means of analysis, IP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degree of importance regarding case management of integrated case managers in Dream Start averaged 4.17 of 5, and its performance averaged 3.50 of 5. Second, as a result of IPA for case management competency, competencies high in importance but lower in performance, were community netwo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us, strengthening management strategies related to network development is recommended. Thir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importance as well as performance of job competency posed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ith such results, promotion of professional and effective case management competency as well as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지식경영활동이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전선영(Sun Young, Jeon),정은주(Eun Jue, J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6

        본 연구는 급속도로 변화되는 최첨단의 기술혁신과 지식창조의 시대에 공공사회복지 영역에서 조직혁신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서울특별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식경영활동과 조직혁신의 관계, 그리고 이들의 관계에서 상사·동료지원과 감정공유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식경영활동과 감정공유는 조직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사·동료지원은 조직혁신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지식경영활동과 조직혁신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동료지원과 감정공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동료지원은 매개하지 않았고 감정공유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지식경영활동이 높아질수록, 감정공유가 높을수록 조직혁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식경영활동은 조직내 공무원들 간의 감정공유를 통해 더욱 조직혁신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공복지서비스를 전달함에 있어서 정보의 창출과 공유 및 활용의 중요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업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정을 상호 공유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조직혁신을 꾀하고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seek measures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e field of public social welfares in the era of fast-changing, cutting edg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knowledge creation, this study targets the public social workers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whether supervisor-colleague support and sharing emotions have mediating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knowledge management and sharing emotions posed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while supervisor-colleague support did not influence organizational innovation. Second, when the mediating effects of supervisor-colleague support and sharing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was verified, supervisor-colleague support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while sharing emotions did. It was found that the more frequent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sharing emotions of public social worker, the more positive influence it ha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was also verified that knowledge management enhances organizational innovation more through sharing emotion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reating, sharing and applying information in conveying public social welfare service needs to be recognized, and it is advisable to seek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ositive change in terms of business performance by exploiting the system which would allow reciprocal sharing of emotion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job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