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uSI 형질전환 담배의 카드뮴 축적 양상과 카드뮴 오염토양 정화 가능성

        정윤화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dmium (Cd) tolerance in MuSI transgenic tobacco that was revealed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Cd accumulation by MuSI transgenic tobacco, and to verify its potential for phytoremediation. The Cd tolerance of MuSI transgenic tobacco was investigated with visible toxicity symptoms, growth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Cd distribution in the plant was analyzed by Cd accumulation and chemical species of Cd. In leaves, visible symptoms of Cd toxity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at this experiment treated with 180 mg kg-1, but the difference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tobacco had not been shown on leaves. Cd inhibited both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y, but the difference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tobacco had not been shown. In general, plant Cd content increased as Cd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culture substrate. MuSI transgenic tobacco absorbed Cd better than non-transgenic tobacco, but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Cd taken up by tobacco plants existed in different chemical forms.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st amount of Cd was found in the extraction of d-H2O(52-55%) in roots, followed by 1M NaCl(34-37%), while in leaves, most of Cd was extracted by 1M NaCl(73.5-74%). But the difference of chemical forms was not shown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tobacco. Keywords: MuSI, Cd tolerance, Cd accumulation, Cd chemical form 본 연구는 발아실험과 수경재배를 통해 밝혀진 MuSI(Multiple stress responsible gene I) 형질전환 담배의 카드뮴 저항성을 토양재배를 통해 확인하고, 나아가 카드뮴 축적양상 및 카드뮴 오염토양 복원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MuSI 형질전환 담배[line4(S4), line6(S6)]와 대조구[control(LA14)]담배에 카드뮴을 각각 0, 60, 그리고 180 mg kg-1 처리하였고, 온실에서 30일간 재배하였다. MuSI 형질전환 담배 재배시험 중 MuSI 형질전환 담배의 카드뮴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시피해, 생육조사, 그리고 생리활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카드뮴 축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물체내 부위별 카드뮴 함량 분석, 식물체내 카드뮴 화학종 분석, 토양 중 카드뮴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카드뮴 180 mg kg-1 처리에서 최초로 가시피해가 나타났고, 식물체 line간 가시피해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처리 카드뮴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저조하였고, 광합성률과 엽록소 함량도 감소하였지만, 식물체 line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MuSI 형질전환 담배의 내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모든 식물체에서 카드뮴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흡수농도도 증가하였고 식물체 line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MuSI 형질전환 담배가 조금 높은 흡수율을 보였다. 카드뮴 화학종분포 형태를 분석한 결과 잎에서는 NaCl-extractable fraction이 73.5~74%로 가장 높았지만, 뿌리에서는 H2O-extractable fraction이 51.7~54.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NaCl-extractable fraction (34.4~37%)이 높았다. 카드뮴 화학종 분포비율 역시 식물체 line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카드뮴 흡수율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주요어: MuSI, 카드뮴 내성, 카드뮴 흡수농도, 카드뮴 화학종분포

      •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대퇴길이 압박스타킹 착용 불편감

        정윤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대퇴길이 압박스타킹 착용 불편감 Discomfort on wearing thigh-length compression stockings after orthopedic operation 간호학과 정 윤 화 지도교수 민 혜 숙 본 연구는 정형외과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대퇴길이 압박스타킹 착용과 관련하여 환자들의 불편감 정도와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은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정형외과 수술을 받고 대퇴길이 압박스타킹을 착용한 환자 105명으로, 2011년 7월 5일부터 10월 20일에 걸쳐 본 연구자가 제작한 압박스타킹 착용 불편감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검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압박스타킹 착용과 관련한 수술 후 1일의 불편감은 3점 만점 중 1.99±0.18점, 수술 후 3일의 불편감은 2.07±0.21점으로 수술 후 3일의 불편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57, p〈.001). 2. 불편감의 하위 영역별 조사에서 수술 후 1일의 신체적 불편감은 2.02±0.18점, 수술 후 3일은 2.12±0.22점으로 수술 후 3일의 신체적 불편감이 수술 후 1일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t=-4.45, p〈.001). 그리고 수술 후 1일의 심리적 불편감은 1.88±0.32점, 수술 후 3일은 193±0.32점으로 수술 후 3일의 불편감이 수술 후 1일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t=-1.15, p=.253). 3. 불편감의 항목별 분석에서 수술 후 1일에 ‘피부가 가렵다(2.13±0.39)’와 ‘다리가 조인다(2.11±0.32)’의 항목이 높았고, ‘다리에 피가 통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1.87±0.34)’ 항목의 불편감이 가장 낮았다. 수술 후 3일의 불편감도 ‘피부가 가렵다(2.34±0.47)’의 항목이 가장 높았으며, ‘다리에 피가 통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1.90±0.36)’ 항목의 불편감이 가장 낮았다. 4. 수술 후 1일의 불편감에 차이를 보인 수술 관련 특성은 수술부위로 무릎과 대퇴 부위의 수술군이 고관절 부위의 수술군에 비하여 불편감이 높았다(F=3.40, p=.037). 5. 수술 후 3일의 불편감은 중졸 이하 군이 고졸 이상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95, p=.049). 수술 관련 특성은 마취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신마취를 받은 수술군이 척추마취와 경막외 마취를 받은 수술군에 비하여 불편감이 높았다(F=2.38, p=.098). 6. 수술 후 3일의 압박스타킹 착용 불편감이 체질량 지수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r=0.20, p=.041). 이상과 같이,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을 위해 착용되고 있는 대퇴길이의 압박스타킹은 정형외과 수술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불편감을 초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압박스타킹 착용과 관련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합한 압박스타킹의 선택이 필요하며, 간호사는 대상자들에게 수술 전 압박스타킹 관련 교육을 시행하고 수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압박스타킹의 문제점과 불편감을 관찰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심부정맥혈전증과 관련된 예방과 간호중재를 위해 표준지침서 개발과 간호사 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압박스타킹, 심부정맥혈전증, 정형외과 수술환자, 불편감

      • 정신과병동과 일반병동 및 특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정윤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grasp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nd coping style among nurses working at psychiatric wards and nurses working at general and special wa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nurses working at psychiatric wards, general wards and special wards; the psychiatric ward in a municipal hospital in Daegu, the psychiatric wards, general wards and special wards in a municipal psychiatric hospital and 4 private psychiatric hospitals in Daegu, in a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and 2 private hospitals in Gyeongnam province, and in 2 private hospitals and a provincial hospital in Gyeongsa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30, 2009. The survey tools for job stress were the Self-Report Type Tool invented by Mae Ja Kim and Mee Ock Gu(1984) and later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yung Hee Park(2005), and the Psychiatric Nurses' Job Stress Survey Tool invented by Jeong Yee Bae(1989) and part of it was selected and some items were added to it for use. The survey tool for coping style of job stress was the Stress Adaptation Tool that was invented by Bell(1977) and used by Nam Shin Kim and Hee Ja Mun(1992), and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yung Hee Park(2005).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15.0. First of al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Chi-square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among subjects in 3 different groups. ANCOVA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nd its coping style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s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sychiatric, general and special ward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marri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change of occupation and salary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job stress factors among 3 groups was as follow. As for the degree of stress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s, nurses in psychiatric and special wards felt more stressful than those in general wards. As for the score of job stress, the psychiatric wards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then the special wards and general wards in order. As for the score of job conflict, the psychiatric wards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then the special wards and general wards in order. As for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the special wards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then the psychiatric wards and general wards in order. As for the score of stress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 the psychiatric wards showed the highest scores, and then the special wards and general wards in order. Lastly, as for the comparison of coping style against stress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s, the order was psychiatric wards, special wards and general wards in short-term coping styl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order was general wards, special wards and psychiatric wards in long-term coping styl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e findings show that it is urgent to make 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to reduce the job stress of nurses in psychiatric wards. 본 연구는 정신과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 및 특수병동 간호사와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 정도 및 대처방식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소재의 1개 시립병원의 정신과병동, 1개 시립정신병원과 4개의 개인정신병원, 경남에 위치한 1개 국립정신병원과 2개 사립병원, 경산에 소재한 2개 사립병원과 1개 도립병원의 일반병동, 정신과병동 및 특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285명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8월15일부터 8월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는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한 자기 보고형 도구를 박경희(2005)가 수정·보완한 것과 배정이(1989)가 개발한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일부 발췌하여 문항을 추가시켜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 측정도구는 Bell(1977)이 개발한 도구인 스트레스 적응방법을 기반으로 김남신, 문희자(1992)가 사용했던 도구를 박경희(2005)가 수정·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 PC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적 통계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또 집단 간의 대상자의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근무부서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에는 Scheffe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 결혼 유무, 학력, 근무 경력, 이직 계획, 급여 만족에서 정신과병동, 일반병동, 특수병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세 군 간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부서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정신과병동과 특수병동이 일반병동 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수행 스트레스의 차이에서는 업무수행 소계에서 정신과병동 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특수병동, 일반병동 순으로 나타났다. 업무갈등 스트레스의 차이에서는 업무갈등 소계에서 정신과병동, 특수병동, 일반병동 순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차이에서 대인관계 요인 소계는 특수병동, 정신과병동, 일반병동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요인 스트레스의 차이에서 환경요인 소계는 정신과병동, 특수병동, 일반병동 순으로 나타났다. 3) 근무부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법 비교에서는 단기대처에서는 정신과병동, 일반병동, 특수병동 순으로 나타났지만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장기대처는 일반병동, 특수병동, 정신과병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수집 대상자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필요성이 있다.

      • 柑귤皮를 利用한 Candida utilis ATCC 9256의 單細胞蛋白質 生産

        정윤화 檀國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온주밀감의 폐과피를 이용하기 위해 감귤피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당액에 Candida utilis ATCC 9256을 배양하여 단세포 단백질을 생산할 목적으로 감귤피의 최적가수분해 조건 및 최적 배양 조건을 검토하였고. 생산된 균체의 단백질과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을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귤피의 최적 가수분해 조건을 알아본 결과 0.4N의 황산용액을 건감귤피 중량에 대하여 5배용량의 양을 가하고 121℃로 60분 가수분해하였을때 환원당의 생성량은 건감귤피 100g에 대하여 34.98g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2. Candida utilis ATCC 9256은 환원당 1.0%, pH 5.0의 감귤피산분해액에 배지에 대하여 NH_(4)NO_(3)를 질소로서 0.3%,KH_(2)PO_(4)를 0.08%, MgCl_(2)ㆍ6H_(2)O를 0.02% 가하고 36시간 동안 진탕배양되었을 때 가장 좋은 수율을 보였으며, 이때의 균체량 수율은 환원당 1.0g당 0.3421g이었고 균체의 단백질 함량은 54.78%이었다. 3. 총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는 37.37%이었고, 제1 제한아미노산은 methionine 이었으며 아미노산가 ( amino acid score )는 76.00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Single Cell Protein from an agricultural waste, citrus peel by Candida utilis ATCC 9256. The optimal conditions in hydrolyzing citrus peel and in cultivating the yeast were examined. Also the protein in and amino acids of the yeast produc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ighest hydrolysis rate; 34.98% of the reducing sugar was obtained when citrus peel was hydrolyzed with 0.4-NH_(2)S0_(4) solution at 121℃ for 60 minutes. 2. Candida utilis ATCC 9256 was observed to grow most favorably on the hydrolyzate medium containing 0.3% (as nitrogen, W/V),of NH_(4)N0_(3), 0.08% (W/V) of KH_(2)PO_(4), and 0.02% (W/V) of MgCl_(2).6H_(2)O with a reducing sugar level of 1.0% (W/V> at pH 5.0 and 36 hours of cultivation time. Under such conditions, the cell yield and protein content was turned out to be 34.21%, 54.78% respectively. 3 . The ratio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 to total amino acids was 37.37%.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 was methionine and its amino acid score was 76.00.

      • 서울 소재 사립대학교 입지의 풍수적 연구 : 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한양대를 중심으로

        정윤화 한양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University is an advanced education institution if students want to take education at a higher level after graduating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t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which people can select a specific major, obtain a degree, and be socially recognized. The talented people nurtured at universities lay the found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play a role in con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by creating new knowledge through research in each field.  Since the 1650s in Korea, it has been possible to make rapid economic growth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have surged together. Many universities that pursue to provid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to develop the colleges have made a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expansion. Universities wanted to settle in a ‘good place to produce great people and results’. In order to select the good place, universities set a location of their campus by applying Feng Shui, and then they built structures and composed spaces. This study researched characteristics and common points of Feng Shui as focusing on Korea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hich were organized in the modern era of Korea in earnest.   First, they are located in auspicious places depending on Feng Shui. Their spots meet requirements that Jusan and the waterway had an auspicious shape and they also had Baesanimsu, Jeonjeohugo, and Jeonchaghugwan. The reason why the universities are located in the auspicious places is that they want to produce good academic results and produce many talented people by receiving energy of earth called Jigi(地氣) in Korean.  Second, the universities located a main building on Hyulcheo. The main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building. They set the main building on the best place of Feng Shui where energy gathers in order to pursue development.   Third, the universities are located on side of a mountain called Myeon in Korean(面). Since the Myeon (面) is bright, clean, tidy, and gentle, it could produce good campus environment to have activities for students.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pursu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by inheriting Saenggi (生氣) gathered in Myeon (面).   Fourth, the universities were built in a nature-friendly measure by conforming to the topography. When choosing the direction of Jwahyang, they did not insist on facing south, but they tried to adapt to nature by considering flow of Ibsuryong (入首龍) and the direction of Sansu (山水). When choosing the height and shapes of buildings, they considere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of Sanse and they induced a sense of stability in the building.  Fifth, the universities recycled old sites known as a good place for their campus. They tri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business by recycling these good places that ancestors used as tombs, palaces, and temples in Korea.  Sixth, the universities conducted Bibo Feng Shui in order to make up for weakness. In order to prevent Palohwangcheonsal, Palosarohwangcheonsal, and other disastrous deaths called Hyungsal in Korean (凶殺), each school ut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trees, statues, stairs, and lakes for Bibo.   As it mentioned, the universities have campuses that could meet requirements for good places of feng shui.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common points between the ultimate goal of Feng Shui and universities, which is that they want to provide many talented people and good places where people live well.   The four universities chose the good place called Gilji in Korean, based on Feng Shui and made their campus environments eco-friendly. After about a hundred years of development, they became the first-class universities that many students want to go to. The reason why each university considered Feng Shui for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is because they believed that talented people can be born and growth and development can be achieved in Gilji. Inspiring interest in Feng Shui and changing awareness can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develop universities, and provide numerous talented people to the societ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대학교는 초⦁중등교육을 졸업한 이후 더 높은 단계의 교육을 받고자 할 때 진학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특정 전공을 선택하여 학위를 취득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이다. 대학에서 양성된 인재는 국가 발전에 밑바탕이 되고, 각 분야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함으로써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뤘고, 전문 인력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였다. 고급 인력을 사회에 배출하고 동시에 학교 발전을 추구하고자 많은 대학들이 신설 및 확장의 과정을 거쳤다. 대학교들은 ‘인물을 배출하고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터’에 자리잡고자 하였는데, 좋은 입지를 선택하기 위해 학교들은 풍수 논리를 적용하여 캠퍼스 위치를 정하였고, 건축 및 공간 구성의 과정을 거쳤다. 우리나라 근대기에 본격적으로 대학체제를 갖춘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특징과 공통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학적 길지에 입지하고 있다. 주산과 물길이 길(吉)한 형상을 갖추면서 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관의 조건에 부합한다. 대학교가 길지에 위치한 것은 지기(地氣)를 받아 학업적으로 좋은 결과를 내고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하기 위함이다. 둘째, 혈처에 본관을 배치하였다. 본관은 대학교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가장 중요한 건축물로써 학교의 발전을 추구하고자 풍수에서 기가 뭉쳐있는 가장 좋은 곳에 본관을 배치하였다. 셋째, 산의 면(面) 쪽에 위치하고 있다. 면(面)은 밝고 깨끗하며 단정하고 완만하여, 학생들이 활동하기 좋은 캠퍼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면(面)에 모여있는 생기(生氣)를 이어받아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 넷째, 지형에 순응하여 자연친화적으로 건축하였다. 좌향을 정할 때 남향을 고집하지 않고, 입수룡(入首龍)의 흐름과 산수(山水)의 방향을 고려하여 자연에 순응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높이와 모양 선택에 있어서도 주변 산세와 조화를 추구하여 건물에 안정감이 들도록 유도하였다. 다섯째, 명당으로 알려진 옛터를 학교부지로 재활용하였다. 우리 선조들이 무덤, 궁궐, 절 등으로 이용했던 명당을 재활용하여 교육사업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여섯째,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비보풍수를 실천하였다. 팔로황천살, 팔로사로황천살, 기타 흉살을 막아내기 위해 각 학교들은 수목과 동상, 계단, 호수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비보하였다. 이상과 같이 위 대학 캠퍼스들은 풍수의 명당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대학교 입지에 대한 풍수적 고찰을 통해 풍수의 궁극적인 목적과 대학교가 인물을 많이 배출하고 사람들이 생활하기 좋은 곳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함을 함께 확인하였다. 4개 대학교들은 풍수 이론에 근거하여 길지를 선택하고 자연친화적으로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였고, 약 백여년 간의 발전 과정을 거쳐 많은 학생들이 선망하는 일류 대학이 되었다. 각 학교들이 입지와 공간구성에 있어 풍수를 고려한 것은 길지에서 인재가 나고,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풍수에 대한 관심 고취와 인식의 전환은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학교를 발전시켜 수많은 인재를 사회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폭력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윤화 계명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문제중심 대처양식의 향상, 정서중심 대처양식의 감소, 폭력대처 행위능력 관찰점수 향상을 위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점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11)의 개념모형과 Kirkpatrick (1994)의 평가모형을 근거로 8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추후 시계열의 유사실험설계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G도 일개 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22명, 대조군 23명 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 Levene's Test, 가설검증은 Mann Whitney U-test를 이용 하였고, 추가 검증으로 효과의 지속성여부를 검증하고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83, p=.437). 2) 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문제중심 대처양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0.77, p<.001). 3) 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정서중심 대처양식의 개체내 효과,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12.03, p<.001). 4) 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폭력대처 행위능력의 관찰평가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U=70, p<.001). 이상의 결과로 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문제중심 대처양식의 향상, 정서중심 대처양식의 감소, 폭력대처 행위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폭력예방 프로그램은 향후 학교의 간호학과와 실습기관에 적용해 실습 시 폭력예방과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self-efficacy, problem-oriented coping style, emotion-centered coping style and ability to cope with violence for nursing student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8-week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was developed based on Kim et al. (2011) model and Kirkpatrick (1994) model.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19 to September 2019.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at the 4th grade of a university in Province of G.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22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were in the control group.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hroughout the data analysis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Levene's Test, Mann Whitney U-test, and repeated measure of ANOVA by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significant post-test scores in communication self-efficacy sc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83, p=.437). 2)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problem-oriented coping styl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20.77, p<.001). 3)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ra-individual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emotion-centered coping styl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12.03, p<.001). 4)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howed higher observation scores for ability to cope with violenc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U=70,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oriented coping, emotion-centered coping style (intra-individual and interaction effects) and ability to cope with violence of nursing students. As a result, the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roblem-centered coping style, emotion-centered coping style (individual effect, interaction effect), and ability to cope with violence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pplied to nursing students would b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nursing departments and training institutions of the school in the future.

      •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적용한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계획안

        정윤화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과 놀이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대적인 흐름과 일의 생산성과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일과 놀이를 함께 할 수 있는 근무 겸 휴양의 공간으로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근무 형태가 나타났다. 워케이션은 팬데믹 이후로 디지털 노마드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업무와 놀이의 경계를 넘나든다. 놀이와 일에 대한 연구는 2장에서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통해 놀이의 특징을 도출한다. 그 후 워케이션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살핀다. 놀이의 특징을 기준으로 워케이션 프로그램의 관계를 정리한다.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개념을 분석한 결과 놀이를 구성하는 여섯 요소는 자발성, 시공간적 제약, 무목적성, 규칙성, 비일상성, 그리고 긴장감이다. 워케이션은 도심, 리조트, 해양 휴가지의 입지와 상관없이 Play, Work, Meet, Rest, Refresh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든 프로그램이 하나의 공간에 갖추어져 있지 않더라도 다섯 성격의 프로그램은 위치가 인접해 접근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놀이의 여섯 요소 중 시공간적 제약은 대지를 선정할 때 활용한다. 놀이의 규칙은 디자인 컨셉인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에 적용해 시각적으로 컨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놀이의 시공간적 제약 아래 적용되는 비일상적 규칙은 워케이션 참여자들을 배타적이며 특별한 경계로 감싼다. 이런 경계는 참여자들이 Meet의 공간에서 교류를 하며 강화된다. 놀이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긴장감을 놀이를 통해 해소하는 것 만이 놀이의 무목적성이기 때문에 일과 놀이 사이에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는 Rest와 Refresh 공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놀이의 자발성은 재미에 비례하기 때문에 놀이의 자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Work와 Play에 몰입할 수 있는 양질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가 계획하는 워케이션 공간의 타깃을 기존의 디지털 노마드가 아닌 가구, 제품, 공간 등을 제작하는 산업 디자이너로 제한한다. 국내에 운영 중인 워케이션 공간은 디지털 노마드에게 적합한 공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별화를 갖는다. 이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과 공간적 특성을 연구해 놀이의 재미를 높이고 자발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위해 도심에 모여 일을 하는 공유 디자인 스튜디오, 네트워킹을 하는 공유 공간, 그리고 실제 제품을 만드는 디자인 스쿨의 시설을 살펴본다. 워케이션은 Work와 Play의 프로그램으로만 구성되지 않았다. 이렇게 디자이너의 Work를 분석한 후 참여자의 교류를 통해 일이 놀이로 거듭날 수 있는 Meet의 공간적 특징을 공유 공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작하는 교육을 진행하는 학교의 시설도 살펴 놀이의 비일상성을 부여한다. 4절에서는 도심에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서울 윈드서핑장, 구립 도서관과 체육관, 공원, 야외수영장이 인접한 대지를 선정한다. 대지 분석 후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를 컨셉으로 디자인을 진행한다. 매스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인 워케이션 참여자를 위한 유닛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치한다. 그 규칙은 대지 환경에 맞춰 정해지고 최적의 유닛 배치를 완료한 뒤 유닛의 집합 아래 공유공간 영역을 설정한다. 공유공간의 면적과 위치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평면을 계획한다.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가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입지에 위치해 Play 프로그램을 즐길 수 했지만 디자이너만을 위한 특화된 놀이 요소도 추가한다. 그 프로그램으로 머티리얼 라이브러리를 제안한다. 머티리얼 라이브러리의 디자인 또한 컨셉인 ‘삼차원의 그리드에 자유롭게 채워지는 놀이’ 컨셉을 기본으로 디자인된다. 호모 루덴스 개념을 적용한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계획안을 연구하며 다양한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는 놀이의 보편적인 요소 여섯 가지로 정리했다. . 사례분석을 통해 워케이션의 대표 프로그램 다섯가지를 도출하고 이것이 놀이의 보편 요소와 갖는 관계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진행했다. 워케이션은 일과 놀이, 휴식을 위한 양질의 공간이 있어야 하고, 참여자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만남의 공간 또한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며 공간 계획을 마무리한다. 국내외에 운영 중인 디자이너들의 작업 공간과 교류 공간을 다양하게 살피고, 디자이너 워케이션 스튜디오 참여자에 대한 시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나은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Work and play became insepara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creativity of work created a hybrid type of work and play called ‘Workation’. A new type of work and play flourish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since 2019, allowing more workers to become digital nomads while remaining their position as a full-time employee, freely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play. The study starts by analyzing the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s concept of play, ‘Homo Ludens’. Play is studied throughout the second chapter to discover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play to apply it to workation programs. Then, workation programs will be categor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ctivities. Six characteristics of play and five workation programs are matched and applied during the design process. The six characteristics of play are spontaneousness, space-time limits, strict rules, abnormality, tension, and purposelessness. Spontaneousness and space-time limits are factors that set the conditions of play. Under space-time limits and spontaneous players, strict yet abnormal rules are applied during play. As a result, tension rises, and the only purpose of play is to relieve it. Huizinga asserts that all characteristics should be shown to call an act as play. Workation programs are composed of five space programs - Play, Work, Meet, Rest, and Refresh. Not all five programs must be strictly assembled under one mass, space programs with such characteristics can be placed on a spot where it is highly accessible near the site. The conditions of play, spontaneousness and space-time limitation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workation space programs. However, to maintain spontaneousness, play must be fun. To keep the participants immersed in play, high quality workation programs must be provided. Space-time limitations are appliable when selecting the site. Most workation venues are located near places with seasonal changes. Strict rules that workation programs follow is that high quality Play, Work, and Meeting programs are placed nearby. Through play, royalty is granted among participants, which is created because of the abnormal characteristic of play. To form royalty, Meeting space programs are essential. Tension itself as a characteristic of play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workation programs. But programs such as Rest and Refresh help participants relieve tension during work and play. Purposelessness is another factor with a loose connection with workation programs. It is more related to the design process, which aims to design a workation studio that can fit diverse needs of the participants, rather than having a strict and invariable use. The third chapter studies working conditions of industrial designers. The first case study covers a coworking office placed in an urban environment. Pleasant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well-lit rooms and ventilation supplies are necessary. Facilities and suitable tools based on the designer’s work was another key factor. The second case study covers space design solutions for meeting areas in coworking space in Seoul. Vertical passages located among working areas acted a key role to trigger unexpected meetings. Structure and materials that enhance visual exchange also helped build community. The third case study was intended to increase abnormality of the working areas, studying the facilities of Bauhaus University Weimar. Through the study, a specialized Play program, such as the material library was applied. The project is located on an abnormal site where space-time limits are applied. Near the Han River located in Seoul, the only site for wind surfing is surrounded with public parks, library, and outdoor swimming pools. Since the site and the surrounding amenities are located near the river, seasonal changes influence the programs surrounding the site. After analyzing site surroundings, the design process follows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grid filled with play’. The residential unit for designers is also planned to be filled with each designers’ spontaneous work and play. The units are placed on the site surroundings, units on the lower level of the buildings are replaced with the common areas. The volume of the common areas determined which programs would be placed. Even the site is located near a windsurfing site, a specialized program for designers to play is prepared. A material library is placed on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for designer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The material library also follows the concept, creating units by subtracting pathways and stacking the unit forms the space. Through the study, workation studio specialized for designers should have high quality space programs that support work and play. Places for Meet, Rest, and Refresh are also prudently designed. Further field studies on various designers’ workshop and market research on the target-industrial designers- will make the current plan more suitable. Also, applying the relations between play and workation programs on a smaller site would make the project more fea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